異常은 (唐나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異常은

異常은 ( 李商隱 , 원貨 7年( 812年 ) 또는 원貨 8年( 813年 )~對中 12年( 858年 ))은 中國 唐나라 의 官僚 政治家로 頭目 (杜牧)과 함께 晩唐(晩唐)을 代表하는 限是認이다. 字는 의산(義山), 號는 옥계생(玉谿生) 또는 獺祭魚(獺祭魚)이다.

生涯 [ 編輯 ]

회주(?州) 河內(河?, 只今의 허난省 (河南省) 친양 時 沁陽市) 사람으로, 아버지 理事(李嗣)는 黨의 宗室(宗室)에 該當했지만 그 무렵에는 沒落하여 劃假現의 縣令(?令)이나 監察司(監察史), 節度使(節度使)?株自社(州刺史)의 幕僚 같은 地方官僚로 지내고 있었다. 衡陽에서 태어난 이상은은 세 살 때 절강 騷興으로 赴任한 아버지를 따라 왔다가 나이 10歲에 아버지를 病으로 잃고, 다른 두 동생과 여섯 名의 姊妹가 남아 있었다. 이상은은 아버지의 3年喪을 마친 뒤 洛陽으로 移住했다.

當時 宮廷 官僚들은 牛僧孺 (牛僧孺)?이종민(李宗閔) 等을 中心으로 하는 過去 及第者의 派閥과 이덕유 (李?裕)가 거느린 門閥 貴族 出身者의 派閥로 나뉘어 政爭을 벌이고 있었다. 禹(牛)·李(李)의 싸움이라고 불리는 이 政爭 가운데, 優勝流派의 重鎭이었던 흥원尹(興元尹) 山南西道節度使(山南西道節度使) 영호初(令狐楚)의 庇護를 받아 837年 에 26歲로 進士에 及第하였다. 그러나 영호草家 그 해에 死亡하고 이듬해에는 上級 試驗에도 落榜하여, 다시 이덕유派였던 太原공(太原公) 王無願(王茂元)의 부름에 應하여 그의 庇護를 받게 되고 王無願의 딸까지 아내로 맞아들였다. 839年에 王無願의 薦擧로 文人官僚로서는 가장 理想的인 자리로 선망받던 祕書省 (秘書省)의 校書郞(校書?)이 되지만, 優勝流派는 예전 영호初의 庇護를 받았던 이상은을 恩惠를 저버린 背恩忘德한 字로 몰아붙였다.

結局 이상은은 量 派閥로부터 變節者로 몰려, 酷毒한 批判을 받으며 地方官吏를 轉轉하면서 不幸한 生涯를 보냈다. 官職에 나선 그 해부터 中央에서 내쳐져 홍농縣(弘農?, 只今의 허난省 링바오縣 ??? 南쪽)의 現위로 脂肪으로 赴任하게 되었다. 以後 忠武軍節度使(忠武軍節度使)가 된 丈人 王無願의 장서기(掌書記)나 祕書省의 精子(正字), 桂冠防禦觀察장서기(桂管防禦?察掌書記), 觀察판관(?察判官) 檢敎授部員外郞(?校水部員外?), 경조윤유후참군주서연조(京兆尹留後?軍事奏署?曹), 무령군竊盜판관(武寧軍節度判官, 또는 장서기), 太學博士(太?博士), 洞天竊盜書記(東川節度書記), 檢校工部郎中(?校工部?中), 鹽鐵秋官(??推官) 地方官을 지내며 中央에서도 失職(?職)은 얻지 못했고, 이나마도 가끔씩 辭職하거나 免職되기도 했다. 그런 가운데 842年 에는 그의 어머니가, 851年 에는 아내 王氏가 次例대로 世上을 떠났다.

그리고 858年 , 鹽鐵秋官을 다시 失職한 이상은은 鄕里로 돌아오던 途中에(혹은 돌아온 뒤에) 病으로 衡陽에서 숨을 거두었다. 享年 47歲였다.

詩의 特徵 [ 編輯 ]

이상은의 詩는 華麗하고 때로는 官能的이며, 때로는 象徵的이다. 特히 戀愛詩에서 以上은 詩의 特色이 發揮된다. 그는 愛情詩 方面에서 獨步的인 境地에 올랐고 사랑에 빠진 男女의 心理를 섬세하게 읽어냈다는 評을 받는다. [1] 無題(無題)라는 題目으로 알려진 作品을 包含해 이상은은 아예 題目을 짓지 않거나 或은 簡單히 詩句에서 빌리는 程度로 題目을 붙였는데, 萬當時의 傾向인 唯美主義를 보다 더 追求하여 暗示的이고 象徵的인 手法을 驅使하고, 朦朧하며 幻想的이고 官能的인 獨特한 世界를 構築하였다. 그 主題는 大槪 '破局'으로 끝나버린 '不倫'의 戀愛의 回想, 감미로운 꿈 같은 靑春의 記憶의 敍述이다. 當然히 그 內容은 몹시 哀愁를 띠지만 그것을 優雅한 詩句나 大區, 古典의 引用으로 裝飾하여 耽美主義의 境地에 이르고 있다. 아름답고도 슬픈, 몹시 私的인 記憶과 感懷를 詩로 승화시키는 것이 李商隱의 詩風이다.

예로부터 詩는 높은 뜻을 노래하는 데에 있었는데, 이상은이 自身의 文學的 스승으로 여겼던 杜甫 (杜甫)에게서도 그러한 傾向은 顯著히 드러난다. 이상은이 살았던 晩唐 時代는 그것을 容納하지 못하고 宮內에서는 黨爭으로 인한 政變이 잇따라, 아침에는 宰相이었다가 저녁에는 免職되어 邊方으로 流配되는 일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러나 實權은 皇帝의 敝笠까지도 左右했던 宦官들이 掌握한 狀態였고, 宮 밖에서는 軍事權과 行政權을 掌握한 有力한 節度使들이 國土를 나누어 차지하고 있는 것이 마치 戰國時代 나 다름없었고 臺當 帝國은 事實上 一介 地方政權에 不過한 狀態였다. 自身의 뜻이 아무리 높다 한들 行跡 때문에 迫害받는 以上 꽉 막힌 時代 周邊으로부터 白眼視당하며 傳統的인 市의 方式을 外面하고 오로지 個人的인 美의 完成을 追求한 이상은의 어떤 意味에서는 뼛속까지 藝術家였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守宮(隋宮)』, 『마外(馬嵬)』 等 歷史 에서 題材를 따온 詠史詩(詠史詩)나 詠史詩(詠事詩)에도 定評이 났으며, 長安 (長安) 東南쪽 郊外의 古代(高台)에서 읊었다는 『酪乳院(?遊原)』은 이상은의 代表的으로 꼽힌다. 한便으로 徹底한 中國人의 立場에서 《搜査桐》(隋師東)이라는 作品으로 그는 漢四郡 (漢四郡)을 斗頓하고 高句麗 를 征伐하지 못한 (隋) 王朝의 無能을 非難하기도 했다. [2]

以上은 詩의 또 한 가지 技巧的 特徵으로는 壁典(僻典)을 많이 使用하였다는 데에 있다. 制限된 글字繡 안에서 뜻을 表現하는 漢詩의 境遇 누구나 아는 에피소드 等에서 登場하는 印象的인 말을 써서, 元來 에피소드 內容을 鑑賞者들에게 떠오르게 함으로서 詩의 內容을 부풀리는 技巧를 使用하는데 이를 全高(典故)라고 한다. 知識人 階級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에피소드, 例를 들면 經書(?書)나 《 長子 》(?子) ? 《 詐欺 》(史記) ? 《 漢書 》(漢書) ? 《 三國志 》(三?志) 等에서 典故를 應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그리고 이들 資料들이 가장 널리 쓰이는 典故의 素材들이었다). 그러나 이상은은 이러한 書籍뿐 아니라 敗事(稗史)나 小說(小?) 같은 當代 知識人 階級이 손대서는 안 된다고 여겨지던 雜書에서도 典故를 끌어다 使用하였다. 이것이 市에 깊이를 주는 同時에 難解하게 만드는 原因도 되고 있다.

이상은이 詩를 지을 때, 左右에 많은 書籍들을 늘어 놓고 參考했기 때문에 當時 사람들은 水獺이 물고기를 잡아먹으면서 물고기를 눈앞에 나란히 놓고 祭祀지낸 다음에 먹는다는 傳說에 着眼하여 이상은을 獺祭魚(獺祭魚)라고 불렀다고 한다. 後世에 日本 메이지 時代 의 文人으로 古典에서 벗어나 人間性을 노래하려 한 마사오카 시키 (正岡子規)는 이상은의 이 雅號에서 따온 달제서옥主人(獺祭書屋主人)을 自身의 號로 썼다.

官僚로서는 不遇했지만 이상은의 詩는 살아있을 當時부터 높은 評價를 얻어, 白居易 는 晩年에 이상은에게 "죽어도 너의 子息으로 태어나고 싶다"고 했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으며, 같은 晩唐 詩人으로 꼽히는 溫庭筠이나 黨이 滅亡할 當時의 悍惡(韓?)도 그 影響을 짙게 받고 있음이 指摘된다. 5大 10國 時代 燭(蜀)의 위곡(韋?)의 『才調集(才調集)』에는 이상은의 詩가 唯獨 많이 실려 있음을 볼 수 있다. 요염하고 唯美的인 그의 詩風은 높은 評價를 받아 그 追從者가 생겨났고, 北送 (北宋) 初期에 一大 流行을 일으킨 西崑體(西崑?)의 始祖가 되었다. 北宋의 양억(楊億)?전유연(?惟演)?유균(劉筠) 等 朝廷의 文官들이 中心이 되어 和答한 詩를 모아 였은 《西崑酬唱集》(西崑酬唱集)의 題目에서 由來한 이 西崑體는 李尙恩에게서 그 戰犯을 찾는 것으로 彫琢을 꾸민 數詞와 暗示的이고 象徵的인 手法을 特徵으로 하는 그 詩는 外見上 이상은의 것에 가까웠지만, 北宋 中期에 이르면 歐陽脩 (?陽脩)나 梅堯臣 (梅?臣) 等의 批判을 받아 排斥당했다. 오히려 그 直後 王安石 (王安石)에 依해, 이상은의 詩에는 이상은이 師事했던 杜甫와 同級의 많은 人間들에 對한 洞察이 있으며 華麗한 表現 뒤에는 이상은의 眞實된 人格이 엿보인다는 正當한 評價가 내려졌다. 오늘날 이상은의 評價는 王安石의 설에 影響을 받고 있다. 비슷하게 婉弱한 詩風을 特徵으로 한 溫庭筠 (?庭筠)과 함께 온이(?李)라 불렸으며, 頭目과 함께 소吏讀(小李杜)로 불리기도 하였다.

參考 文獻 [ 編輯 ]

  • 김준연 《中國, 當時의 나라》 圖書出版 窮理, 2014年

韓國語 飜譯 [ 編輯 ]

이상은의 詩集은 이지운 敎授와 김준연 敎授가 共同으로 飜譯해 前 3卷으로 出刊했다. 出版社는 학고방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김준연 《中國, 當時의 나라》 圖書出版 窮理, 2014年, 252쪽.
  2. 김준연 《中國, 當時의 나라》 圖書出版 窮理, 2014年, 256쪽.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