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革新스타트업 in 홍릉] 피플스헬스 “文陣 데이터 플랫폼 ‘아는의사’로 先進 醫術 開幕”

[革新스타트업 in 홍릉] 피플스헬스 “文陣 데이터 플랫폼 ‘아는의사’로 先進 醫術 開幕”

[IT東亞 차주경 記者] 非對面·온라인 文化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오기 前부터 우리의 生活 속에 서서 자리 잡았다. 우리가 PC와 노트북, 스마트폰으로 商品을 사고 서비스를 申請하며 일을 하고 敎育을 받는 데 익숙한 것이 그 證據다. 以前에는 非對面·온라인으로 利用하지 못할 것으로 여겨진 서비스들도 디지털 轉換의 바람을 타고 續續 이 流行에 參加했다.

하지만, 醫療 部門은 非對面·온라인化 速度가 느리다. 醫術은 사람의 生命을 살리는 技術이다. 그렇기에 非對面·온라인으로 펼 것이 아니라 醫師와 患者가 만나 細心하게, 신중하게 펼쳐야 하는 까닭이다.

最近에는 非對面·온라인의 長點만 活用해 醫術과 融合, 患者에게 더 나은 診療 便宜를 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醫療人 사이에서 나온다. 醫療·바이오 스타트업 피플스헬스를 이끄는 김은선 고려대병원 消化器內科 敎授 亦是 이 可能性을 믿고 現實로 이끌려는 이들 가운데 한 名이다.

김은선 피플스헬스 대표와 아는의사 플랫폼 화면. 출처 = 피플스헬스
김은선 피플스헬스 代表와 아는의사 플랫폼 畵面. 出處 = 피플스헬스

피플스헬스는 非對面·온라인 健康 醫療 相談 플랫폼 ‘아는의사’를 開發했다. PC 웹과 모바일 앱, 어떤 形態로든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며 쓰는 ‘事前 文陣 道具’다. 김은선 代表는 스스로가 醫術을 펼치다가 느낀 不便을 解消하려고, 患者가 더 正確한 問診을 作成하도록 이끌어 醫師의 診療 效果를 높이려고 이 플랫폼을 開發했다고 밝혔다.

問診은 診療의 基礎다. 醫師들은 患者를 問診하면서 兵力이나 아픈 곳, 症狀과 痛症의 세기 等 治療에 必要한 여러 情報를 얻는다. 이 情報를 組合해 有效한 處方과 治療 方法을 提示한다. 하지만, 大部分의 患者는 問診을 어렵게 느낀다. 아픈 곳이나 症狀을 제대로 表現하지 못하니 意思가 알아야 할 情報 亦是 잘 傳達하지 못한다.

아는의사 플랫폼 화면. 출처 = 피플스헬스
아는의사 플랫폼 畵面. 出處 = 피플스헬스

김은선 代表는 自體 調査 結果, 醫師가 患者 文陣 過程에서 꼭 알아야 할 情報를 얻는 比率은 3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自然스레 醫師는 患者에게 情報를 얻으려 問診을 더 오래 이어간다. 診療 時間이 길어지면 醫師는 患者에게 얻어야 할 情報를 얻지 못하고, 다른 患者는 文陣과 診療를 받지 못하는 惡循環이 일어난다.

피플스헬스 아는의사는 事前 文陣 過程을 高度和解 患者 누구나 손쉽게 利用하도록, 그리고 醫師에게 正確한 情報를 주도록 設計했다. 플랫폼 開發 段階에서부터 고려대학교 醫科 大學校의 醫療陣 40餘 名이 參與해 知識과 經驗을 쏟아 만든 德分이다.

아는의사에 接續한 患者는 먼저 自身의 症狀이나 아픈 곳을 檢索한다. 그러면 거기에 알맞은 追加 質問이나 症狀이 理解하기 쉬운 例示文으로 나온다. 이 例示文 안에는 意思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情報들이 들었다. 患者가 文陣 問項을 잘 읽고 選擇만 하면 醫師가 必要한 情報를 얻도록 設計했다. 이렇게 事前 問診을 마치면, 患者는 손쉽게 自身의 症狀과 아픈 곳을 말할 수 있고 醫師는 거기에 該當하는 診療와 治療 節次를 밟는다.

아는의사 플랫폼 화면. 출처 = 피플스헬스
아는의사 플랫폼 畵面. 出處 = 피플스헬스

事前 問診은 患者의 症狀을 體系的으로 整理하므로 온오프라인 診療 兩 部門에서 有用하다. 非對面·온라인으로 可能하니 患者는 時間에 쫓길 必要 없이 천천히 問診에 臨한다. 醫師도 一一이 對面 問診할 必要 없이, 患者가 신중하고 꼼꼼하게 作成한 問診을 보면서 진료한다. 문진 時間을 없앤 만큼 診療와 治療에 集中한다.

아는의사는 事前 文陣 後 患者가 健康을 지키도록 營養 管理도 돕는다. 患者가 自身의 症狀과 아픈 곳을 물으면, 機能醫學을 反映해 가장 必要하거나 알맞은 營養 成分을 推薦한다. 自然스레 營養劑의 誤濫用도 막는다. 김은선 代表는 機能醫學의 한 分類인 營養學이 늘 重要하다고 强調한다. 營養과 健康을 잘 챙기면 아프거나 病을 앓을 確率이 줄어든다. 그래서 아는의사에 營養 管理 機能을 더했다.

연구 중인 피플스헬스 임직원들. 출처 = 피플스헬스
硏究 中인 피플스헬스 任職員들. 出處 = 피플스헬스

아는의사로 쌓은 事前 問診을 寫眞, 映像 데이터에 더하면 量과 質 모두 優秀한 醫療 데이터가 된다. 患者가 直接 記錄한 文陣 속 特性과 症狀은, 個人差에 따른 病의 發病과 進行 過程을 詳細히 담은 醫療 데이터가 된다. 김은선 代表가 피플스헬스를 非對面·온라인 헬스케어 스타트업이자 ‘症狀 文陣 醫療 데이터 企業’으로 紹介하는 理由다.

김은선 代表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온라인의 長點을 살려 醫術에 適用해야겠다고 마음 먹었다. 이윽고 事前 問診을 注目했다. 非對面·온라인으로 可能하며, 醫療의 基本인데다 오직 意思만이 할 수 있는 것이 問診이다. 問診을 包含한 醫術을 온라인으로 移植하려고 人工知能 專門家 養成 過程을 包含한 情報通信技術度 배웠다.

서울바이오허브 내 피플스헬스 사무실. 출처 = 피플스헬스
서울바이오허브 內 피플스헬스 事務室. 出處 = 피플스헬스

하지만, 醫術을 펴던 醫師가 情報通信 스타트업을 세워 일구는 것은 決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創業 自體가 어려웠던 次에, 김은선 代表는 홍릉强小硏究特區의 創業 敎育, 事務室과 弘報 支援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한다. 이어 홍릉强小硏究特區와 함께 醫療 法律의 規制 改善에도 힘쓸 豫定이라고 밝혔다.

김은선 代表는 아는의사의 플랫폼으로서의 完成度를 높일 最高技術責任者, 保安 機能을 硏究 開發할 保安 專門家를 涉外하려 한다. 高麗大學校 産業工學科 팀과 함께 硏究 中인 音聲 認識과 通飜譯, 醫療 言語 自然語 處理 等 自然語 技術者와 데이터를 管理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도움도 願한다고 밝혔다.

피플스헬스 임직원들. 출처 = 피플스헬스
피플스헬스 任職員들. 出處 = 피플스헬스

김은선 代表는 아는의사를 高度化한 버전 2.0의 서비스를 올해 안에 始作할 豫定이다. 非對面·온라인 文陣 데이터를 病院 診療에 椄木하고 헬스케어 앱과 서비스와의 聯動을 試圖한다. 豐富한 데이터를 土臺로 만들어진 아는의사 2.0은 病院과 醫療陣, 疾病의 種類別로 가장 알맞은 事前 文陣 道具를 提供한다. 患者는 事前 문진만 하면 가장 좋은 病院과 醫療陣을 推薦 받는다.

나아가 온오프라인 兩쪽에서 더욱 쉽고 便利하게 쓰도록 事前 文陣 機能을 强化하고 自然語 處理 技術과 保安도 높인다. 事前 文鎭으로 쌓은 데이터에 自然語 處理 技術을 더해 人工知能 文陣 서비스도 硏究 開發한다.

아는의사 플랫폼을 소개하는 김은선 대표. 출처 = 피플스헬스
아는의사 플랫폼을 紹介하는 김은선 代表. 出處 = 피플스헬스

이는 아는의사의 世界 市場 進出 橋頭堡다. 우리나라 醫療陣의 實力은 世界에서 水位를 겨룰 程度로 優秀하다. 우리나라 醫療陣이 時空間 制約 없이, 世界 各國의 患者와 非對面·온라인으로 이어져 醫術을 펴도록 돕는 關門을 만드는 것이 김은선 代表의 計劃이다.

김은선 代表는 “世界 모든 患者가 時間에 쫓기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辭典 問診을 하는 時代, 實力 있는 우리나라 醫療陣이 이를 土臺로 的確한 診療 後 處方을 내리는 새로운 醫術의 時代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글 / IT東亞 차주경(racingcar@itdonga.com)

IT東亞 의 모든 콘텐츠(技士)는 Creative commons 著作者標示-非營利-變更禁止 라이선스 에 따라 利用할 수 있습니다.
意見은 IT東亞(게임東亞) 페이스북 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