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推論 規則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推論 規則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推論規則 에서 넘어옴)

推論 規則 (推論規則, Rule of inference) 또는 '推論 形式'은 論理學 에서 論理式 으로부터 다른 論理式을 이끄는 規則을 말한다.

공리 , 大入 規則 , 推論 規則에 依해서 理論을 形式化한 것이 公理系다. 공리는 對象 言語의 記號만으로 記述되지만, 推論 規則이나 大入 規則은 이러한 記號에 對해 말하는 메타 言語 로 記述된다. 推論 規則은 亢進式 (同語 反復)으로부터 이끄는 것이 妥當하다.

아래는 代表的인 推論 規則이다.(‘¬'는 否定, ‘→'은 內包(含意)等 나머지는 論理記號 參考)

演繹的 推論規則 [ 編輯 ]

推論規則(推論規則)은 論理式에서 다른 論理式을 이끌어 내는 規則으로 定義한다면 이때 特히 演繹的 推論 規則(演繹的推論規則)은 하나 또는 여러 個의 主張들로부터 論理的으로 同等하거나 보다 특수한 主張을 결론짓는 推論 形式이 成立하는지 與否의 妥當性을 確認할 수 있다는 것을 內包 한다.

論理 記號 [ 編輯 ]

自然言語 論理 記號 命題의 形式
그리고 連言 命題
또는 宣言 命題
萬一 A 이면 B 이다 假言 命題
아니다 否定 命題
A는 B 이다 (童穉) 정언 命題

妥當한 推論 形式 [ 編輯 ]

形式 救助
F1 前假言 3段論法 (3名制 모두가 假言 命題 )
F2 混合假言 前件肯定 3段論法(大前提 假言 ·小前提 정언 命題 )
F3 混合假言 後件否定 3段論法(大前提 假言·小前提 정언)
F4 混合宣言 否定3段論法(大前提 宣言 命題 ·小前提 정언)
F5 드 모르간의 法則
F6 連言 法則
F7 連言 命題의 分離(Conjunction Elimination)
F8 二重否定

한便 '命題의 形式' 과 '命題의 量과 質' 과 '名詞의 位置및個數' 그리고 이들의 出現 順序는 '推論形式'李 妥當性을 確保하기위한 命題 들의 主要한 成分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