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버니바 부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버니바 부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버니바 부시
Vannevar Bush
Vannevar Bush, ca. 1940–44
Vannevar Bush, ca. 1940?44
出生 1890年 3月 11日 ( 1890-03-11 )
美國 매사추세츠주 애버렛
死亡 1974年 6月 28日 ( 1974-06-28 ) (84歲)
美國 매사추세츠주 벨몬트
國籍 미국 美國
主要 業績 美國 國立科學財團
맨해튼 計劃
레이시온
微分 解釋機
受賞 IEEE 에디슨 메달 (1943)
후버 메달 (1946)
메리트 메달 (1948)
IRI 메달 (1949)
존 프리츠 메달 (1951)
존 J. 카티 上 (1953)
美國 科學 勳章 (1963)
原子力 先驅者 上(Atomic Pioneer Award, 1970)
分野 電氣工學
所屬 매사추세츠 工科大學校 ( 매사추세츠 工科大學校 )
博士 敎授 더글러스 C. 잭슨
아서 E. 케넬리 [1]
博士 學生 클로드 섀넌
프레드릭 터먼
影響을 줌 더글러스 엥겔바트
테드 넬슨

버니바 부시 (Vannevar Bush, / væ?niːv?r b?? , 1890年 3月 11日 ~ 1974年 6月 30日 )는 美國 의 技術者이자 아날로그 컴퓨터 의 先驅者이다. 歷史的으로 부시는 2次 世界 大戰에서 原子 爆彈 을 開發한 맨해튼 計劃 을 管理하고 推進한 主役 中 한 사람이었으며 메멕스 (MEMEX)라고 불리는 記憶 擴張期 槪念을 最初로 主唱하여 現在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의 發展에 靈感을 준 科學 思想家였다.

生涯 [ 編輯 ]

美國 매사추세츠주 에버렛에서 出生하였으며 터프츠 大學校 를 1913年에 卒業하였다. 하버드 大學校 MIT 에서 1917年에 工學 博士 學位를 받았다. 第1次 世界 大戰 中에는 美國의 國家硏究委員會에서 潛水艦 을 探知하는 技術 開發을 하였다. 以後 1919年에 MIT의 電氣工學科에 在職하였으며 1923年에서 1932年까지 敎授 로 活動하였다. 이때 그는 아날로그 컴퓨터 微分 解釋機 (Differential Analyser)를 만들었으며, 이 機械는 最大 18個의 獨立 變數를 計算할 수 있었다. 이 計劃은 後에 록펠러 財團 의 支援을 받게 된다. 록펠러 微分 解釋機는 1942年 부터 實用性을 갖는 水準에 이르렀으며, 當時 가장 强力한 計算器였으며, 콘라드 主題 賈 最初로 컴퓨터를 發明하기 以前 世代에서 가장 큰 革新的인 結果物이었다. 이때 그의 弟子 中 한 名이었던 클로드 섀넌 (Claude Shannon)李 디지털 回로 디자인 理論을 開發 하였다. 1932年부터 1938年 사이에 부시는 MIT의 工科 大學 學長이자 副總長으로 勤務하였다.

1937年부터 MIT에서 navy comparator를 開發했다. 이어진 rapid selector에 對한 부시의 靑寫眞은 大量의 데이터베이스 處理, 科學 技術用 計算을 目的으로 한 計算器였다. 그러나 부시가 카네기 財團 의 會長으로 1938年 選任되면서 이 計劃은 求心點을 잃었지만, 1940年 計劃의 完了가 發表되었으며, 1942年 特許를 얻었으며, 1950年代에 美國 圖書館에 設置된다.

1939年 부시는 美國 國家防衛硏究委員會(NDRC)의 議長이 되며, 1941年 科學 硏究 開發 部署(O.S.R.D.)의 部長이 된다. O.S.R.D. 은 2次 世界 大戰 中의 모든 開發 計劃을 調整했으며, 이中에는 原子 爆彈 을 開發하기위한 맨해튼 計劃 도 包含된다. 부시는 레이다 의 改善, 音波 探知機 (Sonar) 開發의 責任이 있으며, 美國 防衛産業體인 레이시온 의 設立에도 參與하였다.

메멕스 [ 編輯 ]

第2次 世界 大戰 이 끝나기 直前인 1945年 7月, 버니바 부시는 1939年 에 써 두었던 〈우리가 생각하는 대로〉(As we may think)라는 글을 더 애틀란틱 에 發表한다. 이 글에서 ‘메멕스’(Memex, Mem ory Ex tender)라는 假想의 機械를 紹介한다. 이 先驅的인 글은 많은 사람의 注目을 끌었으며, 現在 우리에게 익숙해져 있는 個人用으로 使用되는 情報 處理 機械 및 人間과 컴퓨터 間의 인터페이스에 對한 最初의 描寫로 여겨지고 있다. 부시는 더글러스 엥겔바트 , J.C.R. 리클라이더 , 이반 서덜랜드 等 한 世代에 걸친 컴퓨터 科學者들에게 靈感을 주어 現代 情報 社會가 成立하는 데에 觸媒 役割을 한 것으로 記憶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 강태훈, 《클릭을 發明한 怪짜들》窮理出版, 2005) 第1張 마음을 위한 機械.
  1. “Vannevar Bush” . Computer Science Tree . 2015年 11月 8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