使用者 : Rlaheehoon/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出生 1646年 7月 1日
작센 選擧侯令 라이프치히
死亡 1716年 11月 14日
작센 選擧侯令 하노버
國籍 독일의 기 獨逸
分野 形而上學 , 神正論 , 數學 , 論理學

고트프리트 빌헬름 폰 라이프니츠 (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1646年 7月 1日 ~ 1716年 11月 14日 )는 獨逸 哲學者 利子 數學者 이다. 라이프니츠는 라틴語 (~40%), 프랑스語 (~30%), 獨逸語 (~15%) 等 다양한 言語를 使用하였다. [1]

라이프니츠는 哲學 數學의 歷史 에서 重要한 位置를 차지한다. 뉴턴 과는 別個로 無限小 微積分 을 創始하였으며, 라이프니츠의 數學的 表記法 은 아직까지도 널리 쓰인다. 라이프니츠는 機械的 計算器 分野에서 가장 많은 發明을 한 사람 中 한 名이기도 하다. 파스칼의 計算器 에 自動 곱셈과 나눗셈 機能을 追加했고, 1685年에 핀 톱니바퀴 計算器 를 最初로 描寫했으며, [2] 最初로 大量生産 된 機械的 計算器인 라이프니츠 휠 을 發明했다. 또한, 라이프니츠는 모든 디지털 컴퓨터 의 基盤이 되는 二進法 수 體系를 다듬었다.

哲學에서 라이프니츠는 樂觀論으로 有名하다. 라이프니츠는 制限的인 意味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宇宙가 神이 創造할 수 있는 最善의 宇宙라고 結論지었다. 라이프니츠는 르네 데카르트 , 바뤼흐 스피노자 와 함께 17世紀 最高의 3代 合理主義 론자 中 한 名이다. 라이프니츠의 業績은 현대 分析哲學 을 앞당겼지만, 한便으로 그의 哲學은 스콜라 哲學 敵人 面도 있다.

라이프니츠는 物理學 工學 에 많은 貢獻을 했고, 生物學 , 醫學 , 地質學 , 確率論 , 心理學 , 言語學 , 情報科學 分野에서 나중에 나올 槪念들을 豫見했다. 그리고 政治學 , 法學 , 倫理學 , 神學 , 歷史學 , 哲學 , 言語學 에 關한 著述을 남겼다. 厖大한 分野에 걸친 라이프니츠의 貢獻은 多樣한 學術誌 와 數萬個의 便紙, 그리고 出版되지 않은 原稿에서 發見되었다.

生涯 [ 編輯 ]

라이프니츠는 獨逸 라이프치히 에서 道德 哲學 敎授의 아들로 태어났다. 라이프니츠는 어릴 때부터 天才 소리를 들었다. 혼자 힘으로 많은 量의 書籍을 익혔고, '말에서 明晳함을 史上(事象)에서 有效性을' 찾는 法을 깨달았다고 한다. 14살에 라이프치히 大學校 法科에 入學했고, 20살에는 이미 法學 博士가 되어 1666年 에 卒業했다. 그 後 마인츠 의 法典을 修正하였고, 1672年에는 外交 使節로 프랑스 파리 에 가서 1676年 까지 머물렀다. 거기에서 호이겐스 에게 數學을 배웠으며, 데카르트 파스칼 의 著書를 읽었다. 이 때 微積分學 의 基本 整理를 發見하고, 위치解釋 의 새 方法에 對한 着想을 얻었다.

1676年 요한 프리드리히 에게 招請되어, 하노버 의 宮中 顧問官 兼 圖書館長이 되어 이 곳으로 居處를 定했다. 1686年 微分 積分法 이라는 數學의 새 分野를 發見하게 되어 物理學 이나 天文學 에도 새로운 影響을 미쳤다. 微分 積分法은 뉴턴 도 發見하였으나, 記號는 라이프니츠의 것이 더 便利하다고 여겨진다. 哲學에서는 人間의 精神이란 '밝음(신)과 어둠(物質)의 사이에 있는 短資(모나드)이다'라는 《 모나드론 》을 發表하였는데, 이 理論은 獨逸 哲學界를 오래 支配하였다.

요한 프리드리히의 後繼者인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의 딸이 프로이센 王과 結婚했기 때문에 라이프니츠는 獨逸 베를린 過度 關聯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라이프니츠는 1700年 設立된 베를린 學士院 의 初代 院長이 되었다. 유럽 各地에도 學士院을 세울 것을 主張하여 學問의 發展에도 힘썼다. 全 學問을 集成하는 圖書館學 의 完成을 目的으로 하여 廣範圍한 硏究 活動을 實施하고, 普遍的 記號法, 普遍 言語 等의 形成에 努力하였다. 또한 計算器 , 懷中時計 , 壓縮空氣 에 依한 動力의 强化 等 많은 業績을 남기는 한便, 社會的, 政治的으로도 活躍을 繼續하여 各地에서 여러가지 榮譽와 稱號를 받았다. 그러나 末年에는 宮廷과의 關係가 弱해졌기 때문에, 各 方面에서 冷待를 받았고, 痛風 이 惡化되어 하노버 에서 急死했다.

이와 같이 다채로운 活動을 하면서도 그가 남긴 硏究는 厖大한 量에 達하지만, 바쁜 生活 탓인지 硏究를 便紙나 메모 等의 形態로 남아있는 것이 많다. 哲學만을 보더라도 生前에 發刊된 것은 《 辯神論 》(1710)뿐이며, 事後 出版된 것 가운데서도 그의 思想이 整理된 冊은 別로 없다. 그의 哲學의 特徵은 그 以前의 여러 가지 思想的 對立을 모두 自己 것으로 받아들여서 조화시킨 點이다. 데카르트 敵 物體觀과 피에르 가상디 의 原子論, 機械觀과 目的觀, 攝理와 自由, 經驗論 理性論 , 나아가 近世思想과 스콜라 哲學의 調和까지 찾아볼 수 있다. 主要 著書로는 《 모나드론 》, 《 形而上學 序說 》, 《 人間五性新論 》 이 있다.

哲學者로서의 삶 [ 編輯 ]

《辯神論》의 表紙 (1734)
《모나드론》

라이프니츠의 哲學 關聯 著述은 死亡 以後에 出版된 原稿, 知人들에게 보내진 便紙 等 主로 짧은 글들로 構成되어 있다. 그는 單 두 個의 哲學 學術 論文을 썼는데, 그 中 《 辯神論 》만이 死亡 이전인 1710年에 出版되었다.

라이프니츠는 自身의 哲學者로서의 삶이 니콜라 말브랑슈 앙투안 아르노 사이의 論爭에 關해 《 形而上學 序說 》을 쓴 1686年에 始作된다고 했다. 비록 또 다른 著書인 《序說》은 19世紀까지 出版되지 않았지만, 이 冊을 著述함으로써 그는 아르노와 廣範圍하고 價値 있는 書信 往來를 하게 되었다. [3] 라이프니츠는 1695年에 《New System of the Nature and Communication of Substances》라는 題目의 論文을 發表하면서 유럽 哲學界에 公式的으로 발을 들여놓게 된다. [4] 1695年부터 1705年까지, 그는 존 로크 가 1690年에 쓴 《 人間悟性論 》에 關한 批評文인 《 人間五性新論 》을 썼지만, 존 로크가 1704年에 죽자 出版하고 싶은 마음이 사라져버려서 《人間五性新論》은 1765年에 이르러서야 出版된다. 90個의 格言으로 이루어진 《 모나드론 》은 1714年에 完成되었고 死後에 出版되었다.

라이프니츠는 스피노자 를 1676年에 만났는데, 그때 그의 出版되지 않은 原稿들을 읽었으며 스피노자의 몇몇 생각들을 盜用한 것으로 疑心되어 왔다. 라이프니츠는 스피노자의 知性을 讚揚하면서도 스피노자의 結論이 基督敎的 定說과 어긋나면 卽時 失望을 나타냈다. [5]

데카르트와 스피노자와는 달리, 라이프니츠는 大學에서 徹底한 哲學 敎育을 받았다. 그는 그의 哲學 學士 論文을 監督한 제이콥 토마시우스 敎授에게 剛한 影響을 받았지만, 平生에 걸친 스콜라 哲學 아리스토텔레스 哲學 은 그가 다른 길을 걷게 만들었다. 라이프니츠는 또한 루터교 大學에서도 尊敬을 받은 基督敎 스페인 사람인 프란시스코 수아레스 의 著書를 熱心히 읽었다. 라이프니츠는 데카르트, 호이겐스 , 뉴턴과 보일 의 새로운 方式과 結論에 깊게 關心을 가졌지만, 그들의 業績을 스콜라 哲學의 틀에 갇힌 채로 評價했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라이프니츠의 方式과 關心거리들은 種種 20世紀의 分析哲學 言語哲學 을 豫見했다.

數學者로서의 業績 [ 編輯 ]

그 當時의 三角函數 , 로그函數 의 數學的 槪念은 抽象的이였는데, 라이프니츠는 1692年과 1694年에 이를 明瞭化 시켰다. 또한 가로座標 , 세로座標 , 기울기 , , 그리고 數直線 과 같은 幾何學的 槪念들을 그래프 로부터 이끌어 내었다. [6] 18世紀에는 函數와 이런 幾何學的 槪念들 사이의 聯關性이 弱해졌다.

라이프니츠는 線型 方程式 의 係數를 配列(오늘날의 行列 )로 생각할 수 있다고 하였다. 行列을 利用하면 그 方程式의 해를 찾는 것이 쉬워지는데, 이 方法은 後에 가우스 消去法 으로 命名되었다. 라이프니츠의 불 論理 數理論理學 의 發見 또한 數學的 業績의 一部이다.

微積分 [ 編輯 ]

라이프니츠는 아이작 뉴턴 과 같이 無限小를 使用한 計算法( 微分 積分 )을 發明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이프니츠의 空冊을 보면 그가 처음으로 y = f(x)의 그래프 밑의 面積을 計算하는데 積分計算法을 導入한 날이 1675年 11月 11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라이프니츠는 이 날 只今도 쓰는 表記法 몇 個를 만들었는데, 그 例로 라틴語 summa의 S를 길게 늘인 積分記號, 라틴語 differentia에서 由來한 微分記號 d가 있다. 이 提案이 그의 가장 큰 數學的 業績일 것이다. 微積分學에서 곱셈 法則은 現在 “ 라이프니츠의 法則 ”으로 불리고, 積分 記號 안에 있는 函數를 어떻게 微分해야 되는지 說明한 理論은 라이프니츠의 積分 規則 이라고 불린다.

라이프니츠의 證明은 大部分 幾何學的 直感에 依한 事實이었다. 라이프니츠는 無限小라고 불리는 數學的 存在를 밝혀냈고, 逆說的이게도 이것을 代數的 性質에 適用하자고 提案했다.

1711年부터 그가 죽을 때까지 라이프니츠는 존 케일 , 뉴턴 等 다른 사람들과 微積分學을 뉴턴과 獨立的으로 發見했는지, 元來 뉴턴의 아이디어를 다른 表記法으로 썼는지 긴 論爭을 하였다. [7]

19世紀에 極限에 對한 定義와 失手 에 對한 精密한 分析이 오귀스탱 루이 코시 , 베른하르트 리만 , 카를 바이어슈트라스 와 그 外 다른 사람들에 依해 이루어졌고, 보다 嚴格한 微積分學 이 나왔다. 코시는 繼續 微積分學의 基本으로 無限小를 使用했지만, 바이어슈트라스에 依해 無限小는 천천히 微積分學에서 사라져갔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解析學 밖, 特히 科學과 工學에서는 無限소가 繼續 使用되었고 오늘날까지 傳해졌다. 1960年에 아브라함 로빈슨 模型理論 을 利用하여 라이프니츠의 無限小의 嚴密한 正義를 設立하기 위해 努力했다.

位相幾何學 [ 編輯 ]

프랙탈 幾何學은 라이프니츠가 말한 自己類似性 連續 의 性質을 基盤으로 맨델브로트 가 創始한 것이다. 라이프니츠가 "直線은 曲線과 같고, 어떠한 部分도 全部와 닮았다."라고 쓴 것을 보면, 라이프니츠는 2世紀씩이나 먼저 位相數學 을 豫見한 것이다. 패킹 에 對한 逸話로, 라이프니츠는 그의 親舊이자 連絡을 주고 받는 사이인 데스 보스 에게 圓을 하나 그려보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 안에 接하는 세 個의 合同원을 最大의 半지름을 가지도록 그리라고 했다. 그러면 이 세 個의 圓 사이에 하나의 圓을 그릴 수 있고, 이 過程은 無限히 反復될 수 있다. 自己類似性을 보여주는 典型的인 例이다. 라이프니츠는 유클리드 公理를 발전시키는 데에도 같은 原理를 使用하고 있다.

科學者와 工學者로서의 라이프니츠 [ 編輯 ]

라이프니츠의 著述들은 우리가 미처 認識하지 못한 發見들을 찾고, 現在의 知識을 발전시키기 위해 오늘날에도 硏究되고 있다. 物理學에 關한 그의 大多數의 著述은 게르하르트 의 《Mathematical Writings》에 包含되어 있다.

物理學 [ 編輯 ]

라이프니츠는 그 當時 떠오르던 靜力學과 動力學에 相當한 貢獻을 했으며, 때로는 데카르트 뉴턴 의 생각에 反對했다. 뉴턴이 空間을 絶對的으로 생각했던 反面에, 라이프니츠는 空間을 相對的이라고 생각하고 運動 에너지 位置 에너지 를 基盤으로 하여 運動에 關한 새로운 理論( 動力學 )을 考案했다. 라이프니츠 物理學의 重要한 例示 中 하나는 그가 1695年에 著述한 《Specimen Dynamicum》이다. [8]

自然의 本質에 關한 라이프니츠의 생각들은 靜力學, 動力學과 잘 들어맞지 않았고, 아원자 粒子 가 發見되고 量子 力學 古典 力學 을 밀어내기 前까지는 말도 안 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例를 들어, 그는 뉴턴과의 論爭에서 空間, 時間과 物體의 運動이 絶對的이지 않고 相對的이라고 말함으로써 아인슈타인 의 理論을 豫見했다. 種種 看過되는 事實이지만, 라이프니츠 法則 도 物理學의 多樣한 分野의 證明들에서 重要한 役割을 한다. 라이프니츠의 充足 理由律 은 오늘날 宇宙論에서 引用되어지고 있고, 同一性 原理 는 量子力學에서 引用되어진다. 오늘날 宇宙論의 한 갈래인 디지털 哲學 擁護者들은 라이프니츠를 先驅者로 여긴다.

活力(vis viva) [ 編輯 ]

라이프니츠의 活力 은 現代物理學에서의 運動에너지 의 2倍인 mv 2 이였다. 그는 特定한 力學系에서 에너지의 總量이 保存된다는 것을 깨달았고, 이것을 物質의 本質的인 特性으로 여겼다. [9] 라이프니츠의 생각은 國家的인 論爭을 일으켰다. 活力 槪念은 英國의 뉴턴과 프랑스의 데카르트가 擁護하는 運動量 保存 과 競爭 關係로 여겨졌고, 그래서 그 두 나라는 라이프니츠의 생각을 無視하려는 傾向이 생겼다. 오늘날 밝혀진 바에 依하면, 에너지 運動量 모두 保存되며, 物質의 本質에 對한 두 接近 方式 모두 有效하다.

다른 自然 科學 [ 編輯 ]

  • 地質學  : 라이프니츠는 地球가 溶解된 狀態의 核을 가지고 있다고 提案하였다. 이는 現代 地質學科 一致한다.
  • 發生學  : 라이프니츠는 前成說 支持者였다. 그러나 有機體들이 無限 가지의 組合이 可能한 微細構造로부터 생겨났다고 提案하기도 했다.
  • 生命科學 古生物學  : 라이프니츠는 比較解剖學과 化石을 통해 變形설에 關한 놀라운 洞察을 얻었다. 그의 主要한 業績은 生前에 出版되지 못한 《Protogaea》에 記錄되어 있다. 이 冊은 最近에 이르러서야 英語로 飜譯되어 出刊되었다. 라이프니츠는 最初로 有機體 理論 을 硏究한 사람이기도 하다. [10]
  • 醫學 : 라이프니츠는 當代의 醫師들에게 學說은 仔細한 比較 觀察과 檢證된 實驗에 基盤해야 하며, 堅固한 科學的 事實과 形而上學的 觀點을 區分해야 한다고 勸告했다.

社會 科學 [ 編輯 ]

  • 心理學  : 라이프니츠는 意識 無意識 狀態의 區分을 提案했다. [11]
  • 公衆 衛生學 : 라이프니츠는 力學 獸醫學 을 總括하는 行政上의 機關을 만들자고 主張했다. 그는 公衆 衛生과 豫防策을 가르치기 위해, 一貫性 있는 訓鍊 過程을 정착시키려고 努力했다.
  • 經濟學 : 라이프니츠는 稅金 改革과 國民 保險을 提案했고, 貿易收支 에 對해 關心을 가졌다. 甚至於 라이프니츠는 오늘날의 게임 理論 과 비슷한 理論을 提案하기도 했다.
  • 社會學  : 라이프니츠는 意思疏通 理論 의 基盤을 닦았다.

工學 [ 編輯 ]

갤런드는 1906年에 라이프니츠의 實用的인 發明品들과 工學 硏究에 關한 라이프니츠의 著述들을 모아 冊을 出刊했다. 한글로 飜譯된 著述은 거의 없지만, 라이프니츠가 實用的인 삶을 追求한 誠實한 發明家, 工學者이자 應用 科學者라는 事實은 分明하다. 라이프니츠는 ‘實踐을 가진 理論’(theoria cum praxis)라는 座右銘을 따르며, 理論을 實生活에 適用하고자 努力했다. 그래서 應用 科學 의 아버지로 불린다. 라이프니츠는 바람을 動力으로 하는 프로펠러, 물 펌프, 採光 機械, 水壓 프레스, 燈불, 潛水艦, 時計 等을 設計했다. 그는 데니스 파핀 과 함께 蒸氣 機關 도 만들었다. 甚至於 바닷물을 淡水化하는 方法도 提案했다. 1680年부터 1685年까지는, 獨逸 하르츠 산 에 있는 은광을 괴롭혀 온 慢性的인 洪水를 解決해 보려고 努力했으나 失敗했다. [12]

計算理論 [ 編輯 ]

段階 計算器

라이프니츠는 最初의 컴퓨터 科學과 情報 理論價일지도 모른다. [13] 젊은 時節에, 라이프니츠는 二進法 을 다듬었고 前 生涯에 걸쳐 그 體系를 使用했다. [14] 라이프니츠는 또한 라그랑주 多項式 알고리즘 情報 理論 을 豫見했다. 라이프니츠의 論理 計算學 萬能 튜링 機械 의 發明을 앞당겼다. 사이버네틱스 理論 의 創始者인 盧버트 위너 는 라이프니츠의 著述에서 사이버네틱스 理論의 基盤인 피드백 槪念을 찾았다고 1934年에 말한 바 있다.

라이프니츠는 1671年에 四則演算을 遂行할 수 있는 機械를 發明하기 始作했고, 數 年에 걸쳐 발전시켜 나갔다. ' 段階 計算器 '라고 불린 이 發明品은 相當한 關心을 끌었고 라이프니츠가 1673年 王立 協會에 選出되는 契機가 되었다. 하지만 라이프니츠는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을 完璧하게 自動化시키지는 못했으므로 큰 成功은 아니였다. 라이프니츠는 하노버에 몇 年間 머무르면서 많은 數의 비슷한 機械들을 만들었다. 쿠튀라는 라이프니츠의 出版되지 않은 1674年作 原稿에서 몇몇 代數的 演算까지도 遂行할 수 있는 機械의 描寫를 찾았다고 말했다. [15]

라이프니츠는 나중에 찰스 배비지 에이다 러브레이스 에 依해서 만들어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槪念을 摸索하고 있었다. 그 結果, 라이프니츠는 1679年에 펀치 카드의 初期 形態인 공깃돌로 二進數를 表現하는 方式의 機械를 考案했다. [16] 현대 컴퓨터는 重力에 依해 움직이는 공깃돌을 레지스터와 電位差에 依해 생기는 電子의 흐름으로 代替했지만, 돌아가는 方式은 라이프니츠가 1679年에 想像한 것과 비슷하다.

圖書館學 [ 編輯 ]

獨逸 하노버 볼펜뷔텔 의 圖書館에서 司書로 일하면서, 라이프니츠는 圖書館學 의 創始者 中 한 名이다. 볼펜뷔텔의 圖書館은 그 當時로서는 宏壯히 많은 10萬卷이 넘는 冊을 所藏하고 있었다. 그래서 라이프니츠는 새로운 建物을 設計했고, 이 建物은 意圖的으로 圖書館이 되도록 設計된 最初의 建物로 여겨진다. 또한, 옥스퍼드 大學 Bodleian 圖書館의 索引 體系 가 그 當時 現存하는 唯一한 色인 體系였는데, 그것이 있다는 事實을 모르고 다른 色인 體系를 獨自的으로 考案했다. 그리고 索引을 쉽게 하기 위해서, 出版社들에게 每年 出版 되는 모든 冊의 題目을 標準 規格에 맞춰 整理해 달라고 要請했다. 라이프니츠는 이 體系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以來 모든 印刷物을 包含하기를 바랬다. 이 提案은 그 當時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美國 國會圖書館 英國 國立 圖書館 의 後援 아래 20世紀 英語 出版社들 사이에서 비슷한 體系가 規格化 되었다.

라이프니츠는 科學을 발전시키기 위한 手段으로 데이터 베이스 를 만들자고 主張했다. 그의 以上言語理論 論理 計算學 는 各各 에스페란토 같은 人工語 數理論理學 을 豫見한 것으로 여겨진다.

學士院 設立 努力 [ 編輯 ]

라이프니츠는 硏究 에 協力이 必要하다고 强調했다. 그래서 英國 王立 學會 나 프랑스의 파리 科學 아카데미 같은 國立 科學 學士院의 設立을 支持했다. 實際로 라이프니츠는 旅行을 통해 獨逸 드레스덴과 베를린,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오스트리아 빈에서의 科學 學士院 設立을 直接的으로 推進했다. 單 한 곳에서만 結實을 맺었는데, 그 結果가 1700年에 設立된 베를린 學士院 이다. 라이프니츠는 죽을 때까지 그 學會의 會長을 맡았다. 이 學會는 後에 獨逸 科學 學會가 되었다. [17]

法律家로서의 業績 [ 編輯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같은 사람을 빼면 어떤 哲學者도 라이프니츠 같이 많은 實用的인 일을 한 사람은 없다. 라이프니츠의 法律, 倫理, 政治에 關한 著書 [18] 는 英語圈 哲學者들에게 오랜 期間 동안 看過되어 왔으나, 最近에 바뀌었다. [19]

라이프니츠는 토머스 홉스 같은 君主政治나 暴政의 辯護人이 아니었고, 그렇다고 해서 18世紀 美國, 존 로크 의 政治的 觀點, 民主主義를 支持하는 觀點에 反應을 보인 것도 아니였다. 다음의 라이프니츠가 바론 제이.씨. 보이네버그 의 아들 필립에게 1695年에 보낸 便紙에서는 라이프니츠의 政治的 性向이 잘 드러난다.

나는 國王의 權力과 服從에 對한 質問에 對해 王子에게는 國民들이 抵抗할 權利를 가지라고 說得하는 것이 좋고, 反對로 國民들에게는 나라에 受動的으로 服從하라고 說得하는 것이 좋다고 말해왔다. 하지만 나는 原則的으로 革命의 邪惡함이 革命을 일으키는 것보다 훨씬 惡하다는 그로티우스 의 意見에 同意한다. 하지만 나는 王子가 度를 넘어서서 죽음을 覺悟해야하는 危險 속에 都市의 安寧을 걸 수도 있다는 事實을 깨달았다. 이런 境遇는 매우 稀貴하지만 이 口實 아래 暴力을 認定하는 神學者 는 이것을 自制해야 한다. 過한 行動은 不足한 것보다 훨씬 危險한 것을 알아야 한다. [20]

라이프니츠는 1677年에 各 나라를 代表하는 者가 모여 그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말하고 運營되는 유럽 聯盟 에 불려갔다. [21] 그 동안 라이프니츠는 유럽 聯合 이 나올 것을 미리 豫想했다. 또한 그는 유럽이 하나의 宗敎를 採擇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는 이러한 提案을 1715年에 飜覆했다.

著述 活動 [ 編輯 ]

라이프니츠의 著述은 出版 되지 않은 것들이 많기 때문에, 주어진 鳶島는 특별한 言及이 없는 한 出版한 羨道가 아니라 著述이 끝난 鳶島이다.

  • 1666. 《結合法론》; Loemker §1 and Parkinson (1966).
  • 1671. 《새로운 物理學의 假說》; Loemker §8.I.
  • 1673. 《哲學者의 信念》(라틴語 : Confessio philosophi)
  • 1684. 《極大·極小를 위한 새로운 方法》; Struik, D. J., 1969. A Source Book in Mathematics, 1200?1800 . Harvard University Press: 271?81.
  • 1686. 《形而上學 序說》; Martin and Brown (1988), Ariew and Garber 35, Loemker §35, Wiener III.3, Woolhouse and Francks 1.
  • 1703. 《二進法에 關한 說明》(라틴語 : Explication de l'Arithmetique Binaire); Gerhardt, Mathematical Writings VII.223. 온라인 英語 飜譯 by Lloyd Strickland.
  • 1710. 《辯神論》; Farrer, A.M., and Huggard, E.M., trans., 1985 (1952). Wiener III.11 (part). 온라인 英語 飜譯 .
  • 1714. 《 모나드론 》; Nicholas Rescher에 依해 英語 飜譯 되어짐, 1991. The Monadology: An Edition for Students . University of Pittsburg Press. Ariew and Garber 213, Loemker §67, Wiener III.13, Woolhouse and Francks 19. Latta의 온라인 英語 飜譯 ; 라이프니츠의 原稿 複寫本과 프랑스語, 라틴語, 스페인語 판
  • 1765. 《人間五性新論》; 1704年에 著述 마침. Remnant, Peter, and Bennett, Jonathan, trans., 1996. New Essays on Human Understanding . Cambridge University Press. Wiener III.6 (part). 온라인 英語 飜譯 by Jonathan Bennett.

主席 [ 編輯 ]

  1. www.gwlb.de . Leibniz-Nachlass (i.e. Legacy of Leibniz), Gottfried Wilhelm Leibniz Bibliothek (one of the three Official Libraries of the German state Lower Saxony).
  2. David Smith , p.173-181 (1929)
  3. Ariew & Garber, 69; Loemker, §§36, 38
  4. Ariew & Garber, 138; Loemker, §47; Wiener, II.4
  5. Ariew & Garber, 272?84; Loemker, §§14, 20, 21; Wiener, III.8
  6. Struik (1969), 367
  7. Hall (1980) gives a thorough scholarly discussion of the calculus priority dispute.
  8. Ariew and Garber 117, Loemker §46, W II.5. On Leibniz and physics, see the chapter by Garber in Jolley (1995) and Wilson (1989).
  9. See Ariew and Garber 155?86, Loemker §§53?55, W II.6?7a)
  10. On Leibniz and biology, see Loemker (1969a: VIII).
  11. On Leibniz and psychology, see Loemker (1969a: IX).
  12. Aiton (1985), 107?114, 136
  13. Davis (2000) discusses Leibniz's prophetic role in the emergence of calculating machines and of formal languages.
  14. See Couturat (1901): 473?78.
  15. Couturat (1901), 115
  16. The Reality Club: Wake Up Call for Europe Tech
  17. On Leibniz’s projects for scientific societies, see Couturat (1901), App. IV.
  18. 例를 들어, Ariew and Garber 19, 94, 111, 193; Riley 1988; Loemker §§2, 7, 20, 29, 44, 59, 62, 65; W I.1, IV.1?3
  19. 參考 : Jolley (2005: chpt. 7), Gregory Brown's chapter in Jolley (1995), Hostler (1975), and Riley (1996).
  20. Loemker: 59, fn 16. Translation revised.
  21. Loemker: 58, fn 9

參考 文獻 [ 編輯 ]

1次 資料 [ 編輯 ]

  • Alexander, H G (ed) The Leibniz-Clarke Correspondence.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56.
  • Ariew, R & D Garber, 1989. Leibniz: Philosophical Essays . Hackett.
  • Arthur, Richard, 2001. The Labyrinth of the Continuum: Writings on the Continuum Problem, 1672?1686 . Yale University Press.
  • Cohen, Claudine and Wakefield, Andre, 2008. Protogaea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Cook, Daniel, and Rosemont, Henry Jr., 1994. Leibniz: Writings on China . Open Court.
  • Loemker, Leroy, 1969 (1956). Leibniz: Philosophical Papers and Letters . Reidel.
  • Remnant, Peter, and Bennett, Jonathan, 1996 (1981). Leibniz: New Essays on Human Understanding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Riley, Patrick, 1988. Leibniz: Political Writing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leigh, Robert C., Look, Brandon, and Stam, James, 2005. Confessio Philosophi: Papers Concerning the Problem of Evil, 1671?1678 . Yale University Press.
  • Strickland, Lloyd, 2006. The Shorter Leibniz Texts: A Collection of New Translations. Continuum.
  • Adolphus William Ward|Ward, A. W. Leibniz as a Politician|Leibniz as a Politician (lecture, 1911)
  • Wiener, Philip, 1951. Leibniz: Selections . Scribner.
  • Woolhouse, R.S., and Francks, R., 1998. Leibniz: Philosophical Texts . Oxford University Press.

2次 資料 [ 編輯 ]

  • Adams, Robert Merrihew. Lebniz: Determinist, Theist, Idealist .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 Aiton, Eric J., 1985. Leibniz: A Biography . Hilger (UK).
  • Antognazza, M.R.(2008) Leibniz: An Intellectual Biography . Cambridge Univ. Press.
  • Rachel Albeck-Gidron|Albeck-Gidron, Rachel, The Century of the Monads: Leibniz's Metaphysics and 20th-Century Modernity , Bar-Ilan University Press.
  • Bos, H. J. M. (1974) "Differentials, higher-order differentials and the derivative in the Leibnizian calculus," Arch. History Exact Sci. 14: 1?90.
  • Couturat, Louis, 1901. La Logique de Leibniz . Paris: Felix Alcan.
  • Davis, Martin, 2000. The Universal Computer: The Road from Leibniz to Turing . WW Norton.
  • Deleuze, Gilles, 1993. The Fold: Leibniz and the Baroque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Du Bois-Reymond, Paul, 18nn. "Leibnizian Thoughts in Modern Science".
  • Finster, Reinhard & Gerd van den Heuvel. Gottfried Wilhelm Leibniz . Mit Selbstzeugnissen und Bilddokumenten. 4. Auflage. Rowohlt, Reinbek bei Hamburg 2000 (Rowohlts Monographien, 50481), ISBN   3-499-50481-2 .
  • Ivor Grattan-Guinness|Grattan-Guinness, Ivor, 1997. The Norton History of the Mathematical Sciences . W W Norton.
  • Hall, A. R., 1980. Philosophers at War: The Quarrel between Newton and Leibniz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Martin Heidegger|Heidegger, Martin, 1983. The Metaphysical Foundations of Logic . Indiana University Press.
  • Hirano, Hideaki, 1997. "Cultural Pluralism And Natural Law." Unpublished.
  • Hostler, J., 1975. Leibniz's Moral Philosophy . UK: Duckworth.
  • Jolley, Nicholas, ed., 1995. The Cambridge Companion to Leibniz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eClerc, Ivor, ed., 1973. The Philosophy of Leibniz and the Modern World . Vanderbilt University Press .
  • Lovejoy, Arthur O., 1957 (1936) "Plenitude and Sufficient Reason in Leibniz and Spinoza" in his The Great Chain of Being . Harvard University Press: 144?82. Reprinted in Frankfurt, H. G., ed., 1972. Leibniz: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Anchor Books.
  • Mandelbrot, Benoit, 1977. The Fractal Geometry of Nature . Freeman.
  • Mates, Benson, 1986. The Philosophy of Leibniz: Metaphysics and Language . Oxford University Press.
  • Mercer, Christia, 2001. Leibniz's metaphysics: Its Origins and Development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orris, Simon Conway, 2003. Life's Solution: Inevitable Humans in a Lonely Univers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Perkins, Franklin, 2004. Leibniz and China: A Commerce of Light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Rensoli, Lourdes, 2002. El problema antropologico en la concepcion filosofica de G. W. Leibniz . Leibnitius Politechnicus. Universidad Politecnica de Valencia.
  • Riley, Patrick, 1996. Leibniz's Universal Jurisprudence: Justice as the Charity of the Wise . Harvard University Press.
  • Rutherford, Donald, 1998. Leibniz and the Rational Order of Natur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truik, D. J., 1969. A Source Book in Mathematics, 1200?1800 . Harvard University Press.
  • Ward, P. D., and Brownlee, D., 2000. Rare Earth: Why Complex Life is Uncommon in the Universe . Springer Verlag.
  • Wilson, Catherine, 1989. 'Leibniz's Metaphysics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Zalta, E. N., 2000. " A (Leibnizian) Theory of Concepts ", Philosophiegeschichte und logische Analyse / Logical Analysis and History of Philosophy 3: 137?183.
  • Smith, David Eugene (1929). 《A Source Book in Mathematics》. New York and London: McGraw-Hill Book Company, Inc.  

바깥 고리 [ 編輯 ]


[[分類:1646年 태어남]] [[分類:1716年 죽음]] [[分類:獨逸의 哲學者]] [[分類:獨逸의 數學者]] [[分類:獨逸의 論理學者]] [[分類:言語 創作者]] [[分類:17世紀 數學者]] [[分類:18世紀 數學者]] [[分類:18世紀 哲學者]] [[分類:라이프치히 大學校 同門]] [[分類:라이프치히 出身]] [[af:Gottfried Wilhelm Leibniz]] [[am:?????]] [[an:Gottfried Leibniz]] [[ar:??????? ???????]] [[az:Qotfrid Leybnits]] [[bat-smg:Guotfr?ds Leibn?cos]] [[be:Готфрыд Лейбн?ц]] [[be-x-old:Готфрыд Ляйбн?ц]] [[bg:Готфрид Лайбниц]] [[bn:??????? ????????]] [[br:Gottfried Leibniz]] [[bs:Gottfried Wilhelm Leibniz]] [[ca:Gottfried Wilhelm Leibniz]] [[cs:Gottfried Wilhelm Leibniz]] [[cy: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da:Gottfried Wilhelm Leibniz]] [[de:Gottfried Wilhelm Leibniz]] [[dsb:Gottfried Wilhelm Leibniz]] [[el:Γκ?τφριντ Β?λχελμ Λ?ιμπνιτ?]] [[en:Gottfried Leibniz]] [[eo:Gottfried Wilhelm Leibniz]] [[es:Gottfried Leibniz]] [[et:Gottfried Wilhelm Leibniz]] [[eu:Gottfried Wilhelm Leibniz]] [[fa:??????? ????????]] [[fi:Gottfried Leibniz]] [[fr:Gottfried Wilhelm Leibniz]] [[fur:Gottfried Leibniz]] [[fy:Gottfried Wilhelm Leibniz]] [[ga:Gottfried Leibniz]] [[gan:臘尼?]] [[gl:Gottfried Wilhelm Leibniz]] [[he:??????? ?????? ???????]] [[hi:???????? ?????????]] [[hif:Gottfried Leibniz]] [[hr:Gottfried Leibniz]] [[hsb:Gottfried Wilhelm Leibniz]] [[ht:Gottfried Leibniz]] [[hu:Gottfried Wilhelm Leibniz]] [[hy:??????? ??????? ???????]] [[ia: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id:Gottfried Leibniz]] [[io:Gottfried Wilhelm Leibniz]] [[is: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it: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ja:ゴットフリ?ト?ライプニッツ]] [[jv:Gottfried Leibniz]] [[ka:??????? ????????]] [[kk:Готфрид Вильгельм Лейбниц]] [[ku:Gottfried Wilhelm Leibniz]] [[la:Godefridus Guilielmus Leibnitius]] [[lb:Gottfried Wilhelm Leibniz]] [[lij:Gottfried Wilhelm Leibniz]] [[lmo:Gottfried Leibniz]] [[lt:Gottfried Leibniz]] [[lv:Gotfr?ds Leibnics]] [[mk:Готфрид Вилхелм Ла?бниц]] [[ml:???????????? ??????????]] [[mn:Готфрид Вильгельм Лейбниц]] [[mr:???????? ??????????]] [[mrj:Лейбниц, Готфрид Вильгельм]] [[ms:Gottfried Leibniz]] [[nds:Gottfried Wilhelm Leibniz]] [[nl:Gottfried Wilhelm Leibniz]] [[nn:Gottfried Leibniz]] [[no:Gottfried Leibniz]] [[oc:Gottfried Leibniz]] [[pl:Gottfried Wilhelm Leibniz]] [[pms:Gottfried Leibniz]] [[pnb:????????? ?????]] [[pt:Gottfried Leibniz]] [[ro: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ru:Лейбниц, Готфрид Вильгельм]] [[rue:?отфр?д В?льгельм Лейбн?ц]] [[sc:Gottfried Leibniz]] [[scn:Gottfried Leibniz]] [[sco:Gottfried Leibniz]] [[sh:Gottfried Leibniz]] [[si:??????????? ??????????]] [[simple:Gottfried Leibniz]] [[sk:Gottfried Wilhelm Leibniz]] [[sl:Gottfried Wilhelm Leibniz]] [[sq:Gotfried Leibniz]] [[sr:Готфрид Вилхелм Ла?бниц]] [[su:Gottfried Wilhelm Leibniz]] [[sv: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sw:Gottfried Leibniz]] [[ta:?????????? ??????????]] [[th:????????? ???????? ???????]] [[tl:Gottfried Leibniz]] [[tr:Gottfried Leibniz]] [[uk:?отфр?д В?льгельм Лейбн?ц]] [[vi:Gottfried Leibniz]] [[vo:Gottfried Leibniz]] [[war:Gottfried Leibniz]] [[yo:Gottfried Leibniz]] [[zh:戈特弗里德??布尼茨]] [[zh-min-nan:Gottfried Leibn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