棕櫚週日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聖枝主日 에서 넘어옴)

棕櫚週日
종려주일
예루살렘에 入城하고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
다른이름 聖枝主日, 主님 受難 聖枝主日
場所 全世界 基督敎를 믿는 곳
形態 미사 ( 天主敎 ), 禮拜 ( 改新敎 )
重要度 敎會曆 聖週間 의 始作
날짜 復活節 로부터 一週日 前 週日
2023
2024
2025
2026
2027
4月 2日
3月 24日
4月 13日
3月 29日
3月 28日
頻度 每年
行事 미사 ( 天主敎 ), 禮拜 ( 改新敎 ), 棕櫚나무 가지 나누기
關聯 再議 水曜日 , 四旬節 , 聖週間 , 聖金曜日 , 復活節 , 聖靈降臨週日

棕櫚週日 (棕櫚主日, 英語 : Palm Sunday ), 聖枝主日 (聖枝主日) 또는 主님 受難 聖枝主日 예수 十字架刑 을 앞두고 예루살렘 으로 入城 할 때, 群衆들의 歡迎을 받은 일에 對한 基督敎 의 記念日이다. 每年 復活節 一週日을 앞둔 日曜日 로, 이 날부터 7日間은 性(聖)週間으로 그리스도의 苦難을 記念하는 苦難週間 으로 지킨다. 敎會는 이때 聖經 를 읽고 默想하며, 敎派에 따라 棕櫚나무가지를 記念하는 意味의 나뭇가지를 나눈다. 가톨릭교회의 境遇 이 때 나눈 가지는 집으로 가지고 돌아가 十字苦像 에 걸어 놓았다가 다음 해의 再議 水曜日 에 태워서 재를 만들어 使用한다. [1]

棕櫚週日 날짜
2019年~2029年
그레고리력
鳶島 西洋力 東洋力
2019年 4月 14日 4月 21日
2020年 4月 5日 4月 12日
2021年 3月 28日 4月 25日
2022年 4月 10日 4月 17日
2023年 4月 2日 4月 9日
2024年 3月 24日 4月 28日
2025年 4月 13日
2026年 3月 29日 4月 5日
2027年 3月 21日 4月 25日
2028年 4月 9日
2029年 3月 25日 4月 1日

聖經的 背景과 그 解釋 [ 編輯 ]

예루살렘 入城 을 描寫한 러시아 正敎會 의 이콘.

네 卷의 福音書 가 모두 예수 復活 하기 一週日 前 예루살렘에 入城 하였음을 記錄하고 있다. [2] [3] [4] [5] [6] 個中 요한의 福音書 는 이를 逾越節 6日 前으로 記錄한다. [7]

베타니아의 라자로 의 復活 事件은 요한의 福音書에서 예루살렘 入城으로부터 한 張 앞에서 言及된다. 東方 正敎會 東方 가톨릭교회 비잔틴 前例 를 따라 라자로의 土曜日에 福音書의 本文을 따라 이를 記念한다. [8]

마태오의 福音書 에서는 즈가리야서 9章 9節의 "시온의 딸아 크게 기뻐할지어다 예루살렘의 딸아 즐거이 부를지어다 보라 네 王이 네게 臨하시나니 그는 公義로우시며 救援을 베푸시며 謙遜하여서 나귀를 타시나니 나귀의 작은 것 곧 나귀 새끼니라"라는 豫言이 實現될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예수가 自身이 이스라엘의 王이라고 宣布하는 것임을 나타낸다. [9]

그리스도의 예루살렘의 入城을 描寫한 그림

네 福音書에 依하면 예수 그리스도는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으로 들어갔고, 群衆들은 예수의 앞에 망토와 작은 나뭇가지들을 내려 놓으며 詩篇 118篇 25-26節을 送迎하였다. [2] [3] [4]

나귀는 레반트 地域에서 戰爭의 動物인 말에 對比되는 存在로 平和를 象徵한다. 王은 戰爭에 나설 때 말을 타고, 勝利 後 平和의 消息을 傳하며 入城할 때에는 나귀를 타던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예수가 예루살렘에 나귀를 타고 入城한 것은 戰爭을 즐기는 王이 아니라 平和의 王으로서 入城한 것을 나타낸다고 보는 見解가 있다.

루가의 福音書 19章 41節에서 예수가 예루살렘에 다가갈 때, 都市를 바라보며 눈물을 흘렸음이 記錄되어 있는데 이 事件을 라틴語로는 Flevit super iillam 理라 한다. 이는 예수의 十字架刑 第2聖戰 의 破壞를 豫言하는 것으로 解釋된다. [10]

古代 近洞에서는, 어떤 式으로든 最高의 名譽를 누릴 價値가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이 지나갈 때에는 그 길의 흙을 다른 무언가로 덮는 慣習이 있었다. 舊約聖經 에 依하면 여호사밧 의 아들 豫後 가 이런 待接을 받았다. 共觀福音書 와 요한의 福音書는 모두 群衆이 예수에게 이런 形態의 禮節을 갖추어 주었다고 記錄한다. 共觀福音書에서 사람들은 겉옷과 나뭇가지를 길에 덮은 것으로 描寫되는 反面, 요한福音에서는 棕櫚나무 의 잎사귀를 덮었다고 描寫한다.

棕櫚나무는 레위기 23章 40節에서 草幕節 에 야훼를 記念하는데 使用되는 네 種의 植物 中 하나이다. [11] 로마 帝國 의 文化에서도 棕櫚나무 가지는 勝利의 象徵이었다. 이는 니케 빅토리아 女神의 가장 흔한 象徵이기도 하였다. [12] [13] [14] 同時期 로마인들에게 이 行列은 로마의 改善行列 을 떠올리게 했을 것이다. [15] [16]

바울로 書信 에서 예수를 勝利者로 言及하는 까닭에 現代에는 예루살렘 入城이 勝利의 行列로 解釋되지만, 13世紀 以前에는 예루살렘 入城이 같은 意味에서 勝利의 行進으로 여겨지기만 한 것은 아니다. [17] 古代 이집트 宗敎 에서 棕櫚나무는 葬禮 行列에 動員되어 永遠한 生命을 象徵했다.

各州 [ 編輯 ]

  1. 굿뉴스. “예수受難聖枝主日” . 天主敎서울大敎區 . 2013年 11月 25日에 確認함 .  
  2. The people's New Testament commentary by M. Eugene Boring, Fred B. Craddock 2004 ISBN   0-664-22754-6 pp. 256?258
  3. The Bible Knowledge Background Commentary: Matthew?Luke, Volume 1 by Craig A. Evans 2003 ISBN   0-7814-3868-3 pp. 381?395
  4. The Synoptics: Matthew, Mark, Luke by Jan Majernik, Joseph Ponessa, Laurie Watson Manhardt 2005 ISBN   1-931018-31-6 pp. 133?134
  5. The Bible knowledge background commentary: John's Gospel, Hebrews?Revelation by Craig A. Evans ISBN   0-7814-4228-1 pp. 114?118
  6. 마태 21:1-11, 마가 11:1-11, 壘가 19:28-44, 요한 12:1-19
  7. 요한 12:1
  8. “When Is Passover in 2018, 2019, 2020 and 2021?” (英語). 2018年 3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4月 2日에 確認함 .  
  9. Gospel of Matthew 21:4-5
  10. Luke 19:41
  11. Leviticus 23:40
  12. Reidar Hvalvik, "Christ Proclaiming His Law to the Apostles: The Traditio Legis -Motif in Early Christian Art and Literature," in The New Testament and Early Christian Literature in Greco-Roman Context: Studies in Honor of David E. Aune (Brill, 2006), p. 432
  13. Vioque, Guillermo Galan (2002). 《Martial, Book VII: A Commentary》. 飜譯 J.J. Zoltowski. Brill. 61, 206, 411쪽.  
  14. Clark, Anna (2007). 《Divine Qualities: Cult and Community in Republican Rome》 . Oxford University Press. 162 쪽. ISBN   978-0199226825 .  
  15. Warren W. Wiersbe, The Wiersbe Bible Commentary (David C. Cook, 2007), p. 272.
  16. Vioque 2002 , 61쪽.
  17. John Pairman Brown, Israel and Hellas (De Gruyter, 2000), vol. 2, pp. 254ff.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棕櫚週日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