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디미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음식디미방 表紙

음식디미방 (飮食知味方, 음식지미방)은 1670年 ( 顯宗 11年)經 政府인 安東 張氏 (貞夫人 安東 張氏)가 쓴 調理書 이다. 이 冊은 弓體 로 쓰인 筆寫本 으로, 表紙에는 '규곤時宜房'이라 이름붙여졌으며, 內容 첫머리에 한글로 '음식디미방'이라 써있다. 음식디미방은 漢字語로 그中 '디'는 알 지(知)의 옛말이며, 題目을 풀이하면 '飮食의 맛을 아는 方法'이라는 뜻을 지닌다.

음식디미방 以前에도 韓國에서 飮食에 關한 冊은 있었지만, 모두 漢文 으로 쓰였으며, 簡略하게 紹介하는 것에 그쳤다. 反面 음식디미방은 예로부터 傳해오거나 張氏 夫人이 스스로 開發한 飮食 等, 兩班家에서 먹는 各種 특별한 飮食들의 調理法을 仔細하게 紹介하였다. 가루飮食과 떡 種類의 調理法 및 魚肉類, 各種 술담그기를 仔細히 記錄한다. 이 冊은 17世紀 中葉 韓國人들의 食生活을 硏究하고 理解하는 데 貴重한 文獻이다. 現在 原本은 경북대학교 圖書館에서 所藏 中이다.

構成 [ 編輯 ]

음식디미방 序文

株式 [ 編輯 ]

腐蝕 [ 編輯 ]

  • - 足湯, 말린 고기湯, 쑥湯, 千語順魚湯, 崩御順갱, 와각탕, 難湯法, 鷄卵湯法, 양숙便, 全鰒湯, 자라갱
  • - 붕어찜 , 海蔘찜, 開場찜, 水蒸鷄, 가지찜, 外찜
  • 片肉 (片肉), 또는 숙便(熟片) - 양숙, 別味 닭大邱便
  • - 동아膳
  • - 蓮根채, 東亞돈채, 雜菜, 大邱껍질채, 外貨債
  • 누르미 - 가지누르미, 開場告知누르미, 東亞누르미, 大邱누르미, 開場누르미, 海蔘누르미
  • 구이 - 닭구이, 街제肉, 雄壯, 大蛤구이
  • 볶이 - 羘볶이, 꿩지히, 꿩짠지히
  • - 東亞적, 蓮根적
  • - 어전법
  • - 回, 大蛤回
  • 침채 - 꿩침채, 山갓침채, 마늘 담는 法
  • 순대 - 開場
  • - 게젓, 約게젓, 靑魚 殮解法, 防禦 鹽藏法
  • 삶는 法 - 질긴 고기 삶는 法, 누른개, 웅窓 손질法, 開場 고는 法, 海蔘 다루는 法

양념 [ 編輯 ]

  • 食醋 - 2가지 峭法, 매自招, 국에 타는 法

後食 [ 編輯 ]

  • - 尙火, 尙火便, 增便, 石耳便, 雜果편, 밤설기, 電話法, 貧者法, 인절미 굽는 法
  • 雜科 - 軟藥果, 藥과, 박산, 重朴系, 氷沙菓, 강정
  • 기타 - 櫻桃便, 純情과, 竹筍正果, 섭山蔘
  • 花菜 - 土葬法 綠豆羅花, 챠ㄱ면(오미자), 壁챠ㄱ면, 차면, 스ㅣㅡㆀ면(오미자)

貯藏 [ 編輯 ]

  • 菜蔬 - 수박, 童話 間手法, 童話 담는 法, 가지 間手法, 고사리 담는 法, 비시나물 쓰는 法, 健康法
  • 과일 - 北숭아 間手法
  • 고기 - 고기 말리는 法, 고기 말려 오래 두는 法, 참새 말리는 法
  • 生鮮 - 生鮮 말리는 法, 全鰒 말리기, 海蔘 말리기, 生鰒 間手法, 連語란

[ 編輯 ]

  • 段洋酒 - 情感淸州, 點甘酒, 2가지 夏節 三日酒, 일一周, 下節酒, 4가지 梨花酒, 賜給週
  • 이양주 - 甘香酒, 下向週, 碧香酒, 유화주, 香醞酒, 消穀酒, 황금주, 하시주, 七日酒, 百花酒, 東洋株, 店主, 赤酒, 男성주, 錄畫週, 七日酒, 竹葉酒, 別株, 行化春酒
  • 삼양株 - 2가지 三亥酒, 2가지 三亥酒, 三五酒 (삼양株), 巡響柱法
  • 社洋酒 - 三五酒 (社洋酒)
  • 藥用酒 - 車主法, 松花酒, 五加皮酒
  • 魂鄕主 - 過夏酒
  • 燒酒 - 2가지 受注, 밀燒酒, 찹쌀燒酒
  • 누룩 - 주국方法, 梨花酒 누룩法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