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常 言語 哲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日常 言語 哲學 은 傳統的인 哲學 의 問題들은 哲學者 가 每日 쓰이고 있는 낱말의 意味를 잊어버리거나 잘못 適用하는 誤解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는 哲學 學派이다.

日常言語哲學은 哲學的 問題를 哲學者들이 日常 用途에서 實際로 어떤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歪曲하거나 잊어버림으로써 展開되는 誤解들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보는 哲學的 方法論이다. “이러한 觀點에서, ‘哲學的’ 言語의 使用은, 그들이 解決하려는 哲學的 問題들을 創造해낸다. 日常言語哲學은 論理實證主義와 密接한 言語 哲學의 한 分野이다.

日常 言語 哲學은 特히 哲學 "理論"에 쓰이는 言語들을 "日常 言語"의 立場에서 批判的으로 接近한다.

이러한 接近方式은 一般的으로 日常 言語의 使用의 細部事項에 細心한 注意를 기울이기 위해 哲學的 "理論"을 回避하는 것을 包含한다. 그것은 때때로 Ludwig Wittgenstein과 20世紀 中盤의 여러 哲學者들의 後期 作品들과 聯關되어 있는데, 이 두 가지 모두 組織的인 "學校"라고 描寫할 수 없는 두 가지 主要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初期 段階에서 Cambridge 大學의 Wittgenstein과 同時代人 노먼 말콤(Norman Malcom), 앨리스 癌브로즈(Alice Ambrose), 프리드리히 와이스만(Friedrich Waismann), 誤에츠 콜 부스마(Oets Kolk Bouwsma), 모리스 라제로위츠(Morris Lazerowitz) 等은 平凡한 言語 哲學으로 認識되는 아이디어를 開發하기 始作했다. 이러한 思想때때로 "옥스퍼드 哲學"이라 불리는데 이 學派의 思想이 大部分 20世紀 中盤 옥스퍼드 大學校 의 哲學 敎授였던 존 랭쇼 오스틴 , 길버트 라일 , H. L. A. 하트 , 피터 스트로슨 과 같은 學者들에 依해 發展되었기 때문이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以後 日常 言語 哲學은 옥스퍼드를 넘어 外部의 注目을 받게 되었다. 以後 日常 言語 哲學을 硏究한 學者로는 스탠리 카벨 , 존 설 等이 있다.

비트겐슈타인을 硏究하는 옥스퍼드의 안소니 클리포드 글래이링 은 그의 著書 《비트겐슈타인》에서 20世紀 中盤 以後의 言語 哲學의 成果 가운데 3分의 2는 비트겐슈타인의 作業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쓰고 있다. [1] 그래일링은 "事實 日常 言語 學派의 重要 學者들은 모두 비트겐슈타인의 後期 思想을 基盤으로 하였다"고 記錄하였다.

日常 言語 哲學이란 이름은 비트겐슈타인의 初期 思想인 分析 哲學 에서 다루어지는 理想的인 言語 分析에 對備하여 붙여진 것이다. 日常 言語 哲學은 1930年에서부터 1970年까지 活潑히 硏究되었으며 오늘날에도 重要한 哲學 學派로서 자리잡고 있다.

歷史 [ 編輯 ]

비트겐슈타인의 肖像

初期 分析 哲學者들은 日常 言語에 對해 肯定的이지 않았다. 버트란드 러셀 은 言語를 작은 單位의 哲學的 記號로 分解하였으며, 日常 言語는 數學 이나 認識論 的인 問題의 解決에는 混亂만 加重한다고 생각하였다. 고틀로프 프레게 와 같은 빈 學派 들, 特히 루돌프 카르나프 와 젊은 時節의 비트겐슈타인, 그리고 윌러드 밴 오먼 콰인 等은 近代 論理學 에 立脚하여 思想을 展開하였다. 비트겐슈타인은 《 論理 哲學 論考 》에서 哲學的 問題를 보다 잘 解決하기 위해서는 言語의 模糊함에 對한 改革이 必要하다는 러셀의 말에 同意하고 있다.

이에 反해, 비트겐슈타인은 後期에 이르러 "每日 使用되는 言語를 바탕으로 哲學을 省察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2] 비트겐슈타인이 1930年에 記錄하였으나 發表하지 않은 글에는 "日常 言語에는 잘못된 點이 없으며, 오히려 大多數의 傳統的인 哲學的 問題가 言語와 關聯 主題를 誤解한 幻想에 지나지 않다"고 적고 있다. 비트겐슈타인의 後期 思想은 이러한 思想이 中心에 자리잡고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初期의 分析 哲學에 依한 接近을 撤回하고, 日常 言語를 바탕으로 哲學 問題에 接近하여, 問題를 解決하려고 들게 아니라 分解하여야 한다고 提案하였다.

日常 言語 哲學은 1940年代 오스틴과 길버트 라일 等이 中心이 되어 옥스퍼드 大學校 에서 發展하였으며 1960年代에서 1970年代 사이에 다른 地域으로 널리 傳播되었다.

中心 思想 [ 編輯 ]

後代의 비트겐슈타인은 言語의 意味는 그들의 使用에 있다고 보았고, 이 때문에 哲學者들이 抽象化하는 過程에서 덫에 빠진다고 主張하였다. 여기서부터 哲學은 日常 속에서 使用하는 文脈에서 벗어난 單語를 使用하려 함으로써 問題를 일으켰다는 主張이 나왔다. 例를 들어, "understanding(理解)"는 當身이 理解했음을 의미한다. "knowledge(知識)"은 當身이 알고있음을 의미한다. 要點은, 적어도 暗默的으로 '理解'나 '知識'이 무엇인지 이미 알고 있다는 것이다. 哲學者들은 이러한 用語에 對해 새로운 定義를 세우는 것은 잘못 考案했는데, 이것은 그저 再定義된 것에 不過하며, 그 主張은 自己 參照的인 허튼소리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哲學者들은 앞선 再定義를 强要하기보다는 單語가 이미 지닌 意味에 對해 探究해야한다.

그 論爭은 事實이란 무엇인가 또는 意識이 무엇인가와 같은 質問에 平凡한 言語哲學者들이 같은 平準化 傾向을 適用하면서 始作된다. 日常哲學學派들은 우리가 (例를 들어) '眞理'가 '事物'이라고 假定할 수 없다고 主張할 것이다. 代身 우리는 '眞實'과 '의식'이라는 單語가 實際로 日常 言語에서 쓰이는 다른 方式을 살펴봐야 한다. 硏究 끝에 우리는 '眞實'이라는 單語가 一致하는 單 하나의 實體가 없다는 것을 發見하게 될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은 '家族의 類似性'이라는 槪念을 통해 理解하려고 試圖한다. 따라서 日常 言語哲學者들은 反本質主義的인 傾向이 있다.


註解 [ 編輯 ]


各州 [ 編輯 ]

  1. Wittgenstein ,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88, p. 114)
  2. "words back from their metaphysical to their everyday use" -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 §116, trans. G. E. M. Anscombe, (New York: MacMillan, 1953)

參考 文獻 [ 編輯 ]

日常 言語 哲學의 主要 論文 [ 編輯 ]

  • J. L. Austin. How to do things with Words , ed. J. O. Urmson and Marina Sbisa.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5.
  • -----. "A Plea for Excuses". In Austin, Philosophical Papers , ed. J. O. Urmson & G. J. Warnock. Oxford: Oxford UP, 1961.
  • -----. Sense and Sensibilia , ed. G. J. Warnoc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62.
  • Cavell, Stanley. The Claim of Reason: Wittgenstein, Skepticism, Morality, and Tragedy . New York: Oxford UP, 1959.
  • -----. "Must We Mean what We Say?" in Must We Mean what We Say?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 Ebersole, Frank. Meaning and Saying . Language and Perception . Things We Know .
  • Hanfling, Oswald. Philosophy and Ordinary Language .
  • Hart, H.L.A. "The Ascription of Responsibility and Rights".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1949.
  • Ryle, Gilbert . The Concept of Mind . New York: Barnes and Noble, 1965.
  • -----. Dilemmas .
  • Strawson, P.F. Individuals: An Essay in Descriptive Metaphysics . Garden City, NY: Doubleday, 1963.
  • -----. "On Referring". Reprinted in Meaning and Reference , ed. A.W. Moor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 Wittgenstein, Ludwig. Blue and Brown Books
  • -----.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 trans. G.E.M. Anscombe. New York: Macmillan, 1953.

日常 言語 哲學을 紹介하는 槪論書 [ 編輯 ]

  • Passmore, John. A Hundred Years of Philosophy , revised edition. New York: Basic Books, 1966. See chapter 18, "Wittgenstein and Ordinary Language Philosophy".
  • Soames, Scott. Philosophical Analysis in the Twentieth Century: Volume Two, The Age of Meaning .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 Ordinary Language Philosophy: A Reappraisal - edited by Anthony Coleman & Ivan We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