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學閥·私敎育·入試地獄, 美國 敎育 3가지 錯覺을 깨다!|신동아

學閥·私敎育·入試地獄, 美國 敎育 3가지 錯覺을 깨다!

妊娠 前 幼稚園 待機者 登錄, 學業·藝體能·特活 全方位 課外에 휘청

  • 金守經 美國 스탠퍼드대 博士課程·社會學 kimsk@stanford.edu

    入力 2008-06-10 11:53: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우리에게 美國은 愛憎의 나라다. 反美와 親美의 二分法은 美國을 더욱 理解하기 힘들게 만든다. 더욱이 只今껏 美國에 對한 論議들은 大槪 政治的이었다. 정작 日常에서 만나는 美國의 實狀은 接하기 어렵다. 늘 非難 或은 東京이라는 兩價的 態度로 投影돼온 美國은, 直接 살아보니 無條件 拒否해야 할 對象도, 無作定 배워야 할 對象도 아니었다. 3年째 美國에서 留學 中인 筆者가 美國에 對해 우리가 모르는, 或은 잘못 알고 있는 것들에 對해 이야기한다.
    학벌·사교육·입시지옥, 미국 교육 3가지 착각을 깨다!
    얼마 前 아이를 낳은 親舊에게서 便紙 한 通을 받았다. 最近 出産의 經驗을 통해 많은 것을 생각했다는 그는, 自身의 아들이 살아갈 韓國 社會의 未來를 期待와 希望보다는 念慮와 不安한 마음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特히 自身의 아들만큼은 지긋지긋한 入試地獄을 겪게 하고 싶지 않다는 그의 말에서, 子女가 좀 더 자유로운 곳에서 便하게 工夫하기를 바라는 모든 父母의 ‘正當한’ 欲心을 읽을 수 있었다.

    많은 이가 그렇듯 그 親舊 亦是 長期的으로는 子女의 美國行을 생각하고 있었다. 이제 막 옹알이를 始作한 아들을 바라보는 初步엄마의 마음에 벌써부터 작은 그늘을 드리울 만큼 韓國의 敎育이 絶望的인가 하는 생각에 씁쓸해졌다. 그런 한便 美國이 우리에게 그렇게 ‘만만한’ 代案인가라는 疑問이 들었다.

    얼마 前까지만 해도 ‘儒學’ 하면 ‘逃避留學’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있었다. 大學入試에서 失敗한 一部 富裕層 子女들의 美國行을 보면서 부러워하기보다는 ‘韓國 敎育環境에 適應하지 못한 이들’이라며 暗默的인 烙印을 찍었다.

    그런데 只今은 留學을 이처럼 바라보지 않는다. 아이들을 더 나은 環境에서 교육시키려는 積極的인 動機에서 子女의 美國行을 選擇하는 父母가 많아졌고, 留學을 決定하는 時期도 漸次 빨라지고 있다. 지난해 敎育人的資源部(現 敎育科學技術部)가 發表한 留學生 出國現況에 따르면 2006年 初·中·高 早期留學生은 3萬名에 肉薄하며, 이 가운데 初等學生이 47%를 차지했다. 最近 한 銀行에서는 留學資金 貸出商品을 내놓는 等 早期留學에 對한 關心層도 富裕層에서 中産層으로 擴大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韓國의 公敎育이 危機에 逢着할 때마다 많은 사람이 美國의 敎育에서 代案을 찾는다는 點이다. 이는 世界化가 加速化하면서 美國 大學 卒業狀이 韓國 大學 卒業狀보다 더 큰 公信力을 가질 것이라는 理性的 判斷과, 美國 敎育을 통해 子女를 入試地獄에서 救援해주고 싶다는 感性的 判斷 때문이다.



    授業時間에 자유롭게 討論하고 放課 後에는 餘暇를 즐기는 映畫 속 美國 高等學生들의 모습은, 夜間自律學習과 私敎育으로 새벽이 돼서야 파김치가 되어 歸家하는 韓國 高等學生들과는 너무나 다르다. 入試戰爭을 치러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番쯤 ‘美國 애들은 놀면서 大學에 간다는데 나는 왜 韓國에서 태어나 이 苦生인가’ 하는 생각을 해봤을 것이다. 그러나 斷言컨대, 이는 美國의 참모습이 아니다.

    하버드가 아니면 죽음을!

    于先 ‘美國에선 能力만 있으면 學閥은 別로 重要치 않을 것’이라는 생각은 큰 誤算이다. 美國은 한마디로 市場論理가 徹底하게 支配하는 資本主義 社會다. 資本主義는 ‘競爭’이라는 滋養分을 먹고 成長한다. 敎育도 例外가 아니다. 個人의 能力은 곧 學歷으로 證明되기에 名門大 進學 競爭은 그 어느 社會보다 熾烈하다.

    이미 十數年 前 ‘뉴욕매거진’은 ‘하버드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Give me Harvard or give me death)’라는 題目의 커버스토리를 통해 美國 中産層 子女들의 一流大 入試 競爭이 熾烈함을 大大的으로 報道한 바 있다. 그 後에도 入試철마다 學生과 學父母들의 戰爭 같은 受驗氣가 여러 言論媒體에 紹介되는가 하면, ‘나는 이렇게 工夫했다’ ‘當身에게 맞는 大學 고르는 法’ 等 合格의 祕訣을 담은 各種 實用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美國에는 私敎育이 없을 것’이라는 것도 誤解다. 무엇이든 商品化하는 美國 資本主義에서 學院事業이 繁昌하지 않았을 理 없다. 美國의 敎育專門 컨설팅業體 에듀벤처스에 따르면 2004年 美國 初·中·高生의 學業 關聯 私敎育費는 年間 21億달러(藥 21兆원)에 達하며 每年 急增하고 있다.

    학벌·사교육·입시지옥, 미국 교육 3가지 착각을 깨다!

    美國의 많은 엄마는 終日 아이들을 데리고 다니며 스케줄을 管理하는 ‘미니밴 맘’ 노릇을 自請한다.

    또한 學校 내 敎職員 形態로 存在하던 進學相談史라는 職種이 빠른 速度로 비즈니스化하고 있다. 2005年 公營 라디오 NPR(National Public Radio)의 報道에 따르면 社說 進學相談社는 學生當 3000달러(藥 300萬원)라는 高價의 相談料에도 不拘하고 지난 5年間 300% 以上의 增加勢를 보이고 있다. 現在 美國에는 約 3000名의 私設 進學相談社가 있으며 이들의 年間 所得이 웬만한 學校 校長의 年俸과 비슷하다는 報道도 있다.

    韓國의 初·中·高 私敎育 市場이 大略 年間 20兆원으로 推算되는 것과 比較하면 美國의 私敎育 市場이 別것 아니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最近 美國의 經濟專門 사이트 ‘CNN머니’에 紹介된 한 美國 高等學生의 大入 準備過程을 살펴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美國 私敎育의 相當部分이 統計에 잡히지 않는, 學業과 直接的 關聯이 없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의 高等學生 케이틀린 孃은 지난 한 해 大學入試 準備 費用으로 約 1萬3000달러(約 1300萬원)를 支給했다. 數學課外 및 ACT(美國大學入學試驗) 學院費로 낸 2300달러는 低廉한 축에 든다. 進學相談費用 800달러, 放課後 活動費 1350달러, 南美 奉仕活動 旅行經費 1375달러, 스페인 살라망가 大學 여름캠프 參加費用 7000달러 等, 私敎育費의 大部分은 學業과 直接的 關聯이 없는 活動에 쓰인다.

    세 番째 誤解는, 美國의 大學 入學은 學校 成跡을 重要視하지 않기 때문에 수월하다는 생각이다. 勿論 겉만 보면 그렇다. 美國의 入學査定은 內申 成跡이나 大學 入學試驗 成績은 勿論 學業 外的인 活動을 重要視하기 때문에 履歷書에 얼마나 많은 特技事項을 記載할 수 있는지가 合格 與否를 가른다. 말하자면, 學生이 가진 ‘文化資本’ 全般을 測定하는 것이다.

    問題는 文化資本의 蓄積이 學業成就度의 增進보다 長期的인 投資를 必要로 한다는 點이다. 다시 말해, 어릴 때부터 스포츠, 美術, 音樂을 接하거나 海外 滯留經驗을 통해 다양한 言語와 文化를 배우고 익힌 사람일수록 名門大 進學率이 높아진다. 이는 結局 學父母의 社會·經濟的 地位와 直結되고, 이른바 ‘개川에서 龍이 날’ 可能性은 더욱 稀薄해진다.

    美國의 民間 政策硏究所 센추리財團의 한 硏究結果는 이 같은 憂鬱한 事實을 뒷받침한다. 美國 上位 146個 大學 在學生을 對象으로 實施한 調査에서, 社會·經濟的 地位 上位 25% 家庭의 學生이 全體 學生 數의 74%를 차지한 反面 下位 25% 家庭의 學生은 고작 3%에 不過했다.

    卒業 膳物은 貸出빚

    게다가 名門大로부터 入學 許可를 받았다 해도 高額 登錄金이라는 現實의 壁을 넘어야 한다. 私立名門大의 1年 登錄金은 3萬달러(約 3000萬원)를 上廻하며 寄宿舍 費用까지 包含하면 그 額數는 훨씬 커진다. 이는 低所得層은 勿論 中産層에도 負擔스러운 金額이다. 美國敎育協議會(American Council on Education)에 따르면 2004年 現在 美國 大學生의 60%가 平均 1萬6000달러(約 1600萬원)의 學資金 貸出빚을 안고 卒業한다.

    이 때문에 많은 學生이 奬學金에 期待를 걸지만, 大學院生과 달리 學部生에게는 奬學金 惠澤의 機會가 적은 便이라 이마저 쉽지 않다. 2007年 9月末 ‘뉴욕타임스’ 週末版은 ‘大學入試 特輯’으로 뉴욕州 브롱스빌의 한 受驗生에 對한 記事를 실었다. 뉴욕 市 外郭에 位置한 브롱스빌은 典型的인 中上流層 住居地로, 마리아 孃이 다니는 브롱스빌 高等學校의 境遇 在學生의 98%가 4年制 大學에 進學할 만큼 學群이 좋기로 有名한 곳이다.

    마리아 孃의 家族은 典型的인 中産層에 屬하지만 入試를 앞두고 決코 만만치 않은 學費 問題를 苦悶하다 한 大學의 奬學生 프로그램에 支援했다. 競爭率은 約 100代 1. 美國에서도 秀才들만 뽑힌다는 國家葬學生(National Merit Scholarship) 準決選 進出者인 마리아는 各種 競試大會 및 白日場 受賞經歷은 勿論 플루트 演奏會 經驗까지 履歷書에 빽빽이 적어 넣었지만 合格을 自信할 수 없다.

    학벌·사교육·입시지옥, 미국 교육 3가지 착각을 깨다!

    美國 中産層 子女들의 入試競爭은 갈수록 熾烈해지고 있다. 寫眞은 美國의 한 私立學校.

    美國 大學이 入學 事情 때 評價에 反映하는 學業 外 活動이란, 마리아의 境遇에서 보듯 團地 樂器 한두 個를 연주하고 스포츠를 좋아하는 水準이 아니라 적어도 學校 代表로 出戰할 만큼의 實力이어야 한다. 狀況이 이렇다 보니 私立 初等學校 入學을 위해 세 살 때부터 아이에게 課外를 시키는 父母들의 이야기가 言論에 種種 紹介된다.

    애리조나의 한 地域新聞은 最近 빠르게 擴張되는 就學 前 兒童의 私敎育 市場에 對한 深層記事를 揭載했다. 未就學 兒童의 私敎育은 全體 私敎育 市場의 18%를 차지하며 敎育企業들 사이에서 새로운 틈새市場으로 急浮上하고 있다. 國際的 私敎育企業人 구몬이 2000年 3~4歲를 對象으로 新設한 읽기 및 算數 敎習過程은 사람이 너무 많이 몰려 待機者 名單이 있을 程度다. 아직 세 돌이 지나지 않은 아이를 이 過程에 登錄시킨 한 學父母는 “요즘 大學 가기가 너무 어려워져 남보다 조금이라도 일찍 始作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쯤 되면 美國의 名門大 入試야말로 妊娠과 同時에, 아니, 어쩌면 그 以前부터 始作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얼마 前 育兒에 關한 흥미로운 記事를 실었다. 美國의 熱誠父母들은 甚至於 妊娠을 計劃하는 段階에서 名文 영·幼兒園의 待機者 名單에 이름을 올린다는 것. 妊娠 事實을 안 뒤면 이미 늦다는 것이다. 블룸버그 通信에 따르면 뉴욕의 一部 名門 私立幼稚園의 登錄金이 2004年 처음으로 2萬6000달러(藥 2600萬원)를 突破했으며 이는 프린스턴 大學의 當時 登錄金과 맞먹는 水準이다.

    ‘미니밴 맘’의 고달픈 日常

    本格的인 ‘게임’은 아이가 初等學校에 들어가면서부터 始作된다. 이른바 ‘미니밴 맘(Minivan Mom)’의 삶이 始作되는 것이다. 美國의 많은 엄마가 登下校時에는 勿論 各種 放課後 活動을 위해 아이들을 미니밴에 태워 하루 終日 데리고 다닌다. 아이의 스케줄 管理에서 運轉士 노릇까지, 말하자면 ‘로드 매니저’가 되는 셈이다. 게다가 學父母會에서 要求하는 各種 奉仕活動에까지 參與하려면 몸이 두 個라도 모자랄 地境이다.

    千辛萬苦 끝에 滿足할 만한 履歷書를 만들었다 해도 끝이 아니다. 美國 名門大의 入學査定 過程에는 學生 或은 學父母의 努力만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要素들이 作用한다. 敎育分野 探査報道로 퓰리처賞을 受賞한 다니엘 골든은 2006年 著書 ‘合格의 費用: 어떻게 美國의 支配階層은 一流大 進學을 購買하는가(The Price of Admission: How American Ruling Class Buys Its Way into Elite Colleges)’에서 美國 名門大들의 透明하지 못한 學生選拔 慣行을 꼬집었다.

    골든에 따르면 學父母가 相當한 財力家이면서 支援學校의 同門일 境遇 合格 可能性이 훨씬 높아진다. 入學 以後 學父母로부터 많은 後援金을 期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慣行 때문에 가장 被害를 보는 것은 아시아系 美國人 學生들. 골든은 敎育熱이 높은 아시아系 美國人들이 徹底히 準備된 狀態에서 入試戰爭에 나선다 하더라도 相對的으로 내세울 게 없는 出身背景 때문에 合格率이 낮아진다고 主張한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美國 映畫에서 봐온, 放課 後면 파티를 즐기는 平凡한 高等學生들의 모습이 모두 虛構라고 잘라 말할 수는 없다. 言論에는 通商 平凡한 事例보다 平凡하지 않은 事例가 더 많이 登場하는 點을 勘案하면, 只今까지 紹介한 이야기들이 美國의 平均的 受驗生의 모습은 아닐 것이다.

    美國에는 2500餘 個의 4年制 大學이 있다(2년제까지 包含하면 4000餘 個). 아무 大學이나 가기로 마음먹는다면 말 그대로 ‘놀면서 大學 가는 것’도 可能할지 모른다. 問題는, 美國 留學을 꿈꾸는 많은 學生과 學父母가 美國에서는 入試戰爭을 겪지 않고도 名門大에 進學할 수 있으리라는 漠然한 期待를 갖고 있다는 點이다.

    美國 名門大의 競爭率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올해 하버드대의 競爭率은 14代 1로, 大學 設立 以後 最高値를 記錄했다. 100名의 志願者 中 고작 7名이 合格하는 꼴이다. 예일大나 컬럼비아 等 다른 名門 私立大도 事情은 마찬가지. 프린스턴大는 지난해 入試에서 內申成跡 滿點者를 數千名이나 떨어뜨려야 했고, 하버드대도 SAT 數學 滿點者 1100名에게 不合格을 通報해야 했다.

    이러한 現象의 原因으로는 大略 세 가지 要素가 言及된다. 于先, 베이비붐 世代의 子女들이 高等學校를 卒業할 나이가 되면서 해마다 受驗生 數字가 最高値를 更新하고 있고, 예전에 비해 高等學校 卒業 直後 곧바로 大學에 進學하는 比率도 높아졌다. 또 여러 大學에 同時 支援을 하는 傾向이 높아지면서 名門大 바로 아래 級으로 分類되는 大學의 競爭率까지 同伴上昇하고 있다.

    “아메리칸 드림은 닳았다”

    狀況이 이런데도, 韓國과 比較하면 美國에서는 上流層의 名門大 進學에 對한 拒否感이 相對的으로 덜한 것 같다. 敎育의 不平等 問題가 學界에서 論議될지언정, ‘學父母와 受驗生의 不滿이 暴發했다’는 式의 報道를 接한 記憶은 別로 없다. ‘서울대를 없애겠다’거나 ‘(地域區 受驗生을) 모두 서울대에 보내겠다’는 式의 韓國籍 포퓰리즘은 想像하기 어렵다.

    오히려 焦點은 學業이 不振한 學生에게 맞춰져 있는 듯하다. 오죽하면 부시 行政府가 發效한 公敎育 改革法案의 이름이 ‘어떤 어린이도 落伍者로 만들지 않는다(No Child Left Behind Act)’일까. 여기에서 우리는 이른바 ‘아메리칸 드림’에 對한 社會的 믿음을 一面 엿볼 수 있다. 部(富)를 正當한 努力에 對한 正當한 代價로 認識하는 것이다.

    그러나 知識人들 사이에서는 敎育이 貧富의 代물림을 고착시킨다는 憂慮가 끊임없이 提起되고 있다. 特히 敎育을 통한 富의 世襲은 ‘機會의 땅’이라는 美國의 建國理念과 正面으로 配置되기에 美國 社會에 自己矛盾을 던져준다. 美國 經濟學者 폴 크루그먼은 2003年 英國 週刊誌 ‘네이션’에 寄稿한 칼럼에서 所得 不平等이 社會正義를 해치는 同時에 人的資源의 深刻한 浪費를 불러올 것이라 豫測했다.

    그는 ‘號레이셔 앨저의 죽음(The Death of Horatio Alger)’이라는 題目을 통해 美國 社會에 ‘아메리칸 드림’은 더 以上 存在하지 않음을 斷言한다. 號레이셔 앨저는 가난한 少年이 勤勉 誠實을 통해 成功한다는 줄거리의 小說을 大擧 發表해 ‘아메리칸 드림’의 傳道師로 일컬어지는 作家. 그는 칼럼에서 “富裕하지만 똑똑치 않은 少數의 아이들이 美國의 經濟를 支配하고, 똑똑하지만 돈이 없는 아이들은 競爭에 끼지조차 못하게 될 것”이라고 慨歎했다.

    브루킹스 硏究所가 最近 發表한 美國의 經濟的 階層 移動에 對한 硏究報告書에서도 美國 社會의 이러한 念慮를 읽을 수 있다. 報告書는 書頭에서 簡單한, 그러나 對答하기 쉽지 않은 質問을 던진다. “‘아메리칸 드림’은 아직 살아 있는가”, 對答은 “살아 있긴 하지만 많이 닳았다 (frayed)”는 것.

    이 報告書에 따르면 美國의 人種 간 階層 間 敎育隔差가 深化하고 있으며 이는 社會的 移動性을 深刻하게 沮害하고 있다. 特히 ‘아메리칸 드림’의 不均等한 分配, 卽, 中産層 以上에는 더 많은 機會가, 低所得層에는 더 적은 機會가 주어지는 現實은 美國 社會가 풀어야 할 큰 宿題라고 指摘하고 있다.

    이제 韓國의 現實로 돌아와보자. 統計廳 發表에 따르면 2007年 韓國의 大學進學率은 82.8%로 美國의 69%에 비해 越等히 높다(국립교육통계센터·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發表, 2005年 基準). 算術的으로만 보자면 韓國의 入試는 美國에 비해 덜 熾烈해야 맞다. 勿論 이는 大學의 ‘序列化’라는 變數를 考慮하지 않은 主張이다. 問題는, 大學을 가야 하는 것이 아니라 ‘좋은’ 大學을 가야 하는 것이다.

    酷毒한 不公正 게임

    그렇다고 해서 美國에는 大學 序列化가 없을까. 時事週刊誌 ‘유에스뉴스 앤드 월드리포트’는 1983年 以來 每年 入試철이 되면 大學別 順位를 細細하게 報道한다. 美國 社會에서는 東部의 아이비리그 8個 大學을 包含한, 大略 25位 내 大學들이 名門大로 分類된다. 두세 大學만이 世稱 ‘一流大’로 規定되는 韓國보다는 狀況이 덜 빡빡해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美國의 受驗生 規模가 韓國 受驗生의 約 5倍에 達하고 美國 大學의 定員도 韓國보다 적은 便임을 勘案하면 美國의 狀況도 決코 만만한 게 아니다.

    資本主義 社會를 살아가는 現代人에게 競爭이란 天刑 같은 것이어서, 어디서나 一流大는 들어가기 힘들고 또 들어가기 힘들어야 그게 一流大다. 오히려 問題는 날이 갈수록 같은 出發點에서 公正하게 競爭하는 것이 不可能하다는 것인데, 오늘날 敎育이 希望이 되기보다 絶望이 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敎育은 저만큼 앞서 出發한 者를 따라잡지 못하는 것을 全的으로 個人의 努力 탓으로 還元시키기 때문이다.

    학벌·사교육·입시지옥, 미국 교육 3가지 착각을 깨다!
    金守經

    1976年 서울 出生

    서울대 言語學科 卒業

    동아일보 文化部·社會部 記者

    現 美國 스탠퍼드대 社會學科 博士課程


    언젠가 본 某 放送의 時事 프로그램에서 한 受驗生 學父母는 韓國의 私敎育 烈風과 關聯해 “아예 課外가 完全히 禁止되던 時節이 차라리 좋았다”고 말했다. 現在 韓國의 敎育에 對한 學生 및 學父母들의 不滿이 競爭 그 自體에 있는지 아니면 그 競爭이 漸漸 不公平하게 느껴지는 데 있는지, 韓國 社會는 苦悶해봐야 할 것이다.

    앞서 美國行을 생각하는 親舊의 眞心 어린 걱정을 나 亦是 共感한다. 子息을 위해서라면 美國이 아니라 地球 끝까지라도 가고 싶은 것이 父母 된 마음이리라. 韓國의 現實은 이렇게 힘든데 ‘어딜 가나 마찬가지’라는 無責任한 말로 그들의 苦悶을 가벼이 할 생각은 없다. 다만 美國의 大學 進學 亦是 殺伐한 競爭을 避할 수는 없으며, 어쩌면 韓國보다 더 酷毒하게 不公正한 게임을 치러야 할지도 모른다는 事實을 말하고 싶을 뿐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