•  


沈默의 섬마을 暴力에 露出된 少女|週刊東亞

週刊東亞 939

..

沈默의 섬마을 暴力에 露出된 少女

정주리 監督의 ‘도희야’

  • 이형석 헤럴드經濟 映畫專門記者 suk@heraldm.com

    入力 2014-05-26 10:35: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침묵의 섬마을 폭력에 노출된 소녀
    最近 美國 時事週刊誌 ‘타임’ 온라인版이 世界 映畫 中 最高의 女性復讐劇 12篇을 뽑았다. 美國에서 지난달 下旬 開封해 박스오피스 1位에 오른 닉 카사베츠 監督의 ‘디 아더 우먼’을 비롯한 選定作에 韓國 映畫도 2篇 包含됐다. 박찬욱 監督의 ‘親切한 金字氏’(2005)와 임상수 監督의 ‘下女’(2010)다. ‘親切한 金字氏’는 兒童 連鎖拉致 殺害犯의 罪를 代身 뒤집어쓰고 服役한 女人이 絶對惡人 한 男子에게 加하는 痛烈한 復讐劇이다. ‘下女’는 有婦男인 財閥 2歲의 아이를 갖게 된 財閥집 下女의 이야기를 담았다. 전도연이 演技한 이 女人의 復讐는 ‘財閥’로 象徵되는 우리 社會의 階級構造와 物神主義, 男性中心主義에 對한 女性的 ‘論評’이었다고 할 것이다.

    女性復讐劇은 그것이 코미디든, 스릴러든, 멜로든 大槪 그 映畫가 발 딛고 선 社會의 矛盾을 尖銳하게 드러내게 마련이다. 女性 主人公은 性的, 肉體的, 經濟的 弱者에 屬하는 境遇가 많기 때문이다.

    5月 14日 開幕한 第67回 칸映畫祭 ‘注目할 만한 視線’ 部門에 招請된 ‘도희야’는 한 걸음 進化한 女性復讐劇이라 꼽아도 無妨하다. 短篇映畫로 꾸준히 주목받다 이番에 長篇 데뷔作을 낸 정주리 監督, 世代는 다르지만 韓國 映畫界에서 獨步的인 個性과 이미지로 定評난 主演 배두나, 김새론 等 女性 監督과 女俳優가 意氣投合한 作品이라는 點도 意味深長하다.  

    ‘도희야’는 외딴섬에서 의붓아버지 用下(송새벽 分)와 할머니의 虐待, 마을 아이들의 괴롭힘을 當하며 살던 中學生 도희(김새론 分)와 私生活 問題로 서울에서 左遷돼 派出所長으로 赴任한 엘리트 警察 嶺南(배두나 分)의 이야기를 담았다. 嶺南은 마을 사람들의 沈默과 傍觀 속에서 無防備로 暴力에 露出된 少女의 삶에 介入하기 始作하고, 도희는 난生처음으로 自身의 울타리가 돼주는 派出所長에게 執着에 가까울 程度로 依支한다. 섬마을에 사는 거의 唯一한 젊은 男子로 洞네일을 도맡아 하는 用下는 嶺南의 祕密을 알게 되고, 이를 미끼로 嶺南을 窮地로 몰아넣는다. 그러자 도희는 嶺南을 위해 돌이킬 수 없는 選擇을 하게 된다.

    침묵의 섬마을 폭력에 노출된 소녀
    映畫 속 섬은 家父長的인 暴力과 傍觀者들의 沈默이 日常化된 空間이다. 用下는 섬 內 暴力構造의 頂點이자 마을 經濟의 中心에 있는 人物. 그는 어린 딸뿐 아니라 뱃일에 動員된 外國人 不法滯留 勞動者들을 毆打와 暴行, 辱說로 管理한다. 用下가 마을의 勞動뿐 아니라 資材, 生産物 賣買 等 住民 生業과 關聯한 모든 活動을 全的으로 責任지는 人物이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斟酌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用下의 暴力은 마을 사람들에게 容認되는 것이다.



    經濟와 勞動 때문에 家父長的인 暴力과 傍觀者들의 沈默이 日常化된 섬마을은 우리 社會의 한 斷面이며, 嶺南과 도희는 서로 다른 理由로 그 犧牲者다. 嶺南은 性的 偏見의 犧牲者고, 도희는 肉體的 虐待의 被害者다. 한마디로 ‘도희야’는 조용하지만 危險하고 魅惑的인, 女性의 連帶와 叛亂에 關한 이야기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