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현경…아픔, 그리고 10年|新東亞

오현경…아픔, 그리고 10年

“죽음보다 깊은 苦痛도 스승이 됐죠”

  • 최호열 동아일보 新東亞 記者 honeypapa@donga.com|| 헤어·메이크업/JEAN PIERRE(02-3444-1704, 02-511-1306)

    入力 2007-10-08 15:55: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10年 前, 世上을 떠들썩하게 했던 미스코리아 出身 탤런트 오현경.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틱한 屈曲의 삶을 살아온 그가 돌아왔다. 外貌는 10年 歲月을 훌쩍 건너뛴 것처럼 如前히 아름답지만, ‘죽음보다 깊은 絶望’을 딛고 일어선 그는 훨씬 成熟해 있었다.
    오현경…아픔, 그리고 10년
    오현경(37)李 돌아왔다. 1998年, 致命的인 波紋에 휩싸여 등 떠밀리듯 演藝界를 떠난 지 10年 만이다. 9月29日부터 放送되는 SBS 週末 드라마 ‘糟糠之妻 클럽’에서 그는 바람 피우는 男便에게 痛快하게 復讐하는 主人公 ‘化身’役을 맡았다. 現代物로는 드물게 100部作으로 企劃된 ‘糟糠之妻 클럽’은 男便의 外道에 對抗하는 糟糠之妻들의 叛亂을 재미있게 그릴 豫定.

    復歸 所聞은 지난해부터 들려왔다. 그女가 精神的으로 依支하는 ‘演藝界 代母’ 이경순 모닝엔터테인먼트 代表가 復歸를 積極 說得했다. 李 代表를 통해 1年 넘도록 인터뷰를 要請했지만 오현경은 “기다려달라”고만 했다. 지난 8月初 放送 復歸를 알리는 記者會見을 한 뒤에도 “조금 더 時間을 달라”고 했다. 가슴속 깊이 남은 응어리들을 吐해내기엔 時間이 더 必要한 듯했다.

    오랜 기다림 끝에 9月10日, 그와 單 둘이 만날 수 있었다. 10年 歲月이 흘렀어도 오현경은 如前히 아름다웠다. 8月 記者會見 때의 上氣된 表情과는 달리 한결 餘裕 있어 보였다. 그의 향긋한 微笑가 淸明한 가을바람을 타고 날아와 뺨을 간질였다.

    달라진 건 내가 아니라 世上

    “드라마 撮影 始作한 지 3週쯤 됐어요. 製作 시스템이 많이 달라졌더군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넘어왔다고 할까요. 달라진 點이 또 있어요. 10年 前엔 제가 모든 스태프를 ‘先生님’이라고 불렀는데, 只今은 스태프 大部分이 저보다 어리다는 것. 다들 저를 ‘누님’ ‘先生님’이라고 불러요. 時間이 많이 흐르긴 흐른 것 같아요.”



    ▼ 다른 演技者들과 呼吸은 잘 맞나요.

    “元來부터 잘 알던 이들이라 多幸이에요. 김혜선氏는 가장 親한 親舊예요. 先輩 演技者들도 제가 마지막으로 했던 드라마 ‘사랑하니까’나 ‘세 女子’에서 呼吸을 맞춘 분들이고, 다른 俳優들도 저와 한 番씩은 作品을 같이 한 적이 있어 便해요.”

    오현경…아픔, 그리고 10년
    ▼ 演技의 감을 되찾기가 어렵지는 않았나요.

    “너무 오래 쉬어서 주눅 들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생각보다 쉽게 適應하고 있어요. 문영남 作家가 臺本을 워낙 잘 쓰니까 저는 臺本에 나온 感情을 그대로 따라가기만 하면 돼요. 제가 이젠 나이도 먹었고, 어려움도 겪을 만큼 겪었잖아요. 드라마에서 要求하는 感情을 充分히 끄집어낼 自信이 있어요.”

    10年 만에 하는 演技지만 낯설지 않은 模樣이다. 그는 演藝界를 떠난 後에도 TV에 또래 演技者가 나오면 그의 演技를 따라 해보며 ‘感’을 잃지 않으려 애썼다고 한다.

    “한番 演技者는 죽을 때까지 演技를 버릴 수 없나 봐요. 그리고 지난 10年, 제가 살아온 것 自體가 延期였잖아요. 길을 걸으면 사람들이 다 알아 보니 늘 緊張하면서 演技를 해야 했어요. 옛날엔 우는 演技를 잘 못했는데 이제는 누구보다도 잘 울 수 있어요.”

    바람 피우는 男便에게 堂堂하게 離婚을 宣言하고 홀로 서는 씩씩한 役割을 맡았다. 實際로도 그렇게 씩씩한 便이냐고 묻자 “안 그래요. 優柔不斷하고 小心하죠. 귀가 얇아 남이 하자는 대로 끌려가고…. 겉으로는 豁達해 보이지만 實은 社交性도 없어요” 하며 웃는다. 신이 나서 드라마며 演技 이야기를 하는 모습이 자랑할 것 많은 다섯 살짜리 같다. 하긴 그에겐 올해 다섯 살배기 딸이 있다. 엄마는 아이랑 精神年齡이 똑같다고 하지 않던가.

    ▼ 밝은 모습을 보니까 天生 演技者구나 싶네요. 過去와 많이 달라졌다는 말을 듣진 않나요?

    “제가 變했다기보다는 사람들이 저를 바라보는 視線이, 저를 받아들이는 姿勢가 달라진 게 아닌가 싶어요. 저는 늘 똑같은 저였어요. 그런데 사람들은 저를 全혀 모른 채 ‘걔는 그럴 거야’ 하는 先入觀을 갖고 있다가 그렇지 않은 제 모습을 보고 ‘쟤가 달라졌구나’ 생각하는 거죠. 사람들이 제게 ‘일을 하니까 밝아졌다’고 하는데, 萬一 제가 復歸한 狀況이 아니라면 똑같은 只今의 저를 보고 ‘表情은 좋아 보이지만 속으론 힘들지 않으냐’고 물었을 거예요. 아무튼 사람들이 저를 肯定的으로 받아주는 自體가 저로선 고마울 뿐이에요.”

    ▼ 世上 사람들의 생각이 달라진 게 아니라 世上 사람들을 바라보는 오현경氏의 생각이 달라진 건 아닐까요.

    “그렇지는 않은 것 같아요. 前에도 나를 모르면서 先入觀을 가지고 거기로 나를 몰아간 거니까요.”

    아직 아물지 않은 傷處가 느껴졌다. 그만큼 傷處는 깊었으리라.

    集團觀淫症의 犧牲者

    오현경은 우리 社會가 보듬어야 할 아픈 傷處다. 極히 個人的인 私生活이 不法的으로 流布, 公開되면서 女子로서 견뎌내기 힘든 數値와 苦痛을 겪었다. 集團觀淫症과 煽情主義가 한 個人의 삶을 어떻게 破壞하는지를 克明하게 보여주었다. 當時 우리 國民의 3分의 1이 그의 私生活을 엿본 ‘觀淫症 患者’였다는 分析도 있다.

    그런데 정작 謝過해야 할 사람들은 오히려 그에게 “貞淑하지 못하다”며 集團 이지메를 加했다. 被害者인 그가 되레 “物議를 일으켜 罪悚하다”고 公開謝過를 해야 했다.

    오현경…아픔, 그리고 10년
    “사람들이 똘똘 뭉쳐 제게 ‘죽어라, 죽어라’ 하는 것 같았어요. 20代의 어린 저로서는 堪當하기 힘든 일이었죠. 더구나 그 무렵 저는 많이 아팠어요. 그런 狀態에서 도무지 어떻게 對處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고요.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싶었고, 그런 狀況이 納得도 되지 않고…. 女子로서의 삶은 끝났다는 생각도 들고….”

    ▼ 많이 힘들었겠어요.

    “限없이 서운하고 서럽고…. 그런데 時間이란 게 妙해요. 처음엔 苦痛과 끝 모를 絶望感뿐이었죠. 그러다 멍한 狀態가 되어 뭐가 뭔지도 모른 채 그냥 흘러가게 돼요. 마치 太平洋 한가운데에 혼자 떨어져 있는 느낌이에요. 작은 波濤만 일어도 엄청난 恐怖가 밀려왔다가 나중엔 그냥 그런가 보다 싶어져요. 그렇게 適應해 나가는 거죠. 自己도 모르게 살아가는 方法, 어려움을 헤쳐가는 方法을 攄得하게 돼요. 人間이란 게 그렇더군요. 弱할 때는 벌레보다도 弱하고, 剛할 때는 正말 超人的이 돼요.”

    ▼ 가장 힘든 건 뭐였나요.

    “言論이었죠. 저라는 한 人間의 最小限의 人格마저 無視했으니까요. 마치 짐승 對하는 것 같았어요. 그땐 正말 죽음의 時間이었어요. 남들은 想像도 못하는 苦痛이에요.”

    ▼ 왜 事件이 터졌을 때 곧장 不法行爲를 하는 이들에게 法的對應을 하지 않고, 美國으로 避한 겁니까.

    “不幸은 한꺼번에 몰려온다는 말이 맞아요. 當時 턱關節 때문에 苦生을 했어요. 言論에선 成形手術 副作用이라고 했지만. 턱關節이 안 좋아 手術을 했는데 그게 잘못되는 바람에 再手術을 받으러 美國에 가야만 했어요. 그때 韓國에 있었더라면 잡을 사람 다 잡아내서 法의 審判臺에 세웠을 겁니다.”

    ▼ 只今은 그들을 容恕할 수 있나요.

    “率直히 응어리는 남아 있어요. 世上 앞에 발가벗겨지는 그런 恥辱이었잖아요. 마음의 病은 고쳐지지 않아요. 只今도 가슴 한구석에 단단한 돌멩이처럼 박혀 있는 게 있어요. 제가 지고 가야 할 멍에인 것 같아요. 남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歲月이 흘러도 그걸 또 들춰내고 싶어할 거예요. 그것으로 제가, 한 人間이 겪어야 할 苦痛은 생각하지 않고요.”

    그가 깊은 한숨을 내쉰다.

    苦痛과 試鍊으로 배운 것

    오현경…아픔, 그리고 10년

    오현경은 自身을 내친 世上을 容恕했지만 그래도 응어리는 사라지지 않는다고 털어놓았다.

    “그런 생각을 했어요. 先天的 障礙를 안고 태어난 분들이나 아무리 努力을 해도 밑바닥에서 올라오지 못하는 분들 있잖아요. 그분들을 보면 제가 부끄러워져요. 그분들은 自身의 選擇, 自身의 意志와는 아무 相關없이 苦痛을 겪고 無視當하잖아요. 그에 비하면 전 어쨌든 작은 불씨만한 失手라도 있었던 거니까요. 그분들의 抑鬱함에 비하면 저는 할 말이 없는 셈이죠. 그분들을 떠올리며 마음을 추슬렀어요.

    죽음, 自殺…, 저라고 왜 그런 생각 안 해봤겠어요. 그런 생각을 數十 番도 더 했고, 試圖도 했죠. 그런데 ‘그렇게 죽으면 남는 게 뭔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는 虛無하게 이 世上에서 사라지고, 人生의 落伍者가 되는 거예요. 周圍사람들에게 또다시 傷處를 주는 일이고요. 幸福하게 잘살 權利가 있는 엄마와 동생들이 平生 내 죽음이라는 멍에를 짊어져야 하잖아요. 그걸 깨닫고 나니까 自殺을 생각했다는 自體가 부끄러워졌어요.”

    그는 “人生은 살아 있는 하루하루가 이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죽지 않고 하루를 견뎌내고 다음날을 맞이하는 게 決코 쉬운 일은 아니었다”는 말에서 苦痛의 깊이가 느껴졌다.

    “처음엔 살아 있는 게 苦痛이고 못 견딜 試鍊이었는데, 時間이 지나면서 그 苦痛이 도리어 삶을 가르치는 스승이 되더군요. 그렇게 되기까지는 家族의 사랑과 宗敎가 큰 힘이 됐어요. 只今 살아 있고, 저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에 感謝해요.”

    ▼ 힘들 때 主로 뭘 하며 지냈습니까.

    “聖經의 箴言과 詩篇을 많이 읽었어요. 特히 詩篇은 마치 ‘오늘의 運勢’를 보는 것 같았어요. 詩篇을 읽고 있으면 ‘아, 오늘은 이래서 그랬구나’ 하고 가슴에 와 닿더군요. 요즘은 차동엽 神父님의 ‘무지개原理’라는 冊을 읽고 있어요. 人間關係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過去를 어떻게 봐야 하는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對해 肯定的인 思考를 갖게 하는 內容이라 마음에 와 닿아요. 며칠 前엔 ‘三國志 經營學’을 샀는데, 經營의 智慧뿐 아니라 人間關係, 試鍊이 닥쳤을 때 풀어가는 方法을 담은 冊이어서 꼭 읽어보려고요.”

    오현경…아픔, 그리고 10년

    後輩와 함께 골프衣類會社 JY골프를 運營하는 오현경은 直接 모델로 나서기도 했다.

    ▼ 어려운 사람들을 보며 힘을 얻었다니 奉仕活動에도 關心을 가졌을 것 같은데요.

    “奉仕活動은 어려서부터 틈틈이 해왔어요. 그런데 그 일을 겪은 後에는 餘力이 없었죠. 後輩와 함께 2004年에 골프衣類會社를 만들면서 第一 먼저 다짐한 게 收益의 一定 部分을 반드시 社會에 還元하겠다는 거였어요. 또한 在庫 衣類가 생기면 孤兒院 等에 보내곤 했어요. 中學校 때 孤兒院에 奉仕活動을 갔는데 院長님이 ‘꾸준히 올 것 아니면 그냥 돌아가라. 너희는 一回性 奉仕로 마음이 뿌듯할지 모르지만, 이곳 아이들에겐 얼마나 큰 後遺症을 남기는지 아느냐. 하려면 작은 일이라도 持續的으로 해라’고 하시던 게 只今도 잊히지 않아요.”

    딸에게 자랑스러운 엄마 되겠다

    ▼ 골프衣類事業(JY골프)李 잘되는 것으로 아는데, 演技 復歸를 決心한 理由라면.

    “아이 잘 키우고 事業에 成功하면 그것으로 뭔가 보람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正말 熱心히 발로 뛰며 일을 했어요. 復歸 提議가 여러 次例 있었지만 눈도 돌리지 않았어요. 復歸하면 그 事件이 다시 불거질 게 뻔하잖아요. 아이를 위해서라도 그걸 숨기려 했어요. 하지만 그게 아니었어요. 엄마가 오현경이라는 理由로 딸이 짊어지고 가야 할 짐이 있어요. 내 딸에게 그 짐을 지워주지 않으려면 내가 元來 있던 그 자리에서 다시 始作해 씻어내야 한다는 걸 깨달았어요. 내 딸이 엄마가 오현경이란 事實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자랑스럽게 여기도록 하기 위해 勇氣를 낸 거죠. 勿論 復歸하면서 안 좋은 댓글도 많이 달리겠지만 그런 두려움은 없어졌어요. 世上에서 나올 만한 나쁜 소리는 이미 다 들어봤는걸요.”

    ▼ 過去 記事를 檢索해보니 以前에도 몇 番 復歸 이야기가 나오다 사라지곤 했더군요.

    “지난 10年 동안 두세 달에 한 番씩은 제 記事가 나왔어요. 한 적도 없는데 인터뷰했다고 하고, 만난 적이 없는데 만났다고 하고…. 그래서 모르는 사람들은 ‘쟤는 뭐야, 이런댔다 저런댔다 하냐’ 하고 辱했을 거예요. 저는 正말 熱心히 生活人으로 살았는데 늘 問題를 惹起하는 사람이 되어 있었어요. 그러다 보니 마치 殺人을 저지르고 쫓기는 사람처럼 不安에 떨 수밖에 없었어요. 내 이름이 어디에 났다고만 하면 ‘무슨 일이지?’ ‘내가 모르게 또 뭐가 찍혔나?’ ‘내가 또 뭘 잘못했지?’ 하는 생각에 노이로제에 걸릴 地境이었어요.”

    ▼ 復歸 決定 消息을 듣고 반가우면서도 한便으로 걱정이 되더군요. 特히 只今은 사라진 듯한 不法 動映像이 분별없는 네티즌들에 依해 또다시 돌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은 없나요.

    “그게 가장 큰 問題예요. 萬一 그런 일이 있다면 더 以上 바보처럼 숨지 않고 適切한 措置를 取할 생각이에요. 더 以上 한瞬間의 재미를 위해 한 人間을 破滅로 몰고 가는 일은 없기를 바랍니다.”

    아직 남아 있는 折半의 人生

    오현경…아픔, 그리고 10년
    1989年 미스코리아 陣에 뽑히며 華麗하게 演藝界에 데뷔한 그는 한瞬間, 自身의 意志와는 相關없이 女子로서의 幸福, 演技者로서의 꿈을 빼앗겼다. 美國에 머물다 2000年 末 韓國에 돌아온 그는 2002年 在美 事業家와 結婚, 平凡한 女子의 삶을 꿈꿨다. 하지만 그렇게 사는 것도 쉽지 않았다. 그 事件은 朱紅글씨처럼 그를 따라다녔다. 게다가 男便의 事業失敗 等으로 지난해 離婚의 아픔을 겪어야 했다.

    ▼ 두 사람의 離婚에 對해 갖가지 所聞이 떠돌았는데, 正確한 離婚 事由는 뭡니까.

    “어떤 理由로든 夫婦가 끝까지 함께 가지 못한다는 건 서로에게 아픔이에요. 비록 갈라섰지만 男便에 對해 이러쿵저러쿵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게 禮儀라고 생각합니다. 相對에게도 그렇고, 제게도 그렇고, 아이에게도 그렇고요. 제가 只今 어떤 말을 해도 誤解를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어요. 結局 제 얼굴에 침 뱉는 格일 뿐이죠. 只今 제가 할 수 있는 말은 ‘그 사람이 앞으로 잘돼서 내 딸에게 부끄럽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것뿐이에요.”

    오현경…아픔, 그리고 10년
    ▼ 아이의 親權은 누가 가지고 있나요.

    “제가 모든 權利를 가지고 있어요.”

    ▼ 戶主制가 廢止된 데다 親權을 가지고 있으니 아이의 姓(姓)을 엄마 姓으로 바꿀 수 있을 텐데요.

    “그건 아이가 더 큰 다음에 아이 스스로 判斷해서 決定할 問題라고 생각해요. 내 아이니까 내 마음대로 내 姓을 주겠다는 생각은 잘못이라고 봅니다. 第 獨斷으로 決定하고 싶지 않아요. 가장 重要한 것은 아이가 傷處를 받지 않는 거예요. 그 部分에서 엄마가 利己的이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勿論 아이가 엄마의 姓을 따를 수 있는 길을 열어놓은 戶主制 廢止는 正말 바람직하다고 봐요. 제 處地와는 다르게 아이의 性을 切實히 바꿔야 할 必要性이 있는 女性들도 있으니까요.”

    ▼ 只今까지의 삶에서 가장 후회스러운 選擇이 있다면.

    “많죠. 人生은 後悔의 連續이니까요. 그런데 막상 꼽으려니 딱 이거다 하는 게 없네요. 後悔되는 瞬間이 너무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후회스러운 記憶들이 저로부터 그만큼 客觀化했기 때문인 것 같기도 해요. 돌이켜보면 成熟하지 못한 判斷을 많이 했어요. 하지만 天性은 잘 안 바뀌잖아요. 앞으로도 살면서 失手를 많이 하겠죠. 그러나 비슷한 失手는 또 하게 될지 몰라도 똑같은 失手를 反復하지는 않을 거예요.”

    그는 “지나간 것은 지나간 것일 뿐이다. 더 以上 지나간 過去에 머물지 않을 것이다. 지울 수 있는 過去는 지우고, 끌어안고 가야 할 過去는 끌어안은 채 熱心히 살겠다”고 覺悟를 다졌다.

    “아직 人生의 折半이 남았잖아요. 人生을 다시 始作하기에 늦지 않았다고 생각해요. 이제부터 잘 살아보려 합니다. 人間에게 試鍊이 닥치는 것도 다 理由가 있을 거라 믿어요. 그동안 많이 배우고 느꼈어요. 過去의 오현경을 잊고 熱心히 사는 오현경을 愛情을 갖고 지켜봐주세요.”



    인터뷰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