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修能 끝나면 後悔 없이 冊床 벗어나 未來 위해 놀자|신동아

修能 끝나면 後悔 없이 冊床 벗어나 未來 위해 놀자

[김태일의 大字報] 試驗 以後 버려지던 時間, 敎育改革 實驗 適期

  • 김태일 國家敎育委員會 委員·前 新全大協 議長

    入力 2024-02-29 09:0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高 3-2學期, 敎育改革 最適 時期

    • 公敎育이 줘야 할 마지막 膳物은 ‘인싸力’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표가 배부된 2023년 12월 8일 경기 하남시 하남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학생들이 본인의 점수를 들여다보고 있다. [동아DB]

    2024學年度 大學修學能力試驗 成績表가 配付된 2023年 12月 8日 京畿 하남시 河南高等學校 3學年 敎室에서 學生들이 本人의 點數를 들여다보고 있다. [東亞DB]

    애들도 다 생각이 있다. 修能 끝난 10代들은 어떤 생각을 할까. 아직도 “高3萬 끝나면, 大學만 가면, 다 할 수 있다”는 말을 믿고 있을까. 受驗生들은 그間 忍苦의 時間을 보냈다. 受驗 生活하는 동안 하고 싶은 일을 大部分 참아왔다. 修能만 끝나면 해볼 일을 적어본 受驗生도 많을 것이다. 그러나 막상 自由時間이 생기니 무엇부터 해야 할지 망설여진다.

    修能이 끝난 뒤에도 各 大學에 願書를 쓰면서 苦悶은 커져간다. 꿈꿔 오던 大學에 떨어진 學生은 슬픔에 휩싸인다. 合格을 하더라도 危機感이 생긴다. 이제는 大學을 卒業해도 就業이 어려운 世上이다. 慣性的으로 資格證이나 外國語 試驗을 들여다보기도 한다. 試驗을 끝내고 習慣처럼 다른 試驗을 準備하는 모습이, 끊임없이 언덕 위로 바위를 밀어 올리는 ‘시시포스 刑罰’이 따로 없다. 만나는 사람마다 ‘重要한 時期’라고, “그때 後悔 없이 많이 놀아라”고 助言해 주지만, 이 自由를 값지게 누려보고 方法을 알려주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高等學校 3學年 2學期 敎室 ‘跛行’

    學生을 ‘가만두면 안 되는 存在’로 보는 걸까. 거친 생각과 不安한 눈빛의 學生들. 그걸 지켜보는 先生님. 이런 3學年 2學期 敎室의 모습을 두고 ‘跛行’이라며, 어른들이 나서 正常化를 要求하고 있다. 全國 市道敎育監協議會는 隨試·定時를 統合하고, 大入 銓衡 時期를 늦춰달라고 要求했다. 試驗을 늦게 봐서, 2學期도 工夫할 수밖에 없게 하겠다는 것이다. 隨試 入學과 修能이 끝나고 나면 學生들이 學事 日程을 따르지 않는 原因을 ‘2學期 內申 成跡 美反映’으로 꼽은 것이다. 다른 한便에선, 12年(初·中·高等學校 6·3·3年) 學制 短縮을 要求하는데, 實質的으로 한 學期를 더 늘려달라니.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하는 걸까.

    高等學校 3學年 2學期는 敎育改革을 위한 ‘最適의 上陸地’다. 뜬금없는 소리가 아니다. ‘高校學點制’ ’自由學期制’ ‘現場體驗學習’ 等은 學生의 自律性 增進과 學業 負擔 輕減을 위해 學校를 바꿔보겠다고 만든 制度들이다. 그 趣旨대로 學生들이 願하는 것을 배우고, 해보고, 가보기에 12年 통틀어 3學年 2學期만큼 좋을 時期가 있을까. 學校를 나오고 싶도록 재밌는 프로그램을 提供해 줄 순 없는 걸까. 不安함이 있다면 敎員의 指導監督下에서 學校 밖을 배움터로 삼을 수 있도록 發想을 轉換해 볼 수는 없는 걸까.

    筆者는 열아홉 살에 美國의 金融 中心地 월스트리트에 갔다. 돈을 배우려면, 돈이 가장 많은 곳으로 가야겠다는 一念으로 最小 費用을 마련해 無酌定 떠났다. 그곳에서 월스트리트가 形成된 過程과 맨해튼의 都市計劃, 뉴욕 基盤의 물類 흐름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다른 사람의 일을 代身해주면 돈이 생긴다는 것을 알게 됐다. 또한 交流와 共有가 各自圖生보다 더 큰 價値를 形成한다는 것, 豫測과 信賴를 去來할 수 있다는 것, 그를 통해 貿易과 證市가 形成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고작 몇 十 일이었다. 이 時期 經驗이 大學과 專攻부터 進路 全般에 至大한 影響을 끼쳤다.



    미국 뉴욕 월스트리트 명물 ‘돌진하는 황소상’. [AP뉴시스]

    美國 뉴욕 월스트리트 名物 ‘突進하는 황소像’. [AP뉴시스]

    冊床 너머 世上 만날 時點

    ‘잘’ 살려면 ‘좋은 생각’을 現實로 만드는 方法을 알아야한다. 말과 글로 他人을 說得하는 法, 모임을 構成하고 交流하며 協業을 主導하는 法, 行事나 事業을 企劃·推進하는 法을 알아야 한다. 關聯 資料와 制度를 찾고 活用하는 法, 分野別 業界와 學界가 疏通하는 文法과 文化도 알아가야 한다. 어디에서, 누굴 만나, 어떤 苦悶과 經驗을 나누는지에 따라 人生이 달라진다.

    社交 모임이라는 文化는 人類 歷史上 繼續돼 왔다. 요즘 말로는 ‘퍼스널브랜딩’과 ‘인싸力’이라 한다. 他人에게 나를 紹介하고, 다른 사람과 相互作用하는 能力이다. 敎育을 통해 이를 企業家精神으로 꽃피워 낼 수 있다.

    3學年 2學期에는 冊 밖의 工夫를 해볼 수 있는 具體的 契機를 提供해야한다. 冊床 앞에만 앉아 있던 學生들을 밖으로 내보내야 한다. 이 過程에서 이들은 새로운 集團과 環境을 만날 수 있다.

    生産·建設·物流·金融 等 産業現場 探訪과 現職者 交流가 可能할 수 있도록, 企業과 協業하는 것도 方法이다. 各 大學이나 敎授님 硏究室 探訪도 좋다. 어떤 아이디어에서 始作해 事業體나 硏究를 具現하게 된 건지 알아내는데 集中해 보면 좋겠다. 敎育廳이나 學校가 나서 이런 機會를 提供해 준다면 地域·産業·學校 間 連繫의 든든한 盤石이 될 것이다.

    現實的인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면 ‘EBS 偉大한 授業’ 같은 碩學 講義 콘텐츠라도 함께 視聽하고 討議하자. 分野마다 世界的 碩學의 特講을 製作해 ‘奇跡에 가까운 涉外力’으로 所聞난 콘텐츠다. 아예 EBS에서 나서서 3學年 2學期用 視聽覺 커리큘럼을 提供하는 것도 좋은 方法이다. 이런 契機가 있다면 學校에서 더 값진 對話와 興味로 記憶에 남는 時間을 보낼 수 있지 않을까. 함께하는 敎員들에게도 새로운 活力이 될 것이다.

    EBS1의 명사 강의 콘텐츠 ‘위대한 수업’에 출연한 제임스 캐머런 감독. [EBS]

    EBS1의 名士 講義 콘텐츠 ‘偉大한 授業’에 出演한 제임스 캐머런 監督. [EBS]

    배우는 사람에서 解決하는 사람으로

    ‘學生의 正體性’을 바꿔내는 것이 敎育改革이다. ‘供給者가 아닌 需要者 中心의 政策’이란 口號가 流行하고 있다. 하지만 敎育改革은 그보다 한발 더 나아가야 可能하다. 學生을 ‘敎育 需要者’로 規定하는 觀點을 뛰어넘어야 한다.

    學生을 ‘敎育을 받는 客體’에서 ‘過去를 繼承하고 다음 問題를 解決해 줄 主體’로 바라봐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現實은 碌碌지 않다. ‘企業家精神 敎育’이라고 하면 “애들을 創業 바닥으로 내모는 것이냐”는 反對가 뒤따른다고 한다. 누군가 積極的으로 나서도 ‘企業家精神’ 關聯 條例가 없어서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問題 解決力’ 涵養은 누구에게나 必要하다. 누구나 學生이 될 수 있고, 돼야 한다.

    젊은 世代의 問題 解決 力量이 ‘하루빨리’ 成長·發揮돼야 한다. 改革을 꼭 國家가 主導下란 法도 없다. 敎育改革은 特히 더 그렇다. 學校가 안 움직이면 學生이 먼저 움직여 바꿔보면 어떨까.

    김태일
    ● 1993年 出生
    ● 韓國외대 國際學部 卒業
    ● 前 新全大協(新全國大學生代表者協議會) 議長
    ● 現 國家敎育委員會 委員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