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敎皇 보니파시오 8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敎皇 보니파시오 8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보니파시오 8歲 에서 넘어옴)

보니파시오 8歲
任期 1294年 12月 24日
前任者 첼레스티노 5歲
後任者 베네딕토 11歲
個人情報
出生이름 베네데토 가에타니
出生 1235年
敎皇領 아나니
腺腫 1303年 10月 11日
敎皇領 로마

敎皇 보니파시오 8歲 ( 라틴語 : Bonifacius PP. VIII , 이탈리아語 : Papa Bonifacio VIII , 1235年 ~ 1303年 10月 11日 )는 第193代 敎皇 (在位: 1294年 12月 24日 ~ 1303年 10月 11日 )이다. 本名은 베네데토 가에타니 ( 이탈리아語 : Benedetto Caetani )이다. 프랑스 國王 필리프 4歲 와 葛藤 끝에 1303年 아나니 事件 이 發生하였고, 빰을 맞고 暴行을 當하는 等 侮辱을 當한 後에 그 衝擊으로 한달 만에 死亡하였다.

履歷 [ 編輯 ]

베네데토는 1235年頃 로마 에서 南東쪽으로 50킬로미터 떨어진 아나니 에서 태어났다. 그의 父親은 敎皇領 의 男爵 집안인 가에타니 家門의 로프레도 가에타니이며, 母親은 敎皇 알렉산데르 4歲 의 조카딸인 에밀리아 파트라소 디 과르치노이다. 베네데토는 外三寸 프라 레오나르도 파트라소의 後援을 받은 벨레트리 작은兄弟會 修道院에 들어가는 것으로 敎會에 처음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1] 1252年 後援者이자 三寸인 피에트로 가에타니가 움브리아 州 에 있는 토디의 主敎가 되자 베네데토는 그를 따라 토디로 가서 그곳에서 法學을 工夫했다.

그는 敎皇 알렉산데르 4歲의 許諾을 받고 自己 家族이 있는 아나니 大聖堂의 儀典參事會員이 되었다. 1260年 三寸 피에트로 가에타니는 그를 토디 大聖堂의 儀典慘事會員으로 받아들였다. 베네데토는 또한 21個의 暖爐가 있는 시스마노 性이라는 작은 城을 所有하였다.

1264年 베네데토는 敎會 法律家로 로마 敎皇廳에 登用되었다. 그는 後날 敎皇 마르티盧 4歲 가 되는 시몽 드 브리옹 樞機卿의 祕書로 프랑스로 가는 길에 同行하였다. 시몽 樞機卿은 1264年 4月 25日 敎皇 우르바노 4歲 에 依해 敎皇廳 代表 資格으로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王位를 둘러싸고 앙주의 샤를 과 協商하였다. 1264年 5月 1日 시몽 樞機卿은 自身의 任務를 위해 베네데토를 自身의 祕書로 데려갔다.

1265年 2月 26日, 새로 卽位한 敎皇 클레멘스 4歲 는 卽位 8日 만에 시몽 樞機卿에게 協商을 中斷하고 卽時 프로방스로 가서 追加的인 指示를 받으라고 말했다. 같은 날, 클레멘스 4世는 샤를에게 그가 시칠리아의 王이 되기 위해서는 同意해야 하는 35가지 條件이 있다고 말하는 한便 잉글랜드의 헨리 3世와 그의 아들 에드먼드에게도 親書를 보내 그들이 시칠리아 王國을 所有할 수 없다고 通報하였다. [2] 더불어 그는 샤를을 위해 基金을 造成한 시에나 樞機卿에게 7千 파운드를 갚아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1265年 3月 20日 앙주의 샤를과의 協商을 더 迅速히 處理하기 위해 시몽 樞機卿은 主敎座 聖堂과 그 밖의 自己 管區에서 聖職者 다섯 名에게 聖職錄을 支給할 權限을 附與받았다. [3] 이 때 베네데토 가에타니도 最小限 얼마 間 프랑스 聖職錄을 받았을 것이다. 1265年 4月 9日 敎皇 使節 시몽 드 브리옹 樞機卿은 우르바노 4世가 善終했다고 해서 生前에 그가 附與한 特典이 끝난 것은 아니라고 宣言하였다. [4] 萬若 시몽 樞機卿이 敎皇 使節을 그만두었다면 그러한 宣言은 無意味했을 것이다. 베네데토는 또한 後날 敎皇 하드리아盧 5歲 가 되는 오토보네 프레스키 樞機卿과 함께 잉글랜드로 同行하기도 했다. 오토보네 樞機卿과 同伴한 또 다른 사람은 리에주 首席副제인 彼我첸車의 테오발도로, 그는 에드워드 王子의 벗으로 그와 함께 十字軍 遠征에 나가기도 했으며, 終局에는 敎皇 그레고리오 10歲 로 選出되었다. [5] 1265年 5月 4日 오토보네 樞機卿은 새 敎皇 클레멘스 4歲에 依해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의 敎皇 特使로 任命되었다. 1265年 8月 29日 樞機卿은 프랑스 王 루이 9歲 에 依해 프랑스 宮廷에 들어갔다. 그곳에서 그는 시몽 드 몽포르와 그의 아들 앙리가 그 달 初 있었던 이브샴 戰鬪 에서 死亡했다는 事實을 알았다. 오토보네 樞機卿은 1265年 10月까지 볼로뉴에 當到하지 못했다. 그는 헨리 3歲에 國王에 對抗한 시몽 드 몽포르의 殘黨들을 掃蕩하는 일을 돕기 爲해 1268年 7月까지 잉글랜드에 머물렀다. 한便 베네데토 가에타니는 잉글랜드에 머무는 동안 노샘프턴셔 週 吐우스터 에 있는 세인트 로렌스 聖堂의 主任 司祭를 지냈다. [6] [7]

베네데토가 잉글랜드에서 돌아온 後 8年 동안 그의 行跡은 全혀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이 時期는 1268年 11月 29日부터 1272年 2月 敎皇 그레고리오 10世가 敎皇職을 受諾할 때까지 긴 使徒座 空席 時期였다. 또한 이 時期에는 敎皇 그레고리오 10世와 그의 樞機卿들이 1273年 프랑스로 가서 公議會를 召集하고, 1270年 루이 9歲가 第8次 十字軍 을 일으킨 時期이기도 했다. 敎皇과 一部 樞機卿들은 1275年 11月 末 이탈리아로 돌아가는 길에 나섰다. 그레고리오 10世는 아레초에서 聖誕節을 지낸 後 1276年 1月 10日 그곳에서 善終하였다. 1276年 베네데토는 로마 敎皇廳의 法律家로서 十一租 徵收를 監督하기 위해 프랑스로 派遣되었으며, 1270年頃 말에는 敎皇의 公證人으로 任命되었다. 이 期間에 베네데토는 17個의 聖職錄을 蓄積하여 敎皇이 될 때까지 繼續 維持하였다.

1281年 4月 12日 敎皇 마르티盧 4歲 는 오르비에토에서 베네데토 가에타니를 山 니콜라 인 카르體레 聖堂 의 副題級 樞機卿에 敍任하였다. [8] 1288年 그는 구엘프와 기벨린으로 나뉜 페루자와 폴리뇨 間의 紛爭을 仲裁하기 위해 움브리아에 敎皇 特使로 派遣되었다. [9] 1289年 겨울, 그는 포르투갈의 主敎 敍任權 紛爭 때 敎皇 니콜라오 4歲 의 拷問 中의 한 名으로 活動했다. 그로부터 3年이 지난 1291年 9月 22日 [10] 敎皇 니콜라오 4世는 그를 山 마르티盧 인 山 실베스트로 聖堂의 私製級 樞機卿으로 陞品시켰다. [11] 베네데토는 敎皇 特使로서 프랑스와 나폴리, 시칠리아, 아라곤 等과의 外交的 交涉에 나섰다.

敎皇 選出 [ 編輯 ]

보니파시오 8歲의 印章

1294年 12月 13日 敎皇 첼레스티노 5歲 나폴리 에서 敎皇職에서 물러난다고 公式 發表하였다. 1294年 當時 나폴리에 있었던 루카의 바르톨로메오 는 베네데토 가에타니가 첼레스티노 5世에게 辭任을 慫慂한 몇몇 樞機卿들 中의 한 사람이라고 말했다. [12] 하지만 記錄에도 있듯이 첼레스티노 5世는 專門家들과 相議 後 自身의 自由意思에 따라 辭任한 것으로, 베네데토는 어디까지나 團地 敎皇의 辭任이 敎會法에 어긋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었을 뿐이다. 어쨌든, 첼레스티노 5世가 敎皇左에서 내려오면서 베네데토 가에타니가 敎皇으로 選出되어 보니파시오 8歲가 되었다.

1294年 콘클라베는 첼레스티노 5歲가 辭任하고 10日이 지난 12月 23日에 열렸다. 1274年 第2次 리옹 公議會 에서 敎皇 그레고리오 10世가 制定한 規定들에는 敎皇의 辭任에 關한 것이 없었지만, 樞機卿들은 敎皇의 禪宗과 마찬가지로 敎皇이 辭任하고 10日을 기다렸다. 그리하여 當時 樞機卿 22名 全員이 첼레스티노 5歲가 辭任한 場所이기도 한 나폴리의 카스텔累誤報에 모일 수 있었다. 베네데토 가에타니는 1294年 12月 24日 크리스마스 이브에 敎皇으로 選出되었다. 1次 投票에서 그는 이미 敎皇으로 選出되기에 必要한 3分의 2 以上의 過半數 票를 얻었다. [13] 그는 1295年 1月 23日 로마의 主敎로 聖省되었다. [14] 그는 卽時 敎皇廳과 함께 로마로 돌아가 1295年 1月 23日 週日 바티칸 聖 베드로 大聖殿 에서 戴冠式을 가졌다. 敎皇으로서 그가 한 첫 番째 行動은 前任者 첼레스티노 5歲를 페렌티노 의 푸모네 城에 起居하도록 한 것이다. 첼레스티노 5世는 그곳에서 自己 修道會 搜査 두 사람과 함께 81歲의 나이로 善終할 때까지 지냈다. 또한 보니파시오 8世는 1303年 로마 라 社피엔車 大學校 를 設立했다. [15]

敎會法 [ 編輯 ]

敎會法 分野에 있어서 보니파시오 8世는 오늘날까지도 至大한 影響力을 주고 있다. 1234年 敎皇 그레고리오 9歲 가 敎皇의 權威로 《그레고리오 9歲 勅令집》(Decretales Gregorii IX)을 頒布했으나 以後 60年 동안 後任 敎皇들에 依해서도 數次例 勅令들이 頒布되었다. 그래서 보니파시오 8歲 時代에 이르러 새로운 勅令집이 必要했다. 보니파시오 8世는 《敎會 法令集》(Regulæ Iuris)이라는 主要 法令들의 모음집 뿐만 아니라 自身이 頒布한 88餘 個의 勅令을 包含한 歷代 敎皇들의 勅令을 엮어 여섯 卷의 冊으로 出版하라고 指示했다. [16] 그리하여 世上에 나온 것이 《敎會 法令集 第6서》(Liber Sextus)이다. [17] 이 資料는 오늘날 敎會法律家들 또는 敎會法 學者들이 敎會法을 제대로 解釋하고 分析하는데 있어 如前히 重要한 役割을 하고 있다. 敎會 法令集은 제6서의 末尾에 나오는데, [18] 現在는 《옛 敎會 法典》(Corpus Juris Canonici) 第5卷 末尾에 紹介되고 있다.

콜론나 家門과의 葛藤 [ 編輯 ]

1297年 자코포 콜론나 樞機卿이 오토네, 마테오, 란돌抛 等 自己 兄弟들의 領地 相續權을 剝奪했다. 그러자 세 兄弟는 보니파시오 8世에게 便紙를 보내 자코포에서 自身들의 領地를 돌려주라고 命令해줄 것을 呼訴하며, 콜론나 家門의 根據地인 콜론나와 팔레스트리나를 비롯하여 一部 마을을 敎皇에게 바쳤다. 자코포는 敎皇의 命令을 拒否했다. 자코포와 그의 조카 피에트로 콜론나는 오히려 敎皇의 停止的 적들인 아라곤의 하이메 2世와 시칠리아의 프리드리히 3歲 等과 親密한 關係를 形成하였다. 그 해 5月 보니파시오 8世는 자코포 콜론나와 그를 따르는 무리들을 樞機卿團에게 쫓아내고 破門하였다.

이에 (敎皇과 손잡은 세 兄弟를 除外한) 콜론나 家門 은 첼레스티노 5歲의 辭任은 前例 없는 일이며, 그를 뒤이은 보니파시오 8世는 不法的으로 選出된 것이기에 그를 敎皇으로 認定할 수 없다고 主張했다. 이러한 紛爭은 結局 戰鬪로 이어져, 그 해 9月 보니파시오 8世는 란돌抛 콜론나를 敎皇群 指揮官으로 임명하여 그의 家門인 콜론나 家門의 叛亂을 鎭壓할 것을 命令했다. 1298年 末에 들어서 란돌包는 콜론나와 팔레스트리나 그리고 그 밖의 마을을 占領했는데, 이 때 그는 順順히 降伏하면 해치지 않는다는 보니파시오 8歲의 確約을 믿고 평화롭게 降伏한 그들을 焦土化시켜 버렸다. 단테는 몬테펠트로의 貴道가 助言한 대로 이를 約束만 하고 實行하지 않았다면서 信義를 저버린 行動이라고 批判했지만, 기벨린(皇帝派)은 이미 오래 前부터 信用할 수 없는 相對로 認識되어 있었다. 팔레스트리나는 主敎座 聖堂을 除外한 나머지가 完全히 쑥대밭이 되어버렸다. 그리하여 詩타파팔레라는 새로운 都市가 팔레스트리나를 代替했다. [19]

시칠리아와 이탈리아 [ 編輯 ]

아라곤의 差異메 2歲 가 동생 프레데리코 에게 시칠리아 王位 ( 트리나크리아 王國 , Regnu di Trinacria)를 물려주어 프레데리코는 시칠리아의 프리드리히 2世로 卽位하였다. 보니파시오 8世는 그가 시칠리아의 王으로 登極하는 것을 挽留하였지만 피디리쿠 2世가 繼續 固執을 부리자 보니파시오 8世는 1296年에 그를 破門하고 시칠리아 섬 全體에 성무禁止令을 내렸다. 피디리쿠 2世와 시칠리아 百姓 누구도 이에 動搖하지 않았다. [20] 성무禁止는 1302年 피디리쿠 2世와 카를로 2歲 를 各各 시칠리아와 나폴리를 統治한다는 칼他벨로打 平和協定 (Pace di Caltabellotta, Paci di Cataviddotta)李 締結될 때까지 維持되었다. 한便 보니파시오 8世는 十字軍 遠征을 準備하기 위해 베네치아와 제노바에게 休戰할 것을 慫慂했으나 그들은 敎皇의 提案을 拒絶하고 3年 間 싸웠다.

보니파시오 8世는 구엘프 內 黑色黨과 白色黨의 紛爭을 종식시키기 위해 피렌체에도 성무禁止令을 내리고 1300年 野心 가득한 샤를 드 발루아 伯爵 을 이탈리아로 불러들였다. 샤를의 介入으로 黑色黨에 依해 白色當 指導部가 顚覆되어 永久追放되었다.

禧年 [ 編輯 ]

보니파시오 8世는 1300年 2月 22日에 敎書 《Antiquorum habet》를 頒布하여 禧年 을 宣布하고 禧年에 普遍的인 性格을 附與했다. 敎皇은 사도 베드로 의 무덤과 사도 바오로 의 聖殿을 巡禮하게 했다. 그의 禧年 宣布는 敎會 안에서 熱烈한 歡迎을 받았고 로마인들 外에도 20萬 名 以上의 巡禮客이 禧年 行事에 參席했으며 [21] 巡禮客 가운데는 《 新曲 》의 著者 단테 알리기에리 도 끼어 있었다고들 말한다. 事實 단테 自身이 이 때의 禧年에 參與한 것으로 描寫하지만 [22] 確實치가 않다.

그 當時, 市內에서 聖 베드로 大聖殿으로 가는 唯一한 다리는 테베레强 을 가로지르는 山탄젤로 다리 였다. 로마인들은 이 다리를 건너기 위하여 수많은 巡禮者들이 雲集해 있는 것을 보고 그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이 다리의 半을 갈라 各其 一方通行으로 만들었다. [23]

第1次 스코틀랜드 獨立 戰爭 [ 編輯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歲 가 스코틀랜드를 侵掠하여 스코틀랜드 王 존 발리올 에게 廢位시켰는데, 존 발리올은 敎皇의 保護 아래 敎皇宮에 머무른다는 條件 아래 拘束에서 물려났다. 第1次 스코틀랜드 獨立 戰爭 으로 알려진 戰爭 初盤에 밀리던 스코틀랜드人들은 敎皇에게 스코틀랜드의 臺榮州 資格으로 나서서 保護해줄 것을 呼訴했다. 敎皇은 이를 받아들여 敎皇 勅書 《나는 안다, 아들아》(Scimus, Fili)를 통해 에드워드가 스코틀랜드를 侵略해 占領한 것을 批判했다. 敎皇은 이 勅書를 통해 에드워드에게 스코틀랜드에 對한 攻擊을 卽時 中斷하고 協商에 나서라고 促求했다. 하지만 에드워드는 이를 無視했다. 1301年 잉글랜드 男爵들은 敎皇에게 書信을 보내 스코틀랜드에 對한 敎皇의 大英州로서의 權利를 否認하고 잉글랜드에 所有權이 있다고 主張했다.

필리프 4世와의 葛藤 [ 編輯 ]

國民 國家가 形成되고 權力을 中央集權化 하려는 君主들의 欲望이 剛하게 일어나던 時期에 보니파시오 8世와 프랑스 國王 필리프 4歲 가 衝突하게 되었다. 날이 갈수록 强化되어가는 王權과 敎會의 葛藤은 特히나 1285年 필리프 4歲 의 權力 强化로 惡化되었다. 프랑스에서 王을 中心으로 한 眞正한 國民 國家로의 發展은 카페 王朝 때부터 始作되었다. 필리프 4世는 最高의 市民 法律家들을 거느리고 法執行에 있어 聖職者들의 參與를 全面 禁止하였다. 프랑스와 잉글랜드가 서로를 相對로 벌이는 戰爭을 치르기 위한 資金을 모으기 위해 聖職者들에게도 課稅하자 보니파시오 8世는 이에 맞서 强勁한 立場을 取했다. 이를 稅金 問題에 對한 聖職者들의 傳統的인 權利를 侵害한 것으로 본 그는 1296年 2月 敎皇의 承認을 받지 않고 平信徒가 聖職者에게 稅金을 賦課하는 것을 禁하는 敎皇 勅書 《 聖職者와 平信徒 》를 公表했다. 《聖職者와 平信徒》의 發表로 보니파시오 8世와 필리프 4歲 사이에는 敵對 關係가 形成되었다. 필리프 4世는 敎皇領과의 모든 交易을 中斷하라고 指示하는 것으로 맞對應하였다. 事實 敎會 運營은 프랑스의 收入源에 많이 依存하고 있었다. 이에 보니파시오 8世는 필리프 4世에게 “하느님께서는 敎皇을 王들보다 더 높은 地位에 놓으셨다”면서 强力히 抗議하였다.

필리프 4世는 프랑스 敎會의 財産이 나라의 戰爭을 支援하는데 쓰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잉글랜드와 戰爭을 하고자 하였다. [24] 필리프 4世는 交易 中斷과 더불어 中東에 派兵할 새 十字軍 遠征을 위한 基金을 모으던 敎皇 代理人들을 프랑스에서 追放하는 措置를 取했다. 보니파시오 8世는 1296年 9月 敎皇 勅書 《形言할 수 없는 사랑》(Ineffabilis amor)을 公表하여 [25] 基本 立場에서 한발 물러섰다. 그는 나라를 지키기 爲해 必要하다면 聖職者가 自願하여 稅金을 낼 수 있다고 發表했다. 여기서 ‘必要하면’이라는 表現은 王이 언제든지 決定할 수 있다는 뜻이었다. 필리프 4世는 交易 中斷 命令을 撤回하고 보니파시오 8世는 自身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歲 사이의 紛爭을 調停할 仲裁者로 받아들였다. 보니파시오 8世는 大部分의 問題에 있어서 필리프 4歲의 便宜를 最大限 봐주었다.

그러나 보니파시오 8世와 필리프 4歲의 不和는 다시 再開되어 필리프 4歲가 보니파시오 8歲에 맞서 反敎皇 움직임에 着手한 14世紀 初盤에 頂點에 達하였다. 紛爭은 필리프 4歲의 側近과 敎皇 特使 베르나르 世世 間에 言爭이 벌어지면서 다시 觸發되었다. 1301年 필리프 4世는 베르나르 細細를 反逆罪를 뒤집어씌워 逮捕한 後 監獄에 가둔 한便 나르본 의 大主敎 質 에슐랑을 拘留하였다. 이에 激忿한 보니파시오 8世는 1301年 12月 敎皇 勅書 《아들아, 내 말을 들어라》(Ausculta Fili)를 公表하여 地上의 모든 王들보다 더 높은 靈的 君主인 그리스도의 代理者의 말에 공손히 귀를 기울이라고 呼訴했다. 그는 필리프 4歲 主催로 열린 宮廷 裁判에서 聖職者가 判決받는 것은 違法的이며 國家의 利益을 위해 敎會 財産을 繼續 使用하는 것에 反對했으며, ‘敎會의 自由를 保護하기 위한 措置’를 取하기 위해 프랑스의 主敎들과 修道院長들을 로마로 召集해 主敎會議를 열 것이라고 發表했다. [26] 필리프 4世는 敎皇 勅書를 接한 後 敎皇 使節의 손에서 勅書를 잡아챈 다음 불 속에 던져버렸다는 이야기가 傳해지고 있다. [27]

1302年 2月 敎皇 勅書 《아들아, 내 말을 들어라》가 필리프 4世를 비롯해 많은 사람이 보는 앞에서 公開的으로 燒却되었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1302年 3月 4日 보니파시오 8世는 프랑스 聖職者들에 對한 敎皇의 統制를 分明히 하기 위해 張 르無엔 樞機卿을 敎皇 特使로 보냈다. [28] 필리프 4世는 보니파시오 8世가 計劃한 主敎會議를 事前에 妨害하기 위해 4月 파리에서 三部會 를 召集한다고 發表했다. 프랑스 歷史上 最初의 三部會에서 貴族, 聖職者, 平民 세 身分 모두 로마에 王과 王의 世俗的 權力을 擁護하는 書信을 보냈다. 한便 45名의 프랑스 高位 聖職者들은 필리프 4歲의 禁止令과 私有 財産 沒收 措置에도 不拘하고 1302年 10月 로마에 열린 會議에 參席했다. [29]

主敎會議가 끝난 後, 1302年 11月 18日 보니파시오 8世는 敎皇 勅書 《거룩한 하나의 敎會》(Unam sanctam)를 公表했다. [30] 《거룩한 하나의 敎會》는 中世紀의 世俗的인 權限과 宗敎的인 權限을 詳細히 나타낸 가장 有名한 勅書로서 敎會의 一致와 俗權에 依해 威脅받는 日치, 君主에 對한 忠誠과 敎皇에 對한 順命 사이에서 地域 敎會 主敎들이 敎階制度 안에서 取할 態度에 對한 것이었다. 또한 《거룩한 하나의 敎會》는 移轉 敎皇들의 發表보다 世俗의 君主들을 세우고 審判하는 敎皇의 權限을 보다 明白하게 强調한 것으로도 有名하며 內容은 ‘사람은 두 가지 面으로 살아간다. 하나는 靈的인 面이고 다른 하는 世俗的인 面이다. 世俗的인 權力이 程度를 벗어나면 靈的인 權力의 判斷을 받아야 한다’는 要地로 되어 있으며, 敎皇의 裁治權에는 靈的인 權力 뿐만 아니라 世俗的인 權力도 있으며, 王들은 이 敎皇의 權力에 隸屬되어 있다고 宣言했다. 다른 한便 敎皇은 張 르無엔 樞機卿을 필리프 4世에게 보내는 敎皇 特使로 임명하고 特別히 그에게 필리프 4歲를 波紋 狀態에서 解除할 權限까지 附與하면서, 兩者 間의 膠着 狀態를 解決하려고 努力하였다. [31]

被拉과 죽음 [ 編輯 ]

아나니 事件 을 描寫한 19世紀 프랑스 會話.

1303年 4月 4日 聖木曜日 , 敎皇은 프랑스 聖職者들이 로마에 오는 것을 妨害하는 모든 사람을 破門하였다. [32] 波紋 對象에는 필리프 4歲까지 包含되었다. 이에 對한 應答으로, 필리프 4歲 의 宰相 기욤 드 노가레 는 보니파시오 8歲의 身上을 攻擊하면서 그를 異端者로 非難하고 公議會를 열어 審判해야 한다고 主張했다. 1303年 8月 15日 敎皇은 프랑스 王國 臣民들에 對한 필리프 4世의 統治權을 中斷시켰다. 그리고 필리프 4世가 로마의 敎會 法廷에 出頭하여 自身의 行動을 昭詳히 說明하기 前까지는 空席 中인 프랑스의 모든 敎區長 主敎와 修道院長 任命을 모두 保留하기로 하였다. [33] 이리하여 프랑스는 武力으로 이 모든 일을 解決하려 하였다.

1303年 9月 7日 기욤 드 노가레가 이끈 프랑스軍과 시아라 콜론나 가 當時 아나니의 敎皇宮에 있던 보니파시오 8歲를 急襲하였다. [34] 敎皇은 1303年 9月 8日 敎皇 勅書를 公表해 필리프 4世와 기욤 드 노가레를 波紋할 豫定 이었는데 [35] 이를 막기위해서 벌린 事件이었다. [36] 기욤 드 노가레와 시아라 콜론나는 보니파시오 8歲를 만나 亂暴한 行動을 일삼으면서 敎皇職을 辭任할 것을 脅迫했다. 보니파시오 8世는 屈服하지 않고 辭任하느니 차라리 죽음을 擇하겠다고 대꾸하였다. 이에 시아라 콜론나가 보니파시오 8歲의 뺨을 세게 철썩 때렸는데, 當時 68歲였던 敎皇은 그 衝擊으로 쓰러졌다고 傳해진다. 이를 아나니 事件 (Schiaffo di Anagni)이라고 부른다. 보니파시오 8世는 3日이 지나서야 풀려났으나 그로부터 한달 後에 善終하였다. [37] 단테는 이 事件을 《 新曲 》의 煉獄 篇에서 記錄해 놓고 있다. 卽 ‘ 그리스도 께서는 當身의 代理者 안에서 捕虜가 되시고 侮辱을 當하셨다’는 表現이다. 피렌체의 有名한 歷史가 조반니 빌라니는 當時 狀況을 다음과 같이 적었다. [38]

시아라와 그 밖의 敵들이 敎皇에게 와서 매우 상스러운 말로 嘲弄하면서 敎皇과 敎皇과 함께 있던 이들을 捕縛하였다. 그 中에서도 프랑스 王을 위해 協商을 指揮한 노가레의 기욤은 敎皇에게 輕蔑하는 語套로 그를 론 江이 있는 리옹으로 끌고가 敎皇職에서 廢位시키고 有罪 判決을 받게 하겠다고 脅迫하였다. … 어느 누구도 敎皇의 몸에 敢히 손을 대지 못하였으나, 그들은 거리낌 없이 敎皇에게 손을 댔을 뿐만 아니라 그의 身邊을 拘束하고 敎皇과 敎會의 寶物들을 掠奪하는데 精神이 팔렸다. 偉大한 敎皇 보니파시오는 3日 동안 敵들의 手中에 捕虜로 사로잡혀 苦痛과 羞恥心, 精神的 衝擊 속에서 지냈다. … 이에 憤怒한 아나니 市民들이 들고 일어나 콜론나와 그의 무리들을 몰아내 죽이거나 生捕하였으며, 敎皇과 敎皇廳 官僚들을 풀어주었다. … 보니파시오 敎皇은 卽時 敎皇廳 官僚들과 함께 아나니를 떠나 로마로 돌아가서 聖 베드로 大聖殿에서 主敎會議를 召集했다. 그러나 마음 속 깊이 새겨진 悲歎과 마음의 傷處로 인하여 로마로 돌아왔을 때, 그는 마치 失性한 사람처럼 自己 손을 물어뜯는 生疏한 病에 걸렸고, 結局 千株 降生 1303年 10月 12日 地上에서의 삶을 마감했다. 그의 屍身은 生前에 그가 지은 聖 베드로 大聖殿 入口 가까이 있는 華麗한 경당에 명예롭게 安葬되었다.

高熱에 시달리던 보니파시오 8世는 10月 11日 樞機卿 여덟 明과 敎皇廳 官僚들이 보는 앞에서 精神이 穩全한 狀態에서 信仰 告白을 하고 老子 聖體를 靈한 다음 善終하였다.

보니파시오 8歲의 屍身은 1605年 뜻하지 않게 發掘되었으며, 當時 敎皇廳 公證人이자 바티칸 大成殿의 記錄 保管 擔當者인 자코모 그리말디 (1568-1623)가 이를 記錄으로 남겼다. 敎皇의 屍身은 三重으로 만든 나무棺 속에 棕櫚나무 가지 일곱 個와 함께 뉘어 있었는데, 屍身 狀態는 꽤 穩全한 狀態로 남아 있었으며, 키가 宏壯히 컸다고 한다. 屍身을 통해 當時의 衣服 狀態를 알 수 있었는데, 긴 스타킹이 다리와 허벅지를 덮고 있었으며, 검은色 실크로 만든 수대 수단 , 敎皇龍 두건이 입혀져 있었다. 그리고 永代 祭儀 , 半指, 寶石으로 裝飾한 주교용 掌匣도 着用하고 있었다. [39]

現在 보니파시오 8歲의 屍身은 聖 베드로 大聖殿 地下에 커다란 大理石館에 安葬되어 있으며, 그의 무덤 위에는 그의 이름(BONIFACIVS PAPA VIII)李 記名되어 있다. [40]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Tosti, p. 37, citing Teuli, History of Velletri , Book 2, chapter 5.
  2. August Potthast,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II (Berlin 1875), p. 1543, nos. 19037-19039.
  3. Potthast, no. 19065. 本來 聖職錄을 支給하는 것은 敎皇의 權限이었다.
  4. Potthast, 19089.
  5. Francis Gasquet, Henry the Third and the English Church (London 1905), p. 414.
  6. “George Baker, The History and Antiquities of the County of Northamptonshire Vol. III (London: J.B.Nicholas & Son 1836), pages 312-338” . 2016年 3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10月 19日에 確認함 .  
  7. Tosti, p. 38, n. 15
  8. “Cardinal Deaconry” .  
  9. R. Morghen, "Una legazione di Benedetto Caetani nell'Umbria e la guerra tra Perugia e Foligno del 1288," Archivio della Societa romana di storia patria , 52 (1929), pp. 485-490.
  10. Conrad Eubel,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I edition altera (Monasterii 1913), pp. 10, 47, 52.
  11. “Cardinal Title” .  
  12. 루카의 바르톨로메오: Odoricus Raynaldus [Rainaldi], Annales Ecclesiastici Tomus Quartus [Volume XXIII] (Lucca: Leonardo Venturini 1749), sub anno 1294, p. 156: Dominus Benedictus cum aliquibus cardinalibus Caelestino persuasit ut officio cedat quia propter simplicitatem suam, licet sanctus vir, et vitae magni foret exempli, saepius adversis confundabantur ecclesiae in gratiis faciendis et circa regimen orbis .
  13. See the poem by Jacopo Stefaneschi, Subdeacon of the Holy Roman Church, who participated in the events: Ludovicus Antonius Muratori, Rerum Italicarum Scriptores Tomus Tertius (Milan 1723), 642.
  14. "Frater Hugo de Bidiliomo provincie Francie, magister fuit egregius in theologia et multum famosus in romana curia; qui actu lector existens apud Sanctam Sabinam, per papam Nicolaum quartum eiusdem ecclesie factus cardinalis" [16.V.1288]; postmodum per Celestinum papam [1294] est ordinatus in episcopum ostiensem (Cr Pg 3r). http://www.e-theca.net/emiliopanella/lector12.htm ; 같이 보기 Bolgia, Claudia; McKitterick, McKitterick; Osborne, John (2011). 《Rome Across Time and Space: Cultural Transmission and the Exchange of Ideas, C.500-1400》 .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19217-0 .   , p. 275.
  15. Filippo Maria Renazzi, Storia dell' Universita degli studj di Roma, detto comunamente La Sapienza Volume I (Roma: Pagliarini 1803), pp. 56-69.
  16. Oswald J. Reichel, The Elements of Canon Law (London: Thomas Baker, 1889), p. 51.
  17. Liber Sextus Decretalium D. Bonifacii Papae VIII, suae integritate, una cum Clementinis et Extravagantibus restitutus (Francofurdi: Ioan. Wechelus 1586), pp. 1-272.
  18. Liber Sextus Decretalium D. Bonifacii Papae VIII (Francofurdi 1586), pp. 252-260.
  19. "The Bad Popes" by ER Chamberlin 1969, 1986 ISBN   0-88029-116-8 Chapter III "The Lord of Europe" page 102-104.
  20. Oestereich, Thomas. "Pope Boniface VIII."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2.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2016年 3月 4日.
  21. 當時 로마 住民은 約 2萬 名이었다.
  22. 단테, 新曲 煉獄篇 Ⅱ, 94~99
  23. 박영식 요한 新婦 (1999年 5月 30日). “大禧年을 배웁시다 (9) 敎皇 보니파시오 8歲부터 보니파시오 9歲까지의 그리스도교 禧年(1300~1390年)” . 가톨릭 新聞 . 1999年 5月 30日에 確認함 .  
  24. A. Theiner (ed.), Caesaris Baronii Annales Ecclesiastici Tomus 23 (Bar-le-Duc 1871), under year 1296, §17, pp. 188-189; under year 1300, §26, p. 272-273.
  25. A. Theiner (ed.), Caesaris Baronii Annales Ecclesiastici Tomus 23 (Bar-le-Duc 1871), 1296年, §24-32, pp. 193-196.
  26. Francois Guizot and Mme. Guizot de Witt, History of France from the Earliest Times to 1848 Volume I (New York 1885), p. 474.
  27. Catholic Encyclopedia. Tosti, History of Pope Boniface VIII , p. 335.
  28. A. Theiner (ed.), Caesaris Baronii Annales Ecclesiastici Tomus 23 (Bar-le-Duc 1871), under year 1303, §33, p. 325-326.
  29. Joannes Dominicus Mansi,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novissima edition, Tomus vicesimus quintus (Venetiis 1782), pp. 97-100.
  30. A. Theiner (ed.), Caesaris Baronii Annales Ecclesiastici Tomus 23 (Bar-le-Duc 1871), under year 1302, §13-15, p. 303-304.
  31. Georges Digard (editor), Les Registres de Boniface VIII (Paris 1907), nos. 5041-5069. Cf. no. 5341 (13 April 1303), Pope Boniface's reply to Cardinal Jean's report.
  32. Georges Digard (editor), Les Registres de Boniface VIII (Paris 1907), no. 5345.
  33. Georges Digard (editor), Les Registres de Boniface VIII (Paris 1907), nos. 5386-5387
  34. Giuseppe Marchetti Longhi, "Il palazzo di Bonifacio VIII in Anagni," Archivio della Societa romana di storia patria 43 (1920), 379-410. The building still exists: http://www.palazzobonifacioviii.it/
  35.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21
  36. A. Tomassetti,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omus IV (Augustae Taurinorum 1859), pp. 170-174. The date of September 8 has caused much scholarly controversy. Chamberlain, E.R. 〈The Lord of Europe〉. 《The Bad Popes》. Barnes and Noble. 120쪽.   Ian Mortimer: "Barriers to the Truth" History Today : 60:12: December 2010: 13
  37. Reardon, Wendy (2004). 《The Deaths of the Popes》 . McFarland. 120 쪽.  
  38. Giovanni Villani, Historia universalis , Book VIII, chapter 65. R. E. Selfe and P. H. Wicksteed, Selections from the First Nine Books of the Croniche Fiorentine of Giovanni Villani (Westminster, 1898), pp. 346-350.
  39. Joannes Baptista Gattico, Acta Selecta Caeremonialia Sanctae Romanae Ecclesiae ex variis mss. codicibus et diariis saeculi xv. xvi. xvii. Tomus I (Romae 1753), p. 478-479.
  40. Reardon, Wendy. 《The Deaths of the Popes. Comprehensive Accounts Including Funeral, Burial Places and Epitaphs》. McFarland. 120?123쪽.  

外部 링크 [ 編輯 ]

前任
첼레스티노 5歲
第193代 敎皇
1294年 12月 24日 - 1303年 10月 11日
後任
베네딕토 11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