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性平等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性平等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性 平等을 뜻하는 記號

性平等 (性平等)은 모든 사람들이 政治·經濟·社會·文化的으로 差別 없이 平等한 待遇 를 받아야 하고 性別에 根據하여 差別 待遇를 받으면 안 된다 는 觀點이다. [1] 이는 民主的인 活動과 같은 勞動에 같은 給與를 保障하는 것과 함께, 法과 社會的 狀況에서 平等을 創造하고자 하는 UN 世界 人權 宣言 의 目標 中 하나이다. [2]

性平等의 目的은 사람들이 많은 分野에 걸쳐 平等한 待遇를 받는 것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諸般 機會와 삶의 可能性이 平等해지는 것이다. 現在 많은 國家에서 다양한 性平等 政策을 施行 中이며, 世界 곳곳에서 많은 性平等 運動이 展開되어오고 있다.

性平等指數란 性平等의 程度를 나타내는 指數이다. 1995年 유엔 第4次 世界女性會議를 바탕으로 性開發指數 (Gender-related Development Index, GDI)와 女性이 政治, 經濟, 政策 決定 過程 等에 參與하는 程度를 點數로 換算하는 性 權限 尺度 가 開發됐다. 性開發指數 (GDI)는 유엔 開發 計劃 (UNDP)에서 國家別로 敎育水準, 國民所得, 平均壽命 等에 있어서 男女平等의 程度를 測定하여 發表하는 指數를 말한다. 男女 各各의 敎育水準, 期待餘名, 所得에 있어서 男女의 役割比率 等을 根據로 男女 間에 成就水準이 얼마나 平等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보여준다. 그 外에 性不平等指數 等이 있다.

나라別 古代 性平等의 位置 [ 編輯 ]

古代 그리스 [ 編輯 ]

民主政治 의 始作點으로 有名한 古代 그리스 에서는 女性과 未成年者, 外國人은 參政權 에서 除外 되었다. 投票權 도 주어지지 않았고, 民會 에 參與하거나 公職 에 나가는 等의 直接的인 政治 參與는 不可能했다.

配偶者 選擇에서도 거의 女性의 選擇權은 없는 쪽에 가까웠으며, 離婚도 女性의 醫師로는 쉽지 않았다. 結婚時의 가져가는 持參金 或은 離婚 後의 女性의 位置 또한 모두 男性 後見人 이나 保護者에게 管理 權限이 있었다. 어린 女性을 早婚 시키는 風習으로 女性의 敎育 機會까지도 男性과 同等하게 주어지지 못했다.

古代 印度 [ 編輯 ]

아이를 낳지 못하는 아내는 8年째, 아이가 모두 死亡한 아내는 10年째, 딸만 出産한 아내는 11年째가 되면 바꿀 수 있다. 하지만 다투기 좋아하는 아내는 卽時 바꿔도 된다. 印度 社會 規範에 따르면, 女子는 恒常 快活하고 怜悧하게 家庭을 돌보고, 家口를 꼼꼼히 닦고, 돈은 아껴서 써야 한다. 아내는 男便을 언짢게 할 일을 絶對 하지 않는다. 男便에 對한 義務를 저버린 아내는 이승에서 恥辱을 當하고, 죽은 後에는 자칼의 子宮 속에서 罪에 對한 代價로 疾病에 시달리게 된다.

古代 印度 民法 刑法 을 包含한 카스트 의 規定 等 道德을 規定하여 最近까지도 印度 社會의 規範으로 使用되고 있는 宗敎的 法典인 마누 法典 에는 다음과 같은 條項이 敍述되어 있다.

  • 女子는 어려서는 그의 아버지를, 젊었을 때는 그의 男便을, 男便이 죽었을 때는 그 子息을 따라야 한다.
  • 夫人은 늘 快活하고 歌詞를 잘 하고 家口를 淸潔히 하고 支出할 때는 節約해야 한다.
  • 女子는 아버지 或은 아버지의 同意를 얻은 오빠가 選擇한 사람과 結婚하고, 男便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純宗 하며 죽은 다음에는 決코 그 이름을 더렵혀서는 안된다.
  • 貞節을 지키는 妻는 放縱하고 性質이 좋지 않을지라도 男便을 늘 神처럼 받들어야 한다. 
  • 몸과 말과 뜻을 自制하고 男便에 對해 否定하지 않은 사람은 死後 하늘나라에서 男便과 함께 살고 올바른 사람들에게 烈女 로 불릴 것이다.
    ? 마누 法典

歷史 속 國內 性平等의 位置 [ 編輯 ]

三國時代  [ 編輯 ]

高句麗, 新羅, 백제 中 女性의 社會的 位置가 가장 높았던 國家는 바로 新羅이다. 新羅에서는 中期까지도 支配階層의 家系繼承에 있어서 母系的인 傾向이 그대로 存續되었고, 新羅 花郞의 起源이 되는 원貨 가 女子였다는 點, 新羅 歷史上 女王이 3名( 진성여왕 , 진덕여왕 , 선덕여왕 )이었다는 點 等을 미루어보아 三國 中 女性에 對한 差別이 가장 적었던 國家는 新羅로 推定할 수 있다.

그러나 31代 신문왕 以後 儒敎政治 理念이 크게 표방되면서 家父長權이 體系的으로 確立되었을 것으로 推定된다. 高句麗는 일찍부터 中國의 男女差別的인 文化를 受容하였지만, 結婚制度와 親族制度에 있어 아들과 딸에 對한 差別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結婚制度의 境遇 壻屋制 에서 그러한 點을 찾아볼 수 있는데, 男女가 結婚을 하면, 女子의 집에 別채를 지어 男子를 女子의 집에 들였던 制度인 壻屋制에서는 女子에 對한 配慮가 묻어있다.

高麗時代 [ 編輯 ]

1123年 宋나라 使臣으로 우리나라에 온 서궁이 쓴 < 高麗圖經 > 卷23을 보면 여름철에 시냇물에서 男女 區別 없이 옷을 벗고 沐浴하였다는 대목이 나오며, 競合이라고 하여 가볍게 만나 쉽게 헤어진다는 記事가 나올 程度로 開放的이었음을 斟酌할 수 있다.

또한 < 高麗史 >를 보면 곳곳에서 女子들이 절에 가서 술 먹고 춤추고 놀아 風紀가 紊亂함을 指摘하는 記事가 많이 나온다. 이러한 點들로 미루어보아 高麗時代에는 女性에 對한 差別이 多少 微弱했음을 斟酌 할 수 있다. 그리고 高麗時代에는 아들이 없어도 딸이나 外孫子가 祭祀를 지낼 수 있었으며, 戶籍을 記載할 때도 아들을 먼저 쓰고 딸을 나중에 記載하는 것이 아니라 出生 順序대로 記載했으며, 長成한 아들이 있음에도 어머니가 濠洲 가 되기도 하였다.

朝鮮時代 [ 編輯 ]

朝鮮 初期에는 儒敎的 이데올로기 下에서 統治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家父長的 秩序가 强化되었다. 女性 査察 出入에 對한 抑制, 服裝에 對한 規制 等이 施行되었으나, 朝鮮 初期는 高麗의 慣習이 아직 남아 女性에 對한 差別이 後期의 그것에 비해 相對的으로 剛하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性理學的인 社會倫理가 朝鮮 社會에 定着하면서부터 女性들의 權利나 地位, 生活 等이 달라지게 된다.

朝鮮時代 後期(18世紀 以後)에는 父系 集團의 結合이 强化되었고, 그 結果 女性은 家庭에서 男性의 生活을 뒷받침하는 內助者로 굳어져 갔다. 오늘날 우리에게 익숙한 朝鮮의 順從的인 女性像은 이 時期에 와서 비로소 定着한 모습이었다. 家族制度 또한 父系直系制度로 講和되었으며, 財産相續의 部分에서도 差別이 일어났다. 兩班들은 財産의 分散으로 인한 經濟的 沒落을 막기 위해 財産을 少數에게만 물려주고자 했다. 그 結果 財産이 長男 爲主로 相續되었고, 族譜 形式에서도 男子는 年齡順으로 配列하고 女子는 男子 뒤에 收錄했다.

近代~現代 [ 編輯 ]

19世紀 末 開化期에 접어들면서 新敎育을 받은 女性들을 中心으로 여우회, 讚揚會 等 家父長制 弊習을 외치는 女性團體들이 생겨났다. 이 時期에 생겨난 女性團體 '國債補償婦人會','大韓民國愛國婦人會'等에서는 國債補償運動 을 展開하기도 하였다. 日帝 强占期에 접어들며 女性團體들은 ' 槿友會 '로 統合되어 全國的으로 運動을 展開하였으나, 愛國啓蒙的 性格 탓에 日帝의 彈壓을 받고 解散되었다. 解放 以後 1960,70年代 沈滯期를 맞았던 女性運動은 1980年代에 이르러 復元되었는데, 代表的 團體인 女性評迂廻 는 25歲 女性 早期停年制 撤廢運動, 不當勞動行爲 撤廢運動 等을 展開하였다. 그 影響을80년대 以後 우리나라는 女性問題에 對한 政策的인 關心을 갖고 女性問題를 專擔하는 國家行政組織을 設置, 發展시켰다. 女性의 平等한 權利保障을 위하여 關聯法들의 改正과 制定을 이루어왔으며, 國家計劃에 女性部門을 包含하는 等 많은 政策的 發展이 있었다.

또한 1984年 우리나라가 유엔 女性差別撤廢協約에 批准, 加入함으로써 男女平等實現을 위한 國家의 義務가 重要해졌다. 그 結果 男女雇傭法, 女性發展基本法, 男女差別禁止 및 救濟에 關한 法 等이 制定되었고, 이에 根據한 많은 政策的 努力이 있어왔다.

요즘은 오히려 지나친 女性優待 政策이 問題가 되어 男性들이 逆差別을 呼訴하고 있다. 정작 그 女性優待 政策마저도 男性에게 剝奪感과 被害는 느끼게 하지만 또 實質的으로 女性人權이 매우 나아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問題가 되고 있다.성인문을 規制를 할때도 女性向 成人物에는 아무런 措置를 하지 않는다.

女性의 參政權 運動   [ 編輯 ]

프랑스 [ 編輯 ]

1789年 7月 14日, 프랑스에서 絶對王政 에 反撥하여 自由와 平等을 위한 社會를 만들기 爲한 努力으로 프랑스 革命 이 勃發하였다. 革命이 進行되던 8月, 프랑스 人權 宣言 門이 發表되며 市民의 勝利를 認定하였지만 女性의 人權은 排除되어 있었다. 이에 프랑스 作家인 올랭프 드 救主 가 <女性人權 宣言文>을 發表하며, 女性의 自由와 平等을 외쳤다. “女性은 태어나면서 自由롭게, 男性과 平等한 權利를 가진다.” 라는 主張과 함께 그는 “自身의 性別에 적합한 德性을 잃어버린 사람.”이라는 罪目으로 斷頭臺 에 처형당하게 된다. 올랭프의 精神을 이어받아 프랑스 女性運動이 活潑해지고, 全 世界 女性 參政權 運動으로 번지게 된다. 하지만 올랭프 드 舊株의 處刑 後 女性의 集會禁止와 女性團體 强制 解體 等, 女性 運動을 沮止하는 行步에 프랑스는 後의 英國, 美國 等의 女性運動에 影響을 받아 1946年이 되어서야 女性의 參政權을 認定한다.

뉴질랜드 [ 編輯 ]

프랑스 革命 約 100年 뒤인 1888年 뉴질랜드에서 케이트 셰퍼드 가 女性 參政權 請願書를 보낸다. 當時 議會 構成員은 모두 男性이었기에, 挫折되었지만 屈하지 않은 케이트는 수많은 女性의 署名書를 들고 다시 議會에 提出하여 結局 1893年 最初의 女性 參政權을 얻게 된다.

英國 [ 編輯 ]

1913年 英國의 國王이 參加하는 競馬大會에 한 女性이 뛰어들며 女性의 投票權을 主張하고 나흘 만에 숨진다. 그女는 女性 參政權 運動家 에밀리 데이비슨 으로, 짓눌려 있던 英國의 女性 參政權에 불씨를 지피는 效果를 불러왔다. 1918年부터 1928年의 10年에 걸쳐 英國 또한 成人 女性의 參政權을 認定한다.

美國 [ 編輯 ]

1872年 美國의 수전 앤서니 는 大統領 選擧에 參與하고 投票權이 없는 사람이 不法 投票를 했다는 罪目으로 召喚狀을 받았다. 그는 法廷에서 女性의 參政權을 合法이라고 主張하지만 有罪 判決로 罰金刑을 當했다. 美國의 建國理念과 矛盾되는 差別로 女性 參政權 運動이 擴散되어 1920年, 50年 만에 女性의 參政權을 認定하는 憲法이 修正된다.

性平等 運動 歷史  [ 編輯 ]

  • 1789年 프랑스革命이 일어난 해에 T.메리쿠르와 R.라콤브가 國民議會에 ‘政治上 男女가 同權(同權)이어야 한다’는 建議를 했다. 
  • 1790年 O.구즈는 《女性公民權의 承認에 對하여》를 發表하여 女性의 政治的 權利를 主張하였고, 《女性權利宣言》을 루이 16世의 王妃인 마리 앙투아네트 에게 提出했으나 이러한 主張은 哲學者 M.J.콩도르세의 支持를 얻었을 뿐 다른 사람들의 呼應을 얻지 못하였고, 國民議會에서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1792年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가 女性 自身의 自覺을 呼訴하는 《 女性의 權利 擁護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를 著述하여 當時의 旣存社會 觀念에 挑戰하며, 女性의 敎育的·社會的 平等을 主張했다. 
  • 1793年에는 國民公會 로부터 女性의 集會가 禁止되었고, 모든 女性團體는 解體되면서 革命이 끝났다. 
  • 1848年 7月 19日 뉴욕州 세네카 폴스에서 女性人權大會 가 開催됐었다.
  • 1850年 10月 매사추세츠주 우스터에서 첫 定例 女性權利大會 開催, 1869年까지 每年 行事를 이어갔다.
  • 1869年 發刊된 J.S.밀의 《 女性의 從屬 The Subjection of Women》李 英國 女性運動에 큰 影響을 미쳤다. 
  • 1869年에는 S.앤터니를 中心으로 全國女性參政權協會가, L.스톤을 中心으로 美國女性參政權協會가 組織되었고, 議會에 <女性參政權法案>을 提出하는 等 體系的인 運動을 展開했다. 
  • 1869年 와이오밍주 가 女性參政權을 認定했다.
  • 1890年 全國女性參政權協會 美國女性參政權協會 가 前美國女性參政權協會로 統合되어 活動을 繼續했다.
  • 1890年 워싱턴州, 1893年 캘리포니아州, 애리조나주 , 캔자스주, 오리건州 에서 女性參政權을 認定했다.
  • 1893年 콜로라도 州에서 女性參政權을 認定했다.
  • 1896年 아이다호주 , 유타州 等에서 女性參政權을 認定했다.
  • 19世紀 末 英國과 美國의 女性運動이 있었다.
  • 1897年 ‘女性參政權協會國民同盟(National Union of Women’s Suffrage Societies)’이라는 團體가 設立되었고 이를 中心으로 下院(下院)에서 女性參政權을 目的으로 하는 立憲運動이 進行됐다.
  • 1903年에는 E.팽크허스트를 中心으로 ‘女性社會政治同盟(Women’s Social and Political Union)’李 結成되어 國民代表法의 成立에 가장 重要한 役割을 했다.
  • 1918年 英國의 國民代表法 實施로 30歲 以上 女性의 參政權이 保障되었다.
  • 1920年 女性, 男性이 同等하게 參政權 가지게 되었다.
  • 1920年 最初 女性 下院議員 재닛 랜킨이 當選되었다.
  • 1928年 女性의 政治 參與 年齡을 21歲로 낮추었다.
  • 1946年 프랑스에서 女性參政權을 實行하였다.
  • 1969年 스톤月 暴動 에서 現代 同性愛人權運動 觸發 69年과 70年 사이에는 美國 大部分의 主要 都市에서 LGBT 퍼레이드가 始作되었다.
  • 1973年 美國 精神醫學 協會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 APA) 가 疾病目錄에서 同性愛를 削除하였다.
  • 1979年에 이르러서는 人權運動家 톰 브로햄 Tom Brougham이 1:1의 同性愛 關係를 法的으로 保護하고자 하는 試圖로써 '同居 關係 Domestic Partnership'라는 槪念을 提案하였지만, 以後 에이즈로 인해 同性愛의 合法化에 制動이 걸렸다. 
  • 1999年 最初로 同居 關係를 法的으로 保護 받을 수 있는 類似 結婚 關係로 法制化를 하였다.

各州 [ 編輯 ]

  1. United Nations. Report of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for 1997. A/52/3.18 September 1997, at 28: "Mainstreaming a gender perspective is the process of assessing the implications for women and men of any planned action, including legislation, policies or programmes, in all areas and at all levels. It is a strategy for making women's as well as men's concerns and experiences an integral dimension of the design, implement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policies and programmes in all political, economic and societal spheres so that women and men benefit equally and inequality is not perpetuated. The ultimate goal is to achieve gender equality."
  2.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PDF) . 《wwda.org》. United Nations. 1948年 12月 16日 . 2016年 10月 31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