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청옥산 (東海/三陟)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청옥산 (東海/三陟)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청옥산
靑玉山
最高點
高度 1,404 m (4,606 ft)
지리
位置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江原特別自治道 東海市 삼화동, 江原特別自治道 三陟市 하장면
父母 山脈 太白山脈 , 白頭大幹

청옥산 (靑玉山)은 江原 동해시 삼화동(三和洞)과 삼척시 하장면(下長面)의 境界에 있는 山으로 푸른 玉돌(靑玉石)이 나왔다 하여 청옥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는 山이다. 높이 1,404m. 太白山脈 줄기인 海岸山脈(海岸山脈)에 屬하는 山으로 北쪽에 鼓笛隊(高積臺, 1,354m), 北西쪽에 중봉산(中峰山, 1,284m), 東南쪽에 頭陀山 (頭陀山, 1,353m) 等이 이어져 있다.

位置 [ 編輯 ]

東海쪽 赦免은 急傾斜를 이루며 鼓笛隊· 頭陀山 사이에 三角地帶로 形成된 이른바 무릉계곡(武陵溪谷)은 학소대(鶴巢臺)·관음사(觀音寺)·三和寺(三和寺)·武陵盤石(武陵盤石)·金蘭情(金蘭亭)·好암소(虎巖沼) 等 많은 觀光資源이 있어 國民觀光地로 指定, 開發되고 있다. 西쪽 四面은 傾斜가 緩慢한 便이고, 중봉리와 삼화동 사이에는 연칠성令(連七星嶺)을 통하여 道路가 이어진다. 동해시의 南西쪽, 三陟과의 境界를 이루는 곳에는 頭陀山 , 청옥산, 鼓笛隊로 이어지는 山줄기와 北東쪽으로 쉰움산이 있다.

傳해오는 이야기 [ 編輯 ]

청옥산은 頭陀山 西쪽 3 km 떨어진 稜線에 位置한 山으로 높이는 頭陀山 보다 51m 높아 正確한 數値로 얘기해서 1,404m로 이 山들 中 가장 높은 山이다. 頭陀山과 청옥산은 海拔 1,300餘m로 東海岸에 가까이 솟아 있는 關係로 登攀 고 度差가 無慮 1200m나 되기 때문에 쉽게 오를 수 있는 山은 아니다. 청옥산과 頭陀山 山아래 펼쳐진 國民觀光地 1號 무릉계곡은 100餘名을 受容할 수 있는 武陵盤石과 학소대, 선녀탕 그리고 溪谷 兩便에 깎아지른 듯한 屛風바위 等 雄壯한 絶景을 안고 있다.

朝鮮時代 景福宮을 重建할 當時 全國 各地에서 大들보가 될 만한 木材를 求하였는데, 마침 청옥산 主峯에 있는 소나무가 積載로 決定되어 하장천(下長川)을 利用, 뗏木으로 運搬되었다고 한다. 중봉리의 청옥산 一帶에서 生産되는 土種벌꿀은 藥效가 좋다 하여 옛날부터 有名하다. [1] [2]

山의 地理와 動植物 [ 編輯 ]

청옥산은 太白山脈의 동단부에 位置하며 東西間에 分水嶺을 이룬다. 동해시의 北西쪽으로는 頭陀山(頭陀山, 1,353m)·중봉산(中峯山, 1,259m) 等을 連結하는 險峻한 峻嶺을 이루며 東쪽으로는 東海를 굽어보고 있다. 太白山脈이 이 山에 이르러 한 줄기는 北쪽으로 頭陀山性 줄기를 이루고, 또 한 地脈은 東쪽으로 뻗어 쉰움산(五十井山)에서 排水고개로 이어진다.

北쪽 稜線에는 잣나무 樹林이 鬱蒼하며 守令이 오래된 소나무들이 茂盛해 奇巖의 山水美와 調和를 이룬다. 山頂 附近에는 灌木帶와 草本帶가 形成되어 高山植物의 群落이 있고 철쭉·萬變初·조릿대 等이 群生한다. 이 밖에도 분비나무·세잎鐘덩굴·山앵두·큰櫻草·觀衆·달피나무·전나무·바위떡풀 等 約 39種의 植物이 調査 發表되었다. 動物로는 山羊·靑鼠毛·박새·까막딱다구리 等이 棲息한다.

地質은 大部分 花崗巖이고 石灰石 및 沙巖이 周邊에 分布한다. 頭陀山과 청옥산은 거의 連結된 雙峯을 이루나 形象은 매우 對照的이다. 頭陀山은 頂上部가 尖峯(尖峯)을 이루고 周邊은 急斜面이어서 날렵한 山勢를 보이나 청옥산은 緩慢하고 묵직한 形象을 이룬다. 頭陀山을 中心으로 세 個의 河川이 흘러간다.

하나는 北東 赦免의 河川으로 박달골 繫留와 寺院터(士院基)골 溪流를 모아 武陵系(武陵溪)를 形成하고, 살내(箭川)가 되어 東海市 에서 東海 로 흘러든다. 南東쪽 기슭에서 發源한 河川은 골지천(骨只川)과 合流해서 漢江 上流가 된다. 또 東쪽 기슭에서 發源한 繫留는 五十川(五十川)과 合流한다. 山이 깊고 險峻하기 때문에 植物相이 잘 保存되어 있다. [2]

登山길 [ 編輯 ]

山行起點인 武陵盤石의 바로 아래 商街마을까지 동해시에서 隨時로 運行하는 三和寺行 市內버스가 있지만 山行時間만 9時間 程度 所要되는 높고 險한 山이므로 1泊 2日 코스로 넉넉한 마음으로 하는 것이 좋다.

山行은 무릉계곡 入口의 三和寺쪽에서 始作한다. 三和寺 위쪽 두갈래 길중 右側 용추瀑布 가는 길로 向한다.고개를 들면 베틀바위가 다소곳하고 겹겹이 가린 골짜기에서는 관음폭포가 우람한 소리를 내며 흘러 내린다. 알바위골, 관음사入口를 지나는 동안 溪谷은 그윽하다.

靑鶴이 깃들였으리 만큼 書記가 감도는 학소대는 하늘 높이 치솟아 있고 그 아래로 神仙의 옷자락처럼 휘늘어지며 떨어지는 緋緞瀑布는 마음을 깨끗이 씻어준다. 溪谷을 가로질러 鐵사다리를 건너면 옥류동. 집채만한 바위가 數없이 널려있고 그 사이로 獄같은 물이 넘실 거린다.

갈림길에서 오른쪽 溪谷을 건너면 門間재高 왼쪽길로 가면 박달골이다. 온통 땅을 울리며 쏟아지는 雙幅을 지나면 용추瀑布. 武陵班과 함께 武陵系를 代表하는 名物이다.

本格的인 山行은 雙幅에서 始作된다. 雙幅 위를 돌면 峽谷 사이로 뚫린 박달골이 보인다. 벼락바위와 번개바위가 맞물려 入口가 限껏 좁아진 박달골은 初入부터 이끼 투성이의 바위와 原始林이 뒤엉켜 野性美가 넘치고 있다.

原始林을 이룬 숲 사이로 뚫린 길은 幽玄스럽기까지 하고 숨돌릴 겨를도 없이 가파른 오르막이 끝나면 朴達嶺이다. 오른쪽 길을 따라 門바위 아래쪽을 돌아가면 부드러운 稜線길.北쪽으로 꺾인 길을 따라 約 200m쯤 가면 큼직한 무덤이 있고 소잔등처럼 넓고 탄탄한 청옥산 紬綾과 만난다.

頂上에 이르면 西北쪽으로 鼓笛隊와 東쪽에 頭陀山이 보인다.서북쪽으로 난 稜線길을 따라 너덜길을 通過해 約 1時間 程度 가면 연칠성令이 나오는데 鼓笛隊의 癌陵을 왼쪽으로 보며 約 1時間 程度 내려오면 溪谷따라 내려오는 七星瀑布가 땀을 식혀준다. 寺院터를 지나 門間재를 거치면 무릉계곡으로 다시 내려와 頂上을 바라 보노라면 總 8 ~ 9時間의 山行이 마무리된다. [2]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三陟 頭陀`청옥산” . 每日新聞. 2009年 8月 13日. 2017年 12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月 12日에 確認함 .  
  2. “東海·三陟 頭陀山~청옥산” . 서울新聞(네이버). 2005年 6月 16日 . 2013年 1月 12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