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老圃 看板 書體 따라 만든 글꼴 ‘乙支路體’|新東亞

老圃 看板 書體 따라 만든 글꼴 ‘乙支路體’

[名作의 祕密] 사라져가는 乙支路 感性, 글꼴에 담아

  • 이광표 西原大 휴머니티敎養學部 敎授

    kpleedonga@hanmail.net

    入力 2023-10-14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힙’해졌지만 浪漫 잃어가는 서울 乙支路

    • 看板장이 愚直한 힘 간직한 乙支路體

    • 時代의 敍事 담긴 글꼴 통해 岐嶷하다

    옛 골목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한 서울 中區 을지로가 꾸준히 人氣다. 언제부턴가 젊은이들은 을지로를 ‘힙地로’라 부른다. ‘힙(Hip)’하고 ‘핫(Hot)’하다는 意味다. 을지로가 힙지로로 자리 잡아가던 2019年, 配達 플來폼 業體 配達의民族은 ‘乙支路體’라는 한글 글꼴을 開發해 公開했다. 익숙한 듯 조금은 낯설고, 낯설면서 또 어딘가 親熟한 레트로(Retro) 雰圍氣가 풍겼다. 보면 볼수록 사람의 視線을 잡아끄는 이 獨特한 乙支路體는 을지로와 어떤 關係가 있고 어떤 魅力이 있는 걸까.

    ‘을지로’라는 거리 이름은 1946年에 생겼다. 高句麗의 名將 乙支文德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이다. 서울市廳에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一帶까지 이어지는 을지로에서 가장 힙하고 핫한 곳은 乙支路3가다. 乙支路3街의 中心은 地下鐵 2號線과 3號線이 交叉하는 乙支路3家役 周邊. 乙支路3可逆에서 東西軸을 中心으로 乙支路3歌가 펼쳐진다. 乙支路3家役 近處엔 有名한 老圃가 많다. 양미옥과 을지면옥이 門을 닫았지만 조선옥, 안동장 等 如前히 健在한 老圃度 적지 않다.

    지난해 6월 재개발로 사라진 을지면옥 간판(위). 을지로 인쇄거리. [동아DB]

    지난해 6月 再開發로 사라진 을지면옥 看板(危). 乙支路 印刷거리. [東亞DB]

    印刷거리 衰退 = 뉴트로(Newtro) 마중물

    過去 을지로는 映畫의 거리였다. 南쪽 충무로로 向하면 명보극장과 스카라극장이 있었고, 北쪽으로 청계천을 지나면 서울극장이 나왔고 鍾路를 지나면 團成社와 피카디리로 連結됐다. 勿論 只今은 모두 없어졌다. 이뿐 아니라 印刷所, 공구상과 鐵物商, 照明 가게, 타일 가게 等이 如前히 營業 中이고 골뱅이 골목과 노가리 골목도 盛業 中이다.

    乙支路3街를 密度 있게 만나려면 印刷 골목으로 들어가야 한다. 印刷 골목이 乙支路3街의 核心이기 때문이다. 인현동 印刷 골목, 충무로 印刷 골목으로 불리기도 하는 이곳에서 印刷業은 1910年代 始作됐다. 京城高等演藝館, 京城劇場, 중앙관 等의 映畫館이 을지로에 登場하면서 弘報 傳單紙를 찍기 위한 印刷所가 생겨났다.

    6·25戰爭 以後부터 1960年代엔 印刷業이 충무로로 擴散되며 印刷 골목의 꼴을 갖췄다. 1980年代, 近處 장교동의 印刷業體 500餘 곳이 옮겨오면서 印刷業은 盛況을 이뤘다. 1980年代 後半부터 1990年代 中盤 印刷 골목은 全盛期를 謳歌했다.



    그러나 印刷 골목도 衰落하기 始作했다. 2000年代 들어 印刷業은 조금씩 내리막길로 들어섰기 때문. 이곳의 印刷業體들이 하나둘 떠났다. 그 渦中인 2017~2018年 무렵부터 印刷業體가 떠난 빈자리에 젊고 핫한 카페와 술집, 고깃집과 食堂이 들어섰다. 이는 낡고 좁은 印刷 골목에 젊은이들이 몰려드는 契機가 됐다. 이른바 새로운 레트로, 뉴트로(Newtro)의 烈風이었다. 1970~1980年代 雰圍氣의 印刷 골목이 젊은이들 사이에서 暴發的 人氣를 끌면서 힙지로란 別名을 얻었다. 을지로는 數十 年 前의 過去(1970~1980年代)와 現在가 만나는 곳. 서울의 代表的 뉴트로 空間으로 자리 잡았다.

    사라져버린 노가리 골목

    乙支路3가는 基本的으로 낡고 오래됐다. 그렇다 보니 사라지는 것도 적지 않다. 을지면옥, 양미옥 等 오랜 歲月 서울市民과 哀歡을 함께했던 老圃들이 代表的이다. 양미옥은 2021年 火災로 인해, 을지면옥은 2022年 再開發로 門을 닫았다. 을지면옥과 함께 있던 乙支茶房은 乙支路3街 地下鐵驛 바로 옆 印刷 골목 初入으로 옮겨 營業을 하고 있다.

    2000年代 前後, 乙支路3街 하면 노가리 골목이었다. 노가리 골목의 人氣는 可히 暴發的이었다. 이곳에서는 生麥酒와 노가리를 파는 가게가 몰려 있다. 그 元祖는 1980年 營業을 始作한 ‘을지OB베어’였다. 이 집의 노가리와 麥酒가 人氣를 끌자 周邊에 노가리 호프집이 늘어나면서 1990年代 노가리 골목이란 이름을 얻었다. 숨겨진 名所였던 이곳은 2000~2010年代 사람들이 엄청나게 몰리면서 浪漫의 空間으로 자리 잡았다. 2015年엔 서울未來遺産으로 指定됐다.

    최근 을지로 노가리 골목은 만선호프 계열 가게들이 지배하고 있다. [동아DB]

    最近 乙支路 노가리 골목은 滿船호프 系列 가게들이 支配하고 있다. [東亞DB]

    그러나 한 호프집의 貪慾으로 노가리 골목은 完全히 망가졌다. 滿船호프라는 大型 호프집은 2010年代 中盤부터 노가리 골목의 호프집 10餘 곳을 接受해 旣存 看板을 내리고 모두 萬線호프 看板을 내걸었다. 及其也 2022年엔 元祖인 乙支OB베어까지 接受해 버렸다. 이 작은 골목엔 滿船호프 看板이 20個가 넘는다.

    을지OB베어 폐업을 막으려는 공동대책위원회 회원들이 지난해 7월 6일 서울 중구청 앞에서 을지로 노가리 골목 을지OB베어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乙支OB베어 廢業을 막으려는 共同對策委員會 會員들이 지난해 7月 6日 서울 中區廳 앞에서 乙支路 노가리 골목 乙支OB베어 問題 解決을 促求하는 記者會見을 하고 있다. [뉴스1]

    노가리 골목은 이렇게 ‘滿船호프 골목’으로 바뀌었다. 사람들이 如前히 많이 찾지만 노가리 골목의 趣旨와 公共性은 破壞됐다. 最近엔 再開發 事業으로 골목 한쪽 建物이 모두 撤去되고 假建物이 들어섰다. 外觀上으로나 意味上으로나 노가리 골목은 예전의 雰圍氣를 完全히 잃어버렸다. 近處의 印度에 박혀 있는 ‘서울 未來遺産 노가리 골목’ 名牌가 無色할 따름이다.

    大激變 겪는 乙支路

    을지로는 過去와 현대가 만나고,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妙하게 어울리는 곳이다. 무너져가는 낡고 허름한 印刷 골목에 해가 지면 젊은이들이 몰린다. 을지로의 밤은 술과 飮食, 浪漫을 즐기는 사람들의 웃음소리로 가득 채워진다. 하지만 이 時間에도 아직 門을 닫지 않은 印刷業所는 불을 밝히고 印刷 機械를 돌린다. 反面에 이름만 印刷業所人 곳도 적잖다. 外壁에는 分明 印刷業 看板이 걸려 있는데 안으로 들어가면 술집이나 고깃집인 곳도 있다. 이 妙한 共存, 妙한 力動性! 이를 두고 누군가는 調和와 疏通이라고 한다.

    한便 不安한 共存도 눈에 띈다. 乙支路 곳곳에서는 再開發이 한창이다. 高層 빌딩이 하나둘 올라가면서 印刷 골목, 鐵物과 工具 골목, 노가리 골목과 골뱅이 골목을 徐徐히 에워싸는 形局이다. 이제 저 골목들은 머지않아 大部分 사라질 것이다.

    再開發뿐만 아니라 淺薄한 貪慾도 問題다. 노가리 골목이 호프집 한 곳에 義에 저렇게 悽慘히 망가지리라고 누가 생각이나 했을까. 차라리 再開發로 호프집들이 撤去될 수 있겠다는 생각은 했어도 한 호프집의 貪慾에 依해 망가질 것이라고는 想像도 못 했다.

    이것이 乙支路3가다. 力動的이고 힙하고 핫하며 壯年·老年層과 함께 젊은 層도 드나드는 世代 統合의 章이지만 貪慾과 葛藤도 儼然히 存在하는 곳이다. 그렇다면 乙支路3街의 저 特徵과 意味와 追憶을 어떻게 記憶할 수 있을까. 乙支路3街의 獨特한 意味와 魅力을 어떻게, 무엇으로 記憶할 수 있을까.

    筆者는 只今의 을지로를 記憶하려는 試圖 中 하나가 乙支路體라고 생각한다. 最近 乙支路體를 비롯해 옛날 글씨體를 再解釋한 글꼴이 늘어나고 人氣도 얻고 있다. 激動明朝體, 한裸體, 도현體, 장미다방體, 옛날沐浴湯體, 應答하라體, 태극당體 等의 글꼴도 人氣를 얻고 있다.

    옛날 글씨體를 利用해 글꼴을 開發하고 活用하는 것은 最近의 레트로, 뉴트로 雰圍氣와 맞물려 있다. 이러한 書體들은 그 自體만으로도 1970~1980年代의 雰圍氣를 보여준다. 若干 촌스럽고 거칠지만 정겨움과 人間味가 넘친다. 어찌 보면 날것의 편안함이라고 할까.

    태극당體는 좀 特異하다. 서울 中區 장충동에 가면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빵집 태극당이 있다. 參考로, 國內에서 가장 오래된 빵집은 1945年 門을 연 群山의 이성당이다. 태극당은 1946年 서울 明洞에서 門을 열어 1973年 只今의 자리로 옮겼다. 태극당은 建物 外觀과 內部 모두 1970~1980年代 雰圍氣를 그대로 維持하고 있다. 매우 드문 境遇다. 그런데 이에 그치지 않고 製品에 使用했던 글씨를 한글 글꼴로 발전시켜 製品 包裝과 弘報에 使用하고 있다. 흥미로운 事例가 아닐 수 없다.

    乙支路 敍事 담긴 붓글씨體

    배달 중개 플랫폼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이 2019년 10월에 연 ‘을지로체: 도시와 글자’ 전시회. [우아한형제들]

    配達 仲介 플랫폼 ‘配達의民族’ 運營社 優雅한兄弟들이 2019年 10月에 연 ‘乙支路體: 都市와 글字’ 展示會. [優雅한兄弟들]

    乙支路體는 配達 專門 플랫폼 配達의民族이 2019年 開發했다. 요즘 옛 글씨體를 基盤으로 開發한 글꼴이 많지만 乙支路體는 그中에서도 여러모로 두드러진다. 于先, 글꼴 이름에 乙支路라는 指名(地名)을 넣었다는 點이 異色的이다. 乙支路體는 이름뿐만 아니라 글字의 形態도 慇懃히 特徵的이다. 窮鼠體度 아니고 明朝體度 아닌, 以前에 보지 못했던 鈍濁하고 묵직한 글씨體다. 그 雰圍氣가 낯선 듯하면서도 어딘가 익숙하다.

    乙支路體는 1970~1980年代 을지로 一帶 골목 看板에서 盛行했던 페인트 붓글씨體를 基本으로 삼았다. 을지면옥의 建物 入口에 걸려 있던 看板 글씨가 바로 乙支路體의 뿌리다. 이런 看板 페인트 글씨를 모티프로 삼아 體系的으로 整理해 乙支路體 2350字를 만든 것이다. 勿論 을지로에서 使用된 看板의 페인트 글씨體와 劃의 比率이나 角度 等이 조금씩은 다르다. 그러나 全體的으로는 看板 페인트 글씨와 매우 恰似하다.

    只今도 乙支路3街 뒷골목을 걷다 보면 오래된 看板이 눈에 많이 띈다. 그 사이사이로 이따금 乙支路體가 보인다. 撤去 中인 鐵物 골목과 工具 골목에서도 乙支路體를 만난다. 乙支路3街 大路邊 어느 食堂의 看板에서도 乙支路體가 눈에 들어온다.

    그런데 저런 模樣의 看板 글씨體가 어디 乙支路뿐이랴. 1970~1980年代엔 全國 곳곳에서 乙支路體가 盛行했다. 只今도 오래된 汽車驛 近處에서, 在來市場 언저리에서 을지로體를 만날 수 있다. 乙支路體는 全國區 글씨體인 셈이다. 乙支路體 開發 當時 配達의民族 關係者는 “을지로의 오래된 建物에 붙은 看板 글字를 보면서 數十 年 동안 看板과 함께 이곳을 지켜온 분들의 生存의 힘이 무엇일지 궁금했다”고 말한 바 있다. 이것이 바로 乙支路體의 魅力이다.

    乙支路體에는 現場이 녹아 있고 時代가 담겨 있다. 그래서 乙支路體엔 을지로의 日常과 哀歡, 다채로운 삶의 風景이 하나둘 꿈틀거린다. 그건 을지로의 어제와 오늘이다. 光復 以後 只今까지, 特히 1970~1980年代 을지로의 雰圍氣가 絶妙하게 담겨 있는 것이다. 옛날 페인트 看板 글씨가 을지로에 局限된 것이 아니듯, 을지로의 風景과 哀歡은 을지로에 局限되지 않는다. 그런 點에서 을지로體는 을지로를 넘어 우리의 1970~1980年代를 象徵한다. “을지로의 敍事를 담아낸” 글씨體라고 할 수 있다.

    看板장이들의 숱한 經驗에서 나온 페인트 글씨에는 愚直한 힘이 넘친다. 適當한 촌스러움과 適當한 정겨움, 適當한 哀歡이 배어 있다. 看板장이들과 乙支路 사람들의 經綸과 老鍊함이 돋보인다. 날것이지만, 날것이어서 더 아름답다. 아울러 글씨體로 活用할 만큼 그 나름대로 秩序整然한 規則도 있다.

    乙支路3街 곳곳엔, 特히 印刷 골목엔 興味롭고 創意的이면서 레트老漢 雰圍氣의 글씨 看板이 많다. 모두 1970~1980年代를 즐기려는 레트로와 뉴트로 트렌드다. 그런데 그것들은 힘이 弱하다. 特히 乙支路體와 比較하면 더더욱 그렇다. 무언가 뿌리가 없는 것 같다. 脆弱하고 一回的이라고 할까. 冷靜하게 말하면 을지로의 歷史와 삶이 缺如된 글씨體 디자인이기 때문이다. 눈길은 끌지만 餘韻을 남기지 못하는 그런 것. 아이디어만으로 만들어낸 것이 때문이다. 삶의 痕跡이 缺如돼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乙支路體는 그렇지 않다. 實際 삶에서, 實際 을지로에서 나온 것이다. 이것이 乙支路體의 힘이다.

    乙支路3가는 여러모로 서울을 象徵하는 空間이다. 特히 20世紀 後半 우리네 日常事에서 더욱 그렇다. 乙支路體는 을지로의 公共性과 象徵性을 담아낸 글씨體다. 이 대목에서 을지로體에 對한 憂慮도 나온다. 乙支路 看板 글씨는 公共의 産物로, 어느 個人의 것일 수 없다. 수많은 사람이 오랜 時間 使用하던 글씨體를 特定 企業이 글꼴로 만들었다는 理由만으로 그것에 對한 지식재산권을 所有한다는 것은 問題가 있다는 批判이다.

    適切한 指摘이라고 본다. 그럼에도 이에 對해선 좀 더 精巧한 論議가 必要해 보인다. 個別 企業이 만든 乙支路體를 否定的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結局엔 商業的인 것 아니냐는 見解다. 이러한 指摘은 配達 仲介業體 配達의民族에 對한 호오(好惡)가 反映된 것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乙支路體 開發은 卓越하고 絶妙한 아이디어가 아닐 수 없다. 모두 無關心했던 乙支路 看板 글씨를 2350者의 글꼴로 만들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意味 있는 作業이다. 그 意味와 效果는 그저 옛 글씨體 하나를 開發한 것에 그치지 않는다. 을지로를 記憶하는 데 매우 象徵的이고 創意的인 結果物을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을지로를 記憶하는 方式

    乙支路3街에 高層 빌딩도 있지만 乙支路3가는 아직 오래된 建物이 主를 이룬다. 印刷 골목처럼 裏面道路 쪽으로 들어가면 더욱 그렇다. 1970~1980年代 風景이 그대로 펼쳐진다. 젊은이들은 數十 年 前의 낯선 風景을 즐긴다. 그렇게 을지로는 힙지로가 됐다. 印刷 골목은 그 自體로 하나의 設置美術 같기도 하고 映畫세트場 같기도 하다. 을지로는 多彩롭고 力動的이며 世代 疏通的이다. 老圃와 핫플, 옛날 飮食과 요즘 飮食, 카페와 茶房 等 어울릴 것 같지 않은 것들이 本意 아니게(?) 한데 어울리면서 共存하고 있다.

    아쉽게도 再開發은 거스를 수 없는 大勢다. 힙하면 힙할수록 再開發은 더 가까워진다. 再開發 工事로 인해 좁은 골목에선 이미 撤去가 한창이고, 道路와 골목 곳곳엔 가림幕이 設置돼 있다. 高層 빌딩은 印刷 골목, 노가리 골목, 골뱅이 골목을 包圍하면서 壓迫하고 있다. 그래서 한便으로 쓸쓸하다. 再開發이 進行될수록 그 共存과 調和와 疏通은 사라질 可能性이 濃厚하기 때문이다.

    을지면옥이 門을 닫고 나니 을지면옥 看板의 페인트 글씨가 더 정겨워졌다. 나는 이제 을지로體로 을지로를 記憶한다. 아직 몇 個 남아 있는 페인트 看板 글씨를 보고 싶어 요즘 자주 乙支路3街를 걷는다.


    이광표
    ● 1965年 忠南 豫算 出生
    ● 서울대 考古美術史學科 卒業
    ● 高麗大 大學院 文化遺産學協同過程 卒業(博士)
    ● 前 동아일보 論說委員
    ● 著書 : ‘그림에 나를 담다’ ‘손 안의 博物館’ ‘韓國의 國寶’ 外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