頭目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頭目

頭目 (杜牧, 庭園 19年( 803年 )~對中 6年( 852年 ))은 中國 唐나라 後期의 詩人이다. 慶弔部(京兆府) 萬年縣(萬年縣, 只今의 산시省 시안시 ) 사람으로 는 목지(牧之), 號는 飜天(樊川)이다. 《通典》의 著者로 有名한 大學者 杜佑 의 孫子로, 마찬가지로 唐나라 後期의 詩人으로 꼽히는 두순學 은 그의 庶子로 알려져 있다. 中唐 時代의 詩人 杜甫 와 作風이 비슷하며, 露頭(老杜) 杜甫와 區別하기 위해 小斗(小杜)라고도 부르며, 同時代의 詩人 異常은 과 함께 「晩唐의 吏讀(李杜)」로 通稱된다.

略歷 [ 編輯 ]

德宗 庭園 (貞元) 19年( 803年 )에 태어났다. 黨의 名門家였던 慶弔 杜氏(京兆杜氏) 出身으로 頭目 自身도 집안에 對한 自負心이 剛하여, 조카에게 보내는 市에서 "우리 집안은 上空의 집안, 칼 차고 띵땅거렸지(我家公相家, 劍佩嘗丁當)"라고 읊기도 했다.

文宗 對話 (大和) 2年( 828年 ), 26歲의 나이로 眞사 에 及第하였다.

對話 7年( 833年 ), 31歲 때 洋酒 의 淮南節度使(淮南節度使) 牛僧孺 (牛僧孺)의 밑에서 서기(書記)를 맡아, 洋酒에 머무르는 3年 동안 밤만 되면 妓樓를 드나들며 風流를 즐겼다고 한다.

그 뒤에는 一族을 扶養하기 위해 名門 出身임에도 中央에서의 出世를 斷念하고 地方官 赴任을 志望하여 黃州(?州)?地主(池州)?木主(睦州)?濠洲(湖州)의 自社(刺史)를 歷任하였으며, 腺腫 對中 (大中) 6年( 852年 )에 中央으로 돌아와 中書舍人(中書?人)이 되었다. 頭目을 가리키는 두자미(杜紫微) 라는 이름도 中書省의 다른 이름이었던 紫微星(紫微省)에서 비롯된 것이다.

頭目의 文集인 《飜天집》(樊川集)은 新羅의 場보고 와 親舊 정연 의 이야기를 읊은 「張保皐정년展」(權踶3)李 실려있는 것으로 有名하며, 이것은 《 新唐書 》신라전(權踶220)과 《 三國史記 》張保皐 列傳(權踶44)의 主要 底本으로 引用되었다.

主要 作品 [ 編輯 ]

晩唐 時期 唐詩(唐詩)의 섬세하고 技巧的인 風潮에 비해 平易하면서도 豪放한 詩를 지었다. 그의 詩는 風流를 즐기기 위한 風流市와 過去의 歷史를 노래한 領事(詠史), 時事 諷刺에 뛰어날 뿐 아니라 요염하면서도 아름다운, 그럼에도 强健한 面을 모두 갖추어 때때로 리얼리즘 을 떠나서 印象派的이라는 評價를 받기도 한다. 江南(江南)의 風景을 그림처럼 表現한 〈강남춘〉(江南春)李 有名하며, 楊州에서 風流齋者(風流才子)로서 지내덜 時節의 모습을 그린 〈犬會〉(遣懷)는 現實을 벗어난 假想敵이라는 詩風(詩風)을 反映하고 있다.

강남춘
原文 解釋
千里?啼?映紅 天地에 꾀꼬리 소리, 푸르고 붉은 꽃들이 서로 비추고
水村山郭酒旗風 江마을 山어귀에 술집 旗발 펄럭이는데
南朝四百八十寺 南朝(南朝) 때의 480個 절이
多少樓臺烟雨中 多少 累代가 안개비 속에 잠겼구나

또한 垓下 戰鬪 에서 敗한 項羽 가 烏江(烏江)까지 도망쳐 왔을 때의 일을 노래한 〈第오강정〉(題烏江亭)은 「捲土重來(捲土重來)」라는 故事成語의 由來가 되기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第오강정(題烏江亭)
原文 解釋
勝敗兵家事不期 勝敗란 病暇(兵家)에서 期約할 수 없는 것
包羞忍恥是男兒 羞恥를 안고 부끄러움을 견디는 게 남아라네
江東子弟多才俊 江東(江東)의 子弟에 숨은 人材가 많다 하나
捲土重來未可知 흙먼지 일으키며 다시 돌아올런지도 알 수 없나니

部(賦)로는 23歲 때 政治에 對한 正義感을 불태우며 지었던 〈아방궁부〉(阿房宮賦)가 有名하다.

黨 後期를 代表하는 詩人으로서 人氣度가 높지만, 聖堂을 重視하여 中唐(中唐)?晩唐의 詩를 批判했던 의 古文辭派(古文辭派)의 文學觀이 反映된 《唐詩選》(唐詩選)에는 頭目의 詩가 한 首都 실려 있지 않다.

系譜 [ 編輯 ]

  • 아버지: 두종욱(杜從郁) - 黨의 宰相 斗牛의 셋째 아들
  • 妻 : 裵氏(裴氏) - 낭주自社(?州刺史) 배언(裴偃)의 딸로 頭目 앞에서 死亡
    • 아들 : 두每事(杜晦辭) - 어릴 때의 이름은 調査(曹師),淮南節度판관(淮南節度判官)
    • 아들 : 두덕상(杜德祥) - 어릴 때의 이름은 軸니(祝?), 禮部侍郞(禮部侍郞)을 歷任하고 아들 준(遵)을 두었음
  • 아들
    • 두勝擇(杜承澤) - 者는 準紙(浚之). 일찍 죽음
    • 두란(杜蘭)
    • 두興(杜興)
    • 두진(杜眞)

같이 보기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