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東이 (東夷, 英語 : Dongyi, Eastern Yi )는 中國 歷史에서 東쪽에 사는 異民族을 일컬어 부르는 歷史 用語이다. 時代에 따라 그 意味가 變했으며 漢나라 以前 동이는 現在 中國의 산둥省 , 장쑤省 , 허베이省 一帶에 살던 異民族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이었다. 漢나라 以後 동이는 滿洲, 韓半島, 日本 等 中國의 東쪽에 居住하는 異民族을 부르는 말로 바뀌었다. 오늘날 韓民族(韓民族) 源流를 形成하는 扶餘 , 高句麗 , 百濟 , 藝脈 , 三韓 等이 동이로 불렸으며, 말갈 , 선비 , 烏桓 , 等도 동이로 불렸다. 一部 韓國 在野私學 人士들은 東이 全體를 韓民族 으로 看做하고 推仰하기도 하나, [1] 東이 全體를 韓民族(韓民族)과 同一視하는 視角은 妥當하지 않으며 學界에서 받아들이지 않는다. [2]

歷史 [ 編輯 ]

동이는 中國을 中心으로 東쪽에 居住하는 異民族을 가리키는 말로 使用되었다. ' 사이 (四夷)'와 같이 이(夷)는 오랑캐 全體를 일컫는 代名詞로도 使用되었으나, 一般的으로 東西南北의 各 方位에 따라 오랑캐를 區分하여 東이· 西戎 (西戎)· 남만 (南蠻)· 북적 (北狄)으로 불렀다.

동이가 最初로 登場하는 記錄은 (殷) 時代의 甲骨文字 로, 이(夷)에 該當하는 甲骨文字는 尸(주검 時)와 類似한 形態로 나타난다. 《 說文解字 》(說文解字)에는 이(夷)의 語源을 '큰 을 가진 사람'이라 解釋하였으며, [3] '李(夷)'라는 글字가 '大(大)'와 '宮(弓)'李 합쳐서 만들어졌다는 推測이 傳統的인 觀點이었으나, 甲骨文字의 發掘 結果와 다르기 때문에 現在는 認定되지 않고 있다.

商나라 時期 및 그 以前 時代를 記錄하고 있는 文獻에서 登場하는 동이는 主로 산둥省 , 허베이省 , 장쑤省 一帶에 居住하고 있는 種族으로, 中國 歷史의 한 軸을 擔當하였다. 三皇五帝 (三皇五帝)의 여러 帝王들을 비롯하여 殷나라까지 동이 出身으로 記錄하기도 한다. 當時의 동이를 9個의 種族으로 區分하여 구이(九夷)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後漢書》〈동이전〉에서는 이들 구이를 犬夷(?夷)·우이(于夷)·房이(方夷)·황이(黃夷)·백이(白夷)·적이(赤夷)·현이(玄夷)·풍이(風夷)·양이(陽夷)로 區分하고 있으나 그 外에도 다양한 區分法이 記錄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九라는 글字가 單純히 많다는 意味를 가져 구이는 東夷의 수많은 種族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옳은 用法이다. [4]

周나라 時期의 동이는 春秋戰國 時代 에 이르면 산둥半島의 래이(萊夷)나 長詩 誠意 회이(淮夷) 等의 작은 勢力으로 縮小되었다.

한나라 時期의 동이는 滿洲·韓半島·日本 列島의 種族들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고, 以前의 동이와 文化的·血緣的으로 아무런 關聯이 없다고 보는 것이 一般的이다. [2]

韓民族 의 東夷의 記錄은 中國 歷史서 三國志 〈동이전(東夷傳)〉에 記錄되었기 때문에, 大韓民國에서는 동이전 記錄을 바탕으로 동이가 韓民族을 가리키는 말로 理解되고 있다.

東夷의 用例 [ 編輯 ]

동이는 東쪽 오랑캐를 가리키는 一般名詞로도 使用되었으며, 韓國의 옛 나라들은 自國의 東쪽에 位置한 國家나 不足을 洞이라 불렀던 痕跡이 남아 傳해진다. 中原高句麗碑 에는 新羅를 洞이라 稱하고 있으며, 朝鮮 時代에는 日本을 洞이라 稱하기도 했다. 日本 亦是 헤이안 時代부터 아이누 民族 을 이(夷) 또는 에조(蝦夷)라 稱하며 오랑캐로 取扱하였다. 헤이안 時代에 아이누 族을 攻擊하는 職責을 맡은 大將은 세이이타이쇼군 (程頥大將軍, 征夷大?軍)에 任命되기도 했다.

文獻 [ 編輯 ]

後漢書 (後漢書)》 以後 中國의 歷代 情事들은 列傳 部分에서 〈동이전〉이나 其他 異民族의 熱戰을 編成하고 그 안에서 동이의 歷史를 獨自的으로 記錄하고 있다. 동이전에 記錄된 種族들은 韓民族에 該當하는 여러 種族을 비롯하여 왜·말갈·遺構 等이며, 主로 韓民族의 記錄이 中心이 되었다.

  • 後漢書 》(後漢書)第85卷 〈동이전〉은 扶餘 · 挹婁 · 高句麗 · 東沃沮 · · 韓民族 의 源流를 形成한다고 여겨지는 여러 種族들을 다루어 韓國史 硏究에 貴重한 資料가 된다. 後漢書에서 區이라 하면 犬夷(獻夷), 어이(於夷), 방이(方夷), 황이(黃夷), 白이(白夷), 敵이(赤夷), 풍이(風夷), 羊이(陽夷)를 稱하고, 李廓(爾?) 耳順(李巡)의 州(註)에는 玄도(玄?), 樂浪(樂浪), 高麗(高麗), 晩食(滿飾), 浮遊(鳧臾), 소가(素家), 동도(東屠), 倭人(倭人), 賤婢(天鄙)를 稱한다. [5]
  • 三國志 》(三國志) 〈緯書〉(魏書) 第30卷 '오환선飛棟以前'(烏丸鮮卑東夷傳)은 東濊 , 扶餘 , 高句麗 , 沃沮 , 를 동이에 該當하는 項目에서 敍述하고 있다.
  • 陳書 》(晉書)97卷 〈사이전〉(四夷傳)에는 東이 項目에서 夫餘國 , 馬韓 , 辰韓 , 肅愼氏 (肅?氏), 倭人 (倭人) 等을 敍述하고 있다.
  • 宋書 》(宋書), 《 南齊書 》(南齊書), 《 良書 》(梁書), 《 魏書 》(魏書), 《 州서 》(周書), 《 水西 》(隋書) 等 南北朝 時代 의 司書들에도 各其 〈동이전〉, 〈이만전〉(夷蠻傳), 〈東南移轉〉(東南夷傳) 等이 編成·記錄되어 있다.
  • 舊唐書 》(舊唐書), 《 新唐書 》(新唐書)의 〈동이전〉에는 高句麗, 백제, 新羅 等의 歷史가 記錄되어 있다. 特異事項으로는 以前의 情事에서 一般的으로 동이로 取扱되던 말갈이 북적으로 바뀌어 記錄되어 있다는 點이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박문기, 《脈이》, 精神世界史, 1987 / 박문기, 《大同이》, 精神世界史, 1987
  2. 이성규, 〈先進文獻에 보이는 '東夷'의 性格〉, 《한국고대사論叢》1, 1991
  3. 夷, 平也。?大?弓。東方之人也。
  4. 김시황,〈구이(九夷)와 東이(東夷)〉,《동방한문학》17, 1999
  5. 박성봉, 고경식 共譯 原文部《三國遺事》(第2板, 西門文化史, 1993) 90쪽. “後漢書에 依하면 犬夷(獻夷), 어이(於夷), 방이(方夷), 황이(黃夷), 白이(白夷), 敵이(赤夷), 풍이(風夷), 羊이(陽夷)를 稱하고 李廓(爾?) 耳順(李巡)의 州(註)에는 玄도(玄?), 樂浪(樂浪), 高麗(高麗), 晩食(滿飾), 浮遊(鳧臾), 소가(素家), 동도(東屠), 倭人(倭人), 賤婢(天鄙)를 稱함.”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