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석성산 (景氣)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석성산 (景氣)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석성산
石城山
석성산 앞자락에 들어서는 아파트
最高點
高度 471.5 m (1,547 ft)
지리
석성산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석성산
석성산
석성산의 位置
位置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京畿道 龍仁市
器興區 冬柏桐
抛哭泣 마성리
處仁區 유림동
父母 山脈 漢南靜脈

석성산 (石城山)은 京畿道 龍仁市 器興區 冬柏桐, 抛哭泣 마성리, 處仁區 유림동 等 3個 地域에 連結되어 있는 높이 471.5m의 이다. 부아산 , 광교산 과 더불어 龍仁 地域의 3代 名山으로 불린다. 법화산 이나 香水産 等 이곳 山들의 早産(祖山)으로 龍仁의 鎭山(鎭山)으로도 불린다.

鎭山은 都邑地나 各 고을에서 그곳을 진호(鎭護)하는 主山(主山)으로 定하여 祭祀하던 山이다. 朝鮮 時代에는 東쪽의 金剛山 , 南쪽의 智異山 , 西쪽의 妙香山 , 北쪽의 白頭山 , 中心의 三角山 을 五岳(五嶽)이라고 하여 主山으로 삼았다는 《 東國輿地勝覽 》《東國地理志(東國地理誌)》《 擇里志 》의 記錄이 있다.

山의 位置 [ 編輯 ]

석성산은 漢南靜脈 (漢南正脈)에 屬해있는 山으로 칠장산 (竹山)에서 始作한 白頭大幹 의 줄기로 도덕산·국사봉(安城)·相逢·達奇峯·무너미고개· 함박산 (函朴山:349.3m, 龍仁)·학고개· 부아산 ·메주고개(覓祖峴)·석성산·할미性·人城山(仁聖山:122.4m, 龍仁)· 형제봉 · 광교산 (光敎山:582m)·白雲山(白雲山:560m)· 수리산 ·국사봉(國思峯:538m)· 청계산 (淸溪山:618m)·鷹峯(鷹峰:348m)· 冠岳山 ·소래산(蘇來山)·聖住山(聖住山)·철마산·계양산(桂陽山)·街現俸(歌弦峰)·筆鋒山(筆峰山)·鶴運山(鶴雲山)·것고개·문수산 等으로 이어주고 있다.

또한 부아산 에서 법화산 香水産 으로 이어주는 龍仁市 에서 10番째로 높은 山이다. 一名 '聖山(城山)' 또는 '구성산(驅城山)'이라 부른다. 또한 '보개산(寶蓋山, 349.7m)이라고 混同하여 부르고도 있다. 그래서 朝鮮 中期에 製作된 『용인현地圖邑誌』의 古跡組(古蹟條)에는 보개산과 석聖山을 區分 지어 說明하고는 있지만 明確하게 區分되어 있지는 못하다. [1] [2]

嶺東高速道路의 한部分인 魔性터널을 사이로 冬柏地域이 나뉘면서 香水産 , 법화산으로 이어지고 東北쪽으로 作고개와 할미산性, 보개산으로 連繫된다. 西南쪽으로 석聖山, 보개산성, 석성산 봉수, 金水癌지(金水庵址)로 이어지고 보개산에서 北쪽으로 뻗어 西쪽으로 人性産(仁聖山:122.4m, 龍仁)으로 이어 水原의 형제봉(448m, 水原市 長安區, 龍仁市 水枝區), 광교산의 山줄기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普通 相對高度 海拔 300m 以上 되는 境遇를 산지(山地)라고 하고 그 以下는 丘陵地(丘陵地) 또는 低酸性(低山性) 山地(山地)라고 表現한다. 産地價 連續된 것은 山脈(山脈)이라고 한다. 普通 '~산(山)'이라는 名稱이 붙지만 '~鳳(峯)'이라는 指名 接尾辭가 쓰이는 境遇도 있다. [1]

京畿道內의 龍仁 水原 地域에 있는 石城産(보개산)과 법화산 , 광교산 은 높은 地域에 屬한다. 龍仁  · 水原 地域의 地理的 特性 中의 하나는 경안천 , 炭川 , 신갈천, 청미천, 진위천, 安城川, 유천, 성복천, 갈천 等 大小 河川이 모두 龍仁   · 水原 에서 發源하여 隣接 市. 軍으로 흘러 나가고 있다는 것인데, 이와 같은 現象은 龍仁  · 水原 地域이 盆地를 形成하면서 隣接 市. 君을 내려다보는 位置에 있다는 것이 된다.

건너便의 법화산 法華經 에서 이름을 따온 構成同意 中心 山으로 마北東, 淸德洞과 모현면 오산리에 걸쳐있다. 법화산의 形態가 여러 臣下가 임금에게 條例를 올리는 軍신봉조型(群臣奉朝形) 같다는 傳說처럼 예로부터 名當報國 (明堂保局)의 길지로 알려진 곳이다. [3] 더구나 京畿道 龍仁市 器興區 淸德東으로 불리는 炭川 (炭川)의 發源地 附近은 ‘옛날부터 물푸레나무 가 많고 恒常 푸른 물이 많이 흘러 내린다’고 하여 청덕리 或은 물푸레골이라 불리고 있다.

反面에 석성산에서 發源하는 오산천(烏山川)은 기흥읍 中央을 가로질러 신갈貯水池로 흘러든다. 嶺東高速道路의 魔性터널이 뚫려 있으며, 산 北쪽 稜線 끝에는 魔性톨게이트가 있고 그 뒤쪽으로 에버랜드가 펼쳐져 있다. 魔性터널을 사이에 두고 석聖山쪽은 冬柏桐, 法貨山쪽은 淸德洞으로 나눠있는 地域이다. 龍仁市 器興區 2006年 9月 부터 事業費 1億 5000餘萬원을 들여 은성사에서 石城産 頂上部까지 傾斜가 가파른 巖盤區間 4곳에 100m에 이르는 나무階段을 造成하고 코스에 따라 安全하게 登山을 할 수 있도록 里程標를 設置해 最近 住民들에게 開放했다고 밝혔다. [4]

東쪽은 傾斜가 緩慢하고 西쪽, 器興區 冬柏洞에서는 山勢가 가파르고 巨大한 傾斜面의 큰 巖壁을 이루며, 南쪽이나 北쪽에서 보면 뾰족한 三角形으로 보인다. 山勢가 肉重하고 아름다우며 갖가지 奇巖怪石과 藥水, 여러 傳統寺刹 等이 어우러져 있고 龍仁市 의 中心에 位置하고 있어 市民들이 즐겨 찾는다. 또한 숲이 鬱蒼하고 물도 豐富하며 高速道路邊에 있어 찾기 쉬우므로 家族 나들이나 徒步, 하이킹을 하거나 山岳人들이 每年 煙草에 지내는 始山祭(始山祭)를 지내기 適合하다.

龍仁市 포곡면 嶺東高速道路 에버랜드 길목. 西쪽 山 頂上에 자리 잡은 할미산姓은 鎭川. 安城 地域사람들이 서울을 갈 때 지름길이 됐던 옛길이었다. 龍仁地域에서 石城으로 唯一한 할미성은 석성산 頂上에서 한눈에 조망된다. 테뫼式 酸性으로 北쪽은 높고 南쪽은 傾斜가 緩慢하면서 南北이 東西보다 긴 形態이다.

酸性 둘레는 660m. 城안 北쪽 頂上 아래는 用途를 알 수 없는 180餘m 石築이 늘어져 있어 內省의 느낌을 준다. 城壁 높이는 約 4m로 自然石을 다듬어 쌓았다. 城壁 下端部는 原形으로 남아 있으며. 上部는 거의 崩壞돼 바깥쪽으로 흘려 내렸다.

南西쪽에는 雉城形態의 城壁이 무너져 있다. 城안은 넓은 平地가 있어 建物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建物地에서 出土된 土器와 기와조각은 大部分 三國時代 初期의 遺物이다. 우물자리는 現在 보이질 않는다. 東쪽의 地帶가 낮은 곳에는 '代代로 내려오는 家門의 땅', '문지(門地)'로 推定되는 곳이 남아있다.

歷史 [ 編輯 ]

三國史記 》에는 新羅 百濟 와 聯合해 大大的인 高句麗 攻擊에 나섰다. 漢江 中上流 一帶는 新羅 가 차지하고. 百濟 는 그들의 옛 都邑地가 있던 漢江 下流流域을 收復했다. 하지만 新羅는 곧이어 진흥왕14年(553) 漢江下流 流域마저 百濟에게서 奪取한 後 그곳에 新株라는 地方行政을 設置하면서 龍仁地域은 新羅 의 領域으로 들어갔다. 이때 할미산性 도 祝聖된 것으로 推定되고 있다.

이곳 사람들은 新羅時代에 쌓은 城터로 推定되는 할미性을 “麻姑할미”가 쌓았다고 해 “ 마高聲 (麻姑城)” 또는 音이 비슷한 “魔鬼(魔鬼)할미”가 쌓았다고 하여 “할미산性”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酸性을 넘는 이 고개를 '作고개'라 했다. 南쪽城壁 入口 나무기둥에는 누가 언제 달아놓았는지 “作고개” 라는 案內板도 빛바랜 채 걸려있다. 性(城)의 옛 우리말은 “잣” 또는 “財”라고 불렀기 때문에 '잣고개'에서 '作고개'로 訛傳된 것으로 보고 있다. [5]

魔性터널 을 지나 南쪽 석성산으로 내려오면 석성산 烽燧臺가 나오고 朝鮮 後期에 創建되어 日帝强占期 前後에 斃死된 것으로 推定되는 金水癌지(金水庵址)가 있다. 西쪽 四面의 通話社 周圍에는 自然石城으로 이루어져 있는 酸性이 보이는데 석성산性 (石城山城), 性酸性(城山城)이라 하며 보개산성 이라고도 한다. 痕跡이 조금 남아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祝聖連帶는 475年頃이며 길이는 約 2km이다. 石星은 險惡한 山勢를 利用한 天惠의 要塞로서 傾斜가 緩慢한 東쪽에만 半圓形으로 남아 있다. 山 西쪽에는 관음사, 東쪽에는 通貨사와 백령사가 있는 等 山의 規模에 비하여 査察이 많은데, 관음사는 큰 寺刹이었지만 2001年 原州쪽 高麗史로 移轉하여 빈 建物만 남았다.

傳해지는 이야기 [ 編輯 ]

보개산(석성산)은 광교산 과 더불어 京畿道 의 鎭山이고 主峯이다. 광교산 에서 發源하는 물이 安養川 과 유천(柳川), 炭川 을 만들듯이 보개산에서 發源하는 물이 오산천 과 경안천(팔당호), 炭川 을 만든다. 오산천은 칡넝쿨처럼 흐른다해서 갈천(葛川)이라 했다. 탄천의 上流地域을 장천(莊川, 器興)과 원우천(遠于川, 盆唐 龜尾)이라 記錄했듯이《대동여지도》에는 경안천이 雨天, 《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所天으로 記錄되어 있다.

경안천이라는 名稱은 過去의 광주군청 경안리, 只今의 光州市 경안동에서 由來했다. "경안"은 '서울에서 가깝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경안천의 옛 이름은 雨天(牛川) 또는 '소천'外에 금량천으로도 불렸다. 現在는 漢字를 '京安川'李 아닌 '慶安川'으로라 쓰고 있다. 安養川 元來의 이름으로는 "오목內"이며 그 뜻은 周邊에 많은 支川 들이 있으나 第一 깊이 오목하게 골이 파여진 河川이라고 해서 오목內라 불렀다.

黃狗至賤은 남류千(南流川)으로 水原 광교산 溪谷에서 發源, 水原市內를 貫通해 광교천(光敎川) 유천(柳川)을 이루다가 水原市內 最南端 대황교(大皇橋) 附近에서 東北쪽의 원천천(援川川)을 만나 本流를 이룬 다음 華城市 황계동. 송산동을 거쳐 烏山市 陽山洞과 화성시 안녕동 時.郡 境界를 지난다. 黃狗至賤은 繼續 남류, 華城市 정남면 계양리. 용수리. 귀래리. 양감면을 지나면서 周邊에 넓은 沖積平野를 形成한 後 오산천. 진위천(搢威川)과 合流해 아산호에 流入된다.

山脈도 3個의 地脈으로 갈라진다. 人城山 형제봉에서 이어온 산이 수리산과 白雲山으로 갈라지듯 함박산 부아산에서 이어온 산이 법화산과 香水産으로 갈라지는 것이다. 이것이 名山으로 알려지면서 豆地域이 높은 地帶로 評價받는 理由이다.

山行코스 情報 [ 編輯 ]

龍仁市 處仁區 中心에 位置한 석성산(471.5m)은 奇巖怪石이 빚어낸 아름다운 山勢와 고즈넉한 査察이 어우러져 있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찾는 名山이다 石城(石城)産銀 漢文 그대로 돌로 쌓은 酸性이란 뜻이다 本來 보개산으로 불렸으나 1910年 以後부터는 석聖山이라고 부르고 있다

民族 靈山으로 알려져 있는 白頭山 에서 始作한 백두대간이 俗離山에서 그 地脈을 나누어 北西進하는 脈의 中間에 位置한 곳이 龍仁이다. 韓男金북靜脈은 俗離山 에서 始作하여 칠현산 (516m)에서 끝나며, 이 칠현산 北쪽 2km地點에 位置한 칠장산 (492m)에서 始作하여 江華島 앞 문수산성에서 끝을 맺는 靜脈이 龍仁 을 貫通하는 靜脈이다.

석성산은 龍仁管內의 中心에 位置하며 그 기운이 南쪽으로 뻗쳐내려 그 기운을 갈무리한 터가 예전에 邑治가 있었던 터이고 또한 只今의 市廳자리이다. 새로 옯길 新廳舍 亦是 석聖山 한 자락이 만든 陽明한 터이다. 朝鮮時代 邑治가 있던 곳이었고 只今 또한 市廳舍가 들어서 있으니 이곳만을 보아도 龍仁의 主山은 石像山임을 미루어 斟酌 할 수 있다.

석성산의 東쪽에 通話社가 있고 北東쪽에 백령사가 있다. 7部稜線 東南方向에 城門터가 남아있다. 山 頂上에서의 眺望은 西便으로 構成面 기흥읍 그리고 水原, 仁川 앞바다에서 한 눈에 들어오고 北쪽으로 船長産, 에버랜드 뒤로 香水産 (457.4m), 盧高捧, 定款上, 말아가리산으로 이어지면 南쪽으로는 軍事施設에 막혀 안테나가 세워있다.

석성산은 여러 코스의 自由登山路가 造成돼 있으나 文化福祉行政타운 後面에서 山 頂上으로 오르는 3.8 km 코스(往復 3時間 20餘分 所要) 等 3個 指定 登山코스가 快適하고 安全하게 닦여 있어 週末이면 山行나온 많은 市民들로 붐빈다. [6]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韓國學中央硏究院의 內容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의 記錄은 明確하지 않고 說明의 內容도 模糊하다. 다음의 內容은 그中에 一部分이다. "(中略) 朝鮮 中期에 製作된 『용인현地圖邑誌』의 古跡組(古蹟條)에는 “보개산성의 石築은 2,529尺인데 只今은 모두 무너졌다(寶蓋山城 石築周二千五百二十九尺 今皆頹?)”라고 記錄되어 있다. 또한 “석성산 봉수는 東쪽 竹山의 乾芝山에서 內應하여 北쪽 光州의 천천縣으로 보낸다(石城山烽燧 東來應竹山巾之山 北去應廣州穿川峴)”라고 記錄하고 있어 보개산과 석聖山을 가장 明確하게 區分 짓고 있다. 特히 석성산에서는 허물어진 城郭을 거의 볼 수 없으므로 보개산성은 只今의 할미性을 指稱하는 것이 分明하다."
  2. 龍仁市民新聞(http://www.yongin21.co.kr/) 의 報道에는 '聖山(城山)은 석성산(石城山)의 別稱'이라 하면서 보개산(寶蓋山)의 '寶蓋(寶蓋)'는 佛敎用語에서 따온 말로 다음과 같이 說明한다. "(中略) 성산의 옛 이름이 보개산이라고 했는데 寶蓋는 '塔 꼭대기의 輔輪 덮개 部分'을 말한다. '개(蓋)'는 '덮는다', '덮어씌운다'라는 佛敎의 나라 印度에서 비나 햇볕을 가리기 위해서 量産이나 雨傘처럼 쓰던 것에서 비롯, 이 '개(蓋)'는 辭典을 찾아보면 行도(行道)때에 길을 이끄는 道士(導師) 等에게 받쳐 주는 것으로 나뭇잎이나 나무껍질, 또는 대나무 따위로 만들었으며 山개(傘蓋) 또는 笠蓋(笠蓋)라고도 한다. 後에 뜻이 變하여 天障에서 佛像이나 예盤(禮盤) 따위를 덮는 나무나 쇠붙이로 만든 (佛具)를 가리키기도 하고 寶蓋(寶蓋), 대산(大傘), 珠算(朱傘), 千個(天蓋), 縣蓋(縣蓋) 等으로도 불리게 되었다는 說明을 찾아 볼 수 있다."
  3. “‘살만한 곳’ 龍仁” . 굿모닝龍仁(龍仁市民新聞). 2009年 3月 18日 . 2010年 5月 5日에 確認함 .  
  4. “龍仁 석성산 오르기 便해졌다” . 서울新聞. 2006年 11月 28日 . 2010年 5月 2日에 確認함 .  
  5. “麻姑仙女의 傳說…龍인 할미산姓은 新羅의 城터” . 데일리안. 2009年 5月 3日 . 2010年 5月 2日에 確認함 .  
  6. “불타는 가을山行, 龍仁市 名山이 登山客을 부른다” . 뉴시스(네이버). 2008年 10月 20日 . 2010年 5月 2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