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겔 이달고 이 코스티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미겔 이달고 이 코스티야

미겔 이달고 디 코스티야 ( 스페인語 : Miguel Hidalgo y Costilla , 1753年 5月 8日 ~ 1811年 7月 30日)는 멕시코 獨立 運動 草創期 指導者로서 "멕시코 獨立의 아버지"로 評價를 받는 人物이다. 로마 가톨릭 聖職者였던 그는 1810年 9月 16日 鬪爭을 促求하는 ' 돌로레스 絶叫 '를 始作으로 蜂起하여 獨立運動을 이끌었다. 原住民과 메스티소들을 이끌었으나 크레욜로들의 支持를 얻지 못한채 1年만에 스페인 軍에 生捕된후 殉敎했다.

그의 殉敎는 모렐로스 神父와 이투르비테 의 武裝蜂起로 이어졌고 1821年에 코르도바 條約 [1] 통해 멕시코와 中美地域은 獨立을 認定받았다. [2] 멕시코의 獨立은 이달고 神父의 ' 돌로레스 絶叫 '後 11年 뒤에나 이루어졌음에도 不拘하고 그가 돌로레스에서 獨立鬪爭을 促求한 1810年 9月 16日은 國慶日인 멕시코 獨立 記念日로 指定되어 있다.

生涯 [ 編輯 ]

初期生涯 [ 編輯 ]

이달고 新婦

누에바 에스파냐 副王領(1535~1821) 時代인 1753年에 과나후아토주의 펜하모(Penjamo)의 富裕한 크리욜로(南美 出生 白人) 집안에서 태어났다. [3] 1773年 바야돌리드의 예수회 大學인 山니콜라스 大學(現 미초아칸 大學)에서 哲學과 神學을 工夫하고 1778年 司祭가 되었다. 啓蒙主義 關聯 書籍을 읽고 變化를 꿈꾸었는데, 바야돌리드에 있는 山 니콜라스 오비스抛 콜레지오(Colegio de San Nicolas Obispo) 大學의 敎授職을 하던 中 社會 改革案을 發表해 1792年에 大學에서 쫓겨났다. 1803年 돌로레스 敎區의 司祭로 司牧을 하며 돌로레스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올리브와 葡萄를 栽培하는 方法을 가르쳐줌으로써 그들에게 도움을 주려 試圖했다. 그러나 스페인 本國과 競爭關係에 있는 作物의 栽培를 禁하는 植民地 政策 [4] 때문에 그는 멕시코 駐在 스페인 植民政府로부터 制裁를 받기도 했다. [5]

時代的 背景 [ 編輯 ]

經濟的 收奪과 差別, 不平等으로 얼룩지며 300年間 이어진 라틴 아메리카의 스페인 植民統治는 現地人들에게 많은 不滿을 품게 만들었다. 美國 獨立(1783年), 프랑스 大革命(1789年), 아이티 獨立(1804年) 그리고 루소나 몽테스키等에 依해 傳播된 啓蒙主義, 民族主義, 共和主義 思想은 植民地의 知識人들에게도 이미 많은 影響을 주고 있었다. [6] 가장 많은 不滿을 품은 階層은 上流層에 屬하는 크레욜로 (植民地 出身 白人)들이었다. 이들은 經濟的으로는 富裕했으나 스페인 本土 出身인 페닌슐라(Peninsulares)들에 비해 政治, 經濟, 社會的으로 差別과 不平等한 待遇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7]

크리욜로들이 高位官吏나 高位 聖職者가 되는 것은 極度로 制限되어 있었다. [8] [9] 植民 支配 300年 동안 170名의 父王中에 4名만이 크리욜로였고 602名의 總督中에 크리욜로 出身은 14名뿐이었으며, 로마 가톨릭교회의 主敎의 境遇 總 606名中에 15퍼센트만이 크리욜로 出身이었다. [10] 또한 植民地에서는 本土 스페인과 競爭 關係에 있는 商品을 生産할 수 없었고 [11] 輸入品에 對해 高率의 關稅를 徵收했다. 이런類의 不平等과 差別로 인한 兩側間의 葛藤은 엘리트 階層에 屬했던 크레욜로(Criollo)들에게 獨立의 必要性을 自覺하게 하였다.

이달고 神父의 銅像

獨立鬪爭의 불길을 당긴 事件은 1807年 프랑스의 포르투갈과 스페인 侵攻이었다. [12] 다음해인 1808年에 나폴레옹이 스페인 王位를 簒奪한후 自身의 兄인 조제프를 스페인 國王으로 冊封瑕疵 [13] 中南美 植民地에서는 正統性을 問題삼아 이를 認定하지 않았으며 [12] [14] 이런 權力의 空白은 1810年부터 라틴 아메리카에서 本格的인 獨立 鬪爭이 展開되도록 만들었다. [15] 나폴레옹은 스페인 國王(카를로스 4歲) 으로부터 植民地 統治權을 讓渡받았으나 [16] 植民地 獨立鬪爭에 對해 積極的으로 對應할 수 없었다. 지난 트라팔가 海戰 (1805年)에서 大敗한 以後 制海權을 完全히 喪失했으며, [14] 大陸封鎖令 에 맞선 英國의 海上封鎖와 妨害가 있었다. 또한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나폴레옹의 侵攻에 對해서 頑强히 抵抗하며 英國의 支援下에 게릴라전을 펼치면서 이베리아 半島의 獨立鬪爭을 벌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獨立運動 [ 編輯 ]

本土의 政局不安으로 植民地 멕시코에도 動搖가 發生하자 스페인 植民 當局은 크리욜로들의 勢力이 擴大되는 것을 막기 爲해서 監視를 强化했다. 이에 不滿을 품은 크리욜로들은 各地에서 祕密結社를 組織했다. [17] 이 中 케레타로 地方의 祕密結社組織에 所屬된 크리욜로들은 1810年 12月 8日을 期해서 페르난도 7歲 의 이름 아래 멕시코의 獨立을 宣言하기로 決定했다. 하지만 이들의 計劃이 漏泄되어 이 祕密結社組織의 主要 人士들이 逮捕되었다. 이런 事實이 멕시코시티에서 北西쪽으로 100마일 떨어진 돌로레스라는 마을에도 傳해졌다. [17]

돌로레스 敎區의 司祭였던 이달고 神父는 1810年 9月 16日 日曜日을 獨立의 날로 定하고 敎會 種을 울려 演說을 始作으로 蜂起를 일으켰다. [18] 돌로레스의 絶叫 ’로 膾炙되는 그의 演說은 單純한 獨立鬪爭 參與만이 아니라 人種 平等과 土地 再分配 內容을 비롯해 奴隸制度의 廢止와 特定 生産品의 政府 獨占 廢止 等을 담고 있었다. 原住民과 메스티소 가 主軸이된 이들의 蜂起는 同調者가 10萬名까지 불어나며 課羅睺아토 詩를 占領하는등 여러都市를 解放시킨후 西部로 進擊하여 首都 外郭에 到着했으나, 스페인 軍隊에 依해 鎭壓 當하고 말았다. 이들은 戰鬪經驗도 없었고 訓鍊받지도 못했으며 [3] 組織的이고 體系的이지 못했다. 特히 上流層인 크리욜로(Criollo)들은 이들의 活動이 自身들을 겨냥하고 있다고 誤解를 하며 스페인軍과 協力하였고 [19] 獨立運動은 쉽게 挫折되었다.

死亡 [ 編輯 ]

中南美 國家別 獨立鳶島

1811年 1月 17日 칼데론(Calderon) 다리 戰鬪에서 敗北한 [20] 이달고 神父는 美國으로 脫出하기 위해 北쪽으로 避身 途中에 逮捕되어 處刑되었다. [18] [21] 이달고 神父에 이어 모렐로스 新婦 [22] 鬪爭을 主導하며 [23] 獨立政府를 세우기는 했으나 1815年, 스페인軍에 生捕된 後 銃殺되었다. 이들의 殉敎는 이투르비테 의 武裝蜂起로 이어졌고 1821年에 코르도바 條約 [24] 통해 멕시코와 中美地域은 스페인의 植民支配로부터 獨立하였다. [25] 1823年 美國이 먼로독트린 을 宣言하여 유럽의 美洲大陸 不干涉을 主張함에 따라 멕시코와 中美 地域의 獨立은 周邊國들로부터도 認定을 받게 되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南美의 南部地域( 라플라타 +페루)은 山 마르틴 , 北部地域( 누에바그라나다 )은 시몬 볼리바르 의 指導下에 15年間 進行된 武裝鬪爭을 통하여 1825年에 獨立을 爭取하였다. 브라질은 1822年에 포르투갈의 王世子 桐 페드루 가 포르투갈의 王位繼承權을 抛棄함과 同時에 브라질 皇帝로 登極後 獨立을 宣布하면서 브라질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시켰다. [26]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네이버 知識百科] 이괄라 計劃과 코르도바 條約 (라틴아메리카社, 2001. 9. 20., 위키미디어 커먼즈 )....이투르비데가 1821年 2月 24日에 宣言한 이괄라 計劃(Plan de Iguala)을 멕시코 父王이 拒否하자 兩側間 武力衝突이 벌어졌다. 鎭壓에 失敗한 父王이 軍部에 依해 廢位된후 推戴된 新任 父王은 이투르비데와 1821年 8月 24日 코르도바 條約(Tratado de Cordoba)을 締結하여 政權 移讓을 約束하였다. 1821年 9月 27日 이투르비데는 멕시코시티에 入城하였고 멕시코는 獨立國이 되었다.
  2. 이강혁 <라틴아메리카歷史 다이제스트100> 嘉藍企劃 2008 p211
  3. [네이버 知識百科] 미겔 이달고 이 코스티야 (두산百科)
  4. 송기도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蓋馬高原 2003年 p79....스페인은 1595年부터 中南이에서의 葡萄 栽培를 禁止 시켰다.
  5. Mexico: From Independence to Revolution, 1810?1910 , edited by W. Dirk Raat, p. 21
  6. 송기도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蓋馬高原 2003年 p79
  7. 송기도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蓋馬高原 2003年 p77 ~ p81
  8. 송기도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蓋馬高原 2003年 p48
  9. 송기도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蓋馬高原 2003年 p80
  10. 송기도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蓋馬高原 2003年 p49
  11. 송기도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蓋馬高原 2003年 p79
  12. 이강혁 <라틴아메리카歷史 다이제스트100> 嘉藍企劃 2008 p196
  13. 우덕룡外 <라틴아메리카> 松山出版社 2000年 p207
  14. 송기도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蓋馬高原 2003年 p78
  15. 우덕룡外 <라틴아메리카> 松山出版社 2000年 p206
  16. 강석영 <라틴아메리카社 上> 대한교과서 株式會社 1996年 p102
  17. 이강혁 <라틴아메리카歷史 다이제스트100> 嘉藍企劃 2008 p208
  18. [다음百科] 이달고 이 코스티야 (Miguel Hidalgo y Costilla)
  19. [네이버 知識百科] 미겔 이달고 이 코스티야 (두산百科)
  20. Minster, Christopher. Mexican War of Independence: The Battle of Calderon Bridge [1]
  21. 이강혁 <라틴아메리카歷史 다이제스트100> 嘉藍企劃 2008 p209
  22. [네이버 知識百科] 호세 마리아 모렐로스 [Jose Maria Morelos] (두산百科).....호세 마리아 모렐로스(1765-1815)는 멕시코 出身 聖職者로 스페인에 對抗하여 獨立鬪爭을 벌인 指導者로 '멕시코 獨立運動의 國民英雄'으로 推仰받는 人物이다. 1810年 이달고의 獨立運動에 加擔하였으나 이듬해 이달고가 處刑되자 그를 代身하여 獨立鬪爭을 主導하였다. 1812年 오리사바와 오악사카, 1813年 멕시코의 主要 港口인 아카풀코를 陷落시키는 等 1815年까지 멕시코 南部地方 大部分을 平定하였다. 1813年 獨立政府를 세웠으며 行政首班의 權限을 갖는 最高司令官으로 選出되었다. 1815年, 테스말라카 戰鬪에서 에스파냐軍에게 사로잡혀 銃殺되었다.
  23.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歷史 敎科書 2> 휴머니스트 2005年 p88
  24. [네이버 知識百科] 이괄라 計劃과 코르도바 條約 (라틴아메리카社, 2001. 9. 20., 위키미디어 커먼즈 )....이투르비데가 1821年 2月 24日에 宣言한 이괄라 計劃(Plan de Iguala)을 멕시코 父王이 拒否하자 兩側間 武力衝突이 벌어졌다. 鎭壓에 失敗한 父王이 軍部에 依해 廢位된후 推戴된 新任 父王은 이투르비데와 1821年 8月 24日 코르도바 條約(Tratado de Cordoba)을 締結하여 政權 移讓을 約束하였다. 1821年 9月 27日 이투르비데는 멕시코시티에 入城하였고 멕시코는 獨立國이 되었다.
  25. 이강혁 <라틴아메리카歷史 다이제스트100> 嘉藍企劃 2008 p211
  26. 이강혁 <라틴아메리카歷史 다이제스트100> 嘉藍企劃 2008 p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