存在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存在論 (存在論)은 存在者(主觀을 가진 存在)의 分類와 實在의 基礎 構造를 다루는 (理論) 哲學의 한 分科이다. 存在論의 對象 領域은 "普遍 形而上學"으로 불리는 傳統的인 이름과 相當 部分 一致한다. 存在論은 存在學(存在學)이라고도 불리며, 自然 이나 精神 等의 특수한 存在者가 아닌 모든 存在者가 存在者인 한 共通으로 지니는 것, 存在者가 存在者로서 지니는 根本的인 規定을 考察하는, 形而上學 의 한 部分이다. 近世 初期에 생긴 用語이지만 그 內容은 古代부터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 의 第1哲學(形而上學)은 存在學(存在學)이며, 中世의 스콜라 哲學 은 이를 繼承하고 있다.

近世에 들어와 볼프 는 存在論을 形而上學 의 한 部分이라 하여 特殊存在를 論하는 여러 部門의 總論으로 하였다. 칸트 는 存在論(形而上學)을 獨斷論이라 하여 否定했다. 그러나 칸트 以後 새로이 復活하였으며, 特히 헤겔 의 存在論이 注目된다. 現代에 와서는 하르트만 , 하이데거 , 들뢰즈 가 특수한 存在論을 主張하고 있다.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