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조상인의 예(藝)- <77>李澄 '蓮池白鷺']시든 鳶줄기 옆에 선 白露 한 雙...一路燕窠를 祈願하다 | 서울經濟 </77>
팝업窓 닫기

[조상인의 예(藝)-<77>이징 '蓮池白鷺']시든 鳶줄기 옆에 선 白露 한 雙...一路燕窠를 祈願하다

朝鮮 代表 文人畫家 李慶胤의 서자

아버지에 꾸중들으며 흘린 눈물로

바닥에 새그림 그렸다는 逸話 有名

안견風에 流行하던 折破 畫風 折衷

精密하고 夢幻的인 作品 主로 그려

李澄 ‘蓮池白鷺’, 31×21㎝ 緋緞에 그린 水墨淡彩畫. /寫眞提供=澗松美術文化財團




열매 맺으려는 꽃잎은 떨어져야 하고 싹 틔우려는 씨앗은 파묻혀야 한다. 그렇게 꽃은 誕生과 죽음을 한 몸에 지닌, 그래서 새로 태어나려면 一旦 죽어야 하는 宿命을 지녔다. ‘필사즉생(必死卽生) 畢生卽死(必生卽死)’.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 것이요, 반드시 살고자 하면 죽을 것이라는 말처럼. ‘孫子兵法’과 더불어 中國의 2代 病서로 꼽히는 ‘吳子兵法’의 著者인 春秋戰國時代 오기(BC 440~BC 381)의 이 名句를 自身의 座右銘으로 삼았던 忠武公 李舜臣 將軍은 戰爭터에서 죽었지만 歷史 속에 길이 살아 남았다. 얼마 前, 우연찮게 通話했던 小說家 이문열(70)과의 對話 끝에 이 그림이 생각났다. 代表的 ‘保守論客’으로 꼽히는 그는 最近 몇 年 間 거듭해 ‘保守의 죽음’을 提言했다. 최순실 國政壟斷 事件에 憤怒한 市民들이 촛불革命을 펼치던 그 때 “報酬는 죽어야 한다”면서 “새롭게 태어나 힘들여 자라길” 바란다 했고 “衰退하고 허물어진 精神의 허울 벗고 새롭게 태어나지 않으면 이 땅에서 保守는 다시 발 디디기 어려울 것”이라고 指摘했다.

元老 小說家가 굳이 일깨우지 않았어도 季節이 생각나게 했을 이 그림은 朝鮮 中期 畫家 李澄(李澄·1581~1674年 以後)의 ‘蓮池白鷺(蓮池白鷺)’다. 다리 꼿꼿하고 부리 날카로운 白鷺 두 마리 사이로 잎사귀 끝이 말려들 程度로 시든 連帶가 서 있다. 한여름 靑靑했던 蓮꽃이 떨어지는, 훌쩍 쫓아온 가을 입김이 늦여름의 끝자락을 날려버리는 요맘때를 그린 作品이다.

李澄 ‘瀟湘八景도’ 中 昭詳强에 내리는 밤 비를 그린 ‘소상야우’ /寫眞提供=國立中央博物館


모름지기 畫家가 꽃을 그린다면 꽃봉오리 잘 여문 希望찬 時期이거나 滿開해 가장 華麗한 瞬間을 捕捉할 法 하나, 蓮못에 蓮꽃은 다 떨어지고 꽃잎 떨어진 鳶의 씨房만 덩그러니 남았다. 여기에는 숨은 뜻이 있다. 白鷺의 로(鷺) 자는 길 로(路)자와 音이 같다. 그리고 蓮꽃 年(蓮) 者는 이어질 年(連) 子와 같은 소리로 읽힌다. 한 마리 白鷺(一鷺)와 聯의 열매인 聯과(蓮果)를 함께 그린 그림은 한 걸음에 나아가 過去에 連달아 及第하라는 뜻을 가진 ‘一路聯과(一路連科)’와 같은 뜻이 된다. 그렇다. 鳶의 열매가 여물어서 그 威容을 드러내려면 꽃은 지고 잎은 시들어야 한다. 숨은 뜻을 새기고 다시 보면 시들어 고개 떨군 蓮잎이 그리 惻隱하지 만은 않다. 來年 봄 저 단단한 씨房에서 나온 씨앗이 더욱 아름다운 꽃을 피우리니 그 香氣는 보다 멀리 더 그윽하게 퍼져 나갈 것이다.

朝鮮 中期의 畫家 里徵은 王室 家門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庶子였다. 그의 아버지 이경윤(1545~1611)은 宗親이라 官職에 나가지 못하는 代身 學問과 特히 그림에 沒入했고 16世紀를 代表하는 文人畫家가 됐다. 李慶胤의 동생이자 里徵의 叔父인 이영윤(1561~1611)까지 그림으로 이름을 날렸으니 里徵은 비록 庶出이기는 했으나 名文 畫家 집안이라는 든든한 背景 속에서 나고 자랐다. 아버지 李慶胤은 아들이 다섯이나 있었지만 그 中 둘째 아들인 里徵을 唯獨 아꼈다. 그런데 하루는 어린 이징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다. 아버지는 꼬박 사흘을 찾아다녔는데 뜻밖에도 아이는 집안에서, 그것도 貴한 그림 모아 둔 다락에서 發見됐다. 그림을 보며 따라 그리느라 배고픈 줄, 날 가는 줄 몰랐던 것이다. 아버지가 얼마나 놀랐겠나. 매를 들어 볼기를 쳤더니 이 녀석이 흘러내린 눈물로 바닥에 새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는 얘기가 몇몇 文獻에 記錄으로 傳한다. 그 程度로 그림에 對한 愛着이 남달랐으니 ‘洪吉童傳’으로 有名한 朝鮮 中期 文人 許筠(1569~1618)은 “彈은 李霆(1569~1607)李 他界한 後 이징이 朝鮮 第一의 畫家”라 極讚했다. 타고난 재주에 남다른 熱情을 가진 이징이 이미 20代 中盤부터 士大夫 社會에 이름을 알렸음을 推論할 수 있는 대목이다.

마침내 里徵은 王室 그림 業務를 도맡아 보는 圖畫署 花園이 됐다. 太祖의 影幀을 補修하고 다시 그리는 作業에 參與했고, 소현 世子 婚禮式의 行事用 屛風을 그렸다. 仁祖가 特히 里徵을 寵愛했다. 仁祖는 王位에 오르기 前에 말 그림 等을 그리며 書畫에 心醉했다. 壬辰倭亂 後 丙子胡亂을 겪으며 어수선한 時局을 버텨나가던 仁祖는 어쩌면 暫時나마 그림에서 慰安을 얻었을 지도 모른다. 甚至於 人組는 里徵을 宮闕에 들어오게 해 곁에 두고 山水와 花鳥 같은 그림을 그리게 했다. 오죽했으면 司諫院으로부터 “賃金이 하찮은 物件에 對한 執着으로 큰 뜻을 잃어버리는 玩物喪志(玩物喪志)가 憂慮된다”면서 里徵을 멀리하라는 强力한 抗議를 받을 程度였다. 그러고도 1638年에 仁祖가 또다시 里徵을 불러 ‘花鳥山水畫’를 그리게 하고 臣下들의 忠言을 듣게 되니, 里徵의 卓越함과 仁祖의 過渡함이 膨膨했던 模樣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징이 平生 緋緞길만 걸었던 것은 아니다. 王室 大軍의 부름을 받아 새로 짓는 집의 丹靑 그리는 일도 마다할 수 없었으니 才能도 넘지 못할 身分으로 因한 갑갑함은 늘 그를 따라다녔다.



李澄 ‘瀟湘八景도’ 中 가을날 모래밭에 내려앉은 기러기떼를 그린 ‘平沙落雁’ /寫眞提供=國立中央博物館


그런 이징이 언제 死亡했는지 生沒年은 분명하지는 않으나 1674年 以後까지 生存했고, 90代에도 그림을 그린 것으로 類推할 수 있는 記錄들이 傳한다. 生涯에 5男4女의 子女를 둘 程度로 多福했는데 그 中 막내 아들을 63歲에 얻었다고 하니 ‘蓮池白鷺’ 속 蓮꽃처럼 맑고 白鷺처럼 꼿꼿하게 長壽한 模樣이다.

이 그림 ‘蓮池白鷺’는 澗松美術館이 所藏한 畫帖의 8幅 그림 中 하나이며 里徵의 基準作으로 꼽힌다. 單番에 科擧及第하라는 中國 옛 말의 뜻대로라면 白鷺가 한 마리여야 하지만 朝鮮의 畫家들은 和合과 調和를 追求해 普通 白鷺 두 마리를 그렸고, 李澄 또한 그랬다. 한 마리는 사냥에 成功해 물고기를 막 입에 넣고 삼키려는 中이다. 물고기가 퍼덕이는데도 가느다란 두 다리를 곧게 펴고 고개를 쳐든 姿勢가 凡常치 않다. 그 옆의 한 마리는 매서운 눈으로 물 위를 노려보며 한쪽 다리를 살짝 들어 올린 모습이 이내 곧 물고기를 잡을 듯하다. 두 白鷺의 相反된 姿勢가 均衡感을 이루는 同時에 細部 描寫도 緻密하다. 바탕의 흰色을 그대로 두고 몇 個의 옅은 선 만으로 簡略히 그렸지만 깃털의 質感과 부리·다리의 딴딴함이 느껴진다. 말리고 시든 蓮잎은 높낮이를 달리해 多彩롭고, 날카롭게 솟은 갈대가 둥근 鳶과 對句를 이룬다. 簡略하게 그린 勿忘草와 마름을 蓮못 군데군데에 두어 畵面 全體에 生氣를 더해 준 것도 재치있다.

李澄 ‘泥金山水圖’ 87.9x63.6cm 크기 緋緞에 金으로 그린 作品. /寫眞提供=國立中央博物館


里徵의 또 다른 作品으로 國立中央博物館이 所藏한 ‘瀟湘八景도’, 검은 緋緞에 金과 진흙을 개어 만든 顔料로 그린 ‘泥金山水圖’가 有名하다. 가운데 소나무를 두고 兩 옆으로 樓閣 한 채씩을 놓은 그의 金빛 算數는 그야말로 꿈에 본 듯 夢幻的인 風景이다. 里徵의 이들 山水畫를 보면 畫家의 性向을 어느 程度 斟酌할 수 있다. 그가 活動했던 17世紀에 가장 流行했던 것은 名臺 저장省 脂肪 樣式의 影響을 받은 ‘折破(浙派) 畫風’이었다. 하지만 里徵의 그림에서는 그보다 앞선 朝鮮 初期의 代表 畫家 眼見을 推仰한 ‘安堅派 畫風’李 感知된다. 자칫 예스러운 畫風이라 置簿될 수 있는 우리 固有의 傳統畫法을 尊重하고 따랐던 것. 그러면서도 慇懃하게 自身의 色깔을 드러내고 그 속에서 또한 調和와 均衡美를 追求했으니 里徵은 改革的 保守主義者가 아니었을까. 倭亂과 胡亂으로 疲弊해진 朝鮮 땅에서 어둠에서도 빛을 發하는 그림을 통해 이징이 그리고 싶은 理想鄕은 이처럼 堂堂하고 希望찼다.
/조상인記者 ccsi@sedaily.com
< 著作權者 ⓒ 서울經濟, 無斷 轉載 및 再配布 禁止 >
住所 : 서울特別市 鍾路區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洞 14~16層 代表電話 : 02) 724-8600
相互 : 서울경제신문 事業者番號 : 208-81-10310 代表者 : 손동영 登錄番號 : 서울 가 00224 登錄日子 : 1988.05.13
인터넷新聞 登錄番號 : 서울 아04065 登錄日子 : 2016.04.26 發行日子 : 2016.04.01 發行 ·編輯人 : 손동영 靑少年保護責任者 : 신한수
서울經濟의 모든 콘텐트는 著作權法의 保護를 받는 바, 無斷 轉載·複寫·配布 等은 法的 制裁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經濟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經濟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