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軍慰安婦의 賠償紛爭 解決 不作爲 事件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日本軍慰安婦의 賠償紛爭 解決 不作爲 事件 (2011.8.30. 2006헌마788 [違憲確認]) 或은 政府의 慰安婦 被害 外交的 放置事件은 大韓民國 有名 憲法裁判所 判例이다. 이 判例에서 韓日基本條約 第2條 1項에서 日本政府가 韓國에 無償 3億弗, 次官2億弗을 提供하는 것만으로 韓國 國民의 被害까지‘최종적으로 完全히 解決되었다.’고 規定한 것은 同 協定目的에도 違背되는 바, 우리政府가 同 協定 第3條에 따라 外交經路를 통해 日本국에 異議를 提起하지 아니한 것은 國家가 國民의 權利保護에 對한 義務를 履行하지 아니한 不作爲로 違憲임을 確認한다. 라는 趣旨의‘인용판결’을 내렸다.

事實關係 [ 編輯 ]

日本軍‘慰安婦’ 被害者 109名이 “ 日本政府 에게 法的責任이 있음에도 外交通商部 가 한일請求權協定의 解釋과 實施에 따른 紛爭을 解決하지 않은 것은 被害者들의 財産權 , 人間의 尊嚴과 價値 幸福追求權 , 外交的 保護權 을 侵害한 것”이라는 決定을 求하는 憲法訴願審判을 請求하였다 [1] .

各州 [ 編輯 ]

  1. p 91, 조유진, 世上을 바꾼 憲法裁判, 이학사, 2013.

參考 文獻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