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고드윈
學者 情報
出生 1759年 4月 27日
英國 런던 스피脫필즈
死亡 1797年 9月 10日 ( 1797-09-10 ) (38歲)
英國 런던 소머스타운
國籍 英國 , 美國
學歷 獨學
時代 18世紀 啓蒙時代
地域 西洋
學派 啓蒙主義 , 女性主義
業績 自由主義的 女性主義 理論의 基礎 마련
父母 에드워드 존 울스턴크래프트 (簿),
엘리자베스 딕슨 (某)
配偶者 길버트 임레이 (1793年-1795年)
윌리엄 고드윈 (1797年)
子女 長女 패니 임레이 ,
次女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셸리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 Mary Wollstonecraft [?w?lst?n.kr?ːft] [ * ] , 1759年 4月 27日 ~ 1797年 9月 10日)는 잉글랜드 의 作家, 哲學者, 女性의 權利 擁護者이다. 比較的 짧은 經歷동안 長篇小說, 論文, 旅行記 , 프랑스 革命 社, 地圖서 , 童話冊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分野에서 活動했다. 特히 有名한 著書는 『 女性의 權利 擁護 』(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 1792年)로 여기서 울스턴크래프트는 女性이 胎生的으로 男性에 비해 劣等하지 않으며, 敎育의 缺如로 인해 劣等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라고 主張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男女가 모두 理性的 存在로 看做되어야 하며 理性에 基盤한 社會秩序 를 마련하자고 提案했다.

20世紀 末까지도 울스턴크래프트는 著述 및 史上보다 그 삶과 私生活이 더 많은 照明을 받았다. 헨리 퓨질리 , 길버트 임레이 와의 두 次例의 不幸한 關係 끝에(그 過程에서 딸 패니 임레이 를 낳음) 울스턴크래프트는 無政府主義 運動의 先驅者인 哲學者 윌리엄 고드윈 과 結婚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둘째딸을 낳고 11日 뒤에 死亡했다. 享年 38歲. 이 둘째딸의 이름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고드윈이라 하고, 나중에 퍼시 비시 셸리 와 結婚하니 그 有名한 小說 『 프랑켄슈타인 』의 著者 메리 셸리 가 그다.

울스턴크래프트가 죽은 뒤 홀아비가 된 고드윈은 『 女性의 權利 擁護의 著者에 關한 回顧錄 』(1798年)을 썼는데, 여기서 當代 社會 通念과 어긋나는 夫婦의 여러 私生活들이 그대로 실려 있었기 때문에 고드윈의 本意와 다르게 울스턴크래프트의 評判은 以後 거의 百 年 동안 墜落하였다. 그러나 20世紀 女性主義 運動 의 胎動과 함께 울스턴크래프트의 女性의 平等 擁護와 慣習的 女性性에 對한 批判은 그 重要性을 照明받았고, 오늘날에는 女性主義 理論의 基礎를 마련한 重要한 哲學者 中 한 名으로 取扱되고 있다.

生涯 [ 編輯 ]

初期 生涯 [ 編輯 ]

울스턴크래프트는 1759年 4月 27日 런던 스피脫필즈 에서 에드워드 존 울스턴크래프트와 엘리자베스 딕슨 사이의 7男妹 中 둘째로 태어났다. [1] 어렸을 때는 裕福한 便이었으나 아버지가 몇 次例 投機로 家産을 蕩盡했다. 財政的으로 窮乏해진 家族은 울스턴크래프트의 幼年期에 이곳저곳 옮겨 다니며 살아야 했다. [2] 經濟的 形便이 매우 나빠지자 아버지는 울스턴크래프트가 成年이 되면 물려받게 되어 있는 돈을 내 놓으라고 强要했다. 甚至於 술이 醉하면 마누라를 마구 두들겨 패는 暴力的인 사람이 되어버렸다. 10代 時節 울스턴크래프트는 어머니를 지키기 위해 어머니 寢室 門 앞에 누워있곤 했다. [3] 또한 울스턴크래프트는 女同生 에버리나와 엘리자에게 平生 어머니 같은 役割을 했었다. 예컨대 1784年의 어느 날 울스턴크래프트는 産後憂鬱症 으로 推測되는 增稅에 苦痛받던 엘리자에게 男便과 아이를 떠나 있으라고 說得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社會 規範에 挑戰하며 엘리자가 家庭에서 解放될 수 있도록 모든 努力을 다했다. 그러나 치러야 할 人間的 費用은 酷毒했다. 엘리자는 社會的 烙印으로 괴로워했고, 再婚을 할 수 없었으므로 窮乏 속에 고된 勞動을 하며 餘生을 보냈다. [4]

울스턴크래프트의 初期 生涯에 影響을 미친 두 名의 親舊가 있는데 于先 첫 番째는 베벌리 제인 아르덴 이었다. 울스턴크래프트와 아르덴은 冊을 함께 읽고 재야철학자이자 科學者인 아르덴의 아버지의 講義에 出席하면서 親舊가 되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아르덴 집안의 學究的 雰圍氣를 즐겼으며 아르덴과의 友情을 매우 높게 評價하여 어떤 때는 友情이 獨占慾의 水準에 이르기도 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아르덴에게 이런 便紙를 썼다. “나는 友情에 關하여 浪漫的인 생각을 했었다 …… 사랑이나 友情에 關한 내 생각은 多少 異常하다. 나는 누군가의 첫 番째 사람이 되거나, 그렇지 못하면 아예 아무 關係도 아니어야 한다.” [5] 울스턴크래프트가 아르덴에게 보낸 便紙들을 보면의 삶 全體를 支配한 兆鬱寂인 憂鬱感情을 읽어낼 수 있다. [6]

두 番째이자 보다 더 重要한 親舊는 패니 프란세스 블러드(Fanny (Frances) Blood)로, 그에게 父母같은 사람들이었던 혹스턴 의 클레어스 夫婦를 통해 알게 되었다. 블러드는 울스턴크래프트가 自身의 마음을 열게 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7] 家庭生活이 불만족스러웠던 울스턴크래프트는 1778年 獨立하여 서머셋 週 바스 의 사라 도슨(Sarah Dawson)이라는 寡婦의 말벗 노릇을 하는 일을 했다. 그러나 울스턴크래프트는 성마른 性格의 도슨과의 生活에 苦痛받았다(이 때의 經驗은 1787年에 쓴 『 딸들의 敎育에 關한 省察 』에서 이러한 位置의 缺點을 밝히는 要因이 된다). 1780年 어머니가 죽어간다는 消息에 臨終을 지키기 위해 집으로 돌아갔다. [8] 어머니가 죽은 뒤 도슨의 말벗 일로 돌아가지 않고 블러드와 함께 다녔다. 블러드 家族과 함께 지낸 2年間 울스턴크래프트는 自身에 비해 傳統的 女性像에 보다 많은 投資를 하는 블러드를 自身이 只今껏 理想化해서 생각해왔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도 울스턴크래프트는 平生 블러드 및 그 家族과 友情을 維持했다(예컨대 그는 블러드의 兄弟에게 자주 金錢的 도움을 주었다). [9]

울스턴크래프트는 블러드와 함께하는 女性의 유토피아를 想像했다. 그들은 함께 房을 얻어 感情的으로 또한 財政的으로 相扶相助하는 生活을 할 計劃을 했지만, 經濟的 現實 앞에 이런 꿈은 不可能했다. 生計 維持를 위해 울스턴크래프트 姊妹와 블러드는 뉴잉턴그린 非國敎徒 共同體에 學校를 세웠다. 얼마 뒤 블러드는 結婚했고 그의 男便 休 스키스(Hugh Skeys)는 언제나 健康이 위태로웠던 블러드를 療養시키기 위해 夫婦同伴으로 포르투갈 리스본 으로 떠났다. [10] 그러나 周圍 環境을 바꾸었음에도 不拘하고 블러드의 健康은 그가 妊娠하면서 더욱 惡化되었다. 1785年 울스턴크래프트는 블러드를 看護하기 위해 學校를 떠나 리스본으로 따라갔지만 病勢의 車道는 없었다. [11] 게다가 그가 學校를 떠나 있었기 때문에 學校도 門을 닫게 되었다. [12] 블러드의 죽음은 울스턴크래프트를 絶望시켰고, 이는 그의 첫 長篇小說 『 메리, 한 篇의 小說 』(1788年)의 素材가 되었다. [13]

“迅速(新屬)의 첫 番째” [ 編輯 ]

Engraving showing a female teacher holding her arms up in the shape of a cross. There is one female child on each side of her, both gazing up at her.
實生活 속의 새로운 이야기들 』 1791年版의 卷頭揷畵. 윌리엄 블레이크 의 版畫이다.

블러드街 죽은 뒤 울스턴크래프트의 다른 親舊들이 그에게 아일랜드 앵글로아일랜드人 집안인 킹스버러 街의 家庭敎師 자리를 周旋해 주었다. 킹스버러 夫人과는 사이가 좋지 못했지만, [14] 아이들에게는 훌륭한 先生님이었다. 그 宅 딸인 마거릿 킹 은 後날 울스턴크래프트가 “自身의 精神을 모든 迷信으로부터 解放시켰다”고 回顧했다. [15] 이 時期 울스턴크래프트의 經驗은 몇 年 뒤 그의 唯一한 童話인 『 實生活 속의 새로운 이야기들 』(1788年). [16]

1790年?91年의 울스턴크래프트. 존 오피 그림.

地位는 있지만 가난한 女性에게 許諾된 職業選擇의 幅이 좁음(울스턴크래프트는 이러한 障礙를 『 딸들의 敎育에 關한 省察 』 中 〈適切한 敎育을 받았으나 財産은 없는 女性들의 不幸한 處地〉에서 流暢하게 論하고 있다)에 不滿을 품은 울스턴크래프트는 家庭敎師 일을 한 지 1年만에 著述家가 되기로 했다. 1787年 女同生 이브리나에게 쓴 便紙에서 그는 自身이 “迅速(新屬)의 첫 番째(the first of a new genus)”가 되고자 한다고 썼다. [17] 울스턴크래프트는 런던으로 移徙가서 進步 性向의 出版業者 조지프 존슨 의 도움으로 徐處와 일자리를 求했다. [18] 그는 불어와 獨語를 배우고 飜譯 일을 했다. [19] 울스턴크래프트가 옮긴 冊들 中 有名한 것으로는 자크 네케르 의 『宗敎的 意見의 重要性에 關하여』, 크리스티안 고트힐프 잘츠만 의 『兒童을 위한 道德性 提要』가 있다. 또한 존슨의 定期刊行物 『 分析評論 』 지에 評論도 投稿했는데, 主로 小說 評論이었다. 울스턴크래프트의 指摘 宇宙는 이 時期에 크게 膨脹했다. 이는 評論을 위해 읽은 冊들 뿐 아니라 런던에서 새로 사귀게 된 사람들 탓이기도 했다. 그는 존슨의 食事자리에 參與하며 急進的 作家 토머스 페인 , 哲學者 윌리엄 고드윈 等과 만나 交流했다. 울스턴크래프트와 고드윈의 첫 만남은 多少 좋지 못했다. 페인의 消息을 들으러 온 고드윈에게 울스턴크래프트가 그와 거의 모든 主題에서 意見이 不一致하자 그날 밤 내내 攻擊을 퍼부었다고 한다. 그러나 존슨의 境遇 親舊 以上의 存在로서 便紙에 그를 아버지나 오라비 같은 사람이라고 쓰곤 했다. [20]

런던에 있는 동안 울스턴크래프트는 畫家 헨리 퓨젤리 와 사귀게 되었는데, 퓨젤리는 有婦男이었다. 퓨젤리에게 홀딱 빠진 울스턴크래프트는 퓨젤리의 “天才性, 그 靈魂의 威嚴性, 그 理解의 迅速함, 사랑스러운 憐憫”을 賞讚했다. [21] 울스턴크래프트는 퓨젤리 夫婦에게 플라토닉한 關係를 맺자고 提案하기도 했으나, 퓨젤리의 妻는 질겁하면서 拒否했고, 퓨젤리와 울스턴크래프트 사이의 關係도 깨졌다. [22] 이 事件으로 받은 受侮를 잊기 위해 울스턴크래프트는 프랑스로 旅行을 갔다. 革命期 프랑스 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最近 著作인 『 人間의 權利 擁護 』(1790年)로 인해 多少 有名해져 있었다. 『人間의 權利 擁護』는 에드문드 버크 가 프랑스 革命을 保守的 論調로 非難한 『 프랑스 革命의 省察 』에 對한 答書로 쓰인 것이었으며, 이를 通해 울스턴크래프트의 이름이 하룻밤 새 널리 알려졌다. 울스턴크래프트는 버크에 對한 가장 有名한 論駁書인 『 人間의 權利 』(1791年)를 쓴 토머스 페인이나 進步的 神學者이자 論客 조지프 프리스틀리 와 동렬에서 比較되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人間의 權利 擁護』에서 槪要를 갖춘 思想들을 繼續 밀어붙여 그의 가장 有名하고 影響力 있는 作品 『 女性의 權利 擁護 』(1792年)를 著述했다. [23]

프랑스行과 길버트 임레이 [ 編輯 ]

Smoke is billowing throughout the top two-thirds of the picture, dead guards are scattered in the foreground, and a battle, with hand-to-hand combat and one horse is taking place in the bottom right.
프랑스 革命의 暴力的 擴散을 象徵하는 8月 10日 튈르리 宮 攻擊事件.

울스턴크래프트는 1792年 12月 파리를 떠났다가 루이 16世가 處刑 되기 한 달 前에 돌아왔다. 英國과 프랑스는 서로 戰爭을 벌이기 直前까지 가고 있었기에, 다들 그에게 프랑스로 가지 말라고 말렸다. [24] 프랑스는 阿修羅場이었다. 그는 헬렌 마리아 윌리엄스 를 비롯한 다른 英國人들과 함께 當時 파리 內部의 國外居住子 모임에 參席했다. [25] 1792年 12月 26日, 울스턴크래프트는 前 國王 루이 16歲 國民議會 에 끌려가는 것을 目擊했다. 罪囚의 身分으로 馬車에 실려 죽음을 向해 끌려가는 루이가 想像했던 것보다 尊嚴한 모습을 보여줬기에 울스턴크래프트는 多少 놀랐다. 파리 滯留 期間 동안 울스턴크래프트는 過激派 자코뱅 보다는 穩健派 지롱드 와 主로 交遊했다. [26]

1793年 2月, 프랑스가 英國에 선전포고했고, 울스턴크래프트는 프랑스를 떠나 스위스 로 가려 했으나 許可를 받지 못했다. [27] 1793年 3月, 자코뱅이 主導하는 公安委員會 가 프랑스의 權力을 掌握했고, 全體主義 政權을 樹立해 프랑스를 總力戰 體制로 끌고갔다. 自然히 프랑스에 滯留中인 外國人들의 處地는 錯雜해졌다. [28] 프랑스의 모든 外國人들은 警察의 監視 下에 놓였으며, 居住權을 許諾받기 위해서는 그들이 프랑스 共和國에 충성한다는 것을 證明해줄 수 있는 프랑스 男性이 6個組 保證書를 써 주어야 했다. 4月 12日에는 모든 外國人들의 프랑스 出國이 禁止되었다. [29] 울스턴크래프트는 革命 同調者였음에도 生活이 매우 不便해졌다. [29]

막 『女性의 權利 擁護』를 脫稿했던 울스턴크래프트는 프랑스 革命 의 刺戟的인 指摘 部位기 속에 울스턴크래프트는 美國 冒險家 길버트 임레이 와 매우 熱情的인 사랑에 빠졌다. 울스턴크래프트는 林레이와 結婚을 하지 않고 同寢하는 것으로 自身이 세운 理論을 實行에 옮겼다. 이것은 當代의 "貞淑한" 英國人 女性에게는 想像할 수 없는 일이었다. [29] 울스턴크래프트가 結婚을 念頭에 두었는지 與否는 알 수 없지만 임레이는 未婚이었고, 울스턴크래프트는 林레이를 理想的 男性像으로 보고 사랑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울스턴크래프트는 『女性의 權利 擁護』에서 男女關係에서 性的 要素를 拒否해야 한다고 했지만 林레이로 인해 性에 對한 關心이 되살아났다. [30] 울스턴크래프트는 그동안 프랑스에서 革命의 過程을 目擊하며 어느 程度 幻滅했던 것 같다. 그는 프랑스 民衆들이 如前히 權力者들에 對한 奴隸根性에 찌들어 있으며 政府는 "썩었"고 "暴力的"이라고 썼다. [28] 하지만 革命에 對한 幻想이 깨졌음에도 울스턴크래프트는 유럽에 새 時代의 黎明이 밝아온다는 希望을 抛棄할 수 없다고도 썼다. [28]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코뱅들이 프랑스 女性들에게 男性들과 同等한 權利를 附與하기를 拒否하고, 그들의 偶像인 루소의 理想的 女性上인 男性을 補助하는 存在로 女性의 役割을 規定한 것에 失望했다. [31] 1793年 10月 16日, 前 王妃 마리 앙투아네트 가 斷頭臺型에 處해졌는데, 有罪가 宣告된 起訴內容들 中에는 아들과의 近親相姦 嫌疑도 있었다. [32] 비록 울스턴크래프트는 後述할 바 와 같이 王妃를 人間的으로 嫌惡했지만, 자코뱅들이 變態性慾 疑惑 따위 醜聞을 利用해 프랑스 民衆들의 王妃에 對한 憎惡를 부채질한 것에는 근심스러워했다. [31] 1793年 10月 31日, 大部分의 지롱드파가 斷頭臺에서 一齊히 목이 달아났고, 임레이에게 그 消息을 傳해들은 울스턴크래프트는 衝擊으로 昏絶했다. [32]

1793年, 울스턴크래프트를 保護하기 위해 林레이가 파리 駐在 美國 大使館에서 울스턴크래프트를 自己 아내로 虛僞申告했기에 울스턴크래프트는 自動的으로 美國 市民權을 얻었다. [29] 하지만 두 사람은 實際로 結婚하지는 않았다. [33] 프랑스가 英國에 戰爭을 宣布하자 英國 王立海軍 이 프랑스 港口들을 封鎖했고, 物資 遮斷으로 物價가 暴騰했다. [31] 임레이는 美國에서 프랑스로 食糧과 비누를 密輸해오는 封鎖突破선 에 參與했고, 그 德分에 임레이의 아내로 申告된 울스턴크래프트는 恐怖政治 時期에 險한 꼴을 면할 수 있었다. [34] 하지만 울스턴크래프트의 親舊들은 그다지 運이 좋지 않았다. 토머스 페인 을 비롯한 여럿이 체포당했고, 一部는 斷頭臺로 끌려갔다. 울스턴크래프트의 姊妹들은 그가 監獄에 갇힌 줄로 알고 있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코뱅 治下의 삶은 “惡夢과 같다”고 했다. 大規模 閱兵式이 있는 날이면 모두가 歡呼해야만 했고, 歡呼하지 않는 者들은 모두 共和國에 對한 忠誠心을 疑心받았다. “共和國의 敵”을 索出하는 警察들이 그렇게 疑心받은 이들을 한밤中에 덮쳐 끌고갔다. [29]

임레이의 아이를 妊娠한 울스턴크래프트는 1784年 5月 1日 첫 아이를 낳았고, 自身의 가장 親한 親舊였던 패니 블러드의 이름을 따서 패니 임레이 라고 이름붙였다. [35] 울스턴크래프트는 매우 기뻐서 親舊에게 쓴 便紙에 다음과 같이 썼다. “나의 작은 딸아이가 너무 씩씩하게(MANFULLY; "男子답게"로도 解釋될 수 있음) 젖을 빨아서 아이 아버지가 女性의 權利 擁護 第2部에 (딸아이를 强調해서) 쓰라고 짖궂게 말할 程度다.” [36] 以後로도 울스턴크래프트는 旺盛하게 著述을 繼續했다. 이는 他地에서 未婚母가 된 自身의 生計負擔을 덜기 위함이기도 했지만 同時에 프랑스 革命의 混亂이 繼續 심해졌기 때문이기도 했다. 北프랑스 르아브르 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프랑스 革命 初期 歷史를 整理한 『프랑스 革命의 歷史的 道德的 觀點』을 著述하여 1794年 12月 런던에서 出版했다. [37]

1794年 7月 자코뱅이 沒落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프랑스에 出版의 自由가 돌아올 것이라 期待하고 이것을 雙手를 들어 歡迎하며 파리로 돌아갔다. [29] 1794年 8月, 임레이가 곧 돌아오겠다고 約束하며 런던으로 떠났다. [29] 1794年에서 1795年으로 넘어가는 겨울은 유럽에 100年만에 찾아온 强추위였고, 울스턴크래프트 母女는 困窮한 處地에 處했다. [38] 그해 겨울 센느江이 結氷하면서 배들이 파리로 飮食과 石炭을 싣고 올라올 수 없게 되었다. 얼어붙은 都市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었다. [39] 울스턴크래프트는 林레이에게 當場 프랑스로 돌아와달라고 繼續 便紙를 보냈고, 이 便紙들에서 自身은 如前히 革命에 對한 信念이 남아 있으며 英國으로 돌아갈 수 없다고도 썼다. [27] 英國에서는 1793年부터 革新主義者들에 對한 彈壓이 始作되어 民權이 制限되고 廣範한 檢閱이 行해졌다. 프랑스 革命에 同情的인 사람은 누구든 反逆罪로 起訴되었기에 울스턴크래프트는 監獄에 갈 것이 두려워서도 歸國할 수 없었다. [27] 울스턴크래프트는 1795年 4月 7日에야 프랑스를 떠났다. 그 뒤로도 그는 스스로를“임레이 夫人”이라고 일컬었으며 姊妹들 앞에서도 그런 表現을 使用했다. 이는 아이를 私生兒로 만들지 않기 위함이었다. [40]

잉글랜드行과 윌리엄 고드윈 [ 編輯 ]

울스턴크래프트는 1795年 4月 林레이를 찾아 런던으로 歸國했다. 하지만 林레이는 울스턴크래프트와의 再結合을 拒否했다. 同年 5月, 울스턴크래프트는 阿片팅크 로 自殺을 企圖했으나 林레이가 그를 살렸다(어떻게 살렸는지는 不確實하다). [41] 임레이의 마음을 돌리기 위한 마지막 試圖로서 울스턴크래프트는 林레이를 위한 事業 件數를 따내기 위해 스칸디나비아로 갔다. 이 危險한 旅行에 울스턴크래프트는 어린 딸과 侍女 한 名만 同伴했다. 旅行 내내 울스턴크래프트는 林레이에게 便紙를 써서 旅行 中 느낀 雜感과 생각들을 傳達했고, 이 內容들은 1796年 『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의 짧은 滯留 동안 쓴 便紙 』로 出刊되었다. [42] 하지만 이런 努力도 헛되었고 잉글랜드로 歸國한 울스턴크래프트는 自身과 임레이 사이의 關係가 完全히 끝났음을 認定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林레이에게 遺書를 남기고 또 自殺을 試圖했다. [43]

제임스 盧스코트 윌리엄 고드윈 肖像畫. 1802年 캔버스에 油畫. 런던 國立肖像畫랑 所長.

울스턴크래프트는 비 오는 밤 밖으로 나가 온 몸이 흠뻑 젖은 채 30分 程度를 걸어가서 템스江 에 投身했다. 그러나 지나가던 사람이 그것을 보고 그를 救했다. [44] 울스턴크래프트는 自身의 自殺企圖가 至極히 合理的 思考의 結果라고 생각해서, 救出된 뒤에도 “悲痛과 悲慘만이 남은 삶으로 돌아왔을 뿐”이라고 여겼다. [45]

울스턴크래프트는 그 뒤 漸次 文藝活動으로 復歸했고, 조지프 존슨 의 모임에 다시 出席하며 메리 헤이스 , 엘리자베스 인치발드 , 사라 時던스 , 윌리엄 고드윈 乙 알고 지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고드윈과 交際하기 始作하여 熱烈한 關係가 되었다. [46] 고드윈은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 쓴 便紙』를 읽고 “萬若 어떤 冊을 읽는 것만으로 著者와 사랑에 빠질 수 있다면 이 冊이 바로 그런 冊일 것”이라고 했다. [47] 울스턴크래프트는 고드윈의 아이를 妊娠했고, 태어날 아이를 私生兒로 만들지 않기 위해 둘은 結婚했다. 고드윈과 울스턴크래프트의 結婚은 울스턴크래프트와 임레이 사이의 結婚이 虛僞申告였음이 드러나게 만들었고, 울스턴크래프트와 고드윈은 評判이 失墜되어 많은 親舊를 잃었다. 고드윈은 『 政治的 正義에 關한 考察 』에서 結婚制度의 撤廢를 主張한 바 있기에 더욱 辱을 먹었다. [48] 1797年 3月 29日, 고드윈과 울스턴크래프트 夫婦는 런던 西北部 소머스타운 으로 移住했다. 고드윈이 아파트를 두 채 賃貸해서 夫婦는 獨立的인 生活을 했고, 書信交換으로 意思疏通했다. [49] 모든 證據에 비추어 보아 두 사람의 生活은 幸福하고 安定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너무 짧았다. [50]

死亡과 고드윈의 回顧錄 [ 編輯 ]

윌리엄 고드윈 의 『 女性의 權利 擁護의 著者에 關한 回顧錄 』(1798年) 속表紙.

1797年 8月 30日, 울스턴크래프트는 둘째딸 메리 를 낳았다. 처음에는 産後條理가 괜찮게 되는 것 같았으나, 出産 當時 胎盤 이 破裂되었고 그리로 感染이 일어났다. 産褥熱 은 18世紀 女性들에게 매우 흔했으며 또한 목숨을 威脅하는 病이었다. [51] 며칠間 極度의 苦痛에 시달린 끝에 울스턴크래프트는 敗血症 으로 9月 10日 死亡했다. 享年 38歲. [52] 고드윈은 큰 衝擊을 받았다. [53] 屍身은 세인트烹크라스 구교회 墓地에 安葬되었다. 墓碑에는 이렇게 적혔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고드윈, 『女性의 權利 擁護』의 著者. 1759年 4月 27日 生, 1797年 9月 10日 몰
 
[54]

1789年 1月, 고드윈은 『 女性의 權利 擁護의 著者에 關한 回顧錄 』을 出刊했다. 고드윈은 아내에 對한 사랑과 尊敬의 마음을 담아서 回顧錄을 썼지만, 讀者들은 이 冊을 통해 울스턴크래프트의 私生兒, 自由戀愛, 自殺企圖 같은 것을 알고 衝擊을 받았다. [55] 浪漫主義 是認 로버트 사우디 는 고드윈이 “죽은 妻의 屍體를 발가벗겼다”고 非難했고 『 性을 벗은 女性 』 따위 諷刺書들도 나돌아다녔다. [56] 고드윈의 回顧錄은 19世紀 내내 울스턴크래프트에 關한 讀解에 影響을 미쳤다. [57]

1851年 울스턴크래프트의 外孫子 퍼시 플로렌스 셸리 가 外할머니의 遺骸를 發掘하여 본머스 세인트피터스 敎會 의 家族墓域에 移葬했다. [58] 울스턴크래프트의 墓는 墓域의 東北쪽, 존 손 의 무덤 바로 北쪽에 있다. 男便 고드윈은 1836年 死亡해 울스턴크래프트 곁에 묻혔고, 고드윈의 두 番째 아내 메리 제인 고드윈(1766年-1841年)도 죽고 그 곁에 묻혔다.

影響 [ 編輯 ]

울스턴크래프트의 遺産이 評價받는 方式은 時間이 지남에 따라 變化해 왔다. 2002年 코라 카플란(Cora Kaplan)이 表現한 바에 따르면 이는 "별난(curious)"일이다. 울스턴크래프트는 여러 分野에 能通했던 著述家이자 活動家였으나, 지난 四半世紀에 이르기까지 울스턴크래프트의 著述보다는 삶에 關한 讀解만이 主로 이루어져왔다. [59] 고드윈의 回顧錄이 불러온 後暴風으로 因해 울스턴크래프트의 評判은 以後 近 100年間 땅에 떨어진 걸레짝이 되었다. 女流兒童文學家 마리아 에지워스 는 小說 作品 『 벨린다 』에서 해리엇 프리크(Harriet Freke)라는 否定的 人物을 등장시키고 거기에 울스턴크래프트를 投影시켜 非難했다. 에지워스 뿐 아니라 메리 헤이스 , 샬럿 터너 스미스 , 패니 버니 , 제인 웨스트 等 많은 女流作家들이 비슷한 登場人物을 創造했는데, 그들의 豫想讀者人 兒童靑少年에게 “道德的 敎訓”을 주기 위함이었다. 卽 울스턴크래프트는 그들에게 非道德的 女性의 典型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이다. [60] 헤이스는 個人的으로 울스턴크래프트의 가까운 親舊로, 울스턴크래프트가 죽어갈 때 看病까지 해준 사이였음에도 그러했다. [61]

當代의 同僚들과 달리 울스턴크래프트를 道德的으로 糾彈하지 않은 女流作家가 單 한 名 있는데, 바로 諸人 오스틴 이다. 오스틴은 울스턴크래프트의 이름을 直接的으로 言及한 적은 한 番도 없지만, 오스틴의 小說 相當數는 울스턴크래프트에게 友好的인 暗示를 품고 있다. [62] 美國의 英文學者 앤 코스텔라네츠 멜러 는 오스틴의 作品에서 다양한 例示들을 보여준다. 『 傲慢과 偏見 』의 惡役 위컴은 울스턴크래프트가 批判한 所謂 常備軍 적 人間群像의 典型이고, 主人公 엘리자베스 베넷 이 “女性的 成就(female accomplishments)”를 諷刺的으로 糾彈하는 대목은 울스턴크래프트가 『權利 擁護』들에서 使用한 話法과 통하고 있다. 女性이 感性과 理性 사이에서 均衡을 잡아야 한다는 『 理性과 感性 』의 當爲命題는 울스턴크래프트의 小說 『 메리, 한 篇의 小說 』의 主題意識을 繼承하는 것이다. 『 맨스필드 公園 』에서 오스틴이 女性에 對한 英國 社會의 待接이 道德的으로 奴隸制 와 다를 바 없다고 童穉시키는 것도 울스턴크래프트의 단골 主張 中 하나였다. 『 說得 』에서는 主人公 앤 엘리엇이 自己 아버지 엘리엇 준남作보다 領地를 더 잘 管理하고 有能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 亦是 울스턴크래프트 테제와 共鳴한다. [62]

버지니아 사피로 에 따르면, 19世紀에는 울스턴크래프트의 批判者들이 分別 있는 女性이라면 울스턴크래프트의 글을 읽지 말아야 한다고 暗示하거나 대놓고 主張했기에 그의 著作들이 거의 읽히지 못했다. [63] 하지만 『女性의 權利 擁護』는 英國에서는 1840年代에, 美國에서는 1830年代, 1840年代, 1850年代에 裁判이 刊行되었다. [64] 비록 읽은 사람은 적었으나, 읽은 이들은 울스턴크래프트의 多大한 影響을 받았다. 엘리자베스 배릿 브라우닝 은 12살 때 『女性의 權利 擁護』를 읽었고, 敍事詩 『 오로라 리 』에서 울스턴크래프트의 敎育에 關한 確固한 觀點을 反映하게 되었다. [65] 루크레티아 모트 [66]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 은 1840年 런던에서 열린 世界 半奴隸第 大會 에서 만나게 되었는데, 서로가 울스턴크래프트 讀者라는 것을 알게 된 뒤 意氣投合했다. 이들醫合作은 世界 最初의 旅券集會인 1848年 세네카폴스 大會 로 이어지게 된다. [67] 評論家 조지 엘리엇 亦是 울스턴크래프트 獨子였다. 1855年 엘리엇은 女性의 權利와 役割에 關한 글을 쓰면서 울스턴크래프트와 마거릿 풀러 를 比較했다. 풀러는 外部者(美國人)로서 大陸에서 일어난 주세페 마치니 로마 革命 을 直接 目擊하고 參與한 女性 言論人이었다. 그 삶의 軌跡이 지난 世紀 英國人으로서 프랑스 大革命 을 目擊하고 參與했던 울스턴크래프트와 相當히 비슷한 셈이었는데, 結婚하지 않고 아이를 낳은 것까지 비슷했다. [68] 또한 1870年代에는 샬럿 메리 龍 이 울스턴크래프트의 童話들을 飜案했다. [69]

英國의 女性選擧權 運動이 일어나면서 울스턴크래프트는 本格的으로 再發掘되었다. 1879年 찰스 키件 폴 이 울스턴크래프트의 임레이에게 보내는 便紙들을 復刊하면서 울스턴크래프트의 福券을 試圖한 것이 그 最初였다. [70] 엘리자베스 로빈스 페넬 이 쓴 最初의 울스턴크래프트 評傳이 그 뒤를 따랐다. [64] 페넬의 評傳은 1884年 로버츠 브라더스 出版 의 "有名한 女性들" 總署에 包含되어 出刊되었다. [61] 1892年에는 『女性의 權利 擁護』 100周年 記念版이 나왔고 서프러지스트 (女性選擧權 運動 穩健派)이자 全國女性選擧權運動團體聯合 總裁를 歷任한 밀리센트 개릿 포셋 이 그 序文을 썼다. 이 序文에서 포셋은 울스턴크래프트의 汚名을 洗濯하고 울스턴크래프트가 選擧權 要求運動의 先驅者 어머니(foremother)라고 主張했다. [71] 1898年이 되자 울스턴크래프트를 主題로 한 博士論文과 單行本이 나오게 되었다. [72]

近代 女性主義 運動이 到來하면서 버지니아 울프 엠마 골드만 같은 政治的으로 相異한 女性들이 울스턴크래프트의 삶을 제各其 讀解하게 된다. [73] 1929年, 울프는 울스턴크래프트의 著述, 主張, 實驗的 人生이 不滅의 것이며, 그가 如前히 “살아서 主張하고 實驗하며 우리는 그의 목소리를 듣고 산 者들 사이에서 그의 影響을 追跡한다”고 썼다. [74] 그러나 울스턴크래프트의 私生活에 關한 罵倒는 如前히 繼續되었다. [75]

1960年代 學界에 女性主義 文學評論 이 登場하면서 울스턴크래프트의 著作들이 다시금 重要하게 浮上했다. 이것은 北美 女性主義 運動의 第2물결 科 동기화된 것이었다. 例컨대 1970年代 初에 나온 主要한 울스턴크래프트 評傳 6個는 모두 울스턴크래프트의 熱情的인 삶과 그의 急進的이고 合理的인 議題들이 同格(in apposition)이라고 結論내리곤 했다. [76] 1979年의 女性主義 設置美術 作品 《 디너파티 》에 울스턴크래프트에게 바쳐진 자리도 있었다. [77] [78] 한便 1980年代-1990年代에는 울스턴크래프트를 當代 時代의 脈絡에서 읽으려는 試圖가 새로이 出現했다. 예컨대 클라우디아 존슨, 케리 켈리, 버지니아 사피로 같은 學者들은 울스턴크래프트의 思想과 18世紀의 다른 思想들, 例컨대 感性 , 經濟, 政治 같은 것들의 連續性을 밝히려고 努力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오늘날까지 甚至於 學界 밖에서도 影響을 미치고 있다. 이슬람敎를 背敎하고 批判者 로 轉向, 이슬람圈의 女性 問題를 特히 批判해오고 있는 아얀 히르시 알리 는 2006年 出刊한 自敍傳 『不信者』에서 『女性의 權利 擁護』를 言及하면서 自身이 “女性들에게 그들이 男性들과 같은 理性的 能力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權利를 누려야 마땅하다고 말해준 先驅的 女性主義 思想家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影響을 받”았다고 밝혔다. [79] 2011年 『眞짜 女子가 되는 法』으로 베스트셀러 作家가 된 케이틀린 모란 은 『 뉴요커 』 인터뷰에서 스스로를 “半쯤 울스턴크래프트(half Wollstonecraft)”라고 說明하기도 했다. [80] 노벨 經濟學賞 受賞者이자 아시아圈의 失踪女性 問題를 처음 公開的으로 問題提起한 아마르티아 센 은 『 正義의 槪念 』에서 政治哲學者로서의 울스턴크래프트를 여러 次例 呼出한다. [81]

울스턴크래프트에게 獻呈된 記念牌가 여러 個 세워져 있다. [82] [83] [84]

代表 咀嚼 [ 編輯 ]

敎育學 [ 編輯 ]

Page reads ""THOUGHTS ON THE EDUCATION OF DAUGHTERS. THE NURSERY. As I conceive it to be the duty of every rational creature to attend to its offspring, I am sorry to observe, that reason and duty together have not so powerful an influence over human"
딸들의 敎育에 關한 省察 』 初版(1787年) 첫쪽 속表紙

울스턴크래프트의 初期 著述 大部分은 敎育에 關한 것이다. 그는 “어린 女性의 啓發을 위한” 草綠들을 모아 『女性讀者』라는 選集을 만들었고, 兒童用 冊 편(마리아 거르트루디아 판 데 베르켄 데 캄本의 『어린 그랜디슨』과 크리스티안 고트힐프 잘츠만 의 『道德性 提要』)을 飜譯하기도 했다. 울스턴크래프트 自身도 이 主題에 關한 冊을 썼다. 自身이 쓴 地圖서 『딸들의 敎育에 關한 省察』(1787年)과 兒童文學 『實生活 속의 새로운 이야기들』(1788年)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兒童들에게 中産層 氣風을 涵養하는 敎育을 해야 한다고 主張했다. 울스턴크래프트가 말한 中産層의 氣風이란 自己修養, 正直性, 儉素함, 社會的 自足感을 일컫는다. [86] 두 冊 모두 兒童에게 思惟하는 方法을 가르쳐야 함을 强調하며, 이는 울스턴크래프트가 17世紀 敎育哲學者 존 로크 에게 重要한 影響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87] 그러나 宗敎的 信仰과 生得的 感情을 强調한 것은 로크에게서 벗어나는 點이며 18世紀 末 流行한 感性 談論과의 連結고리가 된다. [88] 또한 두 著書 모두 女性의 敎育을 主張한다는 共通點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울스턴크래프트가 살던 當代에는 論爭的인 主題였다. 이 問題는 『 女性의 權利 擁護 』로 대표되는 울스턴크래프트의 經歷 내내 反復된다. 울스턴크래프트는 女性이 良質의 敎育을 받아야 賢母良妻가 될 수 있으며 窮極的으로는 國家에 肯定的 寄與를 할 수 있다고 主張했다. [89]

權利 擁護 [ 編輯 ]

人間의 權利 擁護 [ 編輯 ]

에드문드 버크 立憲君主制 , 貴族制, 잉글랜드 聖公會 를 擁護하고 또 울스턴크래프트의 親舊 리처드 프라이스 牧師( 유니테리언 )를 攻擊하는 內容의 冊 『 프랑스 革命의 省察 』(1790年)을 出刊했다. 이에 對한 反駁서로 울스턴크래프트는 『人間의 權利 擁護』(1790年)를 써 貴族制를 攻擊하고 共和制 를 擁護했다. 울스턴크래프트의 對應은 所謂 革命 論爭 이라는 書簡 戰爭의 始作이 되었고, 토머스 페인 의 『 人間의 權利 』(1792年)가 나오면서 革新主義者 및 急進主義者의 목소리는 더욱 높아졌다.

울스턴크래프트는 君主制와 特權世襲第 뿐 아니라 그것을 擁護하기 위해 버크가 使用한 言語도 攻擊했다. 『省察』의 한 有名한 句節에서 버크는 이렇게 말했다. “그女[ 마리 앙투아네트 ]를 威脅하며 욕보인 그 視線 하나만의 罪값을 치르게 하기 위해서도 1萬 자루의 劍이 칼집에서 흘러나와야 하리라 생각하였다. 그러나 記事의 時代는 지나가 버린 것이다.” [90] 버크의 攻擊者 大部分은 버크가 프랑스 王妃의 죽음에 演劇的인 哀史를 바치는 것을 慨歎하고 鎭靜 同情의 對象이 되어야 하는 것은 民衆들이어야 한다는 論調를 主로 擇하였다. 한便 울스턴크래프트는 버크의 性別偏向된 言語를 攻擊했다는 點에서 獨特했다. 버크가 『 崇古와 美에 關한 우리의 생각 속으로의 哲學的 探究 』(1756年)에서 다루었던 主題인 崇高 와 美(美)를 울스턴크래프트는 自己 式으로 再定義하면서 그의 主張과 搜査를 모두 攻擊했다. 버크는 美를 藥函과 女性性과 결부시킨 反面 崇高는 强함과 男性性과 결부시켰다. 울스턴크래프트는 그 定義를 그대로 버크에게 돌려서, 그의 演劇的인 美辭麗句는 버크의 讀者들(卽 市民들)을 보이는 것에 휘둘리는 懦弱한 女子들로 만든다고 비꼬았다. [91] 이는 울스턴크래프트의 最初의 女性主義的 論說임과 同時에, 울스턴크래프트學者 클라우디아 L. 존슨 의 主張에 따르면 그 힘은 다른 말들의 追從을 不許하는 境地에 남아있다, [92] 울스턴크래프트는 不平等 社會를 擁護하는 버크의 態度가 女性의 受動性에 基盤하고 있다고 告發한 것이다.

共和主義를 擁護하면서 울스턴크래프트는 惡德에 물든 貴族的 禮節을 代身할 수 있는 存在로 中産層의 氣風을 言及했다. [93] 啓蒙主義 思想家들의 影響을 받은 울스턴크래프트는 進步의 價値를 믿었으며 傳統과 慣習에 穿鑿하는 버크를 嘲弄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合理를 이야기하며 버크의 世上은 奴隸制 를 지속시킬 것이며, 그 理由는 너무나 簡單하게도 그것이 古來의 傳統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94]

『人間의 權利 擁護』는 울스턴크래프트 最初의 政治的 著述이며, 또한 울스턴크래프트 最初의 女性主義 著述이다. 존슨은 울스턴크래프트가 『人間의 權利 擁護』의 後半部를 쓰면서 自身의 나머지 經歷 동안 매달릴 主題가 무엇인지 發見한 것 같다고 말한 바 있다. [95] 또한 이 作品으로 울스턴크래프트는 이름난 作家로 成功하였다.

女性의 權利 擁護 [ 編輯 ]

女性의 權利 擁護 』는 最初의 女性主義 哲學書로 評價받는 冊이다. 이 冊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女性은 自身의 社會的 地位에 걸맞는 敎育을 받을 義務가 있으며 그리함으로써 自身의 地位를 再定義할 수 있다고 論했다. 또한 女性은 國家의 必須的 要素인데, 왜냐하면 國家의 후세對人 兒童을 養育하는 것이 그들이고 또한 그들은 男便의 "아내"로 머무르지 않고 "同志"가 될 수 있는 可能性이 있기 때문이다. [96] 女性을 社會의 裝飾品 또는 結婚이라는 去來를 통해 주고받는 財産으로 把握하지 않고, 울스턴크래프트는 女性 亦是 男性과 同等한 基本權을 가지는 人間이라고 主張했다. 『女性의 權利 擁護』 中 많은 部分이 제임스 포다이스 존 그레고리 같은 規範書 作家들, 그리고 張자크 루소 같은 女性의 敎育權을 否定한 敎育哲學者들에 對한 憤怒어린 毒舌로 가득하다. 루소는 『 에밀 』에서 女性의 敎育은 男性의 快樂을 위해서만 이루어져야 한다고 主張한 바 있다. [97]

Title page reads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WITH STRICUTRES ON POLITICAL AND MORAL SUBJECTS. BY MARY WOLLSTONECRAFT. PRINTED AT BOSTON, BY PETER EDES FOR THOMAS AND ANDREWS, Faust's Statue, No. 45, Newbury-Street, MDCCXCII."
女性의 權利 擁護 』 美國版 初版 속表紙.

울스턴크래프트는 現在의 많은 女性들이 어리석고 淺薄하다는 것을 于先 認定한다. 울스턴크래프트는 그런 當代 女性들을 " 스패니얼 "이나 "장난감" 같은 存在들이라 말한다. [98] 하지만 그것은 女性의 心身이 先天的으로 微弱하기 때문이 아니며, 男性들이 女性의 敎育에 對한 接近을 遮斷했기 때문이라고 主張한다. 울스턴크래프트는 女性의 敎育 不足이 그들을 어떤 處地에 몰아넣고 있는지 熱誠的으로 說明하며 가로되, “幼兒期 때부터 아름다움이야말로 女子의 이라고 가르침받게 됨으로써, 그들의 精神은 肉體에 스스로를 맞추게 되고, 鍍金된 새欌 안을 기어다니며 그 監獄을 治粧하는 데만 汨沒하게 되는 것이다.” [99] 그러면서 女性들이 어려서부터 아름다움을 追求하라는 激勵가 없어지고 代身 外部敵 成就를 追求하도록 가르친다면 女性들은 더 많은 成就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 主張한다. [100]

울스턴크래프트는 養成이 삶의 특정한 部分, 예컨대 道德性 같은 것에서는 同等하다고 主張하지만, 男女가 모든 面에서 完全히 同等하다고 明白하게 論한 적은 없다. [101] 울스턴크래프트가 主張한 바는 男子나 女子나 神의 눈으로 보았을 때는 다 같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主張은 男性的인 힘과 勇氣의 優越性을 認定하는 그의 言說과는 矛盾되는 것처럼 보인다. [102] 울스턴크래프트는 이 問題에 關해 이렇게 曖昧模糊하게 말한다. “내가 世上의 秩序를 뒤집고 싶어한다고 結論내지는 말아주었으면 한다. 男性들은 그 身體의 構造上 더 큰 美德을 獲得하도록 攝理에 依해 設計된 것 같다고 나는 이미 認定한 바 있다. 하지만 全體 性別을 集合的으로 말할 때에 있어서는 養成의 性質에 따라 兩性의 美德이 다를 것이라고 結論내리는 推論을 받아들일 수 없다. 事實 美德이 唯一永遠한 標準이라면 어떻게 그 둘이 다를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神이 存在한다고 말하는 것과 같이 陽性의 美德이 같은 方向을 向하고 있다는 立場을 固守하는 것이 나의 論理的은 歸結이다.” [103] 養成의 同等性에 關한 울스턴크래프트의 不明瞭한 態度 때문에, 울스턴크래프트가 近代的 女性主義者로 分類될 수 있는지 判斷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애初에 "女性主義", "女性主義者"라는 말 自體가 1890年代에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104]

울스턴크래프트가 『女性의 權利 擁護』에서 가장 酷毒하게 批判하는 것 中 하나는 感性 에 埋沒되는 態度였고, 特히 女性들이 그런 態度를 갖는 것에 울스턴크래프트는 批判的이었다. 울스턴크래프트에 따르면 自身의 感性에 屈服하는 女性은 “每瞬間 感性의 突風에 잎새처럼 흩날릴 것”이요, 合理的인 思考를 할 수 없는 “感覺의 먹이”에 不過하게 된다. [105] 울스턴크래프트는 女性의 感性的 態度가 그들 自身에게 해로울 뿐 아니라 文明 全體에 害惡이라고 主張했다. 感性에 휘둘리는 女性은 文明 改造(18世紀 啓蒙時代에 流行했던 觀念)에 寄與할 수 있는 存在가 아니라 文明을 破壞하는 存在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울스턴크래프트는 理性과 感性이 서로에게 獨立的으로 行動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影響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형성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106]

이렇게 哲學的 談論을 展開하는 한便, 울스턴크래프트는 그래서 女性들의 權利를 어떻게 保障할 것인지 具體的인 計劃도 내놓는다. 『女性의 權利 擁護』 第12張 「國民敎育」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모든 兒童은 “國立 通學學校”에 다녀야 하며, 家庭에서도 “家族의 사랑과 家庭의 즐거움을 불어넣을” 家庭敎育이 行해져야 한다고 論한다. 勿論 그 敎育은 男子와 女子가 같은 敎育을 받는 混聲敎育 이어야 한다. 男女의 結婚은 “社會의 結束再 ”인 바, 그들의 敎育 亦是 같은 모델을 따라 行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107]

울스턴크래프트는 自身의 冊의 豫想 讀者를 中間階級으로 設定했다. 그는 中間階級이 “가장 자연스러운 狀態”라고 여겼으며, 『女性의 權利 擁護』는 여러 모로 부르주아 적 世界觀에서 쓰여졌다. [108] 謙遜 科 産業을 勸奬하며, 貴族의 쓸모없음을 攻擊한다. 하지만 울스턴크래프트가 딱히 貧者들의 便이었던 것은 아니다. 울스턴크래프트의 敎育隊界에서는 9歲 以上의 貧民 兒童들은 그 中 天才的인 아이들만 골라내서 富裕層과 함께 敎育받고, 나머지는 다른 學校에 隔離시켜 가르쳐야 한다고 主張한다. [109]

프랑스 革命의 歷史的 道德的 觀點 [ 編輯 ]

『프랑스 革命의 歷史的 道德的 觀點』은 1794年 런던에서 初版 刊行되었다. 英國 歷史學者 톰 퍼니스 는 이 冊이 울스턴크래프트의 著書 中 가장 過小評價되었다고 말한다(이 冊은 거의 200年 뒤인 1989年에야 2판이 나왔다). [27] 이 冊이 이렇게 無視된 理由는 後代 사람들이 울스턴크래프트를 女性主義者로만 理解했고, 프랑스 革命의 目擊者로서는 讀解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퍼니스는 『프랑스 革命의 歷史的 道德的 觀點』李 울스턴크래프트의 最高 作品이라고 斷言하며 이런 過小評價가 遺憾스럽다고 論했다. [27] 울스턴크래프트는 訓鍊된 歷史學者는 아니었지만, 프랑스의 普通 사람들이 革命에 어떻게 反應했는지를 日記, 便紙, 文件들을 통해 생생하게 記錄했고, 英國의 "히스테리的"인 反革命 雰圍氣에 積極的으로 對應하려 했다. 當時 英國에서는 革命을 프랑스 나라 全體가 미쳐 돌아가는 狂亂의 도가니로 把握하고 있었다. [27] 하지만 울스턴크래프트는 當時 英國 輿論과 달리 革命은 프랑스人들이 1789年에 한꺼번에 미쳐버려서 벌어진 것이 아니며, 一連의 社會的, 經濟的, 政治的 狀況들이 이런 式으로 解決될 수밖에 없는 危機로 1789年의 프랑스를 몰아넣었다고 主張했다. [27]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코뱅 政權과 恐怖政治를 糾彈했지만, 同時에 革命은 偉大한 成果라는 立場을 固守했다. 그래서인지 『프랑스 革命의 歷史的 道德的 觀點』은 1789年 말에서 끝나고, 1793年-1794年 恐怖政治에 關해서는 쓰지 않고 있다. [110]

에드먼드 버크는 『프랑스 革命의 省察』에서 1789年 10月 5日-6日 파리 女人들이 베르사유宮 에서 프랑스 王室을 끌어내 파리로 끌고 온 事件을 더러 “地獄에서 기어나온 復讐의 女神들”이라고 했다. [111] 反面 울스턴크래프트는 그 때 그 女人들은 그저 家族에게 먹일 빵이 없어서 憤怒한 平凡한 아낙네들日 뿐이었다고 이야기한다. [27] 버크는 마리 앙투아네트 王妃를 暴徒 떼에게 犧牲당한 高貴한 王族으로 理想化했지만 울스턴크래프트는 王妃를 色情的이고 危險한 謀事꾼, 팜므 擺脫 로 描寫했다. [112] 울스턴크래프트에 따르면 貴族情이 信奉하는 價値는 女性의 삶의 目的을 家門을 이을 아들을 生産하는 것으로 縮小시킨다. 女性의 價値를 그 身體 一部에 不過한 子宮 에 局限시키는 것은 女性을 타락시키는 것이다. [112] 世上에 女王(queen regnant)은 적고 王妃(queen consort)는 많음은 곧 貴族 女子가 世上에 影響力을 行使할 수 있는 手段이 男便이나 아들의 行動을 操縱하는 것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女子의 精神과 人格이 아닌 몸뚱이의 價値를 强調하는 貴族的 價値觀이 마리 앙투아네트를 無慈悲하고 요사스러운 女性으로 만든 것이니, 王妃는 앙시앵 레짐 에 依해 墮落당한 女性이요 同時에 世上을 타락시키는 女性인 것이다. [112]

長篇小說 [ 編輯 ]

울스턴크래프트는 『 메리 』와 『 마리아 』라는 長篇小說을 썼다. 두 小說 모두 울스턴크래프트의 結婚制度에 關한 觀點을 드러내고 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結婚이 父權制 敵 制度이며 女性에게 破壞的인 影響을 미친다고 보았다. 1788年作 『메리』는 題目과 이름이 같은 主人公이 經濟的인 理由로 사랑하지 않는 男子와 結婚하게 되는 이야기다. 메리는 浪漫的 友情 關係에 있는 親舊 두 名과 交遊하면서 외로움과 欲望을 달래는데, 이 親舊들은 한 名은 女子고 한 名은 男子다. 『마리아』는 未完成作이며 1798年 事後 出刊되었다. 『마리아』는 울스턴크래프트의 가장 急進的인 女性主義 作品으로 꼽힌다. [113] 主人公 마리아는 男便에 依해 精神病院 에 强制入院 當한 身世다. 메리와 마찬가지로 마리아는 結婚을 外道함으로써 삶의 理由를 찾는데, 그 相對들은 自身처럼 精神病院에 갇힌 다른 收監者, 그리고 自身을 監視하는 侍女다. 『女性의 權利 擁護』에서는 結婚關係를 어쩔 수 없는 現實로 認定하고 있지만, 울스턴크래프트의 小說 두 篇은 모두 結婚을 이렇듯 끔찍한 것으로 描寫하고 있다. 『메리』는 죽어가는 主人公이 “結婚도, 結婚에의 屈服도 없는 世上”을 꿈꾸면서 끝난다. [114]

또한 이 두 小說에서도 『女性의 權利 擁護』와 마찬가지로 感性 에 對한 敵對的 態度가 드러난다. 『메리』는 그 自體로 한 篇의 感受性 小說이라고 할 수 있는데, 울스턴크래프트는 蔓延한 感傷主義를 약화시키기 위해 感傷主義 장르의 文法을 使用하는 試圖를 한 것이다. 울스턴크래프트는 感傷主義가 女性들이 感情에 過剩依存하게 함으로써 女性을 破壞한다고 믿었다. 『마리아』에서는 主人公이 浪漫的 판타지를 道樂하는 것이 特히 害로운 것으로 描寫되고 있다. [115]

두 小說 모두 女性 同伴者가 登場해 重要한 役割을 한다. 그 中에서도 『마리아』의 마리아와 侍女 제미魔의 關係가 歷史的으로 有意味한 것으로 評價된다. 이 두 사람의 關係는 基本的으로 同情에 基盤한 母性愛 같은 것이지만, 同時에 上層階級 女性과 下層階級 女性의 交感을 다룸으로써 女性主義 文學思想 最初로 階級間 談論의 실마리를 提供했다는 評價를 받는다. 그 실마리란 다름이 아니라 經濟的으로 相異한 處地에 있는 女性들도 그저 그들이 같은 女性이라는 理由만으로 共同의 關心事를 共有할 수 있다는 槪念이다. [116]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 쓴 便紙 [ 編輯 ]

Painting of icebergs, with one white iceberg dominating the center of the work and dark blue and black icebergs framing the piece. The work is painted in a suggestive style rather than with precise detail.
프레드릭 에드윈 處置 의 1861年 그림 〈 氷山들 〉. 崇高美 敵 美學을 보여준다.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 쓴 便紙』는 길버트 임레이 에게 보낸 25篇의 便紙로 構成되어 있으며(단 本文에 林레이의 이름이 直接的으로 言及되지는 않는다), 本質的으로 그 內容은 紀行文 이라고 할 수 있다. 다루고 있는 內容은 스칸디나비아 의 社會相과 人物像, 正體性 質問, 임레이와의 關係에 關한 思索 等 多樣하다. 崇高美 敵 修辭法을 利用해 울스턴크래프트는 自身과 社會의 關係를 探究한다. 울스턴크래프트는 루소 의 影響을 많이 받았고, 이 旅行祈禱 루소의 1782年作 『 孤獨한 散策價의 夢想 』과 主題들을 共有하고 있다. 그 主題들이란 人間 幸福의 根源에 對한 探索, 物質的 所有에 對한 禁慾的 拒否, 自然의 恍惚함, 理解에 있어 必須的 役割 같은 것들이다. [117] 다만 루소는 그래서 社會를 버리고 自然으로 돌아가자는 結論에 다다랐다면, 울스턴크래프트는 牧歌的 風景과 産業의 發達을 모두 讚揚하고 있다. [118]

울스턴크래프트는 主體的 經驗을 擁護하는데, 自然과의 關係에서 特히 그것을 强調하면서 崇高美와 感性 사이의 關係를 探究한다. 많은 便紙들은 스칸디나비아의 숨막히는 悲境의 描寫와 그 自然과 感情的 連結點을 만들고 싶은 울스턴크래프트의 欲求 吐露에 割愛되어 있다. 이 過程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다른 作品들에서와는 달리 想像力의 價値를 크게 認定한다. [119] 勿論 初期 著述과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울스턴크래프트는 女性의 解放과 敎育의 大典事를 自處한다. [120] 다만 그러면서 商業이 社會에 끼치는 해로움에 關해 論하는데, 世界와의 創意想像的인 連結을 돈만 追求하는 商人·龍病的 思考方式과 對照하고 있다. 後者의 否定的인 屬性을 울스턴크래프트는 林레이와 聯關짓곤 했는데, 林레이의 物慾은 울스턴크래프트가 그와의 再結合을 斷念한 離乳期도 했다. [121]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 쓴 便紙』는 1790年代에 울스턴크래프트의 冊들 中 가장 人氣가 좋았다. 販賣도 잘 되었고 好意的인 批評도 받았다. 울스턴크래프트와 結婚한 윌리엄 고드윈 은 詳述했듯 이 冊을 읽고 울스턴크래프트에게 반했다. [47] 또한 울스턴크래프트의 紀行文에서 다루는 主題나 美學은 윌리엄 워즈워스 새뮤얼 테일러 쿨리지 같은 浪漫主義 詩人들에게도 影響을 끼쳤다. [122]

家計도 [ 編輯 ]

존 레스브리지
(??-1815年)
메리 제인 非얼
클레어먼트
(1766年頃-1841年)
윌리엄 고드윈
(1756年?1836年)
카타르熱 로 死亡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1759年?1797年)
産褥熱 로 死亡
길버트 임레이
(1754年頃-1828年)
메리 제인
클레어먼트
(1798年-1879年)
조지 고든 바이런
(1788年-1824年)
熱病으로 死亡
윌리엄 고드윈 주니어
1803年-1832年
패니 임레이
1794年-1816年
自殺
알레그라 바이런
(1817年-1822年)
티푸스 로 死亡
해리엇 웨스트브룩
(1795年-1816年)
自殺
퍼시 비시 셸리
(1792年-1822年)
溺死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고드윈 셸리

(1797年-1851年)
1男 1女
찰스 (1814年-1826年)
이안테 (1813年?1876年)
2男 2女
클라라 (1815年?1815年)
윌리엄 (1816年?1819年)
에버리나 (1817年?1818年)
퍼시 (1819年?1888年)

같이 보기 [ 編輯 ]

著書 目錄 [ 編輯 ]

以下는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모든 著書 目錄이다. 모두 初版 基準이며 다른 言及(譯者, 編輯者 等)이 없을 時 울스턴크래프트가 著者이다. [123]

  • ?. 『 딸들의 敎育에 關한 省察: 女性의 品行에 비추어, 보다 重要한 人生의 義務에 關하여 』( Thoughts on the Education of Daughters Thoughts on the Education of Daughters: With Reflections on Female Conduct, in the More Important Duties of Life [ * ] . 런던 : 조지프 존슨 , 1787年.
  • ?. 『 메리, 한 篇의 小說 』( Mary: A Fiction . 런던: 조지프 존슨, 1788年.
  • ?. 『 實生活 속의 새로운 이야기들: 愛着을 調節하고 眞實되고 善良한 精神을 形成하기 위한 計算된 對話들 』( Original Stories from Real Life: With Conversations Calculated to Regulate the Affections and Form the Mind to Truth and Goodness ). 런던: 조지프 존슨, 1788年.
  • 네케르, 자크 . 『宗敎的 意見의 重要性에 關하여』( Of the Importance of Religious Opinions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役. 런던: 조지프 존슨, 1788年.
  • ?. 『女性讀者: 또는 어린 女性의 啓發을 위해 最高의 作家들 中에서 嚴選하여 妥當한 判斷 下에 配置한 이것저것 다양한 散文 및 韻文』( The Female Reader: Or, Miscellaneous Pieces, in Prose and Verse; selected from the best writers, and disposed under proper heads;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women. By Mr. Cresswick, teacher of elocution [Mary Wollstonecraft]. To which is prefixed a preface, containing some hints on female education . 런던: 조지프 존슨, 1789年.
  • 데 캄本, 마리아 거트루디아 폰 데 베르켄. 『어린 그랜디슨. 젊은이가 그 親舊들에게 쓰는 便紙 聯作』( Young Grandison. A Series of Letters from Young Persons to Their Friends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役. 런던: 조지프 존슨, 1790年.
  • 잘츠만, 크리스티안 고트힐프 . 『兒童을 위한 道德性 提要: 父母를 위한 序說 添附』( Elements of Morality, for the Use of Children; with an introductory address to parents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役. 런던: 조지프 존슨, 1790年.
  • ?. 『 존경스러운 에드문드 버크 先生에게 드리는 人間의 權利 擁護 書翰 』(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Men, in a Letter to the Right Honourable Edmund Burke ). 런던: 조지프 존슨, 1790年.
  • ?. 『 道德的 政治的 對象으로서의 構造에 關한 女性의 權利 擁護 』(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with Strictures on Moral and Political Subjects ). 런던: 조지프 존슨, 1792年.
  • ?. 「그레고리 博士가 그 女息들에게 남긴 拘束을 통해 본 女性의 性的 特徵에 關한 卓越한 意見」("On the Prevailing Opinion of a Sexual Character in Women, with Strictures on Dr. Gregory's Legacy to His Daughters"). New Annual Register (1792年): 457?466. [『女性의 權利 擁護』 中에서 拔萃하여 再起고]
  • ?. 『프랑스 革命의 歷史的 道德的 觀點, 그리고 그것이 유럽에 미친 影響』( An Historical and Moral View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Effect It Has produced in Europe ). 런던: 조지프 존슨, 1794年.
  • ?. 『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의 짧은 滯留 동안 쓴 便紙 』( Letters Written during a Short Residence in Sweden, Norway, and Denmark ). 런던: 조지프 존슨, 1796年.
  • ?. 「詩, 그리고 自然의 美에 對한 우리의 기쁨에 關하여」( "On Poetry, and Our Relish for the Beauties of Nature" ). Monthly Magazine (1797年 4月).
  • ?. 「 女性의 抑鬱함 또는 마리아 」( "The Wrongs of Woman, or Maria" ). 『女性의 權利 擁護 著者의 遺稿集』( Posthumous Works of the Author of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 윌리엄 고드윈 便. 런던: 조지프 존슨, 1798年. [未完成作; 事後 出版]
  • ?. 「空想의 洞窟」("The Cave of Fancy"). 『女性의 權利 擁護 著者의 遺稿集』. 윌리엄 고드윈 便. 런던: 조지프 존슨, 1798年. [1787年 著述한 破片; 事後 出版]
  • ?. 「프랑스 國民性의 現 狀態에 關한 書翰」( "Letter on the Present Character of the French Nation" ). 『女性의 權利 擁護 著者의 遺稿集』. 윌리엄 고드윈 便. 런던: 조지프 존슨, 1798年. [1793年 著述; 事後 出版]
  • ?. 「幼兒 管理에 關한 便紙의 破片」( "Fragment of Letters on the Management of Infants" ). 『女性의 權利 擁護 著者의 遺稿集』. 윌리엄 고드윈 便. 런던: 조지프 존슨, 1798年. [未完成作; 事後 出版]
  • ?. 「敎訓」( "Lessons" ). 『女性의 權利 擁護 著者의 遺稿集』. 윌리엄 고드윈 便. 런던: 조지프 존슨, 1798年. [未完成作; 事後 出版]
  • ?. 「실마리」( "Hints" ). 『女性의 權利 擁護 著者의 遺稿集』. 윌리엄 고드윈 便. 런던: 조지프 존슨, 1798年. [『女性의 權利 擁護』 第2卷에 쓰여진 메모. 長文으로 作成된 적은 없음; 事後 出版]
  • ?. 『 分析評論 』( Analytical Review )에 기고(1788년?1797년) [匿名 寄稿]

各州 [ 編輯 ]

  1. Rossi, Alice S (1988). The Feminist papers: from Adams to de Beauvoir . Northeastern. 25쪽.  
  2. Tomalin, 9, 17, 24, 27; Sunstein, 11.
  3. Todd, 11; Tomalin, 19; Wardle, 6; Sunstein, 16.
  4. Todd, 45?57; Tomalin, 34?43; Wardle, 27?30; Sunstein, 80?91.
  5. Quoted in Todd, 16.
  6. See, for example, Todd, 72?75; Tomalin, 18?21; Sunstein, 22?33.
  7. Todd, 22?24; Tomalin, 25?27; Wardle, 10?11; Sunstein, 39?42.
  8. Wardle, 12?18; Sunstein 51?57.
  9. Wardle, 20; Sunstein, 73?76.
  10. Todd, 62; Wardle, 30?32; Sunstein, 92?102.
  11. Todd, 68?69; Tomalin, 52ff; Wardle, 43?45; Sunstein, 103?106.
  12. Tomalin, 54?57.
  13. See Wardle, chapter 2, for autobiographical elements of Mary ; see Sunstein, chapter 7.
  14. See, for example, Todd, 106?7; Tomalin, 66; 79?80; Sunstein, 127?28.
  15. Todd, 116.
  16. Tomalin, 64?88; Wardle, 60ff; Sunstein, 160?61.
  17. Wollstonecraft, The Collected Letters , 139; see also Sunstein, 154.
  18. Todd, 123; Tomalin, 91?92; Wardle, 80?82; Sunstein, 151?55.
  19. Todd, 134?35.
  20. Tomalin, 89?109; Wardle, 92?94; 128; Sunstein, 171?75.
  21. Quoted in Todd, 153.
  22. Todd, 197?98; Tomalin 151?52; Wardle, 171?73; 76?77; Sunstein, 220?22.
  23. Tomalin, 144?155; Wardle, 115ff; Sunstein, 192?202.
  24. Furniss 64.
  25. Todd, 214?15; Tomalin, 156?82; Wardle, 179?84.
  26. Furniss 65.
  27. Furniss 68.
  28. Furniss 66.
  29. Furniss 67.
  30. Todd, 232?36; Tomalin, 185?86; Wardle, 185?88; Sunstein, 235?45.
  31. Gordon 215.
  32. Gordon 214?15.
  33. St Clair, 160; Wardle, 192?93; Sunstein, 262?63.
  34. Gordon 215, 224.
  35. Tomalin, 218; Wardle, 202?3; Sunstein, 256?57.
  36. Qtd. in Wardle, 202.
  37. Tomalin, 211?219; Wardle, 206?14; Sunstein, 254?55.
  38. Furniss 67?68.
  39. Gordon 243.
  40. Tomalin, 225.
  41. Todd, 286?87; Wardle, 225.
  42. Tomalin, 225?31; Wardle, 226?44; Sunstein, 277?90.
  43. Wollstonecraft, The Collected Letters , 326?27.
  44. Todd, 355?56; Tomalin, 232?36; Wardle, 245?46.
  45. Todd, 357.
  46. St. Clair, 164?69; Tomalin, 245?70; Wardle, 268ff; Sunstein, 314?20.
  47. Godwin, 95.
  48. St. Clair, 172?74; Tomalin, 271?73; Sunstein, 330?35.
  49. Carl Pforzheimer Library (1961). “The Death of Mary Wollstonecraft” . Cameron, Kenneth Neill; Reiman, Donald H. Shelley and His Circle, 1773?1822, Volume 1 . Harvard University Press. 185쪽 . 2018年 5月 1日에 確認함 .  
  50. St. Clair, 173; Wardle, 286?92; Sunstein, 335?40.
  51. Gordon, 356
  52. Todd, 450?56; Tomalin, 275?83; Wardle, 302?06; Sunstein, 342?47.
  53. Quoted in C. Kegan Paul, William Godwin: His Friends and Contemporaries , London: Henry S. King and Co. (1876). Retrieved 11 March 2007.
  54. Todd, 457.
  55. St. Clair, 182?88; Tomalin, 289?97; Sunstein, 349?51; Sapiro, 272.
  56. Robert Southey to William Taylor , 1 July 1804. A Memoir of the Life and Writings of William Taylor of Norwich . Ed. J.W. Robberds. 2 vols. London: John Murray (1824) 1:504.
  57. Sapiro, 273?74.
  58. Gordon, 446.
  59. Kaplan, "Wollstonecraft's reception", 247.
  60. Favret, 131?32.
  61. Pennell, Elizabeth Robins . Life of Mary Wollstonecraft (Boston: Roberts Brothers, 1884), 351. Full text.
  62. Mellor 156.
  63. Sapiro, 274.
  64. A Routledge literary sourcebook on Mary Wollstonecraft's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 Adriana Craciun, 2002, p. 36
  65. Gordon, 449
  66. Sapiro, 276?77.
  67. Lasser & Robertson (2013). Antebellum Women: Private, Public, Partisan . Rowman & Littlefield. 46?47쪽.  
  68. Dickenson, Donna . Margaret Fuller: Writing a Woman's Life (New York: St. Martin's Press, 1993). ISBN   0-312-09145-1 , 45?46.
  69. Hewins, C.M. (Caroline M. Hewins, 1846?1926) "The History of Children's Books", in The Atlantic Monthly . January 1888.
  70. Wollstonecraft, Mary. Letters to Imlay, with prefatory memoir by C. Kegan Paul . London: C. Kegan Paul, 1879. Full text.
  71. Gordon, 521.
  72. James, H.R. "Mary Wollstonecraft: A Sketch." Oxford University Press, 1932. Appendix B: Books about Mary Wollstonecraft. Miss Emma Rauschenbusch-Clough, "thesis for doctorate at Berne University", then Longmans.
  73. Woolf, Virginia . " The Four Figures 保管됨 3 4月 2007 - 웨이백 머신 " (updated 4 June 2004). Retrieved 11 March 2007.
  74. Kaplan, Cora. "Mary Wollstonecraft's reception and legacies."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y Wollstonecraft. Ed. Claudia L. John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Cambridge Collections Onl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September 2010 doi 10.1017/CCOL0521783437.014
  75. “The Suffrage Cause Invades Men's Club” . 《The New York Times》. 1910年 5月 25日.  
  76. Kaplan, "Wollstonecraft's reception", 254; Sapiro, 278?79.
  77. Place Settings . Brooklyn Museum. Retrieved 6 August 2015.
  78. “Tour and Home” . Brooklyn Museum. 1979年 3月 14日 . 2015年 8月 12日에 確認함 .  
  79. Hirsi Ali, Ayaan . Infidel . New York: Free Press (2007), 295.
  80. Interview by Sally Errico. "Half Wollstonecraft, Half LOLcats: Talking with Caitlin Moran", in The New Yorker , 15 November 2012. [1]
  81. “BBC Radio 4 series Letters to Mary : Episode 2” . 《BBC》 . 2014年 10月 21日에 確認함 .  
  82. “Mary Wollstonecraft brown plaque” . Open Plaques . 2018年 4月 27日에 確認함 .  
  83. “Blue Plaques in Borough” . Williamslynch.co.uk. 2017年 3月 17日. 2018年 6月 2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4月 27日에 確認함 .  
  84. “Mary Wollstonecraft gets a green plaque at Newington Green Primary... will statue be next?” . 《Islington Tribune》. Archive.islingtontribune.com. 11 March 2011. 28 April 2018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7 April 2018에 確認함 .  
  85. team, London SE1 website. “Mary Wollstonecraft blue plaque unveiled” . 《London SE1》 (英語) . 2018年 5月 6日에 確認함 .  
  86. Jones, "Literature of advice", 122?26; Kelly, 58?59.
  87. Richardson, 24?27; Myers, "Impeccable Governesses", 38.
  88. Jones, "Literature of advice", 124?29; Richardson, 24?27.
  89. Richardson, 25?27; Jones, "Literature of advice", 124; Myers, "Impeccable Governesses", 37?39.
  90. Qtd. in Butler, 44.
  91. Wollstonecraft, Vindications , 45; Johnson, 26; Sapiro, 121?22; Kelly, 90; 97?98.
  92. Johnson, 27; see also, Todd, 165.
  93. Sapiro, 83; Kelly, 94?95; Todd, 164.
  94. Wollstonecraft, Vindications , 44.
  95. Johnson, 29.
  96. Wollstonecraft, Vindications , 192.
  97. Kelly, 123, 126; Taylor, 14?15; Sapiro, 27?28, 13?31, 243?44.
  98. Wollstonecraft, Vindications , 144.
  99. Wollstonecraft, Vindications , 157.
  100. Kelly, 124?26; Taylor, 14?15.
  101. See, for example Wollstonecraft, Vindications , 126, 146.
  102. Wollstonecraft, Vindications , 110.
  103. Wollstonecraft, Vindications , 135.
  104. Oxford English Dictionary . Retrieved 17 September 2007; see Taylor, 12, 55?57, 105?06, 118?20; Sapiro, 257?59.
  105. Wollstonecraft, Vindications , 177.
  106. Jones, 46.
  107. Wollstonecraft, Vindications , Chapter 12; see also Kelly, 124?25, 133?34; Sapiro, 237ff.
  108. Kelly, 128ff; Taylor, 167?68; Sapiro, 27.
  109. Wollstonecraft, Vindications , 311; see also Taylor, 159?61; Sapiro, 91?92.
  110. Furniss 68?69.
  111. Furniss 72.
  112. Callender 384
  113. Taylor, Chapter 9.
  114. Wollstonecraft, Mary , 68.
  115. Johnson, 60, 65?66; Kelly, 44; Poovey, 89; Taylor, 135; Todd, Women's Friendship , 210?11.
  116. Todd, Women's Friendship , 208, 221?22; Johnson, 67?68; Taylor, 233, 243?44; Sapiro, 155.
  117. Favret, 104; Sapiro, 286?87.
  118. Favret, 105?06.
  119. Myers, "Wollstonecraft's Letters ", 167, 180; Poovey, 83?84, 106; Kelly, 189?90.
  120. Myers, "Wollstonecraft's Letters ", 174; Favret, 96, 120, 127.
  121. Favret, 119ff; Poovey, 93; Myers, "Wollstonecraft's Letters ", 177; Kelly, 179?81.
  122. Todd, 367; Kaplan, "Mary Wollstonecraft's reception", 262; Sapiro, 35; Favret, 128.
  123. Sapiro, 341ff.

參考 資料 [ 編輯 ]

  • Butler, Marilyn , ed. Burke, Paine, Godwin, and the Revolution Controversy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ISBN   0-521-28656-5 .
  • Wollstonecraft, Mary. The Collected Letters of Mary Wollstonecraft . Ed. Janet Todd.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ISBN   0-231-13142-9 .
  • Wollstonecraft, Mary. The Complete Works of Mary Wollstonecraft . Ed. Janet Todd and Marilyn Butler. 7 vols. London: William Pickering, 1989. ISBN   0-8147-9225-1 .
  • Wollstonecraft, Mary. The Vindications: The Rights of Men and The Rights of Woman . Eds. D.L. Macdonald and Kathleen Scherf. Toronto: Broadview Press, 1997. ISBN   1-55111-088-1 .
  • Wollstonecraft, Mary (2005), 〈On the pernicious effects which arise from the unnatural distinctions established in society〉, Cudd, Ann E. ; Andreasen, Robin O., 《Feminist theory: a philosophical anthology》, Oxford, UK; Malden, Massachusetts: Blackwell Publishing, 11?16쪽, ISBN   978-1-4051-1661-9 .  
  • Flexner, Eleanor . Mary Wollstonecraft: A Biography . New York: Coward, McCann and Geoghegan, 1972. ISBN   0-698-10447-1 .
  • Godwin, William . Memoirs of the Author of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 1798. Eds. Pamela Clemit and Gina Luria Walker. Peterborough: Broadview Press Ltd., 2001. ISBN   1-55111-259-0 .
  • Gordon, Charlotte . Romantic Outlaws: The Extraordinary Lives of Mary Wollstonecraft and Mary Shelley . Great Britain: Random House, 2015. ISBN   978-0-8129-9651-7 . The book's website.
  • Gordon, Lyndall . Vindication: A Life of Mary Wollstonecraft . Great Britain: Virago, 2005. ISBN   1-84408-141-9 .
  • Hays, Mary . "Memoirs of Mary Wollstonecraft". Annual Necrology (1797?98): 411?60.
  • Jacobs, Diane. Her Own Woman: The Life of Mary Wollstonecraft . US: Simon & Schuster, 2001. ISBN   0-349-11461-7 .
  • Paul, Charles Kegan . Letters to Imlay, with prefatory memoir by C. Kegan Paul . London: C. Kegan Paul, 1879. Full text
  • Pennell, Elizabeth Robins . Life of Mary Wollstonecraft (Boston: Roberts Brothers, 1884). Full text
  • St Clair, William . The Godwins and the Shelleys: The biography of a family . New York: W.W. Norton and Co., 1989. ISBN   0-8018-4233-6 .
  • Sunstein, Emily . A Different Face: the Life of Mary Wollstonecraft . Boston: Little, Brown and Co., 1975. ISBN   0-06-014201-4 .
  • Todd, Janet . Mary Wollstonecraft: A Revolutionary Life. London: Weidenfeld & Nicolson, 2000. ISBN   0-231-12184-9 .
  • Tomalin, Claire . The Life and Death of Mary Wollstonecraft . Rev. ed. 1974. New York: Penguin, 1992. ISBN   0-14-016761-7 .
  • Wardle, Ralph M. Mary Wollstonecraft: A Critical Biography .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51.
  • Callender, Michelle "The grand theatre of political changes ": Marie Antoinette, the republic, and the politics of spectacle in Mary Wollstonecraft's An historical and moral view of the French revolution " pp. 375?92 from European Romantic Review , Volume 11, Issue 4, Fall 2000.
  • Conger, Syndy McMillen. Mary Wollstonecraft and the Language of Sensibility . Rutherford: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94. ISBN   0-8386-3553-9 .
  • Detre, Jean. A most extraordinary pair: Mary Wollstonecraft and William Godwin , Garden City : Doubleday, 1975
  • Falco, Maria J., ed. Feminist Interpretations of Mary Wollstonecraft . University Park: Penn State Press, 1996. ISBN   0-271-01493-8 .
  • Favret, Mary. Romantic Correspondence: Women, politics and the fiction of letters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ISBN   0-521-41096-7 .
  • Halldenius, Lena. Mary Wollstonecraft and Feminist Republicanism: Independence, Rights and the Experience of Unfreedom , London: Pickering & Chatto, 2015. ISBN   978-1-84893-536-5 .
  • Johnson, Claudia (editor)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y Wollstonecraft edited by Claudia Johns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ISBN   0-521-78952-4
    • Furniss, Tom "Mary Wollstonecraft's French Revolution" pp. 59?81.
    • Mellor, Anne "Mary Wollstonecraft's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en and the women writers of her day" pp. 141?59.
  • Holmes, Richard . "1968: Revolutions", in Footsteps: Adventures of a Romantic Biographer . Hodder & Stoughton, 1985. ISBN   0-00-720453-1 .
  • Janes, R.M. "On the Reception of Mary Wollstonecraft's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39 (1978): 293?302.
  • Johnson, Claudia L. Equivocal Beings: Politics, Gender, and Sentimentality in the 1790s .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ISBN   0-226-40184-7 .
  • Jones, Chris. "Mary Wollstonecraft's Vindications and their political tradition".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y Wollstonecraft . Ed. Claudia L. Johns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ISBN   0-521-78952-4 .
  • Jones, Vivien. "Mary Wollstonecraft and the literature of advice and instruction".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y Wollstonecraft . Ed. Claudia Johns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ISBN   0-521-78952-4 .
  • Kaplan, Cora. "Mary Wollstonecraft's reception and legacies".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y Wollstonecraft Ed. Claudia L. Johns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ISBN   0-521-78952-4 .
  • Kaplan, Cora. "Pandora's Box: Subjectivity, Class and Sexuality in Socialist Feminist Criticism". Sea Changes: Essays on Culture and Feminism . London: Verso, 1986. ISBN   0-86091-151-9 .
  • Kaplan, Cora. "Wild Nights: Pleasure/Sexuality/Feminism". Sea Changes: Essays on Culture and Feminism . London: Verso, 1986. ISBN   0-86091-151-9 .
  • Kelly, Gary. Revolutionary Feminism: The Mind and Career of Mary Wollstonecraft . New York: St. Martin's, 1992. ISBN   0-312-12904-1 .
  • McElroy, Wendy (2008). “Wollstonecraft, Mary (1759?1797)” . Hamowy, Ronald . The Encyclopedia of Libertarianism .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Cato Institute . 545?46쪽. doi : 10.4135/9781412965811.n331 . ISBN   978-1-4129-6580-4 . LCCN   2008009151 . OCLC   750831024 .  
  • Myers, Mitzi. "Impeccable Governess, Rational Dames, and Moral Mothers: Mary Wollstonecraft and the Female Tradition in Georgian Children's Books". Children's Literature 14 (1986):31?59.
  • Myers, Mitzi. "Sensibility and the 'Walk of Reason': Mary Wollstonecraft's Literary Reviews as Cultural Critique". Sensibility in Transformation: Creative Resistance to Sentiment from the Augustans to the Romantics. Ed. Syndy McMillen Conger. Rutherford: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90. ISBN   0-8386-3352-8 .
  • Myers, Mitzi. "Wollstonecraft's Letters Written ... in Sweden : Towards Romantic Autobiography". Studies in Eighteenth-Century Culture 8 (1979): 165?85.
  • Orr, Clarissa Campbell, ed. Wollstonecraft's daughters: womanhood in England and France, 1780?1920 .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ND, 1996.
  • Poovey, Mary . The Proper Lady and the Woman Writer: Ideology as Style in the Works of Mary Wollstonecraft, Mary Shelley and Jane Austen .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ISBN   0-226-67528-9 .
  • Richardson, Alan. "Mary Wollstonecraft on education".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y Wollstonecraft . Ed. Claudia Johns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ISBN   0-521-78952-4 .
  • Sapiro, Virginia. A Vindication of Political Virtue: The Political Theory of Mary Wollstonecraft .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ISBN   0-226-73491-9 .
  • Taylor, Barbara . Mary Wollstonecraft and the Feminist Imagination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ISBN   0-521-66144-7 .
  • Todd, Janet . Women's Friendship in Literature .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0. ISBN   0-231-04562-X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