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SF (장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SF (장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SF 小說 에서 넘어옴)

사이언스 픽션 (Science Fiction), 略稱 SF 科學 敵 事實이나 假說을 바탕으로 외삽 한 世界를 背景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를 담은 文學 장르인 科學小說 (科學小說) 또는 SF 小說 을 가리키며, 나아가서는 그런 要素를 가진 映畫 等의 다른 媒體들의 장르를 包括하는 單語다.

正義 [ 編輯 ]

SF 文學은 槪論的으로는 科學的인 革新 과 그것이 人間 生活에 끼치는 影響을 즐겨 다루는 "槪念(idea)의 文學"으로 보는 觀點이 一般的이지만 [1] , 各論으로 들어가면 1世紀가 넘는 歷史를 통해 細分化된 廣範圍한 下位장르 主題 를 가지고 있어 한마디로 定義하기 어렵다.

作家이자 編輯者인 나이트 는 이러한 어려움을 要約하기 위해, "우리가 손을 들어 가리키면 그것이 바로 SF이다" [2] 라고 말했다. 이것은 作家 글래시 의 말을 떠올리게 한다. "SF의 定義는 포르노그래피 의 定義와 같다. 當身은 그게 뭔지 모르지만, 보는 瞬間 알게 된다." [3] 나보코프 는 嚴密하게 定義하면, 셰익스피어 의 戱曲 《 템페스트 》는 SF여야 한다고 主張했다. [4] (이는 《 프랑켄슈타인 》 1818年版 序文에서 言及되는 內容이기도 하다.)

作家인 下人라인 에 依하면, "거의 大部分의 SF에 對한 簡便하고 짧은 定義는 아마도 이것이다: 科學的 方法 의 意味와 自然에 對한 徹底한 理解, 그리고 未來와 過去의 現實 世界에 對한 充分한 知識에 基盤한, 可能한 未來의 事件들에 對한 現實的인 推測." [5] 셜링 의 定義는 이렇다. "판타지는 蓋然性 있게 만들어진 不可能한 것. SF는 可能하게 만들어진 蓋然性 없는 것." [6] 델레이 는 "獻身的인 愛好家나 팬이라 해도, SF가 무엇인지 定義하기 힘들어 한다"라고 적었다. 그 理由는 "完全히 만족스러운 定義"란 없고, "SF의 輪廓에 限界"란 없기 때문이다. [7] c追加한다.

SF는 主로 合理 敵으로 그리는 對案的인 可能 世界와 未來에 基盤해있다. [8] 이 장르는 그런 面에서 판타지 와 비슷하면서도 다른데, 이야기 의 脈絡內에서, SF의 想像的 要素는 科學 敵으로 定立됐거나 科學的으로 假定된 物理 法則 으로 大部分이 可能해진다.(그렇지만 이야기 속 몇몇 要素는 如前히 純粹하게 想像된 事變日 수 있다)

SF의 背景 은 種種 合意된 現實 과 反對이지만, 大部分의 SF는 다양한 假想의 要素로 可能性 있는 科學的 假說이나 解決策을 提示함으로써 讀者의 마음에 促進된 相當한 程度의 不信의 猶豫 에 依存하고 있다. SF의 要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包含한다:

空想科學이라는 表現 [ 編輯 ]

20世紀의 大韓民國에서 사이언스 픽션은 主로 '空想科學小說'로 指稱되었고, 그 延長線上에 있는 '空想科學映畫'라든지 '空想科學漫畫' 等의 表現에서 알 수 있듯이 장르 全體를 가리키는 形容詞로 자리잡았는데, 이것은 西歐의 사이언스 픽션을 직접的인 飜譯이 아니라 日本 出版物의 重役 을 통해 間接的으로 輸入했던 過程의 副産物이다.

1959年 日本의 하야카와(早川) 出版社는, 美國의 科學小說 雜誌인 판타지와 사이언스 픽션(The Magazine of Fantasy and Science Fiction; 略稱 F&SF)과 提携하여 日本의 代表的인 SF 月刊誌였던 S-F 매거진 (S-F マガジン)을 創刊하면서 雜誌 表紙에 『空想科學小說地( 日本語 : 空想科?小?誌 )』라는 誤譯에 가까운 副題(副題)를 붙였다. [12] 여기서 '空想科學'이라는 用語는 本來 雜誌 이름 中 'Fantasy'를 文學 장르인 '판타지'가 아닌 '空想'으로 誤認하고 만들어낸 便宜的인 造語였는데, 이를 契機로 日本 國內에서 '空想科學小說'은 1960年代 中盤까지 'science fiction'의 譯語로 곧잘 쓰였다. 當時 日本에서도 SF라는 略語는 아직 生疏했던 탓에 '空想科學小說'뿐만 아니라 '科學小說', '幻想科學小說', '未來科學小說'이라는 譯語들이 함께 쓰였는데, 1970年代 中盤의 애니메이션 人氣로 因한 SF 붐이 社會 現象으로까지 格上되면서 'SF 小說', 'SF 映畫', 'SF 애니메이션' 하는 式으로 SF라는 略語가 完全히 자리잡았고, 그 結果 위의 漢字語들은 1980年代에는 장르를 指稱하는 表現으로서는 完全히 死語化했다.

그러나 1980年代 以前의 大韓民國에서는 日本의 兒童用 小說 全集이나 外國語 辭典類를 통째로 重役 (重譯)하거나 參考해서 出刊하는 일이 잦았기에 當時 日本에서 使用하던 '空想科學'이라는 表現이 사이언스 픽션에 對한 譯語로 뿌리를 내리게 되었으며, 21世紀 들어서도 업데이트가 未備한 辭典類 [13] [14] [15] 나 言論 記事 [16] [17] [18] 等에서는 如前히 使用되고 있다.

'空想科學'은 詳述했듯이 애當初 拙譯과 無批判的인 日本 文化 受容에서 비롯된 用語이고, 特히 '空想'이라는 漢字 單語가 장르의 올바른 理解와 受容을 深刻하게 沮害하므로 價値 中立的이며 國際 基準에 맞는 'SF'로 完全히 代替해야 한다는 主張은 1990年代부터 꾸준히 있어왔는데. 그 根據는 다음과 같다.

  • '空想科學'은 當初 '사이언스 픽션'뿐만 아니라 판타지 를 包含하는 表現으로서 만들어진 것이므로 根本的 誤謬가 있고 嚴密하지 못한 單語이다. [19] 따라서 英語 Science Fiction을 韓國語로 飜譯함에 있어, '空想'이란 單語가 包含될 理由가 없다.
  • 韓國語의 '空想'은 '이루어질 수 없는 헛된 想像'을 의미하므로 사이언스 픽션의 本來 뜻을 深刻하게 毁損하며, [20] 特히 儒敎 의 影響이 剛한 韓國 特有의 敎育 環境에서는'망상'과 크게 다르지 않은 否定的인 脈絡에서 使用되는 境遇가 많다. [21] [19] [22] [23] 때문에 "該當 單語가 90年代 以後 2000年代初까지 팬덤 內部에서 장르에 對한 自意識이 成熟하는 동안 많은 SF 讀者들에게 傷處를 준 말이었으며, 只今도 적지 않은 SF讀者들이 不快感을 느끼는 單語" [24] [25] 인 것이 事實이다.

위와 같은 理由로 國內 SF 팬덤과 出版界와 學界에서는 오랫동안 '空想科學小說'을 '科學小說'로 바꿔부르는 데 努力을 기울여왔고, SF 文學과 SF 映畫가 크게 注目받기 始作한 2020年代 以後에는 言論界에서도 映畫, 漫畫, 게임 等 餘他 媒體를 包含한 廣範圍한 장르의 이름으로서 '空想科學'李 아닌 'SF'가 漸漸 優位를 占하는 中이다. [26] [27]

한便 中國 에서는 SF장르를 科學幻想( 中國語 : 科?幻想 ) 또는 簡單히 科宦이라고 부른다 [2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서도 '科學幻想作品'이라는 類似用語를 使用한다. [29]

사이파이(Sci-fi)라는 表現 [ 編輯 ]

Sci-Fi(사이-파이)라는 略語는 1954年에 科學小說 硏究家인 애커먼 에 依해 公式 文獻에 使用되었다. [30] 下人라인 은 이보다 6年 먼저 私的인 글에 이 用語를 使用하였다. [31] SF가 大衆文化로 擴散되면서 過去에 비해 더 娛樂 志向的인 SF물이 많이 登場하게 되었고, 一部 映畫 批評家들이 低級한 'B級 SF 映畫'를 'Sci-Fi'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따라서 一部 評論家 等은 이 略語를 蔑稱(蔑稱)으로 보기도 하지만, 一般的으로는 SF와 마찬가지로 價値中立的인 用語로 看做된다. [32] [33] [34]

歷史 [ 編輯 ]

SF를 思索 스토리텔링 을 통해 世界를 理解하기 위한 手段으로서 把握해보면, 이 장르의 起源은 神話 와 歷史의 境界가 흐릿하던 時代로까지 거슬러 올라가, 2世紀 루시안 眞짜 歷史 [35] [36] [37] [38] [39] , 아라비안 나이츠 舌禍 [40] [41] , 10世紀의 다케토리 이야기 [41] , 13世紀 이븐 알 나피스 獨學 神學 (Theologus Autodidactus) [42] 을 비롯한 SF의 先驅者格 文學들을 만나게 된다.

막 싹트기 始作한 理性의 時代 의 生産物들과 近代 科學 의 發展에 따라 나타난 스위프트 의 〈 걸리버 旅行記 〉(1726) [43] 볼테르 의 〈 마이크로메가스 〉(1752)와 케플러 의 〈 솜니움 〉(1620~1630) [44] 과 더불어 最初의 사이언스 판타지 作品들 中 하나이다. 아시모프 세이건 은 〈솜니움〉을 最初의 SF로 여긴다. [45] [46] 《솜니움》에서는 달 旅行과 달에서 바라본 地球의 움직임이 描寫됐다. 英國人 貴族 女性 마거릿 캐번디시 의 〈 빛나는 世界 〉(1666) 亦是 初期 SF의 前兆로 여겨진다. [47] [48] [49] [50] 또다른 例示는 홀버그 의 小說 〈 닐스 클림의 地下 旅行 〉(1741)이다.

18世紀 文學 樣式으로서 小說의 發達에 뒤따라, 19世紀엔 셸리 의 〈 프랑켄슈타인 〉(1818)과 〈 最後의 人間 〉李 SF小說의 正義를 내리는데 도움을 주며, 올디스 는 〈프랑켄슈타인〉李 最初의 科學小說이라고 主張했다. [51] [52] 이보다 나중에 는 달 旅行을 그린 이야기 한 篇을 썼다. [53] 이밖에도 더 많은 例示들이 19世紀 全般에 걸쳐 나타났다.

Black-and-white photo of a man with bushy black mustache and black hair with parting.
H.G. 웰스

電氣 , 電報 와 같은 새로운 技術, 새로운 交通施設의 出現에 따라 웰스 베른 은 社會의 다양한 階層에게서 廣範圍한 人氣를 얻은 作品들을 創作했다. [54] 웰스의 〈 宇宙 戰爭 〉(1898)은 發達된 武器를 裝着한 세 발 달린 戰鬪 機械를 탄 火星人들이 後記 빅토리아 時代 의 英國을 侵略하는 이야기를 그렸다. 이것은 外界 侵攻 을 實感나게 描寫한 小說이다.

19世紀 後半, 英國에서 이 픽션을 記述하기 위해 " 科學的 로망스 (scientific romance)"라는 用語가 使用됐다. 이것은 1884年 애벗 의 노벨라 《 플랫랜드: 多次元의 이야기 》를 비롯한 作品을 派生시켰다. 이 用語는 20世紀 初盤 스테이플던 같은 作家들에게까지 이어졌다.

Black-and-white photo of man in formal dress with unkempt hair, mustache and beard.
쥘 베른

20世紀 初盤, 어메이징 스토리즈 의 創刊인 건스백 에 影響받아 나타난 펄프 매거진 들을 통해 主로 美國인 SF 作家들로 이뤄진 새로운 世代가 나타난다. [55] 1912年 버로스 는 火星을 背景으로 존 카터 가 英雄으로 活躍하는 長期 시리즈인 바숨 시리즈의 첫 番째 小說 《 火星의 프린세스 》를 出刊한다. 1928年, 필립 놀란이 어메이징 스토리즈에 벅 로저스 의 原作 小說 아마겟돈 2419를 실은 것은 劃期的인 事件이었다. 이 이야기는 벅 로저스(1929), 브릭 브래드퍼드 (1933), 플래시 고든 (1934)으로 이어지는 連載 漫畫의 바탕이 됐다. 이 連載 漫畫와 連續된 映畫 시리즈는 SF를 大衆化시켰다.

世界 最初의 SF 잡지 어메이징 스토리즈

1930年代, 캠벨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 의 編輯長을 맡게 되고, 아시모프 , 나이트 , 蔚하임 , , 블리視 , 메릴 等을 비롯해 퓨처吏案 이라 불리게 되는 一群의 新進 作家들이 뉴욕시에서 나타난다. [56] 이 時期의 다른 重要한 作家들로 스미스 , 下人라인 , 클라크 , 스테이플던 , 밴보트 等이 있다. 캠벨의 影響力 바깥에서 活動한 作家로 브래드버리 이 있다. 캠벨이 《어스타운딩》誌의 編輯長으로 지낸 期間은 普通 科學小說의 黃金期 가 始作된 時期로 여겨지며, 科學的 發見과 成就를 讚揚하는 하드 SF 小說로 특징지어 진다. [56] 이 時期는 前後 技術的 發展, 골드 가 編輯한 雜誌 《 갤럭시 》의 出現, 그리고 하드 사이언스보다 社會 科學을 더 强調한 새로운 世代의 作家들이 出現하기 前까지 持續됐다.

1950年代 비트 世代 버로스 같은 思辨的 作家들을 包括한다. 1960年代와 1970年代 初盤, "文學的"이거나 藝術的 感性의 知識人的 自意識으로 가득찬 一連의 作家들이 形式이나 內容에 있어 높은 强度의 實驗的 試圖를 벌인 뉴웨이브 가 英國을 中心으로 發興했고, 同時期 美國에서는 허버트 , 덜레이니 , 젤라즈니 , 엘리슨 等의 作家들이 새로운 傾向, 史上, 스타일을 探究한다. [43] 르귄 과 다른 作家들은 소프트 SF 分野를 開拓했다. [57]

1980年代, 깁슨 같은 사이버펑크 作家들은 傳統的인 SF의 樂觀論 과 發展에 對한 支持에서 方向을 돌렸다. [58] 近未來에 對한 디스토피아的인 觀點은 의 小說 《 안드로이드는 電氣羊의 꿈을 꾸는가? 》와 《 都賣價로 記憶을 팝니다 》에 描寫되었다. 《 스타 워즈 》 프랜차이즈는 科學的 嚴密함보다는 이야기와 캐릭터에 더 神經을 쓰는 스페이스 오페라 에 對한 關心을 불러일으켰다. [59] C. J. 체리 外界人 의 삶과 複雜한 科學的 挑戰에 對한 仔細한 探究는 後代 作家들에게 큰 影響을 미쳤다. [60]

1990年代엔 環境 問題 , 글로벌 인터넷과 擴張된 情報의 宇宙의 意味, 바이오테크놀러지 , 나노테크놀러지 , 포스트 冷戰 , 포스트 資源枯渴 社會에 對한 關心을 비롯한 主題들이 急浮上했다. 스티븐슨 의 《 다이아몬드 時代 》는 이러한 主題들을 綜合的으로 探究했다. 로이스 맥마스터 部졸드 의 《 보르코시건 시리즈 》는 캐릭터 中心 敍事를 되돌려왔다. [61] 텔레비전 시리즈 《 스타 트렉: 넥스트 제너레이션 》(1987)李 SF쇼의 汎濫을 豫告했고, 이는 세 篇의 《 스타 트렉 》 스핀오프 쇼( 딥 스페이스 9 , 航海者 , 엔터프라이즈 )와 《 바빌론 5 》로 이어진다. [62] [63] 古代 포털과 銀河系를 가로지르는 게이트들에 對한 映畫 《 스타게이트 》가 1994年 開封했다. TV 시리즈 《 스타게이트 SG-1 》李 1997年 7月 27日 첫 放映되고, 以後 10시즌이 이어져 214個의 에피소드를 남긴다. 애니메이션 시리즈 《 스타게이트 인피니티 》와 TV 시리즈 《 스타게이트 아틀란티스 》, 《 스타게이트 유니버스 》, DVD 職配給 映畫 《 스타게이트: 眞實의 方舟 》, 《 스타게이트: 連續體 》 等의 스핀오프度 나왔다. 《스타게이트 SG-1》은 《 엑스 파일 》의 最長期 北美 SF TV 시리즈 放映 記錄을 突破했고, 이 記錄은 後에 《 스몰빌 》에게 깨졌다. [64]

技術的 變化의 急激한 速度에 對한 憂慮는 빈저 의 小說 《 實時間으로 버려지다 》(Marooned in Realtime)로 大衆化된 技術的 特異點 이란 槪念으로 具體化되고, 이는 다른 作家들에게도 採擇된다. [65]

SF는 發展과 未來 技術을 批判하기도 했지만 革新 과 새로운 技術을 督勵하기도 했다. 이 主題는 SF 포럼보다는 文學과 社會學에서 더 많이 論議되어왔다. 映畫와 미디어 理論街人 비비안 소브冊 은 SF映畫와 技術的 想像力 間의 影響關係를 檢討했다. 技術은 藝術家들과 그들이 虛構的 主題를 다루는 方式에 影響을 미쳤지만, 同時에 假想 世界는 科學의 想像力을 擴張시켰다. 《 윌리엄 섀트너는 어떻게 世上을 바꿨는가 》(How William Shatner Changed the World)는 現實에서 實現된 想像 속 技術의 다양한 例를 다룬 다큐멘터리이다. 새로운 作家들은 클라크 같은 草創期 SF作家들처럼 現在로선 不可能한 技術들을 곧 實現될 것처럼 보이게 만들 方法을 찾고 있다. [66]

SF의 範疇 [ 編輯 ]

하드 SF [ 編輯 ]

아서 C. 클라크

하드 科學小說, 或은 "하드 SF"는, 自然科學, 特히 物理學 , 天體 物理學 , 化學 의 正確한 細部事項에 對한 嚴格한 關心, 或은 더 發展한 技術이 可能하게 만들었을 世界에 對한 精密한 描寫로 특징지워진다. 科學 分野의 碩博士 學位를 가진 作家들이 壓倒的으로 많은 것도 特徵이다. 그레고리 벤퍼드 , 제프리 A. 랜디스 , 데이비드 브린 , 아이작 아시모프 , 아서 C. 클라크 , 로버트 L. 포워드 , 프레드 호일 等의 하드 SF 作家들은 現職 科學者 出身이며, 루디 루커 , 버너 빈지 , 찰스 셰필드 , 래리 니븐 같은 數學者들도 있다. 21世紀의 가장 主要한 하드 SF 作家들로는 테드 窓 , 그레그 이건 , 그레그 베어 , 로버트 J. 소여 , 스티븐 백스터 , 얼레이스터 레널즈 等이 있다.

소프트 SF [ 編輯 ]

"소프트" SF는 아마도 社會 科學 , 이를테면 心理學 , 經濟學 , 政治學 , 社會學 , 人類學 에 基盤한 作品들이라고 넓게 定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分野에서 有名한 作家로 르귄 , 等이 있다. [55] [67] 소프트 SF라는 用語는 하드 SF에 比해 嚴密한 範疇는 아니며, 科學 및 科學技術의 描寫에 많은 힘을 쏟는 하드 SF에 비해 人物 造形과 文章의 完成度에도 같은 程度 또는 그 以上으로 注意를 기울인 SF 小說들을 指稱하는 두리뭉실한 用語이다.

SFWA 그랜드 마스터 브래드버리 는 自他가 公認하는 소프트 SF의 巨匠이다. [68] 東歐圈 폴란드 作家 , 자이델 蘇聯 作家 스트壘가츠키 兄弟 , 不利초프 , 자먀틴 , 豫프레모프 等을 비롯한 厖大한 分量의 社會科學的 SF 小說을 生産해냈다. [69] [70] 어떤 作家들은 하드 SF와 소프트 SF 사이의 境界를 흐릿하게 만들기도 했다. [71]

社會科學 小說과 소프트 SF는 유토피아 [72] 디스토피아 이야기와 聯關된다; 오웰 의 《 1984 》, 헉슬리 의 《 멋진 新世界 》, 애트우드 의 《 侍女 이야기 》가 그 模範的인 事例이다. 스위프트 의 《 걸리버 旅行記 》 같은 諷刺 小說 또한 科學小說이나 事變小說로 看做된다.

下位 장르 [ 編輯 ]

SF를 固定된 下位장르 로 分類하는 것은 各各의 下位장르들이 簡單히 定義되지 않기 때문에 問題의 素地가 있다. 時間旅行物이나 超人物처럼 傳統的인 主題나 素材로 이루어진 分類가 있는가 하면, 뉴웨이브나 사이버펑크처럼 장르 內部의 力動的인 文學的 思潮가 下位장르 乃至는 그에 準하는 範疇로 定着한 事例도 드물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硏究들은 一般的인 下位장르들을 서로 重複된 것으로 把握하며, 同時에 장르 밖이나 그 사이에서 장르의 境界에 包攝되지 않는 空間도 存在한다. 더 나아가, 大衆 市長과 文學 批評 사이에도 장르와 分類를 設定하는데 相當한 視角差가 存在한다는 點을 留念해야 한다.

사이버펑크 [ 編輯 ]

사이버펑크 장르는 1980年代 初盤에 登場했다. 이 用語는 사이버네틱스 펑크 의 合成語 [73] 로서, 베트케 의 1980年 短篇 《사이버펑크》를 통해 처음 만들어졌다. 時間的 背景은 主로 筋未來이며, 設定은 大槪 디스토피아 敵이고, 特有의 苦痛으로 形象化된다. 사이버펑크의 一般的인 主題는 情報 技術 , 特히 사이버스페이스 를 통해 視覺的으로 抽象化된 인터넷 의 發展, 人工 知能 , 補綴學 , 企業이 政府보다 强한 影響力을 지닌 포스트-民主主義 社會的 制御 等이다. 니힐리즘 , 포스트 모더니즘 , 필름 느와르 技法이 一般的인 要素이며, 主人公은 反抗的인 안티 히어로 일 때도 있다. 잘 알려진 作家로 깁슨 , 스털링 , 스티븐슨 , 캐디件 이 있다. 제임스 誤흘레이는 1982年 映畫 《 블레이드 러너 》를 사이버펑크 비주얼 스타일의 決定的인 例示라고 말했다. [74] 이것은 後에 오시이 의 《 空殼 機動隊 》나 워쇼스키 兄弟 매트릭스 시리즈 等의 映像物에도 强한 影響을 미쳤다.

時間 旅行 [ 編輯 ]

時間旅行물은 18世紀나 19世紀에 그 前身이 나타난다. 最初의 重要한 時間旅行 小說은 트웨인 의 〈 아서왕 宮殿의 코네티컷 양키 〉이다. 가장 有名한 小說은 웰스 의 1895年作 《 타임 머신 》이다. 트웨인의 小說과 比較했을 때 웰스의 小說에선 時間旅行 裝置가 操縱者의 意志에 따라 움직인다는 差異가 있다. " 타임 머신 "이라는 用語는 웰스가 만들어낸 것이며, 이젠 時間旅行 裝置를 부르는데 普遍的으로 쓰이고 있다. 《 백 투 더 퓨처 》는 이 分野의 가장 有名한 프랜차이즈 中 하나이다. 時間旅行물은 祖父母 패러독스 같은 論理的 問題로 인해 複雜해진다. [75] 時間 旅行은 현대 SF에서도 繼續해서 人氣있는 主題이며, 이를테면 《 스타게이트 SG-1 》이나 BBC 의 텔레비전 드라마 《 닥터 後 》가 이것을 다루고 있다.

代替 歷史 [ 編輯 ]

代替 歷史는 歷史的 事件이 다르게 展開됐을 수도 있다는 前提를 바탕에 깔고 있다. 이 分野의 小說들은 種種 過去를 바꾸기 위해 時間 旅行을 動員하거나, 簡單하게 우리의 歷史와는 다른 宇宙를 設定한다. 美國 南北 戰爭 에서 南軍이 이겼다는 假定下에 展開되는 무어 의 《 禧年을 宣布하라 》(Bring the Jubilee)나 獨逸과 日本이 第2次 世界大戰 에서 勝利했다는 假定下에 展開되는 의 《 높은 誠意 사나이 》가 이 分野의 古典이다. 橫向 上 은 最高의 代替歷史물에 授與된다. 이 이름은 라인스터 의 1934年 作品 《 時間의 橫向 》에서 가져왔다. 터틀도브 는 이 分野의 가장 눈에 띄는 作家이며, 種種 "代替 歷史 마스터"로 불린다. [76] [77]

韓國에서는 詳述한《 높은 誠意 사나이 》에 觸發받고 쓴 복거일 의 《 悲鳴을 찾아서 》가 이 分野의 嚆矢로 손꼽힌다.

밀리터리 SF [ 編輯 ]

밀리터리 SF 는 國家, 行星, 恒星間의 軍事 紛爭을 背景으로 삼은 下位장르이며, 가장 重要한 캐릭터는 大槪 軍人이다. 밀리터리 SF는 軍事 技術, 節次, 意識, 歷史의 細部 事項을 包含하며, 種種 實際 일어난 歷史的 紛爭을 거울처럼 비춘다. 下人라인의 《 스타쉽 트루퍼스 》는 고든 딕슨 의 《 度사이 》와 함께 이 分野 初期의 例示이다. 初期 作家 兆 홀드먼 의 《 永遠한 戰爭 》은 베트남 戰爭 時期 第2次 世界 大戰 스타일로 創作된 이 장르에 對한 批判이다. [78] 존 링고 , 데이비드 드레이크 , 데이비드 웨버 , 톰 크래트먼 , 마이클 Z. 윌리엄슨 , S. M. 스털링 , 존 F. 칼 , 돈 호스론 等이 이 分野에서 눈에 띄는 作家이다. 倍인 북스 出版社는 이 小說家들 여럿을 育成한 것으로 有名하다. [79]

超人物 [ 編輯 ]

超人物은 平凡한 人間보다 더 뛰어난 能力을 가진 人間들의 登場을 主題로 다룬다. 스테이플던 의 小說 《 異常한 존 》과 스터展 의 《 人間을 넘어서 》, 와일리 의 《劍鬪士》에서처럼 自然的 發生을 起源으로 삼거나, 아니면 밴보트 의 小說 《 슬랜 》에서처럼 科學的 進步를 통한 意圖的인 改造를 起源으로 삼는 境遇도 있다. 超人物이 主로 焦點을 맞추는 것은 超人들을 보는 社會의 反應과 超人들이 느끼는 疏外感이다. 超人物은 現實 社會에서도 人間 改造 에 對한 討論에서 일정한 役割을 한다. 의 《 맨 플러스 》 亦是 이 카테고리에 包含된다.

아포칼립스, 포스트-아포칼립스물 [ 編輯 ]

아포칼립스물은 戰爭을 통한 文明의 終末 ( 海邊에서 ), 傳染病( 最後의 人間 ), 隕石 衝突( 世界가 衝突할 때 ), 生態學的 災害( 未知에서 불어온 바람 ), 그리고 其他 一般的 災害 나 災害 發生 以後의 世界와 文明에 對해 다루는 下位장르이다. 스튜어트 의 小說 《 견디는 地球 》(Earth Abides)와 팻 프랭크 아아, 바빌론 等이 이 分野의 典型이다. 포스트-아포칼립스물이 近未來( 매카시 의 《 로드 》)닥친 災殃의 餘波부터 375年 後의 未來(바빌론의 물로 인해), 數百 數千年 後의 未來( 러셀 湖畔 리들리 워커 , 월터 M. 밀러 2歲 레보위츠를 위한 송가 )까지 廣範圍하게 다루는 데 비해, 아포칼립스물은 一般的으로 災殃 그 自體와 그 直後의 餘波를 다룬다. 아포칼립스 SF는 비디오 게임에서 人氣있는 장르이다. 批評的으로 讚辭를 받은 폴아웃 시리즈 는 核戰爭의 生存者들이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고 社會를 再建하기 위해 애쓰면서 漸次 回復되어 가는 포스트 아포칼립스的인 地球를 背景으로 한다.

스페이스 오페라 [ 編輯 ]

스페이스 오페라 는 作中 一部, 或은 作中 全體를 外宇宙나 여러 個의 (때로 멀리 떨어진) 行星들을 背景으로 삼는 SF 冒險物이다. 葛藤은 大槪 英雄的이고, 大規模로 發生한다.

"스페이스 오페라"라는 用語는 때로 荒唐한 플롯, 터무니없는 科學, 골板紙 같은 캐릭터를 가리키는 말로써 輕蔑的으로 쓰인다. 하지만 이 用語는 同時에 노스탤지어的으로도 쓰이며, 現代 스페이스 오페라는 SF의 黃金期 時節의 驚異感 을 再奪還하기 위한 試圖를 하고 있다. 이 서브장르의 先驅者는 종달새 렌즈맨 시리즈를 쓴 에드워드 E. (닥) 스미스 이다. 조지 루커스 스타 워즈 시리즈는 스페이스 오페라 映畫 프랜차이즈 中 가장 有名하다. 이 시리즈는 온宇宙를 가로질러 펼쳐지는 善과 惡의 莊嚴한 對決을 다룬다. 알래스터 레이놀즈 默示論 宇宙 (Revelation Space) 시리즈, 피터 F. 해밀턴 보이드 三部作 , 밤의 새벽 , 판도라의 別 시리즈, 버너 빈저 深淵 위의 불길 , 하늘의 깊이 는 이 장르의 새로운 見本이다. 비디오 게임界에서 나타나는 스페이스 오페라의 좋은 例로 매스 이펙트 시리즈가 있다.

社會 科學 小說 [ 編輯 ]

社會 科學 小說은 人間 社會와 SF的 設定에 配置된 人間의 本性에 焦點을 맞추는 SF 下位장르이다. 大部分 人類에 對한 事變에 集中하는 代身 科學的 嚴密함엔 神經을 덜 쓰기 때문에 普通은 소프트 SF 로 分類된다.

其他 下位 장르 [ 編輯 ]

팬덤과 커뮤니티 [ 編輯 ]

S F 팬덤 은 "아이디어 文學의 커뮤니티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社會에 出市되기 前에 나타나 길러지는 文化이다." [80] 이 커뮤니티의 構成員인 " "들은 컨벤션 이나 클럽, 종이나 온라인 팬陣 , 웹사이트, 메일링 리스트 를 비롯한 여러 通路를 통해 서로 接觸한다.

美國의 SF 팬덤은 《어메이징 스토리즈》의 書翰 칼럼을 통해 登場했다. 곧 팬들은 서로에게 便紙를 쓰기 始作했고, 後에 팬陣으로 알려질 非公式 出版物을 통해 自身들의 論評을 모았다. [81] 定期的인 連絡이 이어지자 팬들은 서로를 만나고 싶어했고, 地域 클럽을 組織했다. 1930年代, 最初의 SF 컨벤션 은 팬들을 더 넓은 空間에서 만나게 했다. [82] 컨벤션, 클럽, 팬陣은 인터넷이 더 많은 사람들 間의 通信을 容易하게 만들기 前까지 數十年間 팬 活動의 支配的인 樣式이었다.

韓國에서 最初로 有意味한 形態로 組織된 팬덤은 나우누리 , 千里眼 等의 PC 通信 을 基盤으로 하고 있으며, 以後 인터넷 時代가 開幕하며 보다 個人的인 性向의 팬덤層이 나타났다. 2017年에 이르러 SF作家들만으로 構成된 韓國科學小說作家連帶(SFWUK) 와 넓은 範圍의 팬 中心 團體인 韓國SF協會 가 만들어졌다.

[ 編輯 ]

一般的으로 世界 SF 學會 (World Science Fiction Society)의 월드콘에서 授與되는 휴고賞 , SFWA와 作家 커뮤니티의 投票를 통해 選定되는 네뷸라 上 , 最高의 科學小說을 위한 존 W. 캠벨 記念像 , 테오도어 스터展 記念像 (短篇) 等이 가장 權威있는 SF賞으로 取扱된다. SF映畫 分野에서 有名한 上으로 SF, 판타지, 호러 映畫 아카데미가 每年 授與하는 土星 上 이 있다.

그밖에 캐나다의 프릭스 오로라 上 (Prix Aurora Awards)이나 日本의 星雲上 같은 國家別 上, 太平洋 北西部 오리콘에서 授與되는 엔데버 上 같은 地域別 上, 판타지 分野의 世界 판타지 上 이나 美術 分野의 첼시 上 처럼 下位장르에 授與되는 像들이 存在한다.

韓國에는 科學技術 創作文藝 가 있었으나 곧 廢止됐고, 2014年 果川SF映畫祭 의 一環으로서 SF 어워드 가 始作됐다. 같은 해 한낙원科學小說上 이 制定됐다. 2016年에는 韓國科學文學賞 이 생겼다. 2021年에는 作家 문윤성 을 기리는 문윤성 SF 文學賞 이 始作됐다.

컨벤션, 클럽, 團體 [ 編輯 ]

미니콘 에서 朗讀 中인 파멜라 딘

컨벤션(팬덤에서는 主로 "콘"으로 줄餘부름)은 世界 各地의 都市에서 열리는 地方, 地域, 國家, 國際 行事이다. 一般的인 컨벤션은 SF의 모든 側面을 다루지만, 미디어 팬덤 이나 펄킹 을 비롯한 몇몇은 특정한 分野에 焦點을 맞추기도 한다. 大部分 NGO 의 自願奉仕者들로 組織되지만, 미디어 志向的 이벤트들은 主로 商業的인 프로모터들로 組織된다. 컨벤션의 行事들은 "프로그램"으로 불리며, 이는 패널 討論會, 讀書會, 사인會, 코스튬 舞蹈會 等을 包含한다. 프로그램의 一環이 아닌 컨벤션 내내 持續되는 行事들로는 딜러의 房, 아트 쇼, 歡迎 라운지("콘 스위트룸") 等이 있다. [83]

컨벤션엔 授賞式이 包含될 수도 있다. 월드콘 은 每年 휴고賞 을 授與한다. 形式的인 脈絡에 執着하지 않는 "클럽"이라 불리는 SF 組織들은 SF팬들을 위한 年中 行事를 연다. 이것은 SF 컨벤션이나 定期 클럽 미팅과 連繫될 때도 있다. 大部分의 모임은 圖書館, 學校, 大學校, 커뮤니티 센터, 술집, 食堂, 組織員의 집에서 열린다. 傳統 있는 모임인 뉴잉글랜드 SF 協會 , 로스 앤젤레스 SF 協會 等은 모임을 위한 클럽하우스와 컨벤션 資料와 硏究 資料들이 保管된 倉庫를 保有하고 있다. [84] 專門 SF 作家들을 위한 美國 SF&판타지 作家 모임 (SFWA)는 1965年 데이먼 나이트 에 依해 非營利 團體로 設立됐다. [85] 24年 後 데이먼 나이트의 에세이 "團結 또는 저런!"은 國立 판타지 팬 聯合 에 引繼됐다. 팬덤은 미디어 팬덤 [86] , 創造的인 時代錯誤를 위한 모임 [87] , 게이머 [88] , 플리커 , 퍼리 팬덤 [89] 等의 關聯 그룹이 誕生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韓國에서는 1999年 SF컨벤션協會가 出帆해 韓國SF컨벤션 을 目標로 했고, 2018年 SF&판타지 圖書館과 韓國SF協會가 이를 이어받아 行事를 進行 中이다.

팬陣, 온라인 팬덤 [ 編輯 ]

最初의 SF 팬陣 《彗星》은 1930年에 出刊됐다. [90] 팬陣의 出版 方式은 젤라틴판 , 둥사판 , 저두 機械 에서 現代的인 輻射 方式에 이르기까지 數十年에 걸쳐 變化했다. 流通과 配給은 가끔씩 商業 印刷物의 價格을 決定한다. 現代 팬陣은 컴퓨터 프린터 나 地域 印刷所, 或은 이메일 을 통해서 發行된다. 現在 가장 有名한 팬陣은 데이빗 랭포드 가 編輯하는 《 앤徐블 》이며, 該當 팬陣은 여러 次例 휴고賞을 受賞했다. 最近 賞을 받은 다른 팬陣들로 《 파일 770 》, 《 미모사 》, 《 플록打 》가 있다. [91] 브래드 W. 포스터, 테디 할非我, 兆 메이휴처럼 팬陣을 위해 일하고 있는 아티스트들이 業界에서 注目 받고 있으며, 휴고賞은 最高의 팬 아티스트 項目을 新設했다. [92] 가장 草創期에 組織된 온라인 팬덤은 SF Lovers 커뮤니티이며, 이것은 本來 1970年代 後半 定期的으로 업데이트되는 아카이브 파일 을 받던 메일링 리스트에 基盤한 것이다. [93] 1980年代, 유즈넷 그룹이 온라인上에서 크게 擴張했다. 1990年代, 월드 와이드 웹 의 開發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暴發的으로 증가시켰다. 말그대로 數千 數萬個의 SF와 關聯 장르, 媒體를 다루는 웹사이트가 나타났다. [84] 大部分의 사이트는 小規模에 짧게 持續됐으며, 좁은 分野에 集中했지만, SF 사이트 처럼 廣範圍한 SF 關聯 레퍼런스와 리뷰를 提供하는 사이트도 있었다.

팬 픽션 [ 編輯 ]

愛好家들 사이에선 主로 "팬픽"으로 불리는 팬 픽션은 旣存의 冊, 映畫 , 비디오 게임 , TV 시리즈(드라마) 等의 設定을 바탕으로 創作되는 非營利 敵 픽션을 일컫는다. [94] 이 現代的인 意味의 用語는 (1970年代 以前의) 傳統的인 "팬 픽션"의 意味와 헷갈리기 쉽다. 本來 팬덤 커뮤니티內에서 팬 픽션이란 팬들이 創作해 팬陣 에 실은 (種種 팬들 自身을 作中 人物로 活用한) 오리지널, 패러디 픽션을 말하는 것이었다. 한 例로 1956年 아일랜드 팬 존 베리가 그와 아서 톰슨 의 팬陣人 《懲罰》(Retribution)에 實은 軍 디펙티브 에이전시(Goon Defective Agency) 이야기가 있다. 最近 몇年間, SF 宇宙間의 콜라보레이션을 志向하는 오리온의 팔 , 갤럭시키 等의 사이트가 脚光을 받고 있다. 어떤 境遇엔 冊, 映畫, TV 시리즈의 著作權者가 그들의 辯護士를 통해 팬들에게 "中斷 및 丹念" 勸告를 通知下祈禱 한다.

SF 硏究 [ 編輯 ]

眞摯한 文學으로서 [ 編輯 ]

重要한 로망스 作家로 여겨지는 셸리 는 《 프랑켄슈타인 》을 비롯한 SF小說을 여럿 썼다. [95] 幼年期의 끝 》를 비롯한 많은 SF小說들이 批評的 呼應을 이끌어냈다. 헉슬리 의 《 멋진 新世界 》, 오웰 의 《 1984 》, 버지스 의 《 時計胎葉 오렌지 》, 애트우드 의 《 侍女 이야기 》 等 主流 文學에서 尊敬받는 여러 作家들이 SF를 썼다. 노벨 文學賞 受賞者 레싱 은 SF 시리즈 《 아르고스의 카노푸스 》를 썼고, 보니것 이 쓴 大部分의 作品은 SF의 素材나 테마를 包含하고 있다.

學者 시피 는 SF에서 끊임없이 論議되는 主題들에 對해 質問을 던졌다: "SF와 판타지의 關係란 무엇인가? SF 讀者는 如前히 男子 靑少年들이 支配的인가? SF는 成熟하지만 怪癖하지 않은 文學者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趣向인가?" [96] SF 作家 르귄 은 그女의 여러 次例 再版된 에세이 "科學小說과 브라운 否認(Science Fiction and Mrs Brown)"에서 이러한 質問에 答辯하기 爲해 英國 作家 울프 의 에세이 《베넷 氏와 브라운 否認》을 引用하며 始作한다.

나는 모든 小說은…대영 帝國의 榮光을 記念하여 노래를 부르거나 敎理를 說敎하지 않는, 캐릭터를 다루며, 그리하여 小說이란 樣式은 서투르고, 仔細하며, 드라마틱하지 않고, 豐富하며, 歎聲的이고, 생생하도록 鎭火했다고 믿는다. …偉大한 小說家들은 캐릭터를 통해 讀者에게 그들이 보여주고 싶은 것을 보여준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小說家가 되는 代身 詩人, 歷史家, 팸플릿 作成家가 됐을 것이다.

르귄은 이러한 基準이 SF에도 成功的으로 適用된다고 主張하며, 따라서 에세이 初入部에 修辭的으로 던진 "SF 作家가 小說을 쓰는 것이 可能한가?"라는 質問에 肯定的인 答辯을 내놓는다.

시피 [96] 는 그의 에세이에서 르귄의 主張에 反論하지는 않으나, SF 小說과 SF 分野 밖에서 쓰인 小說 間에 놓인 本質的 差異를 論議하고 確認한다. 이를 爲해, 그는 오웰의 《 숨쉬러 나가다 》와 C. M. 콘블루스 의 《 宇宙 商人 》을 比較하고, SF 小說의 基盤과 特性은 노붐 ( 多코 수빈 블로흐 에게서 가져와 "事實이 아닌 것으로 認識될 수 있는, 하지만 同時에 事實과 다르지 않은, (現在의 知識으로는) 確實하게 不可能하지 않은 情報의 個別 조각" [97] 이라고 定義한 用語)의 存在라고 결론짓는다.

한便 포스트 모더니즘 의 主唱者라 불리는 피들러 는 1970年代부터 主流 文學과 SF를 區分하기가 "黃金期" 時節 作家들이 主張하던 때처럼 쉽지 않다고 말한다. 그러나 同時에 "解釋學에서나 適切한 不毛의 言語"를 통해 "學問的 解釋"을 하는 아카데미 學者들이 "不適切하게도 엘리트 批評理論을 빌어 使用"하고 있다고 主張하며, 이를테면 下人라인 , 아시모프 , 特히 밴보트 , 닥 스미스, 스테이플던 같은 作家들이 英文學 契에서 種種 SF小說에 愛着을 가진 學者들에게조차 不當하게 무시당하는 現實은 科學小說의 失敗가 아니라 倫理的, 審美的인 엘리트批評이 評價의 잣대로 삼는 傳統的 基準의 失敗를 말하고 있다고 論한다. [98]

SF는 古典的 文學과 比較했을 때 相對的으로 明確하고 直說的인 文章을 驅使한다. SF와 비SF 小說을 모두 쓰는 作家 카드 는, SF에서 作品의 메시지와 知的 意味는 이야기 內部에 包含되며, 따라서 文體의 氣믹이나 文學的 게임이 있을 必要가 없다고 假定했다. 하지만 一部 作家들과 評論家들은 言語의 明確性을 藝術性의 不足과 混同한다는 것이다. 카드의 말을 引用하면,

…많은 偉大한 作家들과 批評家들의 職業에는 前提 條件이 하나 있다. 그것은 一般大衆이 아무 도움 없이도 理解할 수 있는 作品은 읽을 價値가 없다는 것이다. (…) 모든 이야기들이 이렇듯 單純 明瞭하게 表現된다면 文學 敎授들은 일자리를 잃을 것이며 曖昧模糊한 文章을 쓰는 作家들은 同情은 얻되 名聲을 잃게 될 것이다. [99]

판타지 作家 줄리엣 E. 매케나 는 비슷한 見地에서 말하길,

…不信을 접고 非現實을 받아들이게 하려면 이 生疏한 世界가 正말 眞짜라고 說得해야만 한다.

模糊한 말로 弱點을 눈가림해서는 絶對 안 된다. 그러면 矛盾을 指摘하는 이메일이 數도 없이 올 것이다. (…) 고 이언 뱅크스 조안 해리스 처럼 文學小說과 事變小說에 똑같이 能熟하며 自己 作品을 辯護하거나 正當化하기를 拒否하는 有能한 作家들 앞에서 얼굴이 일그러지는 文學評論家들을 보면 무척 즐겁다. 文學小說의 最終的 特徵이 卓越한 散文이라면, 最高潮에 達한 테리 프래쳇 도 分明 오늘날 글을 쓰는 最高의 散文 文章가다. 그렇기 때문에 批評家들은 SF와 판타지 같은 單語로 原稿를 더럽히지 않으려고, 事後家庭이니 魔術的 寫實主義니 하는 用語를 만든 것이다. [100]

SF 作家이자 物理學者인 벤퍼드 는 다음과 같이 宣言했다. "SF는 아마도, 비록 SF의 占領軍이 如前히 文學의 城砦, 로마 바깥에 野營하고 있더라도, 20世紀의 가장 代表的인 장르이다." [101] 이러한 排除의 意味는 冊 《 빌리지 보이스 》에 실린 조나단 레뎀 의 에세이 "近接 遭遇: 科學小說의 浪費된 約束" [102] 을 통해 뚜렷이 指摘됐다. 레뎀은 1973年, 네뷸러上 핀천 의 《 重力의 무지개 》가 노미네이트되고, 클라크 의 《 라마와의 랑데부 》가 受賞했을 때, "SF가 主流와 融合될 수 있다는 希望의 죽음을 宣言하는 숨겨진 墓碑가 세워졌다."고 主張했다. [103] 레뎀의 主張에 對한 應答으로, 《 SF&판타지 매거진 》의 編輯者는 "언제쯤 돼야 SF 장르는 메인스트림을 감동시키려는 試圖가 이길 수 없는 게임이라는 事實을 깨달을 것인가?" [104] 라고 되물었다. 이 時點에 저널리스트이자 作家인 데이비드 버넷 은 다음과 같이 論評했다. [105]

"文學的" 小說과 "장르" 小說 間의 끊임없는 戰爭은 모래 위에 그어진 뚜렷한 線과 같다. 장르系의 步兵들은 文學的 小說을 人間의 條件에 對한 無意味하지만 예쁘게 治粧된 그림 컬렉션쯤으로 생각한다. 文學의 守護者들은 장르 小說을 淺薄하고, 商業的으로 훌륭한, 돈을 벌기 위한 作品으로 여긴다. 이런 式으로 싸움은 繼續된다.

베넷은 그의 最近 에세이에서 이 "끝없는 戰爭" [106] 의 새로운 展開를 指摘했다:

포스트-아포칼립스的인 美國을 가로질러 펼쳐지는 旅行, 服制人間 웨이트리스들이 叛亂을 일으킨 未來 社會, 特別한 가스를 품은 突然變異 生命體들이 世界를 둘러싼 管, 恐龍들이 定着可能한 새로운 世界를 構築하려는 計劃, 崩壞한 文明의 遺傳 工學 等을 다루는 小說들의 共通點이 무엇일까?

이들은 모두 SF가 아니다.
文學 讀者들은 想起한 說明으로부터 매카시 의 《 로드 》, 미첼 의 《 클라우드 아틀라스 》의 一部, 하커웨이 의 《 사라진 世界 》, 윈터슨 의 《 바위 新 》, 애트우드 의 《 오릭스와 크레이그 》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이 小說들은 모두 大部分의 사람들이 SF로 認識하는 文彩를 使用하고 있지만, 該當 作品들의 著者나 出版人은 이들이 SF로 分類되지 않는다고 保證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다양한 媒體 [ 編輯 ]

SF 小說 [ 編輯 ]

H. G. 웰스 의 小說 《 宇宙 戰爭 》의 일러스트. 헨릭 앨빔 코어 作 (1906年)

SF 映畫 [ 編輯 ]

SF 드라마 [ 編輯 ]

SF 애니메이션 [ 編輯 ]

SF 게임 [ 編輯 ]

SF 漫畫 [ 編輯 ]

SF 漫畫 雜誌 《플래닛 코믹스》標紙 (1948年 3月)

國際的 例示들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Marg Gilks, Paula Fleming, and Moira Allen (2003). "Science Fiction: The Literature of Ideas" . WritingWorld.com.
  2. Knight, Damon Francis (1967). In Search of Wonder: Essays on Modern Science Fiction. Advent Publishing, Inc. p. xiii. ISBN   0-911682-31-7 .
  3. Glassy, Mark C. (2001). The Biology of Science Fiction Cinema. Jefferson, N.C.: McFarland. ISBN   0-7864-0998-3 .
  4. Nabokov, Vladimir Vladimirovich (1973). Strong opinions. McGraw-Hill. pp. 3 et seq. ISBN   0-07-045737-9 .
  5. Heinlein, Robert A.; Cyril Kornbluth; Alfred Bester; Robert Bloch (1959). "Science Fiction: Its Nature, Faults and Virtues". The Science Fiction Novel: Imagination and Social Criticism. University of Chicago: Advent Publishers.
  6. Rod Serling (1962-03-09). The Twilight Zone, "The Fugitive".
  7. Del Rey, Lester (1980). The World of Science Fiction 1926?1976. Garland Publishing.
  8. Del Rey, Lester (1979). The World of Science Fiction: 1926?1976. Ballantine Books. p. 5. ISBN   0-345-25452-X .
  9. Sterling, Bruce. "Science fiction" in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
  10. Card, Orson Scott (1990). How to Write Science Fiction and Fantasy. Writer's Digest Books. p. 17. ISBN   0-89879-416-1 .
  11. Hartwell, David G. (1996). Age of Wonders: Exploring the World of Science Fiction. Tor Books. pp. 109?131. ISBN   0-312-86235-0 .
  12. (日本語) 日本語版 위키百科 - SF매거진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13. 네이버英語辭典 - science fiction
  14. 브리태니커百科 - 空想科學映畫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15. 두산百科事典 - 空想 科學 博物館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16. ‘血管 누비는 治療로봇’ 世界 첫 生體實驗 成功 Archived 2016年 2月 5日 - 웨이백 머신 《한겨레》2010-05-16 午後 09:45:45
  17. 血管 속 누비는 5mm 로봇 世界 첫 開發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韓國日報》2010/05/16 21:52:49
  18. 네안데르탈人의 遺傳體 《朝鮮日報》2010.05.17 22:03
  19. ‘空想科學小說’은 잘못된 用語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사이언스 타임즈》2007.04.30
  20. “(冊과 삶)‘科學의 꿈’에 보낸 無限 信賴” . 京鄕新聞 .  
  21. “SF속 어딘가에 未來의 科學이…” . 東亞日報 .  
  22. 틀:뉴스 認容url=https://archive.today/20120707023610/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ctg=17&Total ID=2784485
  23. “아이언맨·스타트렉의 元祖! 大統領도 몰랐던 '未來 創造' 主役? <아톰부터 커크 船長까지> SF의 世界로 招待합니다” . 프레시안 . 2013=5=31. 2014年 10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0月 22日에 確認함 .  
  24. 安寧하세요, 알트 空想科學입니다. 《alt.SF》
  25. 韓國 SF 談論의 地形圖 (上) 《alt.SF》
  26. 듀나 . “SF라는 名稱” .  
  27. SF는 SF일뿐. , 배명훈 트윗 모음, 2011.12.02
  28. 中國語版 위키百科 - 科宦 2010-05-26 確認.
  29. 國語辭典 - 科學幻想作品 《國立國語院》
  30. (2000)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ourth E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31. "www.jessesword.com/sf/view/210". Retrieved on 2007-02-02.
  32. 幻想旅行의 魔力에 빠지다 - 박찬욱 - 한겨레21
  33. (英語) 英語版 위키百科 - Syfy
  34. 英語版 위키낱말辭典 - sci-fi 에 따르면 sci-fi는 science fiction의 略語이며 口語體的인 表現이라고 되어 있다.
  35. Grewell, Greg: "Colonizing the Universe: Science Fictions Then, Now, and in the (Imagined) Future", Rocky Mountain Review of Language and Literature, Vol. 55, No. 2 (2001), pp. 25?47 (30f.)
  36. Fredericks, S.C.: "Lucian's True History as SF", Science Fiction Studies, Vol. 3, No. 1 (March 1976), pp. 49?60
  37. Swanson, Roy Arthur: "The True, the False, and the Truly False: Lucian's Philosophical Science Fiction", Science Fiction Studies, Vol. 3, No. 3 (Nov. 1976), pp. 227?239
  38. Georgiadou, Aristoula & Larmour, David H.J.: "Lucian's Science Fiction Novel True Histories. Interpretation and Commentary", Mnemosyne Supplement 179, Leiden 1998, ISBN   90-04-10667-7 , Introduction
  39. Gunn, James E., The New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Viking, 1988, ISBN   978-0-670-81041-3 , p. 249, calls it "Proto-Science Fiction".
  40. Irwin, Robert (2003). The Arabian Nights: A Companion. Tauris Parke Paperbacks. pp. 209?13. ISBN   1-86064-983-1 .
  41. Richardson, Matthew (2001). The Halstead Treasury of Ancient Science Fiction. Rushcutters Bay, New South Wales: Halstead Press. ISBN   1-875684-64-6 . (cf. "Once Upon a Time". Emerald City (85). September 2002. Retrieved 2008-09-17.)
  42. Dr. Abu Shadi Al-Roubi (1982), "Ibn al-Nafis as a philosopher", Symposium on Ibn al-Nafis,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slamic Medicine: Islamic Medical Organization, Kuwait (cf. Ibnul-Nafees As a Philosopher, Encyclopedia of Islamic World [2])
  43. "Science Fic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2007-01-17.
  44. Creator and presenter: Carl Sagan (1980-10-12). "The Harmony of the Worlds". Cosmos: A Personal Voyage. PBS.
  45. "Carl Sagan on Johannes Kepler's persecution". YouTube. Retrieved 2010-07-24.
  46. Isaac, Asimov (1977). The Beginning and the End. New York: Doubleday. ISBN   978-0-385-13088-2 .
  47. White, William (September 2009). “Science, Factions, and the Persistent Specter of War: Margaret Cavendish's Blazing World” . 《Intersect: The Stanford Journal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2 (1): 40?51 . 2014年 3月 7日에 確認함 .  
  48. Michael Murphy (2011). 《A Description of the Blazing World》 . Broadview Press. ISBN   978-1-77048-035-3 .  
  49. http://skullsinthestars.com/2011/01/02/margaret-cavendishs-the-blazing-world-1666/
  50. Robin Anne Reid (2009). 《Women in Science Fiction and Fantasy: Overviews》 . ABC-CLIO. 59쪽. ISBN   978-0-313-33591-4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51. John Clute and Peter Nicholls (1993). "Mary W. Shelley".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Orbit/Time Warner Book Group UK. Retrieved 2007-01-17.
  52. Wingrove, Aldriss (2001). Billion Year Spree: The History of Science Fiction (1973) Revised and expanded as Trillion Year Spree (with David Wingrove)(1986). New York: House of Stratus. ISBN   978-0-7551-0068-2 .
  53. Poe, Edgar Allan. The Works of Edgar Allan Poe, Volume 1, "The Unparalleled Adventures of One Hans Pfaal". Retrieved 2007-01-17.
  54. "Science Fiction". Encarta Online Encyclopedia. Microsoft. 2006. Retrieved 2007-01-17.
  55. Taormina, Agatha (2005-01-19). "A History of Science Fiction". Northern Virginia Community College. Retrieved 2007-01-16.
  56. Resnick, Mike (1997). "The Literature of Fandom". Mimosa (#21). Retrieved 2007-01-17.
  57. Browning, Tonya (1993). "A brief historical survey of women writers of science fiction". University of Texas in Aust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年 12月 8日. Retrieved 2007-01-19.
  58. Philip Hayward (1993). Future Visions: New Technologies of the Screen. British Film Institute. pp. 180?204. Retrieved 2007-01-17.
  59. Allen Varney (2004-01-04). "Exploding Worlds!". Retrieved 2007-01-17.
  60. Vera Nazarian (2005-05-21). "Intriguing Links to Fabulous People and Places...". Retrieved 2007-01-30.
  61. "Shards of Honor". NESFA Press. 2004-05-10. Retrieved 2007-01-17.
  62. David Richardson (July 1997). "Dead Man Walking". Cult Times. Retrieved 2007-01-17.
  63. Nazarro, Joe. "The Dream Given Form". TV Zone Special (#30).
  64. 대런 섬너 (2011年 5月 10日). Smallville bows this week ? with Stargate ' s world record” . GateWorld . 2014年 2月 23日에 確認함 .  
  65. Vernor Vinge, The Coming Technological Singularity , Vision-21: Interdisciplinary Science & Engineering in the Era of CyberSpace, NASA Conference Publication CP-10129, [1] , 30?31 March 1993, accessdate=2007-08-07
  66. Sheila Schwartz (1971). "Science Fiction: Bridge between the Two Cultures". The English Journal. Retrieved 2007-03-26.
  67. Hartwell, David G. (August 1996). Age of Wonders. Tor Books. Retrieved 2007-01-17.
  68. Maas, Wendy (July 2004). Ray Bradbury: Master of Science Fiction and Fantasy. Enslow Publishers.
  69. Encyclopædia Britannica. Science fiction
  70. Howell, Yvonne (1994). Apocalyptic Realism: The Science Fiction of Arkady and Boris Strugatsky. Peter Lang. ISBN   0-8204-1962-1 .
  71. New World Encyclopedia: Science Fiction
  72. “거울 10年: 유토피아를 向하여” . 2015年 5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5月 14日에 確認함 .  
  73. Stableford, Brian (2006). Science Fact and Science Fiction: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Group LLC. p. 113.
  74. James O'Ehley (July 1997). "SCI-FI MOVIE PAGE PICK: BLADE RUNNER ? THE DIRECTOR'S CUT". Sci-Fi Movie Page. Retrieved 2007-01-16.
  75. Frank Artzenius and Tim Maudlin (2000-02-17). "Time Travel and Modern Physic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Retrieved 2007-01-16.
  76. Adam-Troy Castro (2006). "Off the Shelf: In the Presence of Mine Enemies (book review)". Sci Fi Weekly .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08. Retrieved 26 November 2008.
  77. Hall, Melissa Mia (2008年 4月 7日). "Master of Alternate History". Publishers Weekly. Retrieved 26 November 2008.[링크 消滅]
  78. Henry Jenkins (1999-07-23). "Joe Haldeman, 1943-". Retrieved 2007-01-16.
  79. "Website Interview with Toni Weisskopf on SF Canada". Baen Books. 2005-09-12. Retrieved 2007-01-16.
  80. von Thorn, Alexander (August 2002). "Aurora Award acceptance speech". Calgary, Alberta.
  81. Wertham, Fredric (1973). The World of Fanzines. Carbondale & Evanst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82. "Fancyclopedia I: C ? Cosmic Circle". fanac.org. 1999-08-12. Retrieved 2007-01-17.
  83. Lawrence Watt-Evans (1000-03-15). "What Are Science Fiction Conventions Like?". Retrieved 2007-01-17. Check date values in: |date= (help)
  84. Mike Glyer (November 1998). "Is Your Club Dead Yet?" ( ? Scholar search). File 770 (127). Retrieved 2007-01-17.[dead link]
  85. “Information About SFWA” . Science Fiction and Fantasy Writers of America, Inc. 2005年 12月 2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1月 16日에 確認함 .  
  86. Robert Runte (2003). "History of sf Fandom". Retrieved 2007-01-17.
  87. "Origins of the Middle Kingdom". Folump Enterprises. 1994. Retrieved 2007-01-17.
  88. Ken St. Andre (2006-02-03). "History". Central Arizona Science Fiction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年 12月 6日. Retrieved 2007-01-17.
  89. Patten, Fred (2006). Furry! The World's Best Anthropomorphic Fiction. ibooks.
  90. Rob Hansen (2003-08-13). "British Fanzine Bibliography". Retrieved 2007-01-17.
  91. "Hugo Awards by Category". World Science Fiction Society. 2006-07-26. Retrieved 2007-01-17.
  92. "Hugo Awards by Category". World Science Fiction Society. 2006-07-26. Retrieved 2007-01-17.
  93. Keith Lynch (1994-07-14). "History of the Net is Important". Retrieved 2007-01-17.
  94.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oughton Mifflin Company. 2003. Retrieved 2007-01-17.
  95. Bennett, An Introduction, ix?xi, 120?21; Schor, Introduction to Cambridge Companion, 1?5; Seymour, 548?61.
  96. Shippey, Tom (1991) Fictional Space. Essays on Contemporary Science Fiction, page 2, Humanities Press International, Inc., NJ
  97. Suvin, Darko (1979) Metamorphoses of Science Fiction: On the Poetics and History of a Literary Genre, New Haven, pp. 63-84.
  98. 레슬리 피들러, SF文學의 批評에 對하여, 外國文學 1991年 봄號(第26號), 1991.3, 30-40 (11 pages)
  99. 오슨 스콧 카드:엔더의 게임, 序文. 루비박스, 2008
  100. 줄리엣 매케나, 장르論爭: 科學小說은 文學小說보다 멀리 간다 , 웹진 거울, 2014.
  101. Benford, Gregory (1998) "Meaning-Stuffed Dreams:Thomas Disch and the future of SF", New York Review of Science Fiction, September, Number 121, Vol. 11, No. 1
  102. Lethem, Jonathan (1998), "Close Encounters: The Squandered Promise of Science Fiction", Village Voice, June. Also reprinted in a slightly expanded version under the title "Why Can't We All Live Together?: A Vision of Genre Paradise Lost" in the New York Review of Science Fiction, September 1998, Number 121, Vol 11, No. 1.
  103. Lethem, Jonathan (1998), "Close Encounters: The Squandered Promise of Science Fiction", Village Voice, June. Also reprinted in a slightly expanded version under the title "Why Can't We All Live Together?: A Vision of Genre Paradise Lost" in the New York Review of Science Fiction, September 1998, Number 121, Vol 11, No. 1.
  104. Van Gelder, Gordon (1998) "Editorial," Fantasy and Science Fiction, October/November v95 #4/5 #567
  105. Barnett, David. "Gaiman's choice: shouldn't good writing tell a story too?," The Guardian, London, 2010年 6月 23日,
  106. Barnett, David. "Science fiction: the genre that dare not speak its name," The Guardian, London, 2009年 1月 28日.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