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규보

이규보 (李奎報, 1169年 1月 15日 (陰曆 1168年 12月 16日 [1] ) ∼ 1241年 10月 8日 ( 陰曆 9月 2日 [2] ))는 高麗 의 文身이다. 本貫은 황려 (黃驪). 初名은 이인저 (李仁?), 字는 춘경(春卿), 號는 白雲居士(白雲居士)·백운산인(白雲山人)이며, 諡號는 문순(文順)이다.

高麗 武人 執權 基 崔氏政權에 順從하며 活動한 文人 中의 한사람이다. [3] 李奎報가 남긴 詩와 文章은 高麗時代 文學을 理解하는 데 重要한 資料가 되고 있다. [4]

백운 擧事(白雲居士) [ 編輯 ]

그의 號 백운 巨事는 구름처럼 自由奔放하던 그의 모습을 구름에 빗대어 表現한 것으로 새로움과 個性을 追求하던 그의 文學的 世界를 잘 보여주는 號이다. '擧事'란 佛敎에서 使用하는 用語로 李奎報가 살던 高麗 時代 佛敎 爲主의 雰圍氣에서 影響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3]

文學 世界 [ 編輯 ]

神義論(新意論) [ 編輯 ]

李奎報는 當代 큰 文章家이던 이인로 와는 正反對의 文學觀을 갖고 있었는데, 李仁老의 勇士論이 過去의 古典에서 좋은 句節을 應用하여 詩를 짓자는 意見인 反面 李奎報는 自身의 個性을 發揮하여 詩人 自身의 목소리로 獨創的인 表現을 써야한다는 神義論을 主張했다. 때문에 李奎報의 作品에는 旣存 漢詩에서는 쓰지 않았던 매우 獨創的이면서도 그 表現이 卓越한 名句節들이 많다. 그의 代表詩 < 美人願 >은 그의 奇拔한 詩的 世界를 잘 보여주는 作品으로서 只今 立場에서 보아도 매우 破格的인 回文詩(回文詩, 앞에서 뒤로 또는 뒤에서 앞으로 읽어도 意味가 통하는 限時)의 形態를 取하고 있다. [3]

四輪情(四輪亭) [ 編輯 ]

李奎報의 獨創的이면서 奇拔한 面貌를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四輪情인데, 이것은 네 발 바퀴가 달려있고 가벼운 대나무로 만든 精子로서 旣存에 사람들이 생각하지 못 했던 奇拔한 것을 發明해 내는 그의 面貌를 잘 보여준다. 李奎報의 四輪情 實物은 京畿道 楊平郡 석창원에 있다. [3]

民族魂을 깨우는 時 [ 編輯 ]

李奎報는 開城 天摩山 隱居 時節, 高句麗의 繼承 國家 高麗의 正統性을 세우고 高麗人의 團結을 이끌어내려는 目的으로 < 東明王篇 >을 지었다. 이것은 當時 武人 執權에서 생긴 混亂과, 또 百濟, 新羅 復興 運動으로 高麗의 正統性마저 否定하는 狀況 속에서 高麗가 高句麗를 繼承한 正統 民族 國家임을 내세우기 위하려는 意圖에서 쓰여졌다고 評價받는다. <東明王篇>은 以後 이승휴 의 < 帝王韻紀 >, 朝鮮 初期의 太祖 李成桂의 業績을 讚揚한 < 龍飛御天歌 > 創作에도 影響을 끼쳐 民族 敍事詩의 正統을 最初로 樹立한 것으로 評價받는다. [3]

假傳體 文學 [ 編輯 ]

그는 詩 外에 여러篇의 敍事 文學 作品을 남겼는데, 代表的으로 술을 主人公으로 한 <麴先生傳>이 있다. 假傳體 文學은 古代 說話와 近代의 敍事 文學 사이의 架橋 役割을 했다고 評價받고 있는데, 詩뿐만 아니라 韓國 敍事 文學에서도 그의 業績은 큰 것이었다. [3]

生涯 [ 編輯 ]

幼年 靑年 時節 [ 編輯 ]

1168年 에 京畿道 驪州 에서 태어난 것으로 傳한다. 하지만 그의 痕跡이 驪州에 거의 남아있지 않고, 正確한 記錄이 없어 斷定할 수는 없다.

李奎報는 어려서부터도 詩와 文章에 뛰어났다. 9歲 때부터 警査(經師), 百家(百家), 老佛(老佛, 道敎 佛敎 )의 文獻을 모두 涉獵하여 한 番만 읽으면 記憶하는 奇拔한 才士였다. 그는 最高의 私學 機關이던 文憲公徒 에 入學하여 그 가운데서도 頭角을 드러냈는데 特히 詩를 짓는 속작 試驗인 刻燭賦詩에서 李奎報는 큰 才能을 보였다.

1189年 ( 明宗 19) 豫備試驗인 司馬試(朝鮮時代의 進士試)에 及第하고 이듬해 1190年 ( 明宗 21) 本試驗인 예부시에 應試하여 同進士(同進士)에 뽑혔다. 그러나 아버지가 죽자 個性의 天摩山 으로 들어가 號를 白雲居士라 하고 글을 쓰며 지냈다. 그는 거기서 〈天摩山視〉 等을 썼는데, 特히 英雄 敍事詩 〈 東明王篇 〉은 民族의 英雄이자 高句麗 의 建國者인 東明王 의 生涯와 발자취를 노래한 敍事詩로 韓國 文學史에 남긴 큰 業績으로 評價된다.

1199年 ( 新種 2) 東京( 慶州 )에 叛亂이 일어나자 自願 從軍하여 病魔祿仕(兵馬綠事) 兼 手製(修製)가 되었다. [3]

中年 [ 編輯 ]

1207年 ( 熙宗 3) 최충헌 의 名으로 〈모정기〉(茅亭記)를 쓰고 卷補職한림(權補直翰林)에 任命되다

1213年 ( 康宗 2) 40餘 韻(韻)의 詩 〈工作〉(孔雀)을 쓰고 私財勝, 1218年 ( 高宗 5) 左司諫 等의 벼슬을 歷任하였다.

1219年 ( 高宗 6) 地方官의 罪를 눈감았다는 理由로 現在의 仁川市 桂陽區 地域인 安南 地域의 桂陽都護府府使(桂陽都護府副使)로 左遷되었다. 여기서 계양산 山자락에 있는 亭子 자오黨의 이름을 딴 자오當期 等을 남겼다. [3]

末年 [ 編輯 ]

1230年 ( 高宗 17)에 暫時 緯度 에 귀양 갔다가 다시 起用되어 集賢殿 대학사·政堂文學·太子少傅·參知政事를 거쳐 1237年 (高宗 24)에는 門下侍郞平章事로 關係에서 辭退했다. 또 大夢 抗爭 時期에는 몽골 에 보내는 外交文書를 作成하는 官吏로도 活動했다. 末年에 그는 避難 首都가 된 江華島 學堂 에서 後學들을 가르쳤고, 벼슬에서 물러났으나 國祖의 高文大冊과 外國에 오가는 書標 等을 지었으며 7月에 病이 심해져 진양후 崔怡 가 이상국의 文集 刊行을 서두르게 하였으나 刊行을 보지 못하고 9月 初이틀에 生을 마쳤다. [3]

李奎報의 痕跡 [ 編輯 ]

李奎報의 墓
  • 이규보 墓  : 李奎報는 그가 末年을 보내다가 生을 마감한 江華島에 묻혔다. 李奎報의 墓는 仁川廣域市 江華郡 길상면 길직리에 所在하며 近處에 李奎報의 祠堂이 함께 있다.
  • 李奎報로  : 李奎報가 桂陽都護府 府使로 在任했던 것을 記念하여 李奎報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붙인 길이다. 仁川廣域市 富平區 십정동 에 所在한다.
  • 李奎報의 文學是非 : 그의 是非는 故鄕이었던 京畿道 驪州, 그가 한동안 在任했던 仁川 桂陽區 의 계양산 자락, 그가 人生의 中後半氣를 보냈던 江華島 等地에 所在한다.
  • 强化文學觀 : 그가 江華島에서 오랜 時間 지냈던 것을 記念하여 李奎報의 文學的 生涯 等을 다루고 있다. [3]

評價 [ 編輯 ]

그는 벼슬에 任命될 때마다 그 感傷을 읊은 卽興詩를 쓰기로 有名하였고, · 거문고 · 을 좋아하여 三惑號 先生(三酷好先生)이라 불리었다. 그는 詩에 對한 熱情이 宏壯하였는데 그의 作品 <詩壁>에서 詩가 그에게 얼마나 重要한 것이었는지 잘 드러난다. 또 平素 술을 좋아하여 술을 마시지 않고는 詩를 지을 수 없을 程度였으며, 술에다가 極尊稱人 '先生'이라는 稱號를 붙여 <麴先生傳>이라는 假傳體 文學을 짓기도 하였다.

그는 崔氏 武人 政權에 協助하여 權臣의 狎客(狎客), 機會主義者란 말도 들었으나 氣槪가 있고 性格이 剛直해서 朝廷에서는 人中龍(人中龍)이란 評도 있었다. 그의 生涯 前半期에는 官運이 그리 神通치 않았으나 關係에 들어선 後부터는 벼슬이 次次 올라가, 比較的 順坦한 生涯를 보냈다. 한두 次例 左遷과 귀讓渡 있었지만 짧은 期間이었고 글 한 數에 벼슬 하나를 얻는 글재주로써 官運이 있었던 사람이다.

한便 그는 利權에 介入하지 않은 純粹하고 良心的인 官職者였으나 小心한 사람이었다는 評價도 있다. 學識은 豐富하였으나 作品들은 깊이 생각한 끝에 나타낸 自己表現이 아니라 그때그때마다 떠오르는 바를 그대로 表出한 것이었다. 그는 本質的으로 立身出世主義者이며 保身主義者였다.

그렇게 된 根本理由는 家門을 일으키고, 固有의 文明을 크게 떨치고자 하는 名譽心에서였다. 崔怡에게 바쳐진 그의 詩들이 崔怡의 恩誼에 對해 感謝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當然한 일이었다. 그는 崔氏政權 아래에서 볼 수 있는 一般 門閑職 管理層의 한 典型이었다고 할 수 있다. [3]

李奎報가 登場한 作品 [ 編輯 ]

主要 著書 [ 編輯 ]

主要 作品 [ 編輯 ]

家族 關係 [ 編輯 ]

  • 아버지 : 戶部郎中(戶部?中) 李允洙(李允綏)

各州 [ 編輯 ]

  1. 『東國李相國集』 「年報 年譜」
  2. 『李奎報 墓誌銘』
  3. 東國李相國集 》으로 有名하였으며, 高朱蒙 의 一代記를 素材로 한 敍事詩 東明王篇 의 著者이기도 하다. 『西夏집(西河集)』,『破閑集(破閑集)』,『補閑集(補閑集)』,『東國李相國集(東國李相國集)』,『東文選(東文選)』,『금남집(錦南集)』,『每號집(梅湖集)』,「李奎報(李奎報)의 東明王篇視(東明王篇詩)」(박창희, 『歷史敎育』11月·12月 合執, 1969),「高麗中期(高麗中期)의 民族敍事詩(民族敍事詩)」(이우성, 『성균관대학교論文集』, 1963),「英雄敍事詩(英雄敍事詩)-東明王(東明王)-」(장덕순, 『人文科學』, 1960) 參照
  4. 韓國歷代人物 綜合情報시스템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武人時代의 文化"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 이규보 저, 金相勳 驛, 이규보 作品集 세트 (前2卷), 보리, 2005. ISBN   8984282014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