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女性的 글쓰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女性的 글쓰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女性的 글쓰기 (I’Ecriture feminine)는 1970年代 프랑스 페미니즘의 흐름을 主導했던 엘렌 食水 의 著書 <메두사의 웃음>에서 提示된 槪念이다. 冊의 書頭에서 式쑤는 女性的 글쓰기를 宣言하고 女性의 經驗에 基盤한 글쓰기를 통해 女性이 스스로를 表現하고 自律的인 主體性을 構成해야 한다고 主張한다.

旣存의 言語 體系가 가지고 있는 男根中心的 特性에 對해 批判的으로 바라보며, 이러한 男根中心的 言語를 基盤으로 한 旣存의 글쓰기 亦是 이미 男性 主體를 基準으로 構築되어 왔다고 보는 立場이다. 따라서 男性的 言語?思惟構造 및 二項對立 적 事故 等에 抵抗하며 抑壓된 女性의 經驗과 글쓰기를 復元하려는 試圖이다. 따라서 西歐 哲學의 歷史에 뿌리깊은 男根 象徵的?理性中心的 體系를 拒否하고 '몸'에 集中하며 二項對立을 깨트리는 脫二分法的 글쓰기, 山砲적?分裂的?反復的이고 非決定的인 글쓰기 스타일로 대표된다.

批判 [ 編輯 ]

그러나 이러한 글쓰기 方法論에 對하여 '女性的'이라는 修飾語가 가지고 있는 含意를 再生産하고, 女性的 글쓰기의 主體를 生物學的 意味에서의 女性으로만 還元하는 問題를 惹起시킬 수 있다는 批判도 받는다. [1] [2] 하지만 女性的 글쓰기는 單純히 女性들이 쓰는 글쓰기 方式이나 文學的 글쓰기 方式에 限定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藝術 作品, 實踐들 속에서 慣習的 男性의 言語와 思考를 顚覆하는 모습들을 包括한다. 卽 글쓰기 스타일에 局限된 것이 아닌 理論的 틀이자 하나의 對抗談論으로 보다 包括的으로 理解되기도 한다.

韓國에서는 최윤 오정희 가 女性的 글쓰기 方式을 取한다고 評價된다.

各州 [ 編輯 ]

  1. 정을미, Helene Cixous의 "女性的 글쓰기" (l'Ecriture feminine) http://www.dbpia.co.kr/Article/NODE00688110
  2. 안미현, 女性的 글쓰기의 特性과 可能性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215623

關聯된 글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