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藝術 作品 없는 都市 찾습니다” [+3D]|新東亞

“藝術 作品 없는 都市 찾습니다” [+3D]

[6인치 美術館] 다미앙 풀랑의 캔버스가 全 世界 곳곳人 理由

  • 구희언 記者, 파리=이진수 記者

    hawkeye@donga.com, h2o@donga.com

    入力 2023-07-14 10:0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盎齊에서 태어나 機會의 都市 파리로

    • 藝術로부터 疏外된 都市를 찾다

    • 길거리 廣告 포스터에서 받은 令監

    • 幾何學的 圖形 그리는 理由

    *본 기획물은 政府廣告 手數料로 造成된 言論振興基金의 支援을 받았습니다.

    5월 13일 프랑스 파리 11구에 있는 작업실에서 만난 다미앙 풀랑 작가. [지호영 기자]

    5月 13日 프랑스 파리 11區에 있는 作業室에서 만난 다미앙 풀랑 作家. [지호영 記者]

    올해 봄 서울 성북구 성북천 近處 골목에서 幾何學的 圖形이 그려진 4層짜리 住宅에 視線을 빼앗긴 적이 있다. 住宅 外壁엔 노란 三角形과 軟豆빛 四角形 等 層마다 다른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밋밋하고 심심하던 골목 風景에 生氣를 불어넣는 듯했다.

    5月 프랑스 파리 19具 한 골목에서 비슷한 그림을 다시 만났다. 프렌치 레스토랑 ‘몬 온클 르 非그네론(Mon Oncle le Vigneron)’의 셔터에 그려진 파란 三角形과 四角形 等이다. 두 그림의 共通點은 會話·壁畫·造形·集團 퍼포먼스를 넘나들며 公共 藝術을 하는 다미앙 풀랑(Damien Poulain·48) 作家의 壁畫라는 것이다.

    작가의 회화 작업으로 재탄생한 테니스 코트 바닥. [다미앙 풀랑]

    作家의 繪畫 作業으로 再誕生한 테니스 코트 바닥. [다미앙 풀랑]

    다미앙 풀랑은 서울과 파리를 비롯해 日本·이란·세네갈·네덜란드 等 全 世界 구석구석을 캔버스로 여긴다. 韓國에서 첫 作品을 선보인 건 2018年 서울 中區 文化驛서울284에서 열린 ‘타이포잔치 사이사이 2018-2019: 國際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에서다. 以後 롯데百貨店 리빙編輯숍 ‘더 콘란샵’과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뮤지엄 等에서 그룹·協業 展示를 열었다.

    그는 왜 壁에 그림을 그리는 걸까. 그리고 왜 圖形일까. 궁금症을 풀고자 5月 13日 그의 作業室이 있는 프랑스 파리로 向했다. 수많은 壁畫와 그라피티를 보며 ‘作家도 이런 거리 藝術에서 靈感을 얻었겠구나’ 지레斟酌했지만 實際로 만난 그는 “藝術的으로 瘠薄한 環境에서 나고 자랐다. 길거리의 廣告 포스터가 唯一한 美術 敎材였다”며 어릴 적 이야기를 털어놓았다.



    https://my.xrview.co.kr/show/?m=Zs75dbDZpZ5 에서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https://my.xrview.co.kr/show/?m=Zs75dbDZpZ5 에서도 視聽할 수 있습니다.



    삶의 循環과도 같은 公共 藝術 順理

    프랑스 어디에서 태어났나.

    “파리에서 南西쪽으로 297㎞ 떨어진 盎齊에서 태어났다. 商工業 中心地로 有名한 프랑스의 小都市다. 藝術的으로 索莫한 都市였기에 길거리에 붙은 廣告 포스터가 唯一한 美術 敎材나 마찬가지였다. 포스터 속 視覺的 要素가 나를 藝術家의 길로 이끌었다.”

    公共場所에 그림을 그리는 理由는.

    “全 世界 곳곳에 藝術에서 疏外된 地域이 있다. (거리의 그림은) 藝術에 對한 熱望은 있지만, 그렇지 못한 環境에서 사는 사람들에게 큰 影響을 준다. 公共 藝術이 地域經濟를 活性化한다는 點에서도 意味가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影響을 받은 廣告 포스터들은 무언가를 팔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나는 팔지 않는 藝術을 한다는 點이 재미있다.”

    셔터에도 그림을 그리던데.

    “셔터는 作業室이 없는 藝術家에게 許諾된 또 다른 캔버스처럼 느껴진다. (레스토랑이나 商店 같은) 空間에 生命力을 주고 싶었다. 그곳이 門을 닫았을 때는 空間이 잠을 자는 것처럼 보이도록.”


    서울 성동구 성수에 있는 복합문화공간 '신촌살롱'에서 작업한 셔터 그림. 현재는 영업을 종료해 그림이 사라진 상태다. [다미앙 풀랑]

    서울 성동구 聖水에 있는 複合文化空間 '新村살롱'에서 作業한 셔터 그림. 現在는 營業을 終了해 그림이 사라진 狀態다. [다미앙 풀랑]

    損傷됐거나, 只今은 없어져서 더 는 볼 수 없는 作品도 있다. 公共場所에 作業하면 作品의 壽命이 有限하다는 點이 아쉽지는 않나.

    “삶의 循環과도 같다. 그림이 남아 있으면 氣分이 좋고 監査하겠지만, 다른 藝術家에게도 機會를 내줘야 한다. 誕生하고 없어지길 反復하는 게 公共 藝術의 順理인 것 같다. 다만 個人的으로 依賴를 받아서 作業한 그림은 大部分 保存이 잘 돼 있고, (SNS에) 寫眞을 찍어서 올리면 作品을 繼續 간직할 수 있다.”

    서울은 作家에게 어떤 캔버스인가.

    “(都市 雰圍氣가) 保守的일 것 같았는데 豫想과 달라서 놀랐다. 높은 빌딩이 많고, 사람들의 움직임도 力動的이었다. 特히 젊은 사람들이 藝術에 關해 엄청난 熱情을 보였고, 今方이라도 暴發할 것 같은 都市의 胎動을 느꼈다. 앞으로도 다양한 作業을 試圖해 볼 機會가 많을 것 같다.”

    다미앙 풀랑의 作業室은 19世紀 프랑스 藝術家들의 中心 活動 地域이던 파리 11區에 있다. 鐵을 아코디언처럼 구부러뜨린 看板과 津한 草綠色 大門, 門을 활짝 열어놓은 個人 레스토랑과 카페…. 골목은 個性的 에너지로 가득했다. 20代 파리지앵들은 가게 앞 길바닥에 앉아 아이스크림을 먹거나 와인을 마셨고, 藝術家로 보이는 사람들은 建物 앞에서 캔버스를 들고 바쁜 걸음을 옮겼다. 藝術과 젊음이 共存한다는 點에서 프랑스의 ‘홍대 거리’나 ‘聖水洞’ 같이 느껴졌다.

    機會의 都市, 파리

    [+映像] 前 世界 壁과 바닥에 그림을 그리는 藝術家, 다미앙 풀랑은 누구인가



    作業室 門에 여러 사람의 이름이 쓰여 있던데.

    “미디어 作業을 하는 藝術家 7名이 함께 쓰는 作業室이다. 20代부터 40代까지 다양한 世代가 모여 있는데 그中 내가 나이가 가장 많다(웃음).”

    作業에 集中하려면 혼자 쓰는 게 더 낫지 않나.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여러 觀點을 接하는 것을 좋아해서, 다른 사람과 함께 使用하는 게 좋더라. 元來 19區에 作業室을 뒀다가 親舊와 함께 作業室을 쓰고 싶어 11句로 移徙 왔다. 2017年 파리에 오기 前까지 英國 런던에 있었다. 거기서도 8名이 作業室을 같이 썼다.”

    왜 런던에서 파리로 왔나.

    “런던은 現在 攻擊的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는 都市다. 런던에 14年間 있었다. 몇 年 單位로 繼續 쫓겨 다니면서 漸漸 中心地에서 멀어졌다. 같이 作業室을 쓰던 同僚도 같은 理由로 흩어지면서 외로워지더라. 그걸 契機로 파리에 오게 됐다.”

    파리는 藝術的으로 어떤 影響을 준 都市인가.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을 重要하게 여기는데, 그런 機會가 많은 곳이다. 大都市에서는 디지털·寫眞 等 個人 作業하는 藝術家를 만날 機會가 많다. 또 런던은 땅 自體가 커서 都市가 가진 潛在力을 제대로 活用하지 못했다. 파리는 어느 洞네라도 30分 만에 移動할 수 있고, 區마다 다른 디테일과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圖形과 色으로 쓰는 詩

    다미앙 풀랑의 作品에서 가장 눈여겨봐야 할 要素는 幾何學的 圖形과 色이다. 다미앙 풀랑은 1994年 프랑스 오를레앙 디자인 藝術學校(Orleans School of Art and Design)를 거쳐 프랑스 曩時 國立디자인學校(Ecole nationale superieure d’art et de design de Nancy), 獨逸 슈투트가르트 美術大學(Staatliche Akademie der Bildenden Kunste Stuttgart) 等에서 디자인과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을 8年間 工夫했다. 그의 作業은 會話, 壁畫, 造形 等 다양한 領域을 넘나들지만 楕圓·三角形·四角形 等 圖形을 配置한 그림의 形態엔 變함이 없다.

    왜 圖形을 그리나.

    “내 作品이 普遍的 言語를 지니길 願하기 때문이다.”

    좀 더 具體的으로 說明해 달라.

    “全 世界가 理解할 수 있는 그림의 言語를 만들고 싶었다. (어느 都市나) 해와 산 模樣이 같은 것처럼, 色의 意味도 마찬가지다. 노란色은 빛을 象徵하고, 빨간色은 피를 떠오르게 한다. 내 作業은 通用語로 詩를 쓰는 것과 같다. 文字가 아닌, 圖形과 色으로 말이다.”

    2017년 제작한 조형물 ‘사원(Le Temple)’. [다미앙 풀랑]

    2017年 製作한 造形物 ‘社員(Le Temple)’. [다미앙 풀랑]

    첫 作品이 궁금하다.

    “첫 作品으로 여기는 건 2017年에 만든 ‘社員(Le Temple)’이라는 造形物이다. ‘뉘 블랑슈(Nuit Blanche)’라는 藝術 行事에서 선보인 토템 建築物이다. 19世紀에 만들어진 프랑스 마옌의 한 敎會 禮拜堂 中央에 設置돼 있다. 이 作品의 製作 方式을 바탕으로 (다음 作品을) 繼續 발전시키고 있다.”

    아프리카 세네갈의 애니 앤드 요제프 알베르스 재단(The Anni and Josef Albers foundation) 레지던시에서 만든 ‘좋은 아침(Walediam!, 2019)’. [다미앙 풀랑]

    아프리카 세네갈의 애니 앤드 요제프 알베르스 財團(The Anni and Josef Albers foundation) 레지던시에서 만든 ‘좋은 아침(Walediam!, 2019)’. [다미앙 풀랑]

    作品 中에는 소똥으로 만든 것도 있더라. 材料 使用에 거리낌이 없던데.

    “소똥을 活用한 ‘좋은 아침(Walediam!, 2019)’은 아프리카 세네갈에 있는 애니 앤드 요제프 알베르스 財團(The Anni and Josef Albers foundation)의 레지던시에서 만들었다. 5週間 ‘最小限의 것으로 어떻게 創作을 할 수 있을 것인가’를 苦悶하는 프로젝트였다. 세네갈에서 소똥은 建築 材料나 땔감으로 쓴다. 이걸 作業 材料로 쓰면 재미있을 것 같았다.”

    作家 經歷에 큰 影響을 준 作品이 있나.

    “이란의 테헤란에서 作業한 壁畫 ‘사랑에는 크기가 없다(Love Has No Size, 2019)’다. 이란의 壁畫 大部分은 이슬람의 프로파간다(어떤 理念이나 思考方式을 說得하는 것)를 담고 있다. 그런 旣存 文化에 反抗하는 ‘사랑’이라는 主題를 담았기에 意味가 있다.”

    마커로 페인팅 작업을 하는 작가. 올 하반기에는 NFT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지호영 기자]

    마커로 페인팅 作業을 하는 作家. 올 下半期에는 NFT 作品을 선보일 豫定이다. [지호영 記者]

    다미앙 풀랑은 ‘모두를 위한 藝術을 한다’는 哲學을 담아 10餘 年 前부터 더 많은 사람이 藝術의 機會를 얻을 수 있도록 디지털 作品을 선보이고 있다. 8月에는 쿠웨이트 리빙編輯숍 ‘더 콘란샵’에서 壁畫 作業을 公開할 豫定이다. 네덜란드 브레다에서 열리는 그래픽디자인 祝祭 ‘그래픽 매터스(Graphic Matters)’를 위한 워크숍도 準備하고 있다. 2024年에는 英國 패션 브랜드 ‘포크 클로딩(Folk Clothing)’과 衣類 컬렉션을 出市한다.

    다음 挑戰은 어떤 形態일까. 그는 “아랍에미리트에 있는 큰 沙漠에서 正말 많은 人員과 集團 퍼포먼스를 해보고 싶다”며 “遊牧 文明으로 만들어진 都市의 아름다움과, 沙漠이라는 大自然이 가진 壓倒的 아름다움을 가지고 作業하면 재미있을 것 같지 않나”라고 答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