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墨家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墨家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墨家 (墨家)는 春秋戰國時代 에 存在하였던 諸子百家 의 한 學派로, 墨子 (墨子, 紀元前 470 ~ 391 ?)를 始祖로 하며, 戰國時代 에 活躍하다가, 秦始皇의 統一 以後 忽然히 사라졌다.

墨家는 油價   · 道가 와 同時代에 出現하여 發展되었고 春秋戰國時代 諸子百家 中 主要 네 哲學 學派 (油價 墨家 道가 法家) 中의 하나였다. 이 時期에 墨家는 油價 의 主要 競爭 相對였다.

墨子는 兼愛說 (兼愛說)을 가르쳤다. 兼愛 는 條件없이 사람들 全體를 사랑하고 서로 이롭게 하는 것이다. 하늘의 뜻이 바로 兼愛 이고, 하느님은 兼愛의 化身이다. 또한 墨子 는 서로를 이롭게 한다(交相利)는 視角에서 근면한 勞動으로 物資를 生産할 것과 切茸 (節用, 쓰임의 節約, 儉約  · 儉約) 等을 主張했다. 또한 有名한 思想으로는 人材 登用論인 상현 (尙賢)과 攻擊 戰爭 反對인 非公 (非攻) 等의 思想이 있다. 또한, 墨子 는 體驗을 根本으로 하여 事物의 本質을 推論하는 論理 적 事故를 中國에서 最初로 創始한 人物로 最近에는 높이 評價되고 있다.

현대에서, 墨家는 哲學派로서는 사라졌지만 少數의 아시아 祕密 團體들은 스스로를 墨家 思想의 追從者로 생각한다.

槪要 [ 編輯 ]

戰國時代 에 墨家(墨家)는 油價 와 나란히 선 有力한 學派(顯學)였다. [1] 例를 들어, 孟子 는 當時에 墨子 (墨子)와 洋酒 (楊朱: 道가 學派의 先驅者 [1] )의 思想이 天下에 가득 찼다고 歎息했다. ( 孟子 [등문공] 下) 韓非子 (韓非子)도 "世上의 현학(顯學)은 有儒)와 묵(墨)이다"라고 하였다. 한나라 時代까지 "儒墨"이라 統稱했다. '현학(顯學)'이란 '드러난 學派'라는 뜻으로, 戰國時代까지 學派로 自稱하면서 集團 活動했던 것은 儒家와 墨家 뿐이었다. 道家나 法家 名家 等은 漢나라 때, 諸子百家의 學術을 整理하면서, 類似한 思想家들을 묶어서 부른 이름이었다.

秦始皇이 統一을 한 以後 墨家 學派는 急激히 消滅했다. 墨家에 對한 特別한 彈壓도 없었는데 소리없이 사라진 理由는 統一 國家가 墨家의 存立에 極히 不利했기 때문이다. 分裂된 國家가 싸워야 性 防禦로 먹고 사는 墨家가 存立할 수 있었다. 게다가 全體에 對한 無差別的 사랑, 絶對者인 人格神에 對한 믿음, 君主 推戴論 等은 統一 國家에 걸맞지 않았다. 墨家는 漢나라 때 이미 잊혀졌다. 다만 위진 時代에 道敎가 생기고, 佛敎의 大腸經에 맞서서 道敎가 '圖章頃'을 만들면서 거기에 《 墨子 (墨子)》를 넣었다. 淸나라 때 와서 考證學이 發興하면서, 어려운 文獻의 考證 競爭이 붙었다. 이에 孫詒讓이 墨子 朱錫을 集大成한 墨子罕古 를 씀으로써 墨子와 墨家 學派는 다시 華麗하게 照明을 받게 된다.

墨子 는 처음에 油價 의 學者인 死角(史角)에게 배웠다고 한다. 또한 墨子 冊에는 油價 의 經典인 市警 書經 李 널리 引用된다. 하지만 그의 思想은 儒家思想 에 正反對로 나간다. 孔子 가 支配層의 立場에서 思想을 展開했다면, 墨子 는 被支配層의 立場에서 展開한다. 中國 歷史上 被支配層에 根據한, 被支配層을 擁護하는 唯一한 思想이 墨子이다.

墨子 冊은 다섯 部分으로 이루어져 있다. ⑴ 入門書, ⑵ 10론(論) - 열 가지 主題. ⑶ 묵경(墨經) - 論理的 科學的 命題들. ⑷ 墨子의 語錄, ⑸ 性 防禦 技術. - 이 가운데 墨子 思想을 代表하는 것은 ⑵와 ⑶이다. 一般的으로 墨子의 思想은 ⑵에서 다루는 10가지 主題라고 한다. 兼愛 (兼愛)  · 天地 (天志; 하느님의 뜻)  · 상동 (尙同; 위와 같아짐)  · 상현 (尙賢; 賢者를 높임)  · 非公 (非攻; 攻擊을 否定함)  · 비악 (非樂; 音樂을 否定함)  · 悲鳴 (非命; 運命을 否定함)  · 切茸 (節用; 쓰임을 節約함)  · 折杖 (節葬; 葬禮式을 節約함)  · 명귀 (明鬼; 鬼神을 밝힘)  · 比喩 (非儒; 儒家를 批判함) 等이 있다.

墨家 學派 는 改造(開祖)인 墨子 때부터 거자(鉅子; 우두머리)가 이끄는 集團을 이루었다. 墨家 集團은 ⑴ 無事이며 軍人이고, ⑵ 技術者였다. ⑴ 墨家는 性 防禦 專門家였다. 그들은 性 防禦를 受注하여 먹고 살았다. ⑵ 墨家는 技術者(工人)의 集團이었다. 性 防禦를 위해서는 다양한 武器를 製作해야 한다. 武器는 어떤 時代에도 그 時代의 最高의 技術이 適用된다. 따라서 墨家 無理는 當時에 最高의 技術者 集團이었다. ⑶ 墨家의 無理는 또한 絶對者 人格神을 믿은 宗敎的 集團이었다. 墨子는 兼愛가 하느님의 뜻임을 累累이 强調한다. 하느님의 뜻에 따를 때 하느님이 賞을 내리고, 따르지 않으면 罰을 내린다고 한다. 이는 儒家가 '儀禮(儀禮) 專門家(儒)로서 儀禮를 執行하면서 먹고 살았던 것과 對照的이다. 油價는 基本的으로 知識人이라면, 墨家는 基本的으로 無事이다. 門(文)과 무(武)의 差異이다.

主要 思想 [ 編輯 ]

兼愛 [ 編輯 ]

"普遍的인 사랑" - 兼愛(兼愛)는 '全體를 사랑함'을 뜻한다. '兼'은 全體라는 뜻이다. 世上 全體를 사랑한다는 것은 部分만 사랑하는 것과 反對이다. 部分을 사랑한다는 것은 나머지를 差別한다는 말이다. 兼愛의 反對는 별애(別愛; 區分하여 사랑함)이다. 油價 가 父母兄弟의 家族的 血緣에 根據한 사랑을 倫理 의 基本으로 삼는다. 反面 墨家는 그러한 家族的 사랑은 별애라 보고, 어떤 區別도 하지 말고 世上 全體의 사람들을 사랑하라는 兼愛 (兼愛)을 主張한다. 兼愛는 '無差別的 사랑'이라기 보다는 '條件없는 사랑'이다. 墨子는 身分的 差別을 認定한다. 兼愛는 어떤 條件도 달지 않는 사랑이다. 나의 家族인가, 나의 임금인가, 나의 親戚인가, 이런 條件을 붙이지 말고, 全體를 사랑하는 것이다.

能力에 限界가 있는 人間이 世上 全體를 사랑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墨子는 兼愛가 하느님의 사랑이라 한다. 하느님은 萬物을 公平하게 사랑한다. 하느님의 눈으로 볼 때 누구는 사랑하고 누구는 사랑하지 않을 수는 없다. 따라서 兼愛는 아가페的 사랑이다. 反面 儒家의 사랑은 條件이 달린 사랑, 人間的 사랑, 에로스(eros)的 사랑이다.

天地(天志) [ 編輯 ]

"하느님의 뜻" - 墨子는 저 하늘에 있는 唯一神 絶對者인 하느님을 믿는다. 이는 基督敎에서 말하는 神과 비슷하다. 中國의 大多數의 學派들은 唯一神을 믿지 않았다. 唯一하게 墨子 學派가 唯一神을 믿는다. 墨子는 하느님이 兼愛를 하시며, 또한 人間이 兼愛하기를 바란다고 한다. 兼愛를 하면 賞을 주고, 하지 않으면 罰을 준다. 하느님은 賞과 罰을 주는 絶對者이다. 墨子가 보건대, 아래 사람이 윗사람에게 服從해야 한다. 百姓은 官吏에게, 管理는 君主에게 服從한다. 君主는 바로 하느님에게 服從해야 한다. 따라서 하느님의 뜻인 兼愛를 君主가 實踐하고, 管理가 遂行해야 한다.

상동(尙同) [ 編輯 ]

"위와 같아짐" - 尙은 上과 같은 뜻이다. 따라서 尙同은 '위와 같아짐'을 意味한다. 아랫사람은 반드시 윗사람의 命令을 따라야 한다. 이렇게 위에 絶對 服從하는 代身, 윗사람은 아래 사람들에게 兼愛를 해야 한다. 아랫사람의 服從과 윗사람의 兼愛, 이것을 서로 맞交換하는 關係, 墨子는 이것을 國家라고 본다. 이 맞交換은 一種의 契約 關係이다. 아랫사람이 服從하지 않으면 契約 違反이므로 處罰할 수 있다. 反對로 윗사람이 兼愛(自己 아랫사람 全體를 사랑함)하지 않으면, 이 亦是 契約 違反이므로 그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

相同은 상현과 함께 가는 理論이다. 全體를 사랑하는 兼愛를 하는 것은 쉽지 않다. 兼愛를 잘 하는 것은 賢明한 者의 基本 條件이다. 賢者를 높임(尙賢) 가운데 가장 重要한 것은 賢者를 윗사람으로 推戴하는 것이다.

상현(尙賢) [ 編輯 ]

상현(尙賢)은 '賢明한 이를 높임'을 뜻한다. 墨子에게서 賢者의 가장 重要한 基準은 兼愛를 하는 것이다. 兼愛는 全體를 사랑하는 것이다. 墨子는 實際的인 사람이다. 사랑을 한다는 것은 具體的으로 實質的인 利益을 주는 것이다. 예컨대 배고픈 者에게 먹을 것을, 疲困한 者에게 쉴 곳을 提供하는 것이다. 따라서 賢者란 바로 이런 物質的 利益을 준다. 油價 에서 賢者는 人格과 德을 갖춘 者이다. 人材의 登用에 있어 人格的 의 有無를 基準으로 한다. 人格을 基準으로 君子 小人 의 區別을 嚴格히 한다. 反面 墨家에서 賢者는 現實的 利益을 이루는 사람이다. 同時에 現實的 利益을 一部가 아니라 全體에게 주는 사람이다.

切茸(節用)·折杖(節葬) [ 編輯 ]

墨子는 百姓의 세 가지 근심을 '배고픈 者가 먹지 못하고, 추운 者가 立地 못 하고, 疲困한 自家 쉬지 못 函'이라 한다. 이 세 가지 것의 끝은 죽음이다. 그는 國家의 義務가 바로 이런 百姓의 衣食住 問題의 解決이라 確信한다. 따라서 墨子는 부지런히 勞動해서 生産할 것을 强調한다. 同時에 生産된 物資의 浪費를 極力 非難한다. 따라서 '쓰임의 節約'(節用)은 墨子의 基本的 主張에 들어간다. 나아가 그는 儒家에서 强調하는 葬禮와 肖像, 祭祀도 浪費로 看做한다. 죽은 者를 위해서 豪華스럽게 葬禮와 祭祀를 지내는 것은 反對로 산 者를 窮乏하게 만든다. 따라서 葬禮와 祭祀를 最少化할 것을 主張한다. 折杖(節葬)李 바로 그것이다. 죽은 者를 위하기 보다는 산 者의 生命을 위하라.

비악(非樂) [ 編輯 ]

墨子가 折杖(節葬)論을 통해서 儒家의 예(禮)를 批判했다면, 비악(非樂; 音樂 否定)을 통해서 音樂을 否定한다. 油價는 늘 '禮樂(禮樂)'을 君子의 敎養, 或은 人格 修養의 基本으로 强調한다. 墨子는 下層民의 衣食住의 問題라는 點에서 '禮와 音樂' 둘 다를 批判 否定한다. 墨子가 보건대 音樂은 浪費이다. 物資의 虛費이다. 音樂은 瞬間의 藝術이다. 그 當時에 音樂을 듣기 위해서는 音樂家들이 연주하고 노래를 해야 했다. 生音樂만이 있었다. 當時의 君主나 諸侯는 잔치를 벌이고 사냥을 하면서 音樂을 즐겼다. 下層民의 立場에 선 墨子가 보건대, 이것은 더할 나위 없는 浪費이고 奢侈에 不過했다.

中國에서는 音樂이나 藝術, 宗敎, 或은 學術을 否定하는 傳統이 뿌리깊게 이어진다. 墨子는 音樂과 藝術을 否定했다. 秦始皇은 焚書坑儒를 했다. 위진 時代 以來로 5無(武)1種(宗)이라 일컬어지는 皇帝들이 佛敎를 彈壓했다.(廢佛) 가깝게는 1960年代에 文化大革命으로 悽絶하게 知識人을 彈壓했다.

非公(非攻) [ 編輯 ]

'非攻'은 '攻擊을 反對함'이다. 이는 兼愛說의 擴張이다. 全體를 사랑함과 남을 攻擊하지 않음은 銅錢의 앞뒤와 같다. 非公 理論은 國家 사이의 理論이다. 땅을 뺏기 위해서, 或은 掠奪하기 위해서 다른 나라를 攻擊하지 말라. 내 나라 안에도 노는 땅은 많다. 그것을 開墾하고 부지런히 勞動하면 物資는 얼마든지 더 生産할 수 있다. 왜 스스로 內部的인 努力을 하지 않고, 外部的으로 攻擊하려 드는가? 墨子는 當時의 大勢인 '征服 戰爭'을 反對한다. 代身 國家 사이의 共存을 主張한다. 내가 남을 攻擊하지 않지만, 남이 나를 攻擊할 수 있다. 그 境遇에는 假借없이 對應 膺懲해야 한다. 墨子는 攻擊 戰爭을 反對하지만, 同時에 防禦 戰爭을 贊成한다. 非公論은 武裝 中立과 現狀 維持를 意味한다. 戰國 時代 7個 國家의 共存을 主張한 것이다. 戰國 時代에는 墨子처럼 現狀 維持論보다는 征服 戰爭을 해서 天下 統一을 하자는 것이 大勢였다. 秦나라 以後 中國은 分裂하지만, 늘 天下 統一을 目標로 한다. 反面 墨子는 天下 統一보다는 分裂된 國家들의 平和 共存을 主張한다. ·

悲鳴(非命) [ 編輯 ]

'非命'은 '運命을 否定함'이다. 墨子는 一切의 運命論을 否定한다. 사람이 努力하면 努力한만큼 이루어진다. 人間의 努力과 相關없이 運命이 支配하는 것은 없다. 왜 墨子는 運命論을 否定하는가? 그가 하느님의 뜻을 믿기 때문이다. 하느님은 絶對者이기 때문에, 하느님의 뜻인 兼愛를 하면 반드시 이루어진다. 墨子는 늘 自身의 뒤에는 하느님이 계신다는 것을 믿었다. 따라서 自身의 行爲가 어두운 運命에 支配를 받는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反面 孔子 以來로 孟子 等 油價는 "사람의 일을 다하고, 하늘의 命令을 기다리라"(盡人事 待天命)고 한다.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은 自身의 人格을 修養해서(修己) 世上을 다스리는 것(治人)이다. 그들은 墨子처럼 絶對者 하느님을 믿지 않았다. 따라서 그들의 行爲에 對해서 保證해 주는 超越者가 없었다. 그들은 自身의 最善을 다하지만, 그것이 꼭 이루어지리라 確信을 하지 못 한다. 結局 成敗는 어두운 運命에 달려 있다. 그래서 最善의 努力을 다하고, 그 結果를 運命으로 받아들이라 한다. 마음을 便安하게 해서 運命 앞에 서라(安心立命)고 한다.

명귀(明鬼) [ 編輯 ]

'明鬼'는 '鬼神을 밝힘' 或은 '밝게 아는 鬼神'을 뜻한다. 墨子는 하느님 뿐만 아니라 鬼神의 存在도 믿는다. 하느님이 人間에게 賞과 罰을 내리듯이, 鬼神도 사람에게 賞과 罰을 내린다. 하느님의 뜻이 兼愛이듯이, 鬼神의 뜻도 兼愛이다. 따라서 兼愛를 하라. 그러면 하늘도 賞을 주고 鬼神도 賞을 준다. 油價는 孔子 以來로 鬼神의 存在를 믿지 않는다. 鬼神이 오는 것을 前提로 해서 하는 祭祀 亦是, 鬼神이 "있는 듯이" 생각하면서 하라고 한다. 反面 墨子는 鬼神의 存在를 確固하게 믿었다. 그의 鬼神은 兼愛와 聯關된다. 늘 豫測 可能한 超越者이다. 反面 民間 信仰에서 鬼神은 무섭고 豫測 不可能하다.

거자(鉅子) [ 編輯 ]

'鉅子’는 ‘큰 사람’이라는 뜻으로, 墨家 무리의 指導者를 意味한다. 鉅는 ‘크다’(巨)의 뜻과 同時에 ‘金’이 붙은 單語이므로 ‘연장桶’을 뜻했을 것이라 推測하기도 한다. 技術者 集團에서는 연장桶을 管理하는 사람이 우두머리이기 때문이다. 現在 文獻上 밝혀진 거자는 다음과 같다.

墨子(墨子) ; 墨家 學派의 創始者이며, 招待 거자이다. 墨子 冊에는 그의 弟子로 ‘秩卑(跌鼻; 넘어진 코, 코삐뚤이), 慶州(耕柱; 밭가는 기둥) 等이 나온다.

금골리(禽滑釐) ; 墨子 다음의 거者인 것 같다.

福돈(腹?) - 秦나라 墨家의 우두머리였다. 秦나라 혜왕(惠王) 때, 그의 아들이 殺人을 저질렀다. 혜왕이 赦免하려 했으나, 복돈은 墨家의 法을 내세워 아들을 死刑시켰다. (呂氏春秋 擧事(去私)篇)

맹승(孟勝) ; 楚나라 도왕(悼王) 때 거자이다. 양성군의 領地를 지키지 못 하자, 전양자에게 거자를 물려 주고, 弟子 180餘名과 集團 自殺을 했다. (呂氏春秋 常德(上德) 便)

전양자(田襄子) ; 宋나라의 거자. 맹승에게서 물려 받았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 世界史 > 人類 文化의 始作 > 都市國家와 春秋戰國時代 > 戰國時代의 諸子百家 > 墨家 "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 東洋思想 > 東洋의 思想 > 中國의 思想 > 諸子百家의 思想 > 墨家의 思想 "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