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生의 本質이 뭔지 제대로 實驗해 보고 싶었다”|신동아

“人生의 本質이 뭔지 제대로 實驗해 보고 싶었다”

[플라톤아카데미와 함께하는 ‘삶이 묻는 것들에 答하다’] ‘숲속의 資本主義者’ ‘都市人의 월든’ 著者 박혜윤

  • 허문명 記者

    angelhuh@donga.com

    入力 2022-12-14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美國 시골살이 하는 韓國 엘리트

    • 以前과는 다른 質問을 받는 時代

    • 江南서 자랐지만 거기서 살 수 없던…

    • 育兒, 存在 自體를 흔들 質問을 提起

    • 하찮으니까 沒頭하는 집안일

    • 抛棄와 諦念이 즐겁다

    人文學財團 플라톤아카데미와 함께 ‘삶이 묻는 것들에 答하다’ 시리즈를 進行한다. 플라톤아카데미는 2010年 11月 設立된 國內 最初 人文學 支援 財團으로 人類의 오랜 知識과 智慧를 바탕으로 삶의 根源的 물음을 새롭게 傳한다는 趣旨로 硏究 支援, 大衆 講演, 온라인 포털 等 다양한 事業을 進行하고 있다. 시즌2로 선보이는 ‘삶이 묻는 것들에 答하다’는 코로나19 以後 많은 것이 바뀌고 있는 世上에서 새로운 價値를 摸索하는 사람들의 인터뷰로 進行한다. 이番號 主人公은 ‘숲속의 資本主義者’ ‘都市人의 월든’을 펴낸 박혜윤 作家다. <編輯者 週>

    10월 20일 동아일보 충정로사옥 스튜디오에서 ‘신동아’와 인터뷰 중인 박혜윤 작가. [박해윤 기자]

    10月 20日 동아일보 忠正路社屋 스튜디오에서 ‘신동아’와 인터뷰 中인 박혜윤 作家. [박해윤 記者]

    著者 ‘박혜윤’의 이름을 檢索窓에 치면 ‘美國 시골살이 하는 韓國 엘리트’ ‘美國에 살고 있는 自然인’ 같은 題目들이 뜬다. 그도 그럴 것이 서울대 英文學科를 卒業하고 新聞記者로 4年 동안 일하다 워싱턴대에서 敎育心理學 博士學位를 받은 사람이 시애틀 外郭 시골 移動式 住宅에서 두 딸, 男便과 함께 反(半)自給自足을 하며 살고 있으니 말이다. 男便도 本人도 딱히 職業 없이 8年째 살고 있다고 한다.

    그가 美國 시골살이 經驗을 眞率하게 풀어낸 ‘숲속의 資本主義者’에 이어 이番에는 ‘都市人의 월든’이란 冊을 냈다. 그를 만나보고 싶었던 건 一般人의 常識(?)을 벗어난 그의 삶이 아니라 믿는 것을 實踐에 옮기는 正直함 때문이었다. 생각과 삶의 不一致가 蔓延한 요즘, 그는 어떻게 둘을 一致시키며 살고 있는 걸까.

    “眞짜 쑥스러운 게 뭐냐면…”

    오랜만이죠. 韓國?

    “거의 3年 만이네요.”

    모처럼 사람들이랑 이야기해 보니 어떤 것 같아요?

    “眞짜 쑥스러운 게 뭐냐면 저는 늘 똑같았어요. 一貫되게 異常한 애였거든요(웃음). 건방지고 싸가지 없고 物情 모르고. 저도 ‘이렇게 살다 죽겠다’ 했는데 時代가 바뀐 것 같아요. 저 같은 사람이 注目을 받으니. 조금 쑥스러운 건 저보다 앞서나가는 사람이 美國이건 韓國이건 되게 많다는 거죠.”



    앞서나간다?

    “正말 숲에서 自給自足하는 사람들도 있고 아이들도 學校에 보내지 않고 住所地도, 집도 없이 旅行하며 사는 사람들이요. 美國도 많고 韓國서도 많이 만나요. 그분들은 農事든, 旅行이든, 애들 敎育이든 眞짜 ‘찐’으로 해요. 저는 코스트코에서 場도 보고 아이들을 學校에도 보내니까 그런 분들에 비하면 若干 猖披하죠. 어떻든 以前까진 全혀 없었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살아가는 사람이 많이 늘었다는 것만은 確實히 느껴요.”

    왜일까요.

    “世上이 좋아진 同時에 나빠진 거죠. 옛날보다 選擇肢가 많아졌다는 點에서 좋아졌다고 할 수 있겠지만 요즘 사람들은 옛날 사람들이 全혀 하지 않았던 質問들, 例를 들면 ‘願하는 대로 산다는 게 뭐냐? 삶의 眞짜 意味는 뭐냐’ 이런 質問을 하죠. 부담스러운 質問이죠.”

    어떻든 美國 博士 學位까지 받은 사람이 시골에서 自然人 비슷하게 살게 된 契機가 뭐였을까 궁금해요.

    “男便이나 저나 애當初 돈 벌 能力이 없다는 걸 깨달았거든요. 父母님 世代는 經濟가 繼續 成長하는 삶을 살았잖아요. 하지만 저희는 너무 힘든 거예요. 江南에서 자랐지만 거기서 살 수 없다는 걸 깨닫는 瞬間 一旦 氣分이 좋지 않죠(웃음). 選擇의 問題가 아니라 밀려나는 거잖아요. 只今이야 江南에 살라고 해도 살지 않겠지만 어떻든 能力이 안 된다는 걸 自覺하고 나니 ‘그럼 다른 能力을 開發해 볼까’ 이런 생각이 드는 거죠. 돈을 버는 게 아니라 ‘쓰지 않는 能力’이고 그 能力을 開發하니 또 宏壯히 價値를 높이는 面이 있었어요.”

    例를 들면.

    “빵 만드는 걸 例로 들고 싶어요. ‘빵을 直接 굽느니 사 먹을 돈을 벌겠다’ 이렇게 흔히 말하잖아요. 맞아요. 그런데 빵을 사 먹을 때의 기쁨도 있지만 直接 만들면서 누리는 기쁨도 있어요. 그 기쁨을 增幅시키면 훨씬 많은 다른 能力이 내게 있었다는 걸 發見하죠. 빵을 사는 일과 만드는 일은 單純히 이거 아껴서 저걸 사는 ‘算數’가 아니라 完全히 다른 平行宇宙예요. 事實 비싼 有機農 빵을 사려면 그걸 파는 洞네에 살아야 하고, 안 되면 車를 타고 가야 해요. 빵만 사는 게 아니고 다른 것도 사게 되고 이런 式으로 消費가 增幅되죠. 그런데 집에서 만들면 一旦 時間이 많이 들기 때문에 돈 쓸 時間이 없고 만들고 배우는 데 對한 기쁨이 增幅되면서 消費를 통해 얻는 즐거움이 하찮게 느껴지는 瞬間이 와요. 저도 처음부터 알고 한 건 아닌데 해보니까 놀란 거예요.”

    빵 만드는 게 재미있던가요.

    “처음엔 힘들었는데 나중에 正말 재미있는 娛樂이 됐어요. 저는 통밀을 直接 빻아 卽席에서 만드는데 마트에서 파는 빵과는 工程이 完全 달라요. 밀가루가 完全히 다르게 行動하거든요. 남이 빻아놓은 밀가루로 만든 것과 내가 直接 갈아서 하는 건 같은 行爲가 아니에요, 제가 만드는 빵은 每番 구울 때마다 다른 빵이 나오니까 瞬間瞬間 集中하게 되죠. 밀가루를 만지며 느끼는 그 時間은 宏壯히 集中하는 時間이고 創造的인 活動이에요. 單純히 먹는다는 次元을 떠나서 즐거움을 느끼니까 娛樂이 되는 거죠.”

    자랄 때 집안일 많이 했어요?

    “冊에도 썼지만 저는 化粧室 便器가 노래진다는 걸 처음 알았어요. 엄마는 ‘工夫만 해라, 아무것도 하지 말라’면서 모든 걸 해줬기 때문에 저는 歌詞에 完全히 無能力者였죠.”

    나 自身이 하찮은 存在라는 깨달음

    박혜윤 작가가 쓴 ‘숲속의 자본주의자’와 ‘도시인의 월든’. 미국 시골살이 경험을 진솔하게 풀어낸 저작들로 평단과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다산초당]

    박혜윤 作家가 쓴 ‘숲속의 資本主義者’와 ‘都市人의 월든’. 美國 시골살이 經驗을 眞率하게 풀어낸 著作들로 評壇과 大衆의 注目을 받았다. [다산초당]

    다른 인터뷰 記事에서 그는 “熱心히 살지 않기 위해 努力한다”고 했지만 冊을 읽다 보면 그에게선 存在의 밑바닥까지 내려가 省察하고 思惟하는 哲學者의 面貌가 읽힌다. 스스로의 表現대로 ‘생각을 끝까지 밀고 가는 것’이다.

    個人的으로 ‘都市人의 월든’에서 가장 印象 깊게 읽은 대목이 집안일과 關聯된 것이었다. 冊에 있는 部分을 띄엄띄엄 引用한다.

    “나는 집안일은 하찮다고 말하면서도 그 무게를 지고 人生을 살아가는 것을 執拗할 程度로 觀察하고 實驗한다…집안일은 하찮음에도 不拘하고 所重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집안일의 하찮음이 바로 삶의 本質이기 때문에 그것이 가진 힘을 이야기하고 싶었다…집안일이 하찮다고 認定하고 나니 世上에서 重要하다고 認定하는 다른 일들이 하찮게 여겨졌다…다이어트도 株式投資도 工夫도 養育도 結局 單純하게 버티는 것이다. 특별한 技術이나 엄청난 努力보다 아마 더 重要한 건 그냥 무심하게 기다리면서 繼續하는 것이다. 그 結果가 무엇이든 間에 不安이나 期待에 발목 잡히지 않고 하고 싶은 만큼, 納得할 수 있는 만큼 持續하는 것이다. 이 어려운 걸 하는 동안 갖는 무심하고 건방지고 眞心으로 結果를 하찮아하는 마음이, 어쩌면 악을 쓰며 最善을 다하는 것보다 우리를 더 오래 기다리게 만들지 않을까…이때 집안일은 엄청나게 重要한 닻이 된다. 世上이 어떻게 돌아가든지 말든지 ‘네가 먹은 걸 스스로 치우는 건 如前히 멋진 일이야’라는 말을 自身 있게 할 수 있다.”

    집안일이 하찮다고 前提한 뒤 그래서 沒入하기로 했다는 自己 合理化(?)가 옳고 그름을 떠나 재미있게 느껴졌어요.

    “冊에도 썼지만 出發은 나 自身이 眞짜 아무것도 아니라는 하찮은 存在라는 깨달음에서 왔어요. ‘나는 別것 아닌 存在다, 내가 죽는다고 해서 이 世上이 그렇게 나빠지거나 달라지지는 않는다.’ 이건 自己 卑下는 아니에요. 저뿐 아니라 모든 人間이란 存在가 그렇게 重要한 存在가 아니라는 거니까. 그런데도 너무 矛盾인 게 모두 ‘내’가 너무 좋고 重要하잖아요. 그걸 否定할 수 없는데 하찮다는 것도 否定할 수 없고 그 地點에서 온 게 제게는 집안일에 對한 생각을 바꾼 것 같아요.”

    說明이 必要한 대목이네요.

    “우리 엄마 時代만 해도 집안일은 資本主義 社會에서 價値를 인정받지 못했잖아요. 只今은 經濟的 價値를 인정받지만 그럼에도 不拘하고 사람들은 집안일을 하면 뭔가 喪失되고 나라는 存在는 없는 것이고 이렇게 생각하기 쉽잖아요. 이걸 겉으로 말하는 사람은 없어요. 집안일은 매우 意味 있고 重要하다고 말하죠. 하지만 제게는 집안일이 하찮다는 걸 否定하는 건 제 自身을 속이는 것 같았어요. 집안일은 社會的인 價値로 봤을 때 하찮은 게 맞는 거예요. 便器 色깔이 바래지는 것을 몰랐다는 것도 내가 뭔가를 知識的으로 안다는 것이 무슨 意味가 있나 하는 생각이 들게 했어요. 人生 自體가 元來 이렇게 하찮게 살다가 하찮게 죽어가는 거 아닐까. 그래서 어느 날, 이 하찮은 일에 宏壯히 集中하기로 決心한 거죠. 그리고 同時多發的으로 進行된 게 뭐냐면 집안일을 통해 아이들을 가르치니까 너무 훌륭한 아이가 되는 거예요.”

    그건 또 무슨 말이죠.

    “아이비리그에 갈 수 있게 됐다는 게 아니고 人間다운 人間이 된다는 거예요.”

    配慮心이 생긴다거나?

    “그런 게 아니고 땅바닥에 발을 딱 딛고 서는.”

    ‘10億을 벌겠다’처럼 매우 眞摯한 野心

    例를 들면?

    “저희 집 애들은 思春期 때 엄마한테 反抗을 한다든지 왜 우리는 이렇게 살아, 왜 나는 이래? 이런 생각 自體를 안 했어요. 저는 아이들이 집안일을 하면서 自己 存在感이 確固해졌다고 봐요. 工夫를 남보다 잘하는 데서 自己 存在感을 느끼는 게 아니라 갖고 놀던 장난감은 내가 치운다, 아침에 일어나 學校 가고 싶으면 스스로 일어난다, 내가 먹은 거는 내가 설거지한다, 다음 날 입고 싶은 옷을 입으려면 빨래는 어떤 스케줄로 進行해야 한다, 그러면 날씨를 체크해야 한다, 이런 式이죠. 집안일을 하면 머리도 좋아져요(웃음). 戰略이 必要하니까요. 어떻든 아이들이 ‘나는 대단한 存在인데 왜 내가 이런 하찮은 일을 해?’ 이런 卑下를 하거나 남 탓하는 일이 없어요. 저는 자랄 때 입고 싶은 옷이 빨래가 안 돼 있으면 엄마한테 性質만 냈거든요.”

    大部分 그렇지요.

    “저희 애들은 幼稚園 때부터 例를 들어 洋襪 빨아놓은 게 없으면 어제 신은 거나 甚至於 짝짝이라도 신고 가요. 어떤 式으로든 問題 解決을 하는 거죠. 對應 方式도 큰애와 작은애가 달라요. 그러면서 스스로가 어떤 사람인지를 알게 되는 거예요. 서로 間에 差異를 說明해 주면 아, 나는 그런 사람이구나 그걸 받아들이는 거죠. 왜 빨래 안 했어? 이렇게 性質내는 애가 안 되고.

    專業主婦가 正體性인 저는 집안일이 하찮다는 걸 認定해야 그다음 段階로 생각이 넘어갈 수 있었어요. 나의 存在가 無意味하다는 걸 받아들이고 無意味한 存在가 無意味한 일을 하면서 世上을 살아가는 方式을 攄得해야 選擇이 생기고, 그럼에도 不拘하고 삶을 좋아하고 肯定하기 위해서 말이죠. 事實 아이들을 키우지 않았다면 그렇게까지 하지 않았을 거예요. 찌질찌질 外注를 주거나 包裝 飮食을 시켜 먹거나 冷凍食品으로 解決했을 거예요.

    그러다 애들이 생기면서 갑자기 집안일이 무시무시하게 많아지는데 그 問題를 解決하고 싶었죠. 마음에 부딪히는 게 있다면 그게 스트레스잖아요. 사랑하는 아이를 좋은 아이로 키우고 싶다, 그런데 집안일은 하찮다 이걸 統合하고 싶었어요. 冊에 썼지만 ‘집안일을 單 하루도 힘들다고 생각하지 않겠다’는 宣言은 저로서는 남들이 10億을 벌겠다, 熱心히 工夫해 醫師가 되겠다는 決心처럼 매우 眞摯한 野心이에요. 單 하루도 ‘집안일이 힘들다’고 느끼면 敗北하는 것 같은 느낌.”

    宣言을 지키는데 成功했나요.

    “只今까지 野心을 이루고 있죠. 그게 또 可能한 게 저희 집 애들은 우리 집의 生産者, 卽 일꾼들이에요. 요즘 집안일은 엄청난 外注化가 일어나 더 는 消費가 아닌 生産의 領域에 들어갔잖아요. 거의 돈의 價値로 換算할 수 있으니까요. 그런 點에서 저희 집 애들은 엄청난 生産者들이에요. 어떻든 只今은 집안일이 單 하루도 힘들다거나 부담스럽지 않아요.”

    집에 各自 컵도 하나, 냄비도 한두 個라고 들었는데 그게 可能해요?

    “各自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거죠. ‘나는 食板에 먹을 테니까 접시 다 꺼내 먹고 싶은 사람은 그렇게 해. 代身 各自 씻는 거야’ 그랬더니 自己들도 해보니까 귀찮거든(웃음). 漸漸 食器를 줄이더라고요. 그게 집안일의 아름다움이에요. 한 番 잘하는 건 所用없어요. 一貫性이 重要하죠. 둘째는 飮食 섞이는 걸 엄청 싫어했는데 설거지를 몇 番 해보더니 이제는 다 섞어서 접시 하나에 먹어요.”

    眞正한 快樂은 나 自身을 지우는 瞬間 온다

    어떻게 시골로 들어가 살게 됐어요? 博士를 딴 건 敎授가 되겠다는 생각에서 한 거 아닌가요.

    “저도 當然히 大韓民國 社會에서 잘난 척하면서 살고 싶었죠. 그런데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能力이 안 되는 거예요. 저는 抛棄가 빨라요.”

    抛棄, 諦念할 때는 氣分이 別로잖아요.

    “저는 氣分이 좋아요(웃음). 能力이 안 된다는 判斷이 서면 핑곗거리가 생긴 것 같아서 즐거워요. 처음에는 失望도 하지만 한두 밤 자고 나면 잘됐다는 생각이 들어요. 큰애가 발레리나 되고 싶다고 해서 시켜봤는데 너무 才能이 없는 거예요. 처음엔 失望했는데 나중엔 기뻤어요. 才能이 있었으면 엄마인 제가 繼續 쫓아다녀야 되잖아요.”

    樂天的인 性格인가요?

    “‘나는 意味 없는 存在다, 하찮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을 樂天的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요.”

    自己 卑下일 수도 있죠.

    “모든 걸 다 卑下하니까 그것도 아니죠(웃음).”

    집안일 하나로 이렇게 긴 이야기를 할 수 있다니 冊에 ‘繼續 생각을 밀고 나간다’는 表現을 썼던데 다가오네요.

    “네, 생각을 밀고 가는 걸 되게 좋아해요. 뭘 생각하고 그걸 넘어서 다음 생각으로 넘어갈 때 快樂이 느껴져요. 그런데 眞正한 快樂은 나 自身을 지우는 瞬間에 오는 것 같아요.”

    그건 또 무슨 말이죠?

    “생각을 밀고 나가면 내가 別거 아니라는 自覺이 오고 그걸 받아들이면 그다음 段階로 넘어가게 돼요. ‘나’라는 것에 갇힌 생각이 漸漸 사라지는 거죠.”

    나를 지운다는 게 宏壯히 힘들지 않나요? 普通의 境遇 基督敎에서도 ‘에고의 問題’를 이야기하고 佛敎에서도 結局 나(我)라는 게 苦痛의 出發이라고 하는데 그런 거하고 一脈相通하게 들리는데 어때요?

    “거기까지는 잘 모르겠고요. 나를 지우는 게 힘든 일은 맞는데 그다음 段階에 오는 快樂이 커요.”

    그러면서 그는 自己 自身과의 全面的 맞對面이 둘째 아이의 育兒 問題였다고 했다.

    “제가 美國에서 工夫하는 동안 韓國 할머니 집에서 자라던 둘째가 세 살 때 美國에 왔는데 너무 힘든 거예요. 마트 가면 뭐든지 사달라고 나자빠지고 願하는 걸 얘기도 않고 울기만 하고. 두 달 동안 거의 地獄에서 살았어요. 一旦 韓國에 보낸 뒤 곰곰이 생각을 했죠. 會社 같으면 辭表 쓰면 그만인데 아이는 버릴 수 없는 거 아닌가. 結局 正面突破 해야 한다, 그러면서 ‘나를 지운다’는 걸 目標로 잡았습니다. 특별한 育兒法이 必要한 게 아니고 내가 穩全히 사라지고 나를 이 隘路 채워야 한다는 생각이 든 거죠. 따지고 보니까 아이가 울어서 地獄이 아니고 애가 미우니까 地獄인 거였어요. 두 달 後 애를 다시 데려오는 날, 空港에서 그냥 눈물이 팍 터지는데 아이를 위한 게 아니라 나를 지우는 울음이었던 거예요. 되게 利己的인 눈물이었죠. 나를 보내는 눈물이었으니까요.”

    나를 지우니 어떻게 달라졌나요.

    “率直히 처음엔 아이가 미웠어요. 이 미움의 感情도 되게 重要한 出發이었던 게 처음엔 어떻게 울지 않게 해줄까? 이렇게 하면 나중에 性格이 나빠지지 않을까? 어떻게 하는 게 잘 키우는 걸까? 이런 생각이 많았어요. 그런 생각들이 바로 ‘나’가 너무 많이 存在하는 거죠, 그냥 애가 웃고 있을 때와 울고 있을 때를 똑같이 보려면 웃는 거는 좋은 애고 우는 거는 걱정스러운 거다 이런 생각 自體를 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 걸 깨달은 거죠. 저는 事實 育兒를 한 게 아니고 疏通하는 經驗을 한 겁니다.”

    그는 “育兒 問題가 存在 自體를 흔들어버릴 程度로 自身에게 宏壯한 質問을 던졌다”고 했다.

    “아이 둘을 낳지 않았으면 完全히 다른 삶을 살고 있을 거예요. 熱心히 出世와 成功을 위해 努力했을 수도 있고요. 아이를 낳고 되게 後悔했어요. 會社를 다니면서도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저는 그런 사람이 아니라는 걸 몰랐던 거죠. 저는 내 삶의 主人이 되고 싶은 그런 野望이 큰 사람이었어요. 그러다 아이가 발목을 잡은 거죠. 하지만 아이는 버릴 수는 없잖아요. 苦悶 끝에 ‘죽음을 不辭하고 颱風 속으로 들어가서 散散이 찢겨서 사라져도 相關없다’ 이런 마음으로 正面突破를 하겠다고 決心한 거죠.”

    다시 사는 이야기로 돌아가 볼까요. 未來에 對한 不安, 恐怖 없어요?

    “期待를 버리면 즐겁게 살게 되죠.”

    4人 家族 140萬~150萬 원이면 산다

    自身이 勇氣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나요.

    “아니요. 勇氣란 費用을 치러야 해요. 例를 들어 農場을 하려고 施設을 해놓고 農機械를 몇 千 萬원어치 샀다면 그게 容器인 거죠. 投入 資金 回收할 때까지 막 돌려야 하잖아요. 저는 그런 式으로는 안 해요. 뭔가를 試圖하되 돈을 들이지 않고 찔러본다, 그러면 싫症이 나도 今方 抛棄할 수 있어요. 저는 처음부터 도망치고 抛棄할 생각을 하는 사람인데 그런 걸 勇氣라고 할 수는 없죠.”

    사람들이 ‘職業 없이 어떻게 살아요’ 이렇게 물으면 어떻게 答할 건가요.

    “저는 제 삶을 한番 實驗해 보고 싶었어요. 생각한 대로 果然 살 수 있을까. 그런데 지난 8年間 잘 살았고 意外의 기쁨과 滿足을 얻고 있어요. 삶에서 實驗을 하려면 빚에 對해서 어떻게 생각할 건지 決定해야 돼요. 살 집을 빚 없이 가야 되는 거까지 해야 돼요. 그래야 이렇게 살 수 있어요. 利子를 내야 되는 狀況이면 안 되죠. 빚 없이 집을 所有하면 그다음부터는 自己 選擇이죠. 그때부터는 먹고만 살면 되잖아요. 時間이 많으니까 만들어 먹고요. 한 달에 4人 家族이 140萬~150萬 원 程度 되면 살더라고요.”

    健康이나 老後에 對한 걱정은?

    “男便이나 제가 感謝하게도 40살까지 살아보니까 앞으로 60, 70까지는 그럭저럭 病院 身世 안 지고 살 수 있겠다, 그런 狀態에서는 스트레스 안 받는 걸로 健康을 維持하자 이렇게 決定했습니다.”

    애들 敎育費는.

    “學院 안 보내면 公敎育은 空짜예요. 스쿨버스度 空짜高.”


    박혜윤 작가는 “내가 추구하는 건 자유다. 행복과는 다르다”고 말했다. [박해윤 기자]

    박혜윤 作家는 “내가 追求하는 건 自由다. 幸福과는 다르다”고 말했다. [박해윤 記者]

    언뜻 부러운 생각도 드는데 冊에는 ‘(남들에게) 이런 삶을 勸하지 않겠다’고 썼더군요.

    “다 各自 選擇이니까요. 저도 언제 또 이런 生活을 그만둘 수도 있고요. 저는 작은 幸福, 小小한 幸福을 믿지 않아요. 꼭 幸福하게 살아야 되나 이런 생각도 해요. 저희 집은 生日 파티라든지 이런 거 全혀 안 하고 그렇게 和氣靄靄하게 지내지도 않아요. 다만 자랑할 수 있는 게 있다면 24時間 365日 4人 家族이 함께 있어도 絶對 싸우지 않는다는 것. 各自 自己 하고 싶은 걸 하고 있으니까요. 그런 게 事實 어렵거든요. 모든 게 有機的으로 다 돌아가고 있어야 可能하니까요. 제가 追求하는 건 自由예요. 幸福과는 다르죠. 그렇다고 하늘을 날겠다거나 요트를 탈 수 있는 自由가 아니고 그냥 그때그때 내가 하고 싶은 대로 사는 거죠. 빵 만드는 그 瞬間에 集中하면서 얻는 滿足, 快樂, 기쁨 그럴 때 자유로움을 느껴요.”

    어떻게 보면 미니멀리스트라고 할 수 있는데 버리고 비우면 가벼워지나요.

    “버리고 비우는 것 自體도 귀찮으니까 거기에 얽매이지 말라고 해요. 그런데 自由를 追求하면 自然스럽게 버리고 비우게 돼요. 物件을 쌓아놓으면 制限을 받거든요. 菜食主義니 뭐니 하는 어떤 主義에 묶이는 것도, 人生을 잘 살아야 된다는 命題에 充實한 것도 다 묶이는 制限이 되잖아요. 왜 꼭 잘 살아야 돼요. 그냥 사는 거죠. 제가 이런 얘기를 하면 快樂主義者라고 하는데 겉으로 보면 禁慾이 맞아요. 저희 집은 쓰레기가 거의 안 나와요. 뭘 四肢를 않으니까.”

    飮食物 쓰레기도?

    “땅에 묻기도 하고 主로 껍질이 나오지 않는 과일을 먹고 감자, 고구마 이런 거는 껍질까지 다 먹어요.”

    쓰레기를 싫어해요?

    “귀찮으니까. 自由를 또 制限하니까. 버려야 되니까. 地球를 求하려고 쓰레기를 줄이는 게 아니라 내 利己的인 目的을 위해서죠.”

    正直한 삶을 살아가려는 純潔함

    作家 박혜윤과의 對話는 時間 가는 줄 모르고 지나갔다. 그女는 말이 빨랐고 많았지만 듣는 내내 빠져들게 했다.

    사람들은 그의 家族이 美國에서 半自給自足 生活을 하고 있다는 걸 神奇해했지만 對話를 나누고 보니 그가 하는 ‘삶의 實驗’보다는 瞬間瞬間 自身의 內面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무엇보다 自己 自身에게 正直한 삶을 살아가려는 純潔함이 느껴졌다.

    인터뷰를 마치니 뭔가 自信感이 생기기도 했다. 그가 하는 삶의 實驗처럼 삶의 무늬란 다양하며 생각한 대로 살아도 充分히 살아나갈 수 있고 그곳에는 또 다른 기쁨이 있을 것 같다는 安堵感이라고 할까.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