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에스토니아 사도 正敎會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에스토니아 사도 正敎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에스토니아 사도 正敎會 ( 에스토니아語 : Eesti Apostlik-Oigeusu Kirik )는 콘스탄티노폴리스 世界總大主敎靑 으로부터 自治權을 附與받은 自治 敎會 이다. 에스토니아 法에 따라 第2次 世界大戰 移轉 에스토니아 正敎會의 合法的인 繼承者로 認定받고 있다.

歷史 [ 編輯 ]

10世紀부터 12世紀 동안 노브고로드 프스코프 의 正敎會 宣敎師들이 프스코프에서 가까운 東南部 地域에 居住하는 에스토니아人들을 對象으로 活動하였다. 그러나 13世紀에 들어서면서 에스토니아는 北方 十字軍 에 依해 征服되어 西方 敎會의 影響 아래 놓이게 되었다. 17~18世紀에는 모스크바 總大主敎 니콘이 導入한 前例 改革을 拒否한 많은 옛 前例主義者들이 러시아를 떠나 에스토니아에 왔다는 것 外에는 敎會 歷史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18~19世紀에 에스토니아는 러시아 帝國 의 一部였다. 1850年代에는 正敎會로 改宗하는 모든 사람에게 러시아의 土地를 提供한다는 所聞이 돌아 約 65,000名의 에스토니아 農民들이 땅을 얻기 위해 正敎會 信仰으로 改宗하고 수많은 正敎會 聖堂이 세워졌다. [1] 나중에 이 所聞이 事實이 아니라는 것이 알게 되자 正敎會로 改宗한 農民들 가운데 많은 이가 다시 루터교로 돌아갔다.

19世紀 末葉 러시아 正敎會 의 支援 아래 러시아化가 流行하였다. 탈린의 性 알렉산드르 넵스키 大聖堂 과 에스토니아 東部 쿠레매에 에 있는 퓌흐티車 修道院 도 이 時期에 세워졌다.

1918年 에스토니아 共和國 이 宣布된 後, 러시아 正敎會 總大主敎 티콘이 그동안 決定을 미뤄왔던 에스토니아 正敎會(EAOC)의 自治를 1920年에 承認하였다. 그리하여 탈린과 前 에스토니아의 首都 大主敎 알렉산데르 파울루스가 에스토니아 正敎會의 首長으로 選出되어 管區 大主敎로 서임되었다. [2]

이에 앞서 러시아 帝國이 무너진 後 들어선 蘇聯이 宗敎 撤廢와 國家 無神論 으로의 代替를 主唱한 마르크스 레닌主義 思想을 導入했다. [3] 이에 對한 對應으로 모스크바 總大主敎 티콘은 1918年 蘇聯 指導部를 波紋했고, 以後 러시아 正敎會는 酷毒한 迫害를 받게 되었다. [4] 1922年 4月 티콘 總大主敎가 逮捕되어 投獄되었으며, [5] 에스토니아 聖職者들은 모스크바 總大主敎靑果의 連絡이 끊어졌다. 1922年 9月 에스토니아 사도 正敎會 會議는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 멜레티오스 4歲 에게 에스토니아 正敎會의 管轄權을 러시아 正敎會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廳으로 移管할 것과 에스토니아 正敎會의 敎會法的 位置를 分明히 해줄 것 等을 歎願하였다. 1923年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廳은 에스토니아 사도 正敎會를 콘스탄티노폴리스의 裁治權 아래 두고 自治 敎會의 地位를 附與하되, 完全한 自治權은 行使하지 못한다는 布告令을 내렸다. [6] [7]

1941年 以前까지 에스토니아 人口의 5分의 1은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廳의 裁治權을 따르는 正敎會 信者들이었다(나머지는 나라가 튜턴 騎士團 의 支配를 받고 있었기에 16世紀 初 宗敎改革 以後 루터교 信者가 되었다.). 當時 에스토니아 正敎會에는 158個의 本黨과 183名의 聖職者가 있었다. 또한 타르투 大學校 神學部에는 正敎會 議長이 있었다.

第2次 世界大戰 [ 編輯 ]

1940年 에스토니아가 蘇聯에게 점령당하면서, 蘇聯 政府는 에스토니아 正敎會의 獨立을 霧散시키기 위한 計劃에 着手했다. 그러나 1942年부터 1944年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 아래 自治權이 一時的으로 復權했다. 1945年 모스크바 總大主敎廳은 에스토니아에 남아있던 OCE 總會 一員들을 解散시키고 새로운 組織인 敎區會議를 設立했다. 이에 따라 蘇聯에 占領된 에스토니아 正敎會는 러시아 正敎會에 屬한 敎區가 되었다.

그렇지만 1944年 蘇聯의 2次 占領과 에스토니아 시노드 解散이 있기에 앞서, 敎會의 首長이었던 알렉산데르 수도 大主敎가 21名의 司祭 및 8千 名의 信者와 함께 亡命길에 올랐다. 스웨덴에 亡命한 에스토니아 正敎會는 1991年 에스토니아의 獨立이 回復될 때까지 敎會法的 位置를 保障받고 活動을 이어나갔다. 알렉산데르 수도 大主敎는 1953年 安息하기 前에 自身의 共同體를 콘스탄티노폴리스 傘下 管理九老 세웠다. 그 밖의 다른 主敎들과 聖職者들은 大部分 시베리아로 追放되었다. 1958年 亡命 敎會는 스웨덴에서 새 시노드를 세우고 다시 敎會 組織을 設立하였다.

空白期 [ 編輯 ]

1978年 모스크바 總大主敎廳의 督促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廳은 1923年 에스토니아 正敎會의 權利를 明示한 憲章이 無效라고 宣言했다. 에스토니아 正敎會 共同體 內部에 모스크바의 裁治權을 다시 따라야 한다고 主張하는 側과 모스크바는 더 以上 에스토니아에 對한 裁治權을 行使할 수 없다는 側 사이에 分裂이 일어나 蘇聯이 解體하기 前까지 에스토니아 正敎會는 空白期를 가지게 되었다. 蘇聯 占領期間 동안 많은 러시아人이 에스토니아로 移住했는데, 이 때문에 種種 두 民族 間에 紛爭이 일어나기도 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모스크바 두 總大主敎靑 間에는 오랜 協商이 있었지만 合意를 導出해내지 못했다.

再跳躍 [ 編輯 ]

1993年 亡命 에스토니아 正敎會 시노드는 에스토니아 自治 正敎會의 合法的 繼承者로써 재등록되었으며, 1996年 2月 20日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 바르톨로메오스 1歲 는 公式的으로 1923年 當時 OCE에 附與했던 自治權의 回復과 더불어 에스토니아 正敎會가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廳에 隸屬된다고 宣言했다. 이에 에스토니아에서 태어났으며, 에스토니아를 러시아 正敎會 管轄로 여긴 모스크바 總大主敎 알렉세이 2歲 가 卽刻 反撥하고 나섰다. 모스크바 總大主敎는 一時的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의 이름을 딥티크에서 지워 버렸다.

이 같은 어려운 狀況 속에서 에스토니아 사도 正敎會는 핀란드 正敎會 , 特히 카렐리야와 前 핀란드의 管區 大主敎 요한 린네와 補佐 主敎 암브로시오스로부터 많은 도움과 支援을 받았다.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廳은 핀란드 正敎會가 에스토니아에 새로 復元된 正敎會가 再建될 수 있도록 援助下라는 決定을 내렸다. 요한 管區 大主敎는 臨時로 에스토니아 사도 正敎會의 수도 大主敎 代行(1996-1999)으로 活動하였다. [8]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모스크바 사이에 에스토니아 正敎會 信者들이 自身들이 어느 敎會에 所屬될 것인지 選擇할 수 있도록 하는데 合意가 이루어졌다. 信者들의 大部分(主로 러시아系)李 모스크바를 따르기로 하면서, 에스토니아 全體 人口의 30퍼센트로 推算되는 正敎會 共同體가 分割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2003年 11月에 發表된 美國 國務部 報告書에 따르면, 에스토니아 사도 正敎會에는 本堂 60個와 信者 2萬 名이 있으며, 모스크바를 따르는 쪽은 本堂 30個와 信者 15萬 名의 信者가 있다고 한다. [9]

各州 [ 編輯 ]

  1. "Eesti Apostlik-Oigeusu Kirik, Ajalugu (=History) (In Estonian)" (www.eaok.ee)
  2. Historical background of Orthodoxy in Estonia Archived 2016年 8月 11日 - 웨이백 머신 , Estonian Orthodox Church of Moscow Patriarchate website.
  3. Lenin, Vladimir Ilyich . "The Attitude of the Workers' Party to Religion" , Proletary , No.45, May 13 (26), 1909.
  4. Pospielovsky, Dimitry V. The Russian Church Under the Soviet Regime, 1917-1983 , ch.2, St Vladimir's Seminary Press, Crestwood NY, 1984.
  5. "Glorification of St Tikhon, the Apostle to America" , 아메리카 正敎會 웹사이트.
  6. Ringvee, Ringo. "History of the controversy" Archived 2021年 5月 8日 - 웨이백 머신 , Estonica - Encyclopedia about Estonia , Estonian Institute.
  7. Toom, Tarmo. "Estonia, Orthodox Church in" , The Encyclopedia of Eastern Orthodox Christianity , p.226-8, Wiley-Blackwell Publishing, 2011.
  8. Metropolitan Johannes:"Viron ortodoksisen Kirkon tie uuteen itsenaisyyteen" Aamun Koitto Number 19/2007 p.18-20
  9.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3” . 2017年 7月 3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7月 30日에 確認함 .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