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보 戰鬪 (1448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코소보 戰鬪
오스만 帝國의 유럽 侵攻 의 一部

오스만 帝國 아킨치 에게 사로잡힌 헝가리 記事.
날짜 1448年 10月 17日 - 10月 20日 ( 율리우스력 )
場所
結果 오스만 帝國의 決定的 勝利
交戰國
오스만 帝國 헝가리 王國
왈라키아
指揮官
무라드 2歲 後女디 야노詩
兵力
~40,000 [1] 或은 60,000名 [2] 24,000名 [2] [3]
被害 規模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第2次 코소보 戰鬪 ( 헝가리語 : masodik rigomezei csata , 튀르키예어 : ?kinci Kosova muharebesi )는 1448年 10月 17日 에서 10月 20日 코소보 盆地(Kosovo Polje)에서 後女디 야노詩 (John Hunyadi)를 總司令官으로 하는 헝가리 主導 下의 가톨릭 聯合軍과 무라드 2歲 (Murad II)가 指揮하는 오스만 帝國 軍 사이에서 벌어진 戰鬪이다.

背景 [ 編輯 ]

1448年 後女디 야노詩 는 오스만에 對抗하는 軍隊를 일으킬 機會를 捕捉한다. 1444年 바르나에서의 敗北 以後에 후녀디는 오스만을 攻擊할 다른 軍隊를 일으켰다. 그의 戰略은 발칸 半島의 住民들을 煽動하여 叛亂을 일으키고, 奇襲을 통해 單 한 番의 戰鬪로 오스만君의 主力을 擊破하는 데 기초하고 있었다. 후녀디는 操心性이 없었으며, 後方에 아무런 豫備臺도 두지 않고 部隊를 이끌었다.

알바니아 의 指導者 스칸데르베그 (Skanderbeg)와 그의 軍隊는 후녀디가 指揮하는 헝가리 軍에 合流하려고 움직였지만, 그러나 이들은 오스만의 封臣(封臣; vassal)인 세르비아 주라지 브란코비치 (đurađ Brankovi?)에게 攻擊을 받고, 眞軍虜가 遮斷當해 戰場에 到達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4]

戰鬪 [ 編輯 ]

야노슈 후냐디가 리고메罪(Rigomez?; 코소보 平原 )의 平原에 到着했을 때, 그는 술탄이 브란코備置를 통해 自身들에 對한 情報를 完璧히 把握하였고, 오스만軍이 이미 戰場에 있는 언덕을 掌握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5] 技士들이 激戰을 벌여 언덕을 奪還하고, 防禦基地를 設置한 後에, 戰鬪用 馬車를 만들기 始作했다.

다음날, 후냐디가 오스만 君의 側面을 輕騎兵과 重騎兵이 混成으로 偏在된 騎兵隊로 攻擊하면서 戰鬪가 始作되었다. 루멜리아 (Rumelia)와 아나톨리아 出身으로 構成된 오스만君의 側面은 輕騎兵隊가 支援하러 올 때까지 많은 被害를 입었다. 側面을 攻擊하던 基督敎軍은 오스만 투르크의 輕騎兵隊에게 敗하고, 生存者들은 후냐디의 本營으로 물러났다. 후냐디는 그의 側面部隊가 敗하는 것을 보고, 技士들과 輕보병隊로 이루어진 本隊를 이끌고 攻擊을 加했다. 예니체리 (janissary) 軍團은 이 攻擊에 成功的으로 對處하지 못했고, 騎兵隊는 오스만君의 中央을 突破하였으나, 오스만君의 本陣에서 멈추고 말았다. 후녀디가 指揮하는 本隊의 攻擊이 멈추자, 오스만軍은 再編成하여, 成功的으로 反擊을 開始해 헝가리 記事들을 몰아내었다. 騎士들의 支援을 받지 못한 警長部隊들은 쉽게 擊破 當했다. 헝가리軍은 그들의 本營으로 退却하였다. 退却하는 途中, 예니체리는 많은 數의 헝가리 貴族들을 殺害하였으나, 후냐디를 놓쳐버렸다. 그러나 세르비아人들이 후냐디를 捕虜로 잡는 데 成功하였다. 밤 동안 오스만 투르크 砲兵隊는 헝가리軍에 曲射砲를 쏘아대었고, 헝가리軍度 大砲를 利用해 應射했다. 다음날, 오스만軍이 最終 突擊을 敢行하여 남은 헝가리軍을 전멸시켰다.

코소보에서 이틀에 걸쳐 벌어진 戰鬪는 兩軍에게 많은 死傷者를 남겼으나, 結局 두 番째 날 오스만軍만이 隊伍를 維持한 狀態로 戰場에 남게 되었다. 參戰 兵力을 보면, 헝가리軍 24,000名 [2] [3] 이고, 오스만 軍이 40,000 或은 60,000名 程度로 評價된다. [1] [2] 死傷者數를 보면 오스만 軍이 5,000名 程度의 被害를 입었고, 헝가리軍은 15,000名의 被害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

影響 [ 編輯 ]

이 戰鬪는 예니체리 群團이 술탄 스스로가 戰列에서 指揮를 할 境遇, 敵에 依해 戰列이 崩壞하더라도, 潰走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른 點에서 이 戰鬪가 示唆하는 것은, 한番 大敗를 하더라도 그것은 오스만軍에게 一時的인 騷亂에 不過하다는 것이다. 오스만君을 完璧하게 擊破하기 위해서는 여러 番, 繼續的으로 勝利를 거둘 必要가 있었다.

발칸의 基督敎 國家들은 이 戰鬪의 敗北 以後에 오스만 帝國에게 抵抗할 수 없었고, 結果的으로 오스만 帝國의 影響力 아래로 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後女디는 釋放된 後, 오스만의 攻擊에 對하여 成功的으로 헝가리 王國 을 지킬 수 있었다. 스칸데르베그 亦是 그가 1468年 死亡할 때까지 12年間 그의 祖國 알바니아를 오스만君의 攻擊으로부터 훌륭하게 지켜낼 수 있었으나, 그가 죽은 後에 알바니아는 오스만에게 함락당하고 만다.

各州 [ 編輯 ]

  1. Bennett, The Hutchinson Dictionary of Ancient & Medieval Warfare , p. 182 "Hunyadi led 55,000 men including 10,000 Wallachians, but should have waited to join Scanderbeg's troops before confronting Murad's force of 40,000."
  2. Sedlar, East Central Europe in the Middle Ages , p. 248 "Hunyadi,who was now the richest landowner in Hungary, had raised an army of 24,000 men from his private resources, including German and Bohemian infantrymen armed with handguns to supplement his Hungarian cavalry. [...]This time the sultan brought on to the field a force of at least 60,000 men including Janissaries with muskets and a contingent of artillery."
  3. Turnbull, The Ottoman Empire 1326-1699 , p. 36 "Hunyadi led an army of 24,000 men, including 8,000 Wallachians, but suffered another military defeat without even seeing his Albanian allies."
  4. [1]
  5. [2]

參考 文獻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