使徒 바울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星 바울 에서 넘어옴)

바울로 (Paul, 바오로, 바울)
사도, 殉敎者
出生 書記 5年頃
로마 帝國 킬리키아 屬州 타르수스
腺腫 64-67年
로마 帝國 로마
敎派 基督敎
祝日 1月 25日 (灰心) [1]
6月 29日 (殉敎)
象徵 書翰集, 칼
守護 神學者, 印刷業者, 밧줄 製作者, 바구니 製作者

바울로 (Paul, 古代 그리스어 : Πα?λο? 파울로스 [ * ] , 라틴語 : Paulus 파울루스 [ * ] , 共同飜譯聖書 ), 바오로 ( 로마 가톨릭교회 ), 바울 ( 改新敎 )는 初期 基督敎 사도 로, 新約聖經 의 主要 部分을 차지하는 바울로 書信 을 著述한 人物이다. 新約聖經 使徒行傳 에 따르면 그는 예수를 믿는 者들을 앞장서서 迫害하였으나, 예수의 音聲을 들은 以後 灰心 하여 以後 基督敎의 初期 信仰에 莫大한 影響을 끼쳤다. [2] [3] 回心하기 前의 이름은 王의 이름인 '要請받은 者'라는 뜻의 '사울'( ??????? )이었다. 古代 로마 의 屬州였던 小아시아 키리키아 地方(現在의 튀르키예 )의 中心 都市 타르수스 (多少) 出身이다. 天主敎 正敎會 에서는 成人 으로 기리며, 丑日은 베드로 와 같은 6月 29日 (天主敎, 聖公會), 7月 12日 (正敎會)이다.

槪要 [ 編輯 ]

바울로는 初期 基督敎 를 이끈 뛰어난 指導者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敎義를 傳하려는 熱情으로 아프리카 (北아프리카) 地域을 除外한 로마 帝國 의 主要 都市를 돌아다녔다. 無慮 20,000km에 이르는 距離를 돌아다닌 그의 宣敎 旅行과, 新約聖書 27個의 文書 가운데 13篇에 達하는 그의 이름으로 된 書信書들은 初代敎會社에서 紀念碑的인 業績이다. 그는 自身이 宣敎 旅行 中에 여러 番 죽을 危機를 맞았다고 말한다. 유대人 에게 다섯 番 매를 맞고, 세 番 笞杖으로 맞고, 한 番 돌로 맞고, 세 番 배가 破船했다. [4] 그렇게 그는 유대敎와 區分된 基督敎 를 確立했고, 그 敎會는 只今까지 命脈을 이어오고 있다. 또한 바울의 熱情은 예수 가 왜 그리스도 人家에 對해 舊約聖書 를 根據로 變症 하는 知性 敵人 信仰에 뿌리를 둔 것이었다. [5] 바울로의 神學 및 書信은 基督敎의 敎理와 歷史에 미친 影響이 매우 커서 或者는 '예수가 없었다면 바울로도 없었겠지만 바울로이 없었다면 基督敎도 없었을 것이다'라고 評하기도 한다. [6]

이름 [ 編輯 ]

바울로는 로마帝國의 라틴語 이름을 헬라語 로 音借限 이름으로 그의 히브리어 이름은 ‘사울( 히브리어 : ???? )’이다. 이름에 對해서는 主張이 둘로 나뉜다. 먼저 로마帝國 市民으로서 두 個 이름을 活用했다는 主張과 이름 意味 差異에서 意圖的이라고 보는 主張이 있다. '사울'은 舊約聖書 最初 이스라엘 王의 이름이었고 要請할 수 있는 者인데, '바울로'는 '작은 者'라는 意味로 意味 對備가 커서 바울이 灰心 以後 사울에서 바울로 變更했다는 主張이다.

于先, 바울로가 두 個 이름을 지녔다는 主張이 있다. 在美僑胞 들이 韓國語 이름과 英語 이름을 모두 使用하는 것처럼 [7] 海外에서 사는 유대人 ( 그리스말 로 '흩어진'을 뜻하는 디아스포라 )들도 히브리어 이름과 헬라語 라틴語 이름을 모두 使用했기 때문에, 使徒 바울로도 헬라語式 이름인 바울로과 히브리어 이름인 사울을 모두 使用했다는 것이다. 特히 바울로의 境遇 로마 市民權을 지니고 있었기에 로마式 이름을 가지고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그러므로 한때 基督敎人들이 사울이 바울로로 改名했다는 主張은 使徒 바울로 時代의 文化에 對한 理解 不足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8] 使徒行傳 에서도 '바울로라고도 불리는 사울'이라고 言及하고 있다. [9] 바울로는 라틴語로 '작은', '낮은'이라는 뜻인 形容詞 '파울루스'(paulus)에서 由來한 이름이다.

둘째로 사울이 베드로처럼 記念的인 두 番째 이름인 바울로라는 이름을 活用했으리라는 主張이다. 이 主張의 背景으로 이름의 意味가 克明하게 對比된다는 點을 强調한다. 當時 굳이 2個의 이름을 使用하지 않았다는 事實도 있고, 히브리어 이름을 飜譯하여 使用한 記錄도 있다. 그리고 바울로라는 이름 自體가 라틴語 圈域인 이탈리아 地域에서도 極히 一部만 使用하던 이름이었고, 헬라語 圈域인 小아시아 地域에서는 使用하기 어려운 이름이었다 [10] . 이스라엘의 王 이름이었던 사울은 히브리어 에서 사울은 '懇求함' 또는 '要請'의 意味를 지닌 '要請하는 者'로 히브리어의 動詞로 要請하다라는 뜻의 '샤알'에서 由來한 이름이다. 사울이 베냐민 支派 出身 이스라엘 王國 첫 임금의 이름이었던 反面, 라틴語 에서 由來한 바울로는 '작은 者, 낮은 者'라는 意味로 베냐민 支派 出身 律法學者였던 사울의 이름이었다. 바울로는 너무나 對比되는 두 個의 이름을 굳이 使用하지는 않았을 것이며, 이를 使用했다면 意圖가 있었을 것이다. 이미 로마帝國 以前부터 유대 地域의 헬라 火가 進行된 狀況이었던 1世紀에는 아람어 히브리어 이름을 헬라語 式으로 音借하거나 飜譯했고, 헬라語式 이름을 유대地域에서 그대로 活用하기도 하였다. 新約聖經 에서 유대人인 예수 의 12 사도 들 中에 히브리어 아람어 關聯 이름이 아니라 헬라語 式 이름을 使用하는 사도 들이 있다. 안드레아와 필립補가 代表的이다. 안드레아는 시몬 베드로 의 兄弟로 유대人이었고, 필립褓 亦是 洗禮者 요한 의 弟子 出身으로 유대人이었다. 그런데도 유대 地域 內에서 헬라語式 이름만을 그대로 使用했고 굳이 아람어와 헬라語로 이름을 使用하지 않았다. 베드로의 元來 이름은 시몬이었으나 예수를 만난 以後 '바위'를 뜻하는 아람어 ' 케파 '라는 別稱을 얻었다. 이를 飜譯해 바위를 뜻하는 헬라語 ' 페트로스 '가 그의 이름으로 널리 使用되었다. 1世紀에 두 個 이름을 굳이 使用하지 않기도 했으며, 아람어나 히브리어 이름을 使用할 境遇에는 飜譯하거나 音借하여 使用하였다. 이러한 狀況을 보면 사울은 發音하기 便한 헬라語式 音叉 '사울로스'나 사울을 飜譯한 라틴語 이름이나 헬라語 이름으로 使用했어야 했다. 하지만 사울은 自身의 히브리 王의 이름에 正反對인 헬라 종의 이름인 바울로를 使用했다. 바울로의 境遇 灰心 以前에 두 個의 이름이 있었다기보다 灰心 以後 自身의 이름을 헬라語로 音借하거나 飜譯하지 않고, 작은 자라는 意味의 바울이라는 이름을 追加的으로 變更했던 것으로 보인다.

韓國語 聖書 飜譯本意 音域 差異 [ 編輯 ]

1900年 完譯한 新約聖經 戰서 音域을 따른 改易한글版 ( 大韓聖書公會 )은 ‘바울’, 共同飜譯聖書 (大韓聖書公會)는 ‘바울로’, 天主敎 聖經( 2005年 , 韓國天主敎主敎會의 )은 ‘바오로’라고 한다. 聖公會 는 바울을 ‘바우로’라고 音譯하는데, 그 實例로 1965年 聖公會 共同祈禱文 과 聖公會 소성인展에 바울로를 바迂路로 音譯하며, 現在도 韓國 聖公會 는 바울로를 洗禮 받은 信者에게 붙이는 이름 卽 신명(信名)으로 使用한다.

이 人物의 이름은 共同飜譯聖書 의 '바울로'를 共히 使用하려 했으나 兩側 見解 差異로 말미암아 이뤄지지 않았다. 東方 正敎會 共同飜譯聖書 를 따라 '바울로'라고 稱하며, 改新敎 大部分은 1900年 完譯한 新約聖經 篆書를 따라 '바울'로, 로마 가톨릭교회 에서는 2005年 韓國 天主敎 主敎會議 에서 옮긴 聖經에 따라 '바오로'로 稱한다. 聖公會 에서는 共同飜譯聖書 飜譯에 따라 '바울로'라고 하는데, '바우로'라고 부르기도 한다.

生涯 [ 編輯 ]

로마 帝國 治下의 小아시아 킬리키아 脂肪(길리기아, 現在의 튀르키예)의 中心 都市 타르수스 에서 유대人으로 태어났다. [11] 出生 年代는 新約聖書 學界에서 紀元後 5年 즈음으로 推測하고 있으며, [8] 그의 出生 地域과 連帶로 미루어 보아 바울로는 帝國의 市民權이 있었다고 推測하며, 이에 關한 間接的인 記錄으로 使徒行傳 22:25-29에서 바울로의 宣敎 活動 中에 유대 民族과의 衝突로 로마軍에 逮捕되었을 때 自身이 나면서부터 로마 市民이라고 말한 것을 들고 있다. [12] 바울로는 自身의 紐帶 血統을 否定한 적이 없으며, [13] 게다가 그가 이른바 다마스쿠스 [14] 에서 回心하기까지 初期 그리스도人 들의 迫害에 앞장섰다는 點으로 미루어 그의 유대人 血統에 關해 疑心의 餘地가 없다. [15] 바울로 自身은 대단한 出身背景에 關해 自負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필립祕書 에서 그리스도를 아는 知識의 價値를 强調하기 위해 自身의 出身 背景을 汚物에 빗댄다. [13]

學識 [ 編輯 ]

바울로 西間의 內容을 바탕으로 解釋할 때 그는 아마 欠이 없는 敎育을 두루 받은 것으로 보이지만, 어디서 그리고 어떤 敎育을 받았는지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그의 故鄕이 古代 그리스 文明의 影響 밑에 있었던 關係로 當時의 一般的인 古典 敎育 및 유대敎 바리사이 派的 律法 敎育을 받았을 것으로 推測하고 있다. 그는 尊敬받는 律法學者 가말리엘에게서 律法 敎育을 받았는데 [11] , 유대 傳統에 따라 舊約聖書 (律法, 豫言書), 律法 解釋(미드라視), 修辭學 을 工夫했을 것이다. [16] 이러한 體系的 神學 敎育은 使徒 바울로를 유대 傳統인 律法을 批判할 만큼 뛰어난 神學者로 자라게 해주었다. 使徒 바울로가 가말리엘의 弟子였다는 使徒行傳의 說明을 바탕으로 回心하기 前까지 그가 바리사이 派에 積極 協助하지 않았을까 推測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바울로의 出生과 유대敎의 律法 을 追從하였던 젊은 時節의 活動은 自身의 司牧 方向이나 神學的인 見解에 맞지 않을 境遇 妥協하지 않았던 그의 곧은 性品에 잘 反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바울은 古代 그리스 文學에도 밝았는데, 使徒行傳에 따르면 古代 그리스 詩人을 引用하여 아테네 哲學者들에게 福音을 傳하였다.

우리는 그분 안에서 숨쉬고 움직이며 살아간다.하는 말도 있지 않습니까? 또 여러분의 어떤 詩人은 우리도 그의 子女다. 하고 말하지 않았습니까?

使徒行傳에는 바울로가 傳하는 福音을 듣고 回心한 이들의 이름을 仔細히 적었다. 知識人 들의 知性에 맞게 前導한 使徒 바울로의 顚倒는 智慧로운 顚倒였던 것이다.

몇몇 사람이 바울로 便이 되어 예수를 믿게 되었다. 그中에는 亞레오波高 法廷의 判事인 디오니시오를 비롯하여 다마리스라는 女子와 그 밖에도 몇 사람이 더 있었다.

主要 連帶 [ 編輯 ]

第위트의 年代記 構成 [19] [20] [ 編輯 ]

  • 34年 다마스쿠스 事件
  • 41年 第1次 예루살렘 訪問
  • 51年 小아시아와 그리스에서의 宣敎, 第2次 예루살렘 訪問
  • 59年 - 60年 로마로의 送還
  • 62年 死亡

다마스쿠스에서의 灰心 [ 編輯 ]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서 일어난 灰心, 카라바조

使徒 바울은 스테파노 의 殉敎 以後 基督敎 人들을 本格的으로 迫害하기 爲해서 大祭司長의 權限을 받아 다마스쿠스 에 가던 中 예수 의 顯現을 보고 그의 音聲을 듣게 되었고, 以後 예수의 弟子 아나니아에게 洗禮 를 받았다. 基督敎人이 된 後 性 바르나바 의 仲裁로 사도 들과 交際하였다. 어떤 사람들은 이 事件을 改宗이라는 單語로 表現하기도 하지만, 바울로가 活動하던 時期에는 아직 基督敎 는 獨立宗敎가 아닌 유대敎 世界 안의 異端이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改宗이라는 單語를 쓰지 않았다.

宣敎活動 [ 編輯 ]

바울로는 바나바 와 함께 안티오키아 에서 宣敎 活動을 했는데, 途中에 이들은 訣別을 했다. 마르코 [21] 라는 헬라 式 이름을 가진 유대 靑年 요한이 途中에 宣敎 活動을 中斷한 적이 있는데, 바나바가 自身의 四寸 [22] 人 마르코 [23] 를 傳道旅行에 다시 데려가자고 提案했기 때문이다. 고지식한 性格의 바울은 이를 拒絶했고 結局 甚한 言爭(直譯하면 엄청난 憤怒와 성냄) 끝에 서로 헤어졌다. 使徒行傳에서는 이들의 論爭이 벌어진 理由를 다음과 같이 說明한다.

며칠 뒤에 바울로는 바르나바 에게 "우리가 主님의 말씀을 傳한 모든 都市를 두루 찾아다니며 敎友들이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살펴봅시다." 하고 提言하였다. 그때 바르나바는 마르코라는 요한도 같이 데려가자고 하였다. 그러나 바울로는 自己들과 함께 가서 일하지 않고 밤필리아 에서 떨어져 나갔던 사람을 데리고 갈 수는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 두 사람은 甚한 言爭 끝에 서로 헤어졌는데 바르나바는 마르코를 데리고 배를 타고 키프로스 로 떠나가 버렸다.

여기서 甚한 言爭으로 飜譯한 派록쉬스모스( 그리스어 : παροξυσμ?? paroxusmos [ * ] )는 엄청난 憤怒와 성냄을 包含하는 말이다. 바울과 바나바의 言爭은 서로에게 엄청난 敵對感을 드러내며 벌인 感情다툼이었던 것이다. [24] 이들의 紛爭에 對해 聖公會 神學者 톰 라이트 (Tom Wright)主敎는 사도 들이 '慰勞의 아들'이라고 불러줄 만큼 性格이 柔順한 바나바 와 올곧은 性格의 바울이 서로 圓滿하게 지내기는 힘들었기 때문으로 理解한다.

바울은 아테네 , 테살로니키 , 코린토스 , 에페소스 等에서 宣敎活動을 했으며, 特히 고린도에서는 브리스킬라(아내)와 亞퀼라(남편)라는 유대人 天幕 業者 夫婦와 같이 일하면서 하느님의 말씀을 傳했다. 로마 에서는 貰房살이 를 하면서 유대人들에게 하느님의 나라와 예수 이야기를 담대히 들려주었고, 필리포스 大王의 이름을 딴 마케도니아의 필립費에서는 리디아(루디아)라는 女性 商人의 도움을 받아 敎會共同體를 組織했다. 使徒行傳 16章에서 리디아는 티아디라에서 나고 자란 紫色 옷감 壯士라고 했는데, 古代 地中海 世界에서 姿色 옷감은 王이나 富者들만 입을 수 있는 貴한 옷이었다. 實際 예수의 受難 福音에서 로마 軍人들이 예수에게 紫色 옷감을 입혔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도 王이신 그리스도를 말하고자 함이다. 리디아는 紫色 옷감을 사고팔 程度로 富裕한 女性 商人으로서 自身이 모은 財産을 아낌없이 敎會共同體에서 使用했음을 사도 루가는 傳하고 있다. 이는 初期 敎會에서 女性들이 使徒 바울의 傳道旅行에 後援者로서 參與했음을 뜻한다.

마케도니아 地方 에서도 宣敎活動을 할 程度로 活躍하지만, 64年 네로 皇帝의 基督敎 迫害로 殉敎 하였다.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는 믿음 안에서 異邦人들 또한 同等한 救援을 얻는다는 神學의 그의 宣敎活動은 基督敎 를 異邦人을 包含한 많은 이들이 들어올 수 있는 보다 普遍的인 宗敎로 발전시키는 業績을 남겼다는 評價를 받는다. [25] 또한 英國 聖公會 司祭로서 淸敎徒 的인 背景을 갖고 있던 존 폭스 神父의 《殉敎者》에 따르면, 使徒 바울의 宣敎活動은 에페소스 敎會의 主敎 人 性 디모테오 에게 繼承되었다.

使徒들과의 關係 [ 編輯 ]

베드로와 바울-엘 그레코

'使徒'라는 名稱에 對한 論議 [ 編輯 ]

사도(apostle)는 ' 그리스어 : απ?στολο? '의 音譯이다. 'απο'는 接頭語이며, 'στολ'은 '派送하다'는 動詞의 御間 'στελ'李 變形된 것이다. 따라서 使徒라는 뜻이 헬라語 는 어떤 任務를 이룩하기 위해 누군가를 앞에 보낸다는 意味다. 따라서 '使徒'란 基督敎 의 가르침을 傳播하고 基督敎 共同體의 發展을 위해, 예수 그리스도 가 共同體의 指導者 役割을 맡긴 사람을 뜻한다. [26]

사도 資格 가운데 하나는 歷史的 예수 의 行跡을 直接 본 사람이어야 했다. 바울은 다마스커스 에서 幻想 中에 예수 를 만나 뵈었다고 말했지만, 이는 主觀的 主張이었으므로 다른 사람이 쉽게 믿을 수 없었다. 예수가 使徒로 임명해야만 可能했다. 그래서 1世紀 敎會에서 바울이 果然 '使徒'인지를 둘러싼 論爭이 있었다. 使徒行傳 에 依하면 바나바의 仲裁로 그의 眞實性이 敎會 에서 받아들여진 것으로 나타나 있다. [27]

유대 基督敎人들과의 神學葛藤 [ 編輯 ]

古代敎會의 基督敎人 들을 유대敎 基督敎 는 아무런 差異가 없다고 解釋하여 卽, 基督敎를 유대敎의 한 宗派로 理解하여 律法 , 割禮 等의 유대敎 傳統을 强調한 유대 基督敎人들과 유대敎와 基督敎 사이 斷絶을 主張하며, 유대敎 傳統을 拒否한 이房 基督敎人으로 區分했는데, 바울은 이房 基督敎의 指導者였다고 主張하는 見解도 있다. [28] 使徒行傳 에 나오는 베드로 , 야고보 等의 旣存 使徒들은 베드로 와 바울이 衝突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유대 基督敎 指導者들이었고, 殉敎者 스데罷駑 (스데반)를 비롯한 일곱 副題 (Diakonos)들은 이房 基督敎人이었다. 이들은 一致하지 못하고 神學 的인 葛藤을 겪었는데, 이房 基督敎 指導者 바울은 유대 基督敎人들을 다른 福音 을 傳한다느니 [29] , 거짓 兄弟 [30] 라느니 하는 激烈한 말로 非難했고, 유대 基督敎 共同體였던 예루살렘 敎會 信者들은 바울을 유대敎 傳統을 破壞하는 人物로 보았다. [31] 갈라디아서 에 따르면 예루살렘 敎會의 指導者들인 야고보와 게파와 요한은 유대敎 傳統에 對한 解釋은 全혀 달랐지만 바울을 異邦人을 위한 사도 로 尊重하였으며, 모두 敎會 는 가난한 사람을 위해 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共通點이 있었다.

그리고 十四 年 뒤에 나는 디도를 데리고 바르나바 와 함께 다시 예루살렘 으로 올라갔습니다. 나는 하느님의 啓示를 받고 올라갔던 것입니다. 거기에서 나는 所謂 指導者라는 사람들과 따로 만나 내가 異邦人들에게 傳하고 있는 福音을 說明해 주었습니다. 그것은 내가 只今 하고 있는 일이나 只今까지 해놓은 일이 虛事가 되지 않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나와 同行했던 디도는 그리스 사람이었는데도 그들은 割禮를 强要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假짜 信徒들이 우리를 奴隸로 만들려고 몰래 들어와서, 그리스도 예수를 믿는 우리가 누리는 自由를 엿보고 있었으므로 實狀 디도가 割禮를 강요당할 危險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여러분에게 傳한 福音의 眞理를 保存하려고 우리는 조금도 讓步하지 않았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사람을 겉模樣으로 보지 않으시므로 所謂 指導者라는 사람들이 過去에 어떤 사람들이었든 間에 나에게는 아무 相關도 없지만 그들도 나에게 어떤 새로운 提言을 한 일은 없습니다. 도리어 그들은 마치 베드로가 割禮받은 사람들에게 福音을 傳하는 일을 委任받았듯이 내가 割禮받지 않은 사람들에게 福音을 傳하는 일을 委任받았다는 事實을 認定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곧 하느님께서 割禮받은 사람들을 위한 사도 職을 베드로 에게 주신 것같이 異邦人들을 위한 使徒職을 나에게 주셨다는 事實을 認定한 것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기둥과 같은 存在로 여겨지던 야고보 게파 요한 도 하느님께서 나에게 주신 이 恩惠를 認定하고, 나와 바르나바 에게 오른손을 내밀어 親交의 握手를 請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異邦人들에게 傳道하고 그들은 割禮받은 사람들에게 傳道하기로 合意하였습니다.한 가지 그들이 우리에게 要求한 것은 가난한 사람들을 記憶해 달라는 것이었는데 그것은 바로 내가 前부터 熱心히 해오던 일이었습니다.

職業인 바울 [ 編輯 ]

使徒行傳 에 依하면 바울은 勞動 을 통해 스스로 살아갔다. 卽 자비량 牧會 를 한 代表的인 使徒라 할 수 있다.

그 뒤 바울로는 아테네 를 떠나 고린토로 왔는데 거기에서 그는 本道 出身인 아퀼라라는 유다 사람을 만나게 되었다. 亞퀼라는 글라우디오 皇帝가 모든 유다인은 로마 에서 나가라는 勅令을 내렸기 때문에 얼마 前에 自己 아내 브리스킬라를 데리고 이탈리아 를 떠나 온 사람이었다. 바울로가 그들을 찾아 갔는데 마침 職業이 같았기 때문에 그 집에서 함께 살면서 일을 하였다. 天幕을 만드는 것이 그들의 職業이었다.

정승우 에 依하면 한글 聖書 에서 天幕 을 만드는 일로 飜譯한 헬라語 스케老圃이오스는 가죽 을 加工하는 모든 職業 을 뜻하기도 한다. 卽, 바울은 謝禮費를 받아서 生活하던 大多數의 巡廻 說敎 者들과는 달리, 六賊 勞動者 로 살아감으로써 自身의 삶을 福音 傳道의 通路가 되게 하였으며, 그리스도 信仰과 一致되게 하였다. [32] 김회권은 " 에베소 에서 傳道할 때에 人間 을 支配하던 惡한 鬼神 들을 쫓아낸 바울로의 能力 [33] 勞動者 로서의 正直한 삶에서 나왔다"고 말하였다. [34]

社會 文化的 情況 [ 編輯 ]

바울의 基督敎 宣敎活動은 紀元後 35年 에서 60年 사이 쯤에 이루어졌다. [35] 當時 로마帝國은 地中海 全域을 統治하고 있었으며, 軍事的 힘으로 威勢를 떨칠 뿐 아니라 그리스 ( 헬라 )의 藝術 敵이고 知的인 遺産이 합쳐져, 地中海 世界는 하나의 共通된 都市文明으로 統合되어 있었다. 이를 그리스-로마 文明이라고 부른다.

當時 사람들의 宇宙觀은 오늘날의 立場에서는 神話 敵이었다. 그들은 천상이 세 가지 層으로 區分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36] 사도 바울 은 고린토 敎會에 보낸 書信書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자랑해서 이로울 것은 없지만 나는 자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제 나는 主님께서 보여주신 신비로운 映像과 啓示에 對하여 말씀 드리겠습니다. 내가 잘 아는 그리스도 敎人 하나가 十四 年 前에 셋째 하늘 까지 붙들려 올라간 일이 있었습니다. -몸째 올라갔는지 몸을 떠나서 올라갔는지 나는 모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알고 계십니다.- 나는 이 사람을 잘 압니다. -몸째 올라갔는지 몸을 떠나서 올라갔는지 나는 알지 못하지만 하느님께서는 아십니다.- 그는 樂園으로 붙들려 올라가서 사람의 말로는 表現할 수 없는 異常한 말을 들었습니다. 나는 이런 사람을 자랑하려고 하며 나 自身에 關해서는 나의 弱點밖에 자랑하지 않겠습니다.

바울의 神學 [ 編輯 ]

바울의 예수像과 敎會 [ 編輯 ]

예수像 [ 編輯 ]

新約聖書學者 박태식 에 따르면, 바울은 歷史的 예수 를 만난 적은 없으며, 예수 에게 福音 을 傳達받아서 傳한다는 바울로 書信書 속의 言及들 [37] 도 文書나 口傳으로 傳承된 그리스도 의 말씀(예수 戰勝)을 傳한다는 뜻으로 말한 것이다. 福音書 와 마찬가지로 바울 書信도 예수 全勝을 바울이 自身의 神學 으로 解釋한 新學問書인 것이다. [38] 勿論 바울로가 고린도전서 11:23에서 言及한 聖晩餐 (Holy Communion) 說明도 敎會 를 통해 傳承되던 예수의 聖晩餐 帝政 이야기를 言及한 것이다. [39]

敎會館 [ 編輯 ]

바울은 그리스도를 敎會의 基礎요 머리로 解釋했으며 [40] , 바울의 弟子들이 先生의 이름을 빌려서 쓴 에페소서 에서는 敎會 그리스도 , 사도 들과 豫言者 들을 基礎로 하며(에페소 2:20), 民族 의 區分이 없는 普遍敎會 [41] 로 解釋하고 있다.

新約聖書의 解釋 [ 編輯 ]

救援論 [ 編輯 ]

吏房에의 基督敎 指導者 바울은 律法 이 아닌 그리스도 를 믿는 믿음을 통해 하느님과의 關係가 回復된다는 稱義를 主張했으며, 이러한 救援館은 유대敎 傳統을 强調한 유대 基督敎와 葛藤을 빚곤 했다. 그래서 新藥聖書學者 김득중 은 "마태오 福音書에서 믿음의 實踐을 强調하는 理由를 바울로의 稱醫敎理가 實踐을 疏忽히 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으로 推定한다. [42]

聖禮典 解釋 [ 編輯 ]

聖晩餐 [ 編輯 ]

使徒 바울은 고린도 敎會에서 聖晩餐 때마다 富裕層 敎人들이 貧困層 敎人들과 밥床을 함께하지 않는 모습을 "主님이신 예수 께서 잡히시기 前날 밤( 聖 木曜日 )에 聖晩餐을 制定하시어 그분을 記憶하게 하셨습니다. 富裕한 敎人들이 가난한 敎人들과 聖晩餐을 나누지 않음은 그리스도 의 몸을 욕되게 하는 것이고, 가난한 敎友들을 부끄럽게 하는 것입니다."이라고 批判했다.

바울의 便紙 [ 編輯 ]

便紙의 作成者 問題 [ 編輯 ]

新約聖書에서 實際 바울의 便紙가 몇 個인지를 둘러싼 論爭이 存在한다. 傳統的인 敎會의 見解에 따르면, 바울의 書信은 14個에 達한다. 그러나 現代 神學者들은 바울 書信에서 使用된 言語와 內容을 살펴서 다음과 같이 區分하려 한다. [43]

  1. 確實히 바울이 作成한 書信: 로마書 [44] , 고린도전서 , 고린도후서 , 갈라디아서 , 빌립보서 , 데살로니가전서 , 빌레몬서
  2. 바울이 썼을 可能性이 있으나 證據가 不足한 便紙: 데살로니가후서
  3. 바울이 쓰지 않았으나 그의 思想이 담긴 便紙: 골로새서 [45] , 에베소서 [46]
  4. 바울의 이름이 나오나, 그와는 다른 時代, 다른 狀況에서 記錄된 便紙: 디모데전서 , 디모데후서 [45] , 디도서
  5. 바울의 이름이 나오지 않으며, 그와는 全혀 다른 思想과 文體로 記錄된 便紙: 히브리서

各州 [ 編輯 ]

  1. 바울로 살던 時代에는 基督敎 유대敎 에서 아직 完全히 分立하지 않았으므로, 改宗이 아닌 會心으로 表現된다.
  2. 갈라디아서 1:13-14
  3. 使徒行傳 9:1-5
  4. 고린도후서 11:23-28
  5. 하느님께서는 言約하신 대로 다윗 의 後孫 가운데서 이스라엘 을 救援할 救世主 예수를 보내주셨습니다. 使徒行傳 . 13:23
  6. " 바울이 없었다면 基督敎도 없었을 것 " . 2014年 4月 10日 . 2024年 5月 9日에 確認함 .  
  7. 例를 들어 서재필 先生은 英語 이름이 제이슨, 韓國 이름이 재필이었다.
  8. 書籍 參照: 박태식 . 《타르수스의 바오로》. 바오로딸.
  9. 그러나 바울로라고도 불리는 사울은 聖靈으로 가득 차서 그 魔術師를 쏘아보며 使徒行傳 13:9. 共同飜譯聖書
  10. 그닐카. 《바울로》. 이종한 옮김. 倭館: 분도출판사, 2008.; 그닐카는 두 個의 이름을 가졌다고 밝히면서도 라틴語 이름인 바울로가 헬라語 地域에서 使用하지 않았던 이름이었다고 記述하였다.
  11. 使徒行傳 22:3
  12. 그들이 채찍질을 하려고 바울로를 눕혔을 때에, 바울로는 거기에 서 있는 百夫長에게 "로마 市民을 有罪判決度 내리지 않고 매질하는 法이 어디에 있소?" 하고 말하였다. 百夫長이 이 말을 듣고, 千部長에게로 가서 "어떻게 하시렵니까? 이 사람은 로마 市民입니다" 하고 알렸다. 그러자 千部長이 바울로에게로 와서 "내게 말하시오. 當身이 로마 市民이오?" 하고 물었다. 바울로가 그렇다고 對答하니, 千部長은 "나는 돈을 많이 들여서 이 市民權을 얻었소" 하고 말하였다. 바울로는 "나는 나면서부터입니다" 하고 말하였다. 그러자 바울로를 新聞하려고 하던 사람들이 곧 물러갔다. 千部長度 바울로가 로마 市民이라는 事實을 알고는, 그를 結縛해 놓은 일로 두려워하였다.(사도행전 22:25-29/標準새飜譯)
  13. 하기야, 나는 肉體에도 信賴를 둘 만합니다. 다른 어떤 사람이 肉體에 信賴를 둘 만한 것이 있다고 생각하면, 나는 더욱 그러합니다. 나는 난 지 여드레 만에 割禮 를 받았고, 이스라엘 民族 가운데서도 베냐민 支派요, 히브리 사람 가운데서도 히브리 사람이요, 律法 으로는 바리사이 파 사람이요, 熱性으로는 敎會 를 迫害하였고, 律法 의 醫로는 欠 잡힐 데가 없습니다. 그러나 나는 그리스도 때문에, 나에게 이로웠던 것은 무엇이든지 害로운 것으로 여기게 되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나의 主 예수 그리스도 를 아는 知識이 가장 高貴하므로, 나는 그 밖의 모든 것은 해로 여깁니다. 나는 그리스도 때문에 모든 것을 잃었고, 그것들을 汚物로 여깁니다. 《 빌립보서 》3:4-8(標準새飜譯)
  14. 사도 9:1-19
  15. 고린도후서 11:22; 로마書 11:1
  16. 〈타르수스의 바오로〉. 《같은 冊》. p.37쪽.  
  17. 主戰 600年頃 에피메니데스 詩人이 쓴 '크레타'와 아라투스 是認(主戰 315-214)의 詩를 認容. 《使徒行傳》2/김회권 지음/복있는 사람P.183
  18. 使徒行傳 17:27
  19. 바울 書信과 使徒行傳, 非基督敎的 資料를 基礎로 再構成
  20. R.Jewett (1979). 《A Chronology of Paul's Lif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pp. 96-104쪽.   하워드 클락 키이 (1990). 서중석 옮김, 編輯. 《新約聖書 理解》. 한국신학연구소. pp. 306-308쪽.   에서 再引用
  21. 傳統的으로 敎會에서는 使徒行傳에 나오는 마가를 福音史家 마가로 理解한다고 한다. 《우리가 아는 것들 聖經에는 없다.》-완벽한 成人 바울은 없다./오경준 지음/홍성사
  22. 標準새飜譯 共同飜譯 에서는 四寸, 改譯改訂版 改易한글版 에는 누나나 男便누나의 아들 그러니까 조카를 뜻하는 甥姪로 飜譯되어 있다.
  23. 나와 함께 갇혀 있는 아리스다르코가 여러분에게 問安합니다. 또 바르나바의 四寸 마르코도 問安합니다. -마르코가 가거든 잘 迎接하라는 指示를 여러분이 이미 받았을 줄 압니다.-(골로사이인들에게 보낸 便紙 4:10/共同飜譯聖書)
  24. 오경준 ( 基督敎 對한 聖潔敎會 牧師 ). 〈 ' 完璧한 成人 바울은 없다 ' 〉. 《우리가 아는 것들 聖經에는 없다》. 홍성사.  
  25. 김경묵, 우종익(1985), 《이야기 世界史》, p. 200,청아출판사
  26. 하워드 클락 키이. 《앞의 冊》. p.349쪽.  
  27. 使徒行傳 9張 26, 27節
  28. 김득중 , 新約聖書學者. 前 監理敎신학대學校 總長
  29. 갈라디아서 1:7
  30. 갈라디아서 2:4
  31. 使徒行傳 20:22
  32. 《人類의 永遠한 古典 新約聖書》-新約聖書 最初의 著者, 바울의 生涯와 思想/정승우 지음/아이세움 p.91-93
  33. 하느님께서 바울의 손을 빌어서 飛上한 奇跡들을 行하셨다. 甚至於 사람들이, 바울이 몸에 지니고 있는 손手巾이나 두르고 있는 앞치마를- 손手巾 과 앞치마는 파울로스가 가죽 을 加工하는 일을 하면서 使用한 勞動道具들 卽, 파울로스의 과 수고가 담긴 正直한 勞動 을 뜻한다.-가져다가, 앓는 사람 위에 얹기만 해도 病이 물러가고, 惡한 鬼神이 쫓겨 나갔다.( 使徒行傳 19章 11節-12節 標準새飜譯 聖書)
  34. 《하나님나라의 神學에서 읽는 使徒行傳 2》-에베소 宣敎: 그레코 로만 文明의 基礎를 허무는 福音 / 김회권 지음/복있는 사람 p.212-213
  35. P. J. 악트마이어, J. B. 그린, M. M. 톰슨 (2004). 소기천, 윤철원, 이달 옮김, 編輯. 《現代的인 方法을 適用한 새로운 新約聖書槪論》. 大韓基督敎敍懷. p. 351쪽.  
  36. 정승우 (2005). 《예수, 歷史인가 神話인가》. 冊世上. 79-80쪽쪽. ISBN   978-89-7013-488-8 .  
  37. 갈라디아서 1:12, 고린도전서 7:10,9:14,11:25, 데살로니가전서 4:15
  38. 박태식, 앞의 冊, p.64
  39. 같은 冊, p.66
  40. 로마書 12:4-5, 고린도전서 3:11, 고린도전서 12
  41. 에페소 2:14-16
  42. 김득중 지음. 《 福音書 神學 》. 컨콜디아.  
  43. 파울로스의 便紙 分類는 하워드 클락 키이 의 것이다.
    하워드 클락 키이. 《앞의 冊》. pp.304-305쪽.  
  44. 파울로스의 神學 思想이 集大成 된 書信으로 보는 見解가 있다. 交付 神學者 아우구스티누스 , 宗敎 改革의 主役인 마르틴 루터 , 監理敎 의 創始者이자 英國 聖公會 私製 존 웨슬리 新婦 等 敎會史의 錚錚한 人物들에게 影響을 준, 파울로스의 代表的인 書信이다.
  45. 聖書神學者 르네 지라르 골로새서 , 디모데전서 , 디모데후서 를 바울로의 弟子들이 敎會 의 要請에 따라 쓴 作品으로 보고 있다.
    르네 지라르. 김주경 옮김, 編輯. 《聖經, 世界最高의 베스트셀러》. 時空社. p.104쪽.  
  46. 聖公會 神學者 박태식 (요한)(新約聖書學者이자 聖公會 私製)은 바울 書信 中에서 에베소서 를 바울 學派의 作品 卽, 바울의 弟子들이 쓴 作品으로 보고 있다.
    박태식. 《앞의 冊》. p.173쪽.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