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自動化를 넘어선 ‘增强’의 美學 | 프리미엄 |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
Premium > 戰略/革新
自動化를 넘어선 ‘增强’의 美學
2015-10-14 | 이방실 에디터

지난해 10月 興味로운 外信 記事 하나가 눈길을 끌었습니다. 벤 버냉키 前 FRB 議長이 銀行에서 住宅擔保貸出 延長을 받으려다 거절당했다는 內容이었죠. 退任 後 엄청난 講演料 收入이 豫想됐던 그에게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요? 貸出延長 申請書를 一括的으로 檢討하는 銀行의 自動化 시스템이 問題였습니다. 버냉키 前 議長이 正規職 公務員 身分에서 隱退한 非正規職으로 身分이 變하자, 自動化 시스템이 그를 ‘高危險群’으로 分類하고 貸出延長 不適格者 判定한 겁니다. 이 逸話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敎訓은 무엇일까요. 經營學界의 巨匠인 토마스 대븐포트 뱁슨대 敎授는 HBR 寄稿文을 통해 “컴퓨터가 意思決定을 내릴 때 왜 사람이 반드시 介入해야 하는가를 端的으로 보여주는 事例”라고 强調했습니다. 自動化의 誤謬를 잡아줄 수 있는 건 오직 人間밖에 없다는 게 대븐포트 敎授의 主張입니다. 技術 進步로 인해 自動化의 물결이 漸漸 거세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자리가 漸漸 줄어들 것이라는 展望 亦是 커지고 있죠. 하지만 대븐포트 敎授는 “‘自動化(automation)’는 威脅이 아니라 더 많은 일자리를 創出할 수 있는 ‘增强(augmentation)’의 機會로 볼 수 있다”고 말합니다. 機械로 인해 傳統的인 일자리는 줄어들지 모르지만, 오히려 새로운 機會의 窓이 열려 雇傭 可能性이 增大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機械가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고 不平만 하기보다는, 機械와 함께 일하며 새로운 附加價値를 創出할 수 있는 方法이 무엇일지에 對해 苦悶하는 便이 훨씬 賢明하다는 게 그의 主張입니다. 그렇다면 人間과 機械가 共存할 수 있는 方法은 무엇일까요? 대븐포트 敎授는 크게 다섯 가지 길을 提示합니다. 올라서기, 비켜서기, 끼어들기, 좁게서기, 前進하기입니다. 巨視的이고 綜合的 思考 能力을 土臺로 自動化 시스템 위로 올라선 이들에겐 언제나 일자리가 準備돼 있습니다. 오늘날 월스트리트에서 莫大한 財力을 자랑하는 投資銀行家와 헤지펀드 巨木들이 그 增劫니다. 豐富한 經驗, 날카로운 洞察力, 變化를 捕捉하는 能力에 힘입어 自動化된 去來 시스템과 포트폴리오 管理 시스템 위에 올라선 代表的 例죠. 住宅擔保貸出 延長 申請에서 어이없게 거절당한 第2, 第3의 버냉키가 생겨나지 않도록, 컴퓨터가 하는 作業을 매의 눈으로 監視하고 調整하며 끼어드는 役割을 하는 이들도 未來에 如前히 脚光받을 것입니다. 비록 立地는 좁지만, 自動化를 해 봤자 採算性이 맞지 않을 게 뻔한 틈새 分野에서 專門 力量을 發掘하는 것도 雇傭 可能性을 높일 수 있습니다. 종이 鑑別師라는 職業이 있습니다. 종이 質感만으로 언제 어디서 生産된 종이인지를 알아맞히는 職業입니다. 이런 能力을 컴퓨터로 自動化시킬 수는 있지만 이를 使用하는 곳이 매우 制限的이어서 自動化에 따른 採算性이 거의 없습니다. 歷史家와 美術品 鑑別師처럼 틈새市場은 컴퓨터 알고리즘이 主導하는 時代에도 如前히 存在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次世代 컴퓨터와 人工知能 道具 自體를 開發하는 主役이 되는 길도 있습니다. 뛰어난 機械 뒤에는 반드시 그것을 만드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예 技術 트렌드를 先導하며 앞서나가는 것도 採用 競爭力을 確保할 수 있는 方法입니다. 自動化가 威脅이 아닌 새로운 機會로 活用하려면, 人間과 컴퓨터가 같이 일하는 便이 各各 따로 일하는 것보다 낫다는 事實을 雇用主가 믿어야만 합니다. 記憶하십시오. 怜悧한 機械를, 人間을 威脅하는 敵軍이 아니라, 知識 勞動의 同伴者이자 協力者로 보는 사람들만이 最後 勝者가 될 것입니다.

內容 모두 펼치기
HBR Premium은 有料 서비스입니다.
10人의 디렉터가 쉽게 說明해주는 HBR Premium!
HBR Premium을 購讀하고 디지털 서비스까지 利用하세요!
프리미엄신청
이방실 동아일보 記者
關聯 아티클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