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빠삐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빠삐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빠삐놈 〉은 커뮤니티 사이트인 디시인사이드 에서 派生된 인터넷 文化이다. 빠삐놈의 意味는 아이스크림 製品 빠삐코 와 映畫 《 좋은 놈, 나쁜 놈, 異常한 놈 》의 略稱 "놈놈놈"의 合成語다.

槪要 [ 編輯 ]

빠삐놈은 달파란 장영규 가 映畫 《놈놈놈》을 위해 編曲한 〈 Don't Let Me Be Misunderstood 〉에 롯데삼강이 에자키 글리코 派피코 를 模倣한 아이스크림 製品인 "빠삐코"의 初期 廣告音樂을 合成해 [1] 디시인사이드 에 登場한 以後 話題가 됐다.

“빠빠라 빠라빠라 빠”로 이어지는 映畫音樂은 “빠빠라 빠빠라 빠/삐삐리 삐삐리”로 始作해 “올 여름 더위는 빠삐코에 맡겨 다오”로 끝나는 廣告音樂과 맞아 떨어졌으며, 最新 映畫 音樂이자 苦戰 팝 名曲에 全혀 다른 雰圍氣의 廣告音樂이 絶妙하게 맞아떨어진 이 合成物은 2008年 7月 中旬 인터넷에 올려지며 人氣를 끌었고, 特有의 中毒性 때문에‘악마의 노래’라는 愛稱이 붙었다. 또한 어떤 노래를 끼워넣어도 잘 어우러져서 빠삐코를 基盤으로 主로 最新歌謠를 中心으로 各種 音樂과 音響을 結合한 合成物이 洑물 터졌으며, 이런 方式으로 製作된 音樂 장르를 報告 ‘빠삐토닉’이라고 한다. 〈빠삐놈〉은 판도라TV가 調査한 '2008 月別 핫動映像 1位' 8月에 選定되었다. [2]

合成物 17篇을 한데 모은 假想의 컴필레이션 앨범 ‘빠삐놈 리믹스’와 리듬게임까지 登場했다. 이런 패러디를 結合한 ‘빠삐놈 病神(新) 디스코 믹스’는 게임 音樂 프로듀서 박진배 가 製作한 것으로 빠삐놈 리믹스의 代表的인 作品이자 가장 暴發的인 反應을 일으키기도 했다. 製作者는 “두 時間 程度 作業해 남들처럼 재미삼아 올렸는데 反應이 너무 뜨거워 놀랐다”고 말하기도 했다. [3]

影響 [ 編輯 ]

빠삐코의 影響으로 디시인사이드에 여러 創作物이 쏟아지면서 이를 보고‘디시의 르네상스 ’라고 評價하기도 했다. [4] 또한 氷菓類 盛需期와 겹쳐 빠삐코의 販賣量이 40%以上 늘어났으며, 빠삐코의 生産業體인 롯데삼강에서는 2008年 6月을 마지막으로 中斷했던 빠삐코의 TV 廣告를 같은 해 8月부터 再放映하기로 했다. [5] 또한 롯데삼강은 空中波를 통해 '빠삐놈 패러디를 만들어 주신 분께 感謝드린다. 連絡주면 아이스크림 한 박스를 보내드리겠다'라고 感謝를 표하기도 했다. [6] 2007年을 '텔미'가 裝飾했다면, 2008年은 '빠삐놈'이 그 役割을 맡았다는 分析도 있었다. [7] 最初 製作者로 알려진 廣告音樂가 이인식은 무비위크가 選定한 '2008年을 빛낸 創造的 엔터테이너'에 選定되기도 했다. [8] 從前의 패러디가 單純히 그림의 合成 水準에 머물렀던 것에 비해, 빠삐놈은 音源合成에까지 패러디의 領域을 擴張시켰다는 評價를 받았다. [1]

放送 [ 編輯 ]

빠삐놈의 音樂은 패러디나 개그의 素材로 使用되기 위해 娛樂 프로그램 을 통해 放送되기도 했다.

  • 개그콘서트 》, 〈黃賢喜 PD의 消費者告發〉 - 2008年 8月 24日
    • 黃賢喜 가 "남南南"에 나온 主題曲이 어떤 노래를 剽竊했다는 主張을 하며 《놈놈놈》에 使用된 〈Don't Let Me Be Misunderstood〉의 一部와 빠삐코의 廣告音樂의 一部를 次例로 틀고, 이 둘을 섞은 것을 내보냈다. 著作權과 廣告效果 問題로 製作陣 쪽에서 앞의 둘만을 섞었고, 빠삐코의 廣告音樂 部分의 一部가 電子音으로 代替되었다 .
  • 無限挑戰 》, 〈PD 特攻隊 2篇〉 - 2008年 9月 27日
    • 前震 이 빠삐놈의 패러디 方式으로 製作했으며, ‘盞삐놈2’라는 題目을 붙였다. ‘盞삐놈’의 音樂은 ‘빠삐놈 病神 디스코 믹스’를 만들었던 박진배 가 製作했다. 大韓民國의 放送審議規定이 放送에서의 廣告 效果를 禁止하여, 빠삐코 廣告音樂 部分의 "코"字가 빠졌다. [A]
  • 新韓銀行 프로리그 2008 》, 廣岸里 決勝戰 - 2008年 8月 9日
    • 決勝戰에서 이긴 프로게이머 理性은 이 빠삐놈 病神 디스코 믹스를 背景音樂으로 춤을 추고, 빠삐코 아이스크림을 나눠주는 세레모니를 선보였다. [9]

기타 [ 編輯 ]

빠삐놈病神디스코믹스 [ 編輯 ]

빠삐놈病神디스코믹스에 들어간 各種 音樂과 音響은 다음과 같다.

그 밖의 패러디 [ 編輯 ]

  • 빠삐데스크 - 《 뉴스데스크 》의 메인 테마宋과 빠삐코의 音響을 合成했으며, 以後 김주하 앵커의 멘트가 나온다.
  • 빠삐릭스 - 매트릭스 포스터에 빠삐코의 캐릭터를 合成한 作品과 映畫 《매트릭스 OST》인 《Propellerheads》의 〈Spybreak!〉와 빠삐코의 音響을 合成한 作品이다.
  • 스크류빠삐코  : 스크류빠삐코에 들어간 各種 音樂과 音響은 다음과 같다.
  • ReMinD2020 -合成物 18周年을 記念으로 國內 合作을 해 만든노래로 오프닝에 빠빠놈 病神(新) 디스코 리믹스를 오프닝으로 올렸다.

各州 [ 編輯 ]

內容
  1. 마찬가지로 빼빼로 , 초코파이 를 放送에서 言及하는 것도 廣告 效果를 理由로 삼가고 있다.
出處
  1. 下京헌 (2009年 1月 11日). “[패러디 烈風]② 演技力 論難 申東旭 단골 受侮” . 스포츠칸. 2014年 1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月 23日에 確認함 .  
  2. 권오용 (2008年 12月 19日). “[e트렌드 읽기]“패러디? 안해봤음 말을 하지마세요”” . 스포츠칸. 2014年 1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月 23日에 確認함 .  
  3. 홍연정 (2008年 10月 9日). “박진배氏 “유저들度 著作權 保護해야 한다”” . 일간스포츠. 2014年 1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月 23日에 確認함 .  
  4. 한수경 (2008年 7月 28日). “디시 '第2의 르네상스' 到來?” . 《디시인사이드》. 2013年 5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4月 3日에 確認함 .  
  5. 권수현 (2008年 8月 1日). “자다깨니 스타..'빠삐놈' 烈風에 롯데삼강 '반색 ' . 聯合뉴스. 2012年 7月 1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4月 2日에 確認함 .  
  6. 윤현진 (2008年 12月 23日). “2008 CF트렌드 ‘廣告송’ 烈風 “짧고 剛하게 誘惑하라”” . 뉴스엔. 2014年 2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月 23日에 確認함 .  
  7. 임병선 (2008年 12月 29日). “미네르바 前스틴 뜨고 리만 브러더스 지고” . 서울新聞. 2014年 1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月 23日에 確認함 .  
  8. 이경란 (2009年 3月 9日). “[패러디烈風] 패러디, 모두 함께 즐기는 놀이로 變貌” . 일간스포츠. 2014年 1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月 23日에 確認함 .  
  9. 박유진 (2008年 8月 11日). “理性은 '빠삐코 세레모니' ··· 올림픽 競技속 '눈길 ' . 디시뉴스. 2014年 1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月 23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