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類를 사로잡은 ‘無人島’와 ‘외딴집’의 想像力|新東亞

人類를 사로잡은 ‘無人島’와 ‘외딴집’의 想像力

‘로빈슨 크루소’ vs ‘월든’

  • 정여울│文學評論家 suburbs@hanmail.net│

    入力 2010-08-04 09:24: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어떻게 神께서는 스스로 만드신
    • 存在를 이렇게 完全히 파멸시켜
    • 不幸하게 만들고,
    •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하고
    • 홀로 남게 함으로써
    • 徹底히 버리실 수가 있는가? 이런 삶에 感謝를 드리는 건
    • 말도 되지 않았다.
    • -다니엘 디포, ‘로빈슨 크루소’ 中에서
    나는 혼자만의 해와 달과 별들을 가지고 있으며 혼자만의 작은 世上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밤에는 길손이 내 집 옆을 지나거나 門을 두드리는 적이 한 番도 없었는데, 마치 내가 이 世上 最初의 人間이거나 마지막 人間이기라도 한 것 같았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 ‘월든’中에서

    1 내가 萬若 ‘아담’이라면?

    인류를 사로잡은 ‘무인도’와 ‘외딴집’의 상상력
    萬若 無人島에 버려진다면, 우리는 얼마나 生存해낼 수 있을까. 萬若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외딴집에 살아야 한다면, 우리는 어떻게 그 孤獨을 견딜 수 있을까. 문득 우리가 몸담고 있는 共同體에서 참을 수 없는 倦怠를 느끼거나, 삶이 너무도 팍팍하게 느껴질 때면 저마다 한 番씩 ‘無人島’와 ‘외딴집’에 對한 想像力을 發揮하곤 한다. 無人島에 버려져서도 우리는 다른 動物이 아닌 ‘人間’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외딴집에 홀로 살며 오직 自然만을 벗하고 산다면, 우리는 如前히 한 사람의 ‘個人’일 수 있을까.

    萬若 우리가 저마다 最初의 人間 ‘아담’이 될 수 있다면, 우리는 果然 어떤 世上을 만들 수 있을까. 우리 中 누가 最初의 人間이었다 하더라도 人類의 삶은 이러한 모습으로 進化해왔을까. ‘最初의 近代인’을 그려낸 다니엘 디포(1660~1731)의 ‘로빈슨 크루소’(1719), 그리고 톨스토이와 간디에게도 큰 影響을 미친 헨리 데이비드 소로(1817~1862)의 ‘월든’(1854)은 이러한 原初的 質問에 對해 驚異로운 解答을 提示해주는 作品들이다.



    다니엘 디포는 유럽 全域을 旅行하며 各種 事業을 벌이던 商人이자 作家이자 祕密 諜報員으로도 活躍한 다채로운 履歷의 所有者다. 그는 自身의 身分을 숨긴 채 다른 사람인 것처럼 行動하는 것을 좋아했고, 政治·地理·犯罪·宗敎·經濟·結婚·心理學은 勿論 迷信까지 글쓰기의 素材로 삼은 全方位的 文筆家였다.

    그는 4年 半 동안 외딴 섬에 버려졌다 살아남은 船員 알렉산더 셀커크(1676~1721)의 實際 이야기를 모델로 한 것으로 보이지만, 셀커크의 體驗談과는 全혀 다른 角度에서 로빈슨 크루소의 冒險談을 創造해낸다. 셀커크는 無人島에서의 삶이 아름답고 浪漫的이었다고 回想했고, 오히려 다시 ‘世上 속으로’ 돌아오는 것이 싫었다고 한다. 아무 걱정 없는 삶, 未來에 對한 어떤 不安도 없는 ‘自然人’의 삶에서 다시 勞動과 貨幣와 人脈에 휘둘리는 ‘社會人’으로 돌아오는 것이 싫었던 것일까.

    ‘克己訓鍊’ 28年의 成果

    하지만 로빈슨 크루소는 ‘浪漫的’인 것과는 全혀 距離가 먼 사람이다. 로빈슨 크루소는 狀況을 理性的으로 分析하고, 困境을 不屈의 意志로 헤쳐나가며, 神의 攝理를 半쯤은 믿는 척하면서도 實은 人間世界의 偶然을 더욱 信賴하는, 典型的인 近代的 男性像을 보여준다. 冒險을 꿈꾸던 철不知 靑年 로빈슨 크루소는 無人島에서 28年을 보내면서 經驗한 엄청난 ‘克己訓鍊’을 통해 老鍊하고 用意周到한 近代的 CEO型 人間으로 거듭난 것이다. 말하자면 로빈슨 크루소는 無人島의 極限體驗을 통해 以前보다 훨씬 怜悧해졌고, 有能해졌으며, 成功神話의 主人公에 어울리는 ‘近代人’李 된 것이다.

    ‘로빈슨 크루소’가 英國의 産業革命 直後에 誕生한 ‘最初의 近代인’을 形象化하고 있다면, ‘월든’엔 初期 資本主義가 成功的으로 定着한 美國 社會의 시스템에 厭症을 느낀 한 知識人의 稀微한 抵抗의 목소리가 담겨 있다. 無人島의 不時着이 全的으로 로빈슨 크루소가 全혀 願치 않았던 ‘災難’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월든 湖水 近處에서 혼자 오두幕집을 짓고 살았던 小路는 純全히 自身의 ‘意志’로 孤立을 擇한 것이었다. ‘로빈슨 크루소’가 平凡한 뱃사람이던 한 男子의 立志傳的 成功神話를 그려낸다면, ‘월든’은 世上을 버림으로써 오히려 人生의 淨水를 體驗하는 한 人間의 內密한 告白을 담아낸 것이다.

    내 집 마당에는 큰 소리로 우는 수탉도 꼬꼬댁거리는 암탉도 없었다. 아니 마당 自體가 없었다. 但只 어떤 것에도 막히지 않는 自然이 바로 門턱에까지 와 있을 뿐이었다. (…) 大門도 없고 마당도 없고 文明 世界로 통하는 길 自體가 없었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 강승영 옮김, ‘월든’, 이레, 184쪽

    2 最初의 近代인, 로빈슨 크루소

    인류를 사로잡은 ‘무인도’와 ‘외딴집’의 상상력

    映畫 ‘로빈슨 크루소’의 한 場面

    로빈슨 크루소는 주어진 運命이나 胎生的 限界를 克服하고 ‘自身의 意志’로 世上을 바꾸는 冒險精神의 象徵이 됐다. ‘로빈슨 크루소’에서 예나 只今이나 흥미로운 場面은 人間이 自然 속에 完全히 孤立됐을 때 홀로 살아남기 위해 考案해낸 ‘生存의 技術’을 描寫한 대목이다. 다니엘 디포는 人間의 普遍的인 두려움, 卽 完璧한 孤立에 對한 두려움에 呼訴함으로써 ‘고독’을 最高의 文化商品으로 만들어낸다. 로빈슨 크루소의 實際 모델이던 셀커크의 無人島 滯留期間이 4年인 것에 비해 作品 속 로빈슨 크루소의 無人島 滯留期間이 無慮 28年으로 늘어난 것은 이 作品의 成功을 可能케 한 決定的인 動力이었다.

    卽 人間 社會로부터 完璧히 孤立된 한 個人의 孤獨을 極限까지 몰아붙임으로써 作家는 ‘고독’이야말로 眞正한 ‘個人’을 만들어내는 最高의 燃料임을 證明했던 것이다. 孤獨이야말로 로빈슨을 키우고, 로빈슨을 剛하게 만들고, 로빈슨을 한 사람의 成熟한 ‘個人’으로 完成시켜준 決定的 動力이었다.

    ‘로빈슨 크루소’의 影響을 剛하게 받았던 狀 자크 루소는 ‘에밀’을 통해 한 少年의 眞正한 成長을 위해 必要한 最高의 環境이 바로 ‘고독’임을 立證하려 하기도 했다. 루소는 人間이 墮落하는 原因을 남의 눈에 비친 自身의 모습에 對한 愛着 때문이라고 봤기 때문에, 他人의 視線을 完璧히 遮斷한 純粹한 自然 속에서 에밀이 靈魂의 스파르타 訓鍊을 치러내기를 願했던 것이다. 作品 속의 로빈슨 크루소도 實際 모델이던 셀커크와는 달리 ‘고독’을 浪漫的으로 理想化하지 않고, 孤獨 그 自體를 통해 自身의 身體와 精神을 鍛鍊하려 한다.

    로빈슨 크루소는 기나긴 孤獨 끝에 食人種의 砲로 프라이데이를 救出해 充實한 ‘下人’으로 만들고, 船上叛亂이 일어난 英國 艦船의 船長을 救出해 마침내 故國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 過程에서 그는 ‘他人’과 區別되는 ‘自信’의 正體性과 ‘自信’의 優越性을 認識하기 始作한다. 그는 ‘프라이데이’라는 이름을 붙임으로써 原住民 男性을 ‘植民地의 奴隸’처럼 搾取하는 데 成功했으며, ‘食人種’보다 훨씬 優越한 自身, 船上叛亂을 일으킨 ‘船員들’보다 더욱 뛰어난 自身의 正體性을 ‘發見’해낸다. 그는 더는 철不知 船員이 아니었으며, ‘28年 동안 無人島에서 살아남았다면 世上에 못할 것이 없다’는 自信感으로 充滿한 ‘成熟한 個人’李 된 것이다.

    로빈슨 크루소는 마침내 이 섬 全體를 支配하는 帝王으로 君臨하게 된다. ‘로빈슨 크루소’는 團地 無人島에 孤立된 孤獨한 個人의 서바이벌 게임이 아니라 한낱 平凡한 뱃사람이 一躍 한 部族의 王이 되기까지 迂餘曲折 가득한 ‘成功神話’의 내러티브를 담고 있다.

    내 섬에 사람이 늘어났고 스스로 보기에도 날 따르는 臣民이 너무 많았다. 가끔 가만히 생각해보면 내가 꽤 王처럼 보인다는 생각에 즐겁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섬 全體가 내 所有였으니 統治權은 當然히 내가 갖고 있었다. 두 番째, 온 國民은 내게 完全히 服從했다. 나는 絶對的인 君主이자 法律을 세우는 이였다. 그들은 모두 내가 목숨을 救해준 사람들이었고 或是 機會가 있다면 언제든 날 위해 목숨을 버릴 準備가 되어 있었다.

    -다니엘 디포, ‘로빈슨 크루소’, 펭귄 클래식, 345쪽

    인류를 사로잡은 ‘무인도’와 ‘외딴집’의 상상력

    小說 ‘로빈슨 크루소’의 揷畵. 크루소를 뒤따르는 男子가 下人 프라이데이다.

    로빈슨 크루소가 世上 속으로 들어오면서 가장 먼저 한 일은 ‘돈’을 챙기는 것이었다. 섬에서 혼자 살 때는 아무 쓸모도 없던, 그래서 가장 먼저 ‘돈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을 뼛속 깊이 깨닫는 것이 섬生活 適應守則 1號였는데 말이다. 이제 그는 自身의 돈을 어떻게 管理하고 蓄積하고 投資할까를 걱정하는 眞正한 ‘부르주아’가 된 것이다.

    섬에서 조용히 살 때보다 더 많은 걱정거리가 생겼다. 섬에서는 가진 것말고는 아무것도 願하지 않았고, 願하는 것말고는 가질 必要가 없었다. 하지만 이제 큰 責任을 져야만 했고 많은 財産을 지켜야만 했다. 이제 내게는 돈을 숨겨둘 洞窟도 없었고, 아무도 건드리지 않아 흙에 덮인 채 더러워질 때까지 잠금裝置도 없이 財産을 놓아둘 곳도 없었다. 오히려 財産을 어디에 둬야 할지 누굴 믿고 맡겨야 할지 알 수가 없었다.

    -‘로빈슨 크루소’, 401~402쪽

    3 우리 안의 잃어버린 天才性을 찾아서

    사람이 鐵路 위를 달리는 것이 아니다. 실은 鐵路가 사람 위를 달리는 것이다. 鐵路 밑에 깔린 저 枕木들이 무엇인지를 當身은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枕木 하나하나가 사람인 것이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 ‘월든’ 中에서

    우리는 버릇이 없고 無識하며 淺薄한 삶을 살고 있다. (…) 우리는 古代의 爲人들만큼 훌륭해져야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于先 그들이 얼마나 훌륭했던가를 먼저 알아야 한다. 우리는 小(小)人種이며, 知的인 非常에서 日刊 新聞의 칼럼 以上은 날지 못하고 있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 강승영 옮김, ‘월든’, 이레, 155쪽

    로빈슨 크루소에게 無人島가 마치 ‘野生의 監獄’처럼 무시무시한 서바이벌 게임을 必要로 하는 戰爭터였던 反面, 小路의 월든 湖水는 스스로 選擇한 孤立에 依해 마침내 自然 속에 歸依함으로써 存在를 ‘解放’시키는 祝祭의 空間이었다. 로빈슨 크루소는 마침내 無人島에서 脫出하는 데 成功하지만, 섬에 있을 때보다 오히려 自由를 잃어버린 身世가 된다. 새롭게 일군 그의 私有財産을 지켜내느라, 그는 누구도 쉽게 믿을 수 없는 不安한 身世가 되어버렸던 것이다. 果然 이러한 ‘所有’가 人間을 자유롭게 해줄 수 있을까.

    그런 意味에서 ‘월든’은 人類가 이룩해낸 燦爛한 物質文明의 豐饒에 걸맞지 않은 精神文明의 深刻한 缺乏에 對한 날카로운 報告書이기도 하다. 人類는 그 어느 때보다도 富裕해졌는데, 왜 그만큼 賢明하고 지혜로워지지는 못했을까.

    ‘월든’은 誤解하기 쉬운 텍스트이기도 하다. 世上에 對한 嫌惡나 自己愛的 退行, 모든 걸 버리고 自然으로 돌아가라는 一方的인 自然 禮讚의 텍스트로 잘못 理解하기 쉬운 것이다. 하지만 ‘월든’의 文章 하나하나를 마음 깊이 새기며 읽는다면 이런 誤解는 쉽게 떨쳐낼 수 있다. 한 사람의 ‘國民’이나 ‘市民’이기 以前에 한 사람의 ‘人間’으로서 사는 法을 苦悶했던 소로. 그의 苦悶이 담겨 있는 ‘市民不服從’과 ‘월든’을 함께 읽는다면, 하버드대학을 卒業한 前途有望한 엘리트이던 小路가 어째서 ‘隱遁’이라는 極端的 選擇을 했는지를 좀 더 立體的으로 理解할 수 있다.

    小路는 우리가 한 사람의 人間으로서 태어나고 ‘住民登錄證’과 같은 身分의 拘束에 制限받는 瞬間, 一種의 原初的 不平等의 狀況에 處한다는 것을 看破한다. 우리가 ‘社會人’이 되어갈수록, ‘자연스럽게 나 自身의 欲望에 따라 살 수 있는 權利’는 박탈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내 안의 天才性’李 외치는 소리

    인류를 사로잡은 ‘무인도’와 ‘외딴집’의 상상력

    헨리 데이비드 小路가 生活한 월든 湖水가.

    그렇다면 우리는 都大體 하루 24時間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 어떻게 살아야 우리 存在를 解放시키는 技術을 硏磨할 수 있을까. 小路는 말한다. 하루의 本質에 影響을 미치는 것, 그것이야말로 最高의 藝術이라고. 小路는 自然 속에 파묻히자 비로소 한 番도 제대로 發揮되지 못한, ‘自己 안의 天才性’李 외치는 소리를 들었다.

    “낚시와 사냥을 가라. 날마다 멀리, 더 멀리, 또 더 멀리. 그리고 시냇가이든 暖爐가이든 두려워하지 말고 쉬어라. 새벽이 되기 前에 근심에서 깨어나서 冒險을 찾아 떠나라. 밤이면 뭇 場所를 그대의 집으로 삼아라. 이곳보다 넓은 平野는 없으며, 여기서 하는 놀이보다 더 價値 있는 것은 없다. 그대의 天性에 따라 野性的으로 자라라. 各種 ‘리스크’를 따져보느라 虛送歲月하지 말고, 근심 걱정과 斷乎히 訣別하고 冒險을 찾아 떠나라. 사람들이 수레와 헛間으로 避할 때 그대는 구름 밑으로 避하라. 밥벌이를 그대의 職業으로 삼지 말고 道樂으로 삼으라. 大地를 즐기되 所有하려 들지 마라.”

    小路는 그렇게 우리 안에 잠자고 있던 抑壓된 自然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왜 우리는 各種 貯蓄과 保險, 株式 投資에까지 熱情을 쏟아부으며 ‘퓨처 인베스트먼트’엔 그토록 神經을 쓰면서, 現在를 위해서는 좀처럼 投資하지 못하고 如前히 ‘外部의 命令’이나 ‘周邊의 視線’을 向한 奴隸로 살아가는가. 우리 안에 이미 存在하고 있었지만 우리가 미처 알아보지 못하던 우리 自身의 藝術, 但只 音樂이나 美術이 아니라 自然과 對話하고 나 自身과 對話하는 奇跡을 實驗하는 時間. ‘월든’은 但只 自然 속에 온몸을 던지기만 하면 된다고(이제 그런 일이 얼마나 어려워졌는가!), ‘周邊의 視線’이나 ‘社會의 制度’가 아니라 우리를 둘러싼 自然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기만 한다면 오랫동안 겨울잠을 자고 있던 우리 안의 天才性을 깨워낼 수 있다고 속삭인다.

    自然의 품에 기꺼이 안기기를 願하는 小路와는 달리, 로빈슨 크루소는 自然을 所有하고 征服하고 支配하려 한다. 크루소는 無人島 滯留 以後 過去보다 훨씬 커다란 ‘市民權’을 얻게 되지만, 소로는 隱遁生活 以後 ‘市民權’이 必要한 시스템의 重力場 自體에서 解放되고자 한다. 크루소가 ‘잘 所有하는 法’을 硏究한다면 소로는 ‘잘 잃어버리는 法’을, 그리하여 ‘잘 사라지는 法’을 硏究한다. 크루소는 無人島에서 28年 동안 익힌 生存의 技術을 통해 엄청난 富者가 되어 ‘社會’로 復歸했다. 그는 孤獨을 통해 社會의 ‘勝者’가 되는 法을 배웠고, 小路는 孤獨을 통해 비로소 ‘自然’이라 불리는 他者들과 만나고 疏通하는 法을 배웠다.

    無限 미디어 社會에서 저마다 시끌벅적한 1人 미디어를 經營하고 있는 現代人들은 어떤 빛깔의 孤獨을 통해 어떤 生存의 技術을 習得해야 할까.

    내가 숲 속으로 들어간 것은 人生을 意圖的으로 살아보기 위해서였다. 다시 말해서 人生의 本質的인 事實들만을 直面해보려는 것이었으며, 人生이 가르치는 바를 내가 배울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던 것이며, 그리하여 마침내 죽음을 맞이했을 때 내가 헛된 삶을 살았구나 깨닫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나는 삶이 아닌 것을 살지 않으려고 했으니, 삶은 그처럼 所重한 것이다. 그리고 正말 不可避하게 되지 않는 限 諦念의 哲學을 따르기를 願치 않았다. 나는 人生을 깊게 살기를, 人生의 모든 骨髓를 빼먹기를 願했으며, 强靭하게 스파르타人처럼 살아, 삶이 아닌 것은 모두 때려 엎기를 願했다. 수풀을 幅넓게 잘라내고 雜草들을 베어내어 人生을 구석으로 몰고 간 다음에, 그것을 가장 基本的인 要素로 壓縮시켜서 그 結果 人生이 卑賤한 것으로 드러나면 그 非天性의 赤裸裸한 全部를 確認하여 있는 그대로를 世上에 알리며, 萬若 人生이 崇高한 것이라면 그 崇高性을 스스로 體驗하여 다음다음番의 旅行 때 그에 對한 참다운 報告를 하고 싶었던 것이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 ‘월든’, 129~130쪽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