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로스바흐 戰鬪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로스바흐 戰鬪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로스바흐 戰鬪
7年 戰爭 의 一部

로스바흐 戰鬪도
날짜 1757年 11月 5日
場所
結果 프로이센의 決定的인 勝利
交戰國



指揮官
프리드리히 2歲 수비즈 공 샤를 드 로앙
작센-힐드부르크하우젠 요제프
兵力
22,000名
大砲 79門
42,000名
大砲 45門
被害 規模
169名 戰死
379名 負傷
5,000名 戰死 및 負傷
5,000名 砲로

로스바흐 戰鬪 1757年 11月 5日 작센 선제후령 (Electorate of Saxony)에 있는 로스바흐 (Roßbach) 近郊에서 벌어진 7年 戰爭 (1756 - 1763)의 戰鬪 中 하나이다.

프리드리히 大王 프랑스 神聖로마/오스트리아 帝國 의 聯合軍을 擊破하였다. 이 戰鬪는 完璧한 奇襲을 成就하기 위한 要素로서 迅速한 機動을 멋지게 使用하고, 적은 損害로 敵軍을 壞滅시켰다는 點에서 프리드리히 大王이 벌인 戰鬪 中 最高의 勝戰 中 하나로 손꼽힌다.

背景 [ 編輯 ]

프랑스 - 神聖로마 聯合軍은 투린起亞 (Thuringia)를 너머 進軍하였고, 이는 프로이센에 對하여 直接的인 威脅이 되었다. 戰略的으로 이들 以外의 오스트리아군은 卽刻的인 威脅이 되지는 않았고 러시아軍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直接的인 被害를 줄 狀況이 되지는 않았다. 外部에 알려지지 않은 道路를 利用해 프리드리히 大王은 프랑스 - 神聖로마 聯合軍을 向해 進軍하였다. 프리드리히 大王은 8月 31日 25,000名의 兵力을 이끌고 드레스덴 을 出發하여 大選諸侯 (Great Elector)의 行軍을 聯想케 하는 길고 고된 行軍을 遂行하였다. 13日 동안 170마일을 走破하는 行軍을 하기 위해 프리드리히 大王은 補給物資를 軍隊의 前衛에 配置하고 速度를 높이기 위해 普及 馬車를 모두 버렸다. 同盟軍은 프로이센군이 到着했음에도 不拘하고 별다른 反應을 보이지 않았다. 이를 볼 때 프로이센군이 聯合軍을 挑發하여 戰鬪를 벌이는 것은 힘든 일이 될 터였다. 프리드리히 大王의 軍勢와 聯合軍의 軍勢는 서로 며칠間 進退를 되풀이 하면서 相對를 속이려 하였다. 相對를 攪亂하기 위한 이런 움직임은 雙方의 數(手)가 모두 막히게 되자 멈추었다. 이 期間 동안 오스트리아 奇襲 部隊는 實際로 베를린 을 攻擊하였고, 프로이센 王家의 主要 人物들을 몰아넣는 데 成功하였다. [2]

最初 配置 [ 編輯 ]

프로이센의 陣營은 1757年 11月 5日 아침 왼쪽에는 로스바흐, 오른쪽에는 베드라(Bedra)가 있는 사이에 設置되어 聯合軍과 對峙하고 있었다. 프랑스軍의 將軍인 수비즈 공 샤를 드 로앙 (Charles de Rohan, prince de Soubise)과 神聖로마帝國의 大將(General-Feldzeugmeister) [3] 작센-힐드부르크하우젠 공 요제프 프리드리히 빌헬름 (Joseph Frederick William, duke of Saxe-Hildburghausen)李 前날 프리드리히에게 움직일 機會를 주지 않고 西쪽으로 機動을 遂行하여 이제는 오른쪽으로 보면 브란데로다(Branderoda)가 近處에 있고 왼쪽에는 뮈첼른(Mucheln)이 있는 곳에 자리를 잡았다. 프로이센군의 哨所를 보면 그들의 陣營 바로 西쪽에 있는 마을에 位置해 있었고 同盟軍의 哨所는 스코르타우(Schortau) 언덕과 갈겐베르크(Galgenberg)가 있는 곳에 자리잡았다.

開戰時의 움직임 [ 編輯 ]

同盟軍은 分遣隊를 除外하더라도 約 42,000名이었으며, 이 戰鬪에서 프로이센軍에 비해 2倍의 數的 優位를 維持하고 있었다. 同盟軍의 哨所는 프리드리히 大王의 陣營 곳곳을 살피고 있었다. 同盟軍은 以前의 機動으로 가장 유리한 狀態에 있었고, 이로 因해 힐드부르크하우젠 공(公)은 攻擊的인 態勢를 取하기로 決心하였다. 그러나 그는 수비즈 共에게 戰鬪의 危險을 甘受하게 하는 데 相當한 어려움을 겪었고 이로 因해 同盟軍은 11月 5日까지 陣營을 撤去하지 못했다. 守備즈는 아마 可能한 限 늦게 戰鬪를 벌이고, 自身은 戰鬪에 一部分만 參與하여 最大限 利益을 얻겠다는 心算이었던 것 같다. 聯合軍의 計劃을 살펴보면 同盟軍은 별다른 自然的 障礙物이 存在하지 않는 프리드리히의 左翼 近處에 있는 제우츠펠트(Zeuchfeld)로 進軍하여 라이할트스베르벤(Reichardtswerben)을 오른쪽에 두고 페트스타트(Pettstadt)를 왼쪽에 둔 狀態로 北쪽을 向해 戰鬪隊形을 펼친다. 公爵이 戰鬪를 벌이고 좀 더 制限的인 目的을 지닌 수비즈가 같은 자리에 나타나 자레 (Saale) 로부터 프리드리히의 部隊를 分散시킬 수 있는 位置를 掌握한다. 그러나 同盟軍이 이러한 位置를 掌握하기 위해서는 프로이센군의 側面 近處를 따라 進軍해야 했고, 이는 프로이센군의 對應으로 因해 聯合軍으로 하여금 프로이센군의 前衛를 가로질러가는 不利한 狀況에 處하게 할 수도 있었다. 同盟軍은 이럴 境遇 自身들의 露出된 側面에 加해질 攪亂이 明白하다고 생각하여 相當한 兵力을 配置하였다. 이러한 元來 計劃을 無視한 同盟軍 司令部는 戰鬪 中 確實치 않은 推測으로 元來의 計劃을 急히 修正하였고, 이는 以後 災難을 불러온다.

프리드리히 大王은 아침, 로스바흐의 높은 建物 꼭대기에서 敵의 움직임을 觀察하고 있었다. 聯合軍의 初期 機動은 프리드리히로 하여금 同盟軍이 自身들의 普及倉庫가 있는 南쪽으로 退却하기 始作할 것이라고 確信하게 만들었다. 正午 무렵 프리드리히는 폰 가우디(von Gaudi)에게 偵察을 맡기고 食事를 하기 위해 떠났다. 이 將校는 同盟軍의 意圖에 對하여 프리드리히 大王과는 다르게 把握했는데, 왜냐하면 聯合軍의 縱隊가 때때로 땅의 高低 差에 따라 나타나기도 했으며, 이들은 悌友츠펠트로부터 東쪽을 向해 나아갔기 때문이다. 가우디의 흥미로운 보고는 처음 프리드리히 大王의 失手를 確信시켰을 뿐이었다. 그러나 프리드리히 大王이 直接 敵의 騎兵과 步兵隊가 페트스타트 近郊에 나타난 것을 確認하고는 敵의 意圖를 깨달을 수 있었다. 同盟軍은 프리드리히의 攪亂作戰을 無意味하게 만들기 위해 戰鬪를 걸어오고 있었고, 프리드리히 大王은 망설임 없이 이를 받아들였다.

陷穽 [ 編輯 ]

프로이센군은 陣營을 撤去하고 스카르타우(Schartau) 언덕에 있는 프랑스軍의 哨所에 있는 側面守備代를 對備하기 위해 少數의 輕武裝 部隊만을 남겨놓고 移動하기 始作했다. 30分 程度 지나 프리드리히 大王은 命令을 내렸고 프로이센군은 攻擊을 始作했다. 同盟軍은 두個의 縱隊를 이루어 應戰했는데 제 1熱은 左側에, 第 2熱은 右側에 位置했으며 더 오른쪽에는 步兵 豫備隊로 構成된 縱隊가 進軍하고 있었으며, 聯合軍의 1熱과 2列 사이의 道路에는 砲兵 豫備隊가 配置되어 있었다. 右翼의 騎兵隊는 두個의 縱隊 先頭 部分에 位置해 있었으며 左翼의 騎兵隊는 後尾에 位置해 있었다. 처음 이들은 戰鬪敎理에 따라 距離를 維持하고 있었으나, 東쪽으로부터 旋回하자 混亂이 일어났다. 豫備 步兵隊는 두 個의 縱隊 사이로 움직였고 이로 인해 豫備 砲兵隊의 움직임을 妨害했다. 旋回를 하던 바깥 側面의 다른 部隊들은 그들이 旋回를 引導하는 兵士의 재빠른 움직임을 따라 갈 수 없음을 깨달을 수밖에 없었다.

聯合軍의 弱한 側面의 守備兵은 로스바흐 쪽으로 떨어져 나갔다. 프로이센군은 이를 보고 狀況이 判斷될 때까지 東쪽으로 移動하는 듯한 움직임을 보였다. 同盟軍司令官들은 프로이센軍의 움직임을 보고 同盟軍의 側面部隊의 움직임으로 인해 프로이센이 로스바흐 쪽을 통해 聯合軍으로부터 側面과 後方의 攻擊을 받을 것을 念慮하게 되었고 이를 避하기 위해 後退하는 것으로 推測하였다. 그 結果 同盟軍의 將軍들은 프로이센군의 退却을 沮止하기 위해 進軍을 서둘렀고 先頭를 이끌게 하기 위해 右翼의 騎兵隊를 레이札드스베르벤으로 보냈다. 同盟軍 指揮官들은 또 後尾에 있는 左翼 騎兵隊와 側面의 守備兵들로 하여금 프로이센軍에 對한 追擊에 參與하게 되었다. 이는 後에 致命的인 失手라는 것이 證明되었다.

艦艇이 作動하다 [ 編輯 ]

프로이센군의 陷穽.

수비즈와 公爵은 프로이센군이 陳列을 整備할 때까지 프리드리히의 眞짜 目的이 自身들을 攻擊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聯合軍은 自身들이 陣營을 撤去하는 데 3時間이나 걸렸기 때문에 프리드리히 大王의 軍隊가 陣營을 撤去하고 움직이는 데 聯合軍이 걸린 時間에 比較해 6分의 1밖에 되지 않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그렇기에 더욱이 聯合軍은 프로이센군이 로스바흐와 나흘렌도르프(Nahlendorf) 앞에 있는 平原에서 戰鬪隊形을 取하고 있을 거라고는 생각지 못했다.

프리드리히는 敵과 나란히 戰列을 構成하거나 退却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의 軍隊는 敵보다 두 倍나 빨리 움직일 수 있었고 프리드리히는 이를 利用해 迂廻攻擊을 할 생각이었다. 프리드리히는 야누스 後겔(Janus Hugel) 언덕과 폴젠 後겔(Polzen Hugel) 언덕에 依해 敵의 움직임이 遮斷되자 東쪽으로부터 聯合軍에 對한 急襲을 始作했다. 萬若 프로이센군과 마주쳤을 때 同盟軍이 北쪽을 向해 이미 戰列을 構成하고 있었더라면 攻擊은 그들의 右翼을 노렸을 것이다. 萬若 聯合軍이 如前히 종대의 形態로 東쪽, 或은 北東쪽을 向해 進軍했더라면, 聯合軍의 종대의 끝部分은 나머지 部分이 새로운 位置에서 陳列을 짜기도 前에 擊破 當했을 것이다. - 이 時代에 戰鬪隊形을 짜는 것은 오래 걸리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敵을 攪亂하기 위해 폰 자이드리츠 (von Seydlitz)는 運用 可能한 騎兵隊를 이끌고 서둘러 야누스 後겔 언덕의 뒤쪽 폴젠 後겔 언덕으로 나아갔다. 폰 뮐러(von Moller)가 18門의 中砲를 이끌고 야노스 後겔의 315미터 高地에서 進軍해오는 聯合軍 騎兵隊와 뒤따르는 步兵隊에 砲擊을 加했다.

뮐러의 中包에 砲擊을 받으면서 同盟軍 騎兵隊는 突擊하였고, 라이하르트스베르벤의 北部 步兵隊의 前衛에 자리를 잡았으나, 뮐러의 砲擊은 거세지기만 하였다. 그러나 當時에는 退却을 保護하기 위해 脯를 使用하는 것이 一般的이었기 때문에 同盟軍은 自身들의 野砲를 가지고 反擊에 나섰다. 그러나 이들은 자이드리츠의 38個 騎兵隊, 或은 7個 連帶가 폴젠 後겔 언덕으로부터 믿을 수 없는 速度로 갑작스럽게 나타나 그들의 右翼을 攻擊하기 始作하자 混亂 狀態에 빠졌다. 先頭의 獨逸 連帶(German regiment)가 자이드리츠를 相對하기 위해 戰線을 펼쳤고 그 結果는 거의 믿을 수 없을 程度였다. 폰 자이드리츠는 自身의 騎兵隊를 모조리 投入했고 自身 亦是 一般兵士처럼 戰鬪에 參與해 相當한 負傷을 입었다. 肉薄戰은 南쪽의 同盟軍 步兵隊까지 번졌다. 폰 자이드리츠는 그의 騎兵隊를 打게베르헨(Tagewerhen) 近郊에 집결시켜 再攻擊을 準備하였다. 자이드리츠의 攻擊은 約 30分程度밖에 걸리지 않았으며 곧이어 프로이센 騎兵隊가 左側으로부터 사다리꼴 形態를 取해 야노스 後겔을 내려와 이미 混亂에 빠지고 落膽한 狀態의 同盟軍 步兵隊를 相對하기 始作했다. 前衛의 同盟軍 騎兵隊는 이미 프로이센 騎兵隊의 初盤 突擊에 依해 擊破된 狀態였으며 大部分 個別的으로 潰走한 狀態였다.

同盟軍의 無意味한 試圖 [ 編輯 ]

同盟軍의 步兵隊는 同盟軍 騎兵隊가 그랬던 것처럼 종대의 끄트머리에 있는 몇 個의 旅團을 中心으로 戰列을 짜려 하였다. 特히 프랑스部隊는 攻擊을 위해 프랑스 軍 特有의 하나, 或은 두個로 構成된 戰列을 짜 肉薄戰을 벌이기 始作했다. 그러나 뮐러의 砲擊이 進軍하는 同盟軍 砲兵隊의 머리위로 쏟아졌고 이로 因해 同盟軍의 진형은 흐트러지고 말았다. 프랑스 縱隊가 머스캣 有效射距離에 到達했을 때 프로이센軍은 迅速하고 組織的인 一齊射擊을 통해 프랑스軍의 攻擊을 粉碎시켰다.

同盟軍은 戰列(line of battle)을 構成하기 위한 無意味한 試圖를 하였다. 두 個의 종대는 페스타트로부터 進軍하는 동안 너무 近接하였다. 本隊와 區別이 안 될 程度로 近接한 豫備대는 右翼에 位置한 豫備 종대의 나머지 部分과 合流하여 새로운 陣形을 構築하려 하였으며 豫備 砲兵隊는 步兵隊의 가운데에서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못했다. 프로이센 步兵隊는 如前히 左翼에서 사다리꼴 大型을 構成하였다. 프로이센군의 左翼 끄트머리에 位置한 部隊는 프랑스軍을 擊退하고 이 希望이 없을 程度로 혼란스러운 同盟軍 陣營을 向해 머스캣 四거리까지 到達하였다. 一齊射擊이 聯合軍 종대의 左側面과 先頭部分을 向해 加해졌고 이는 聯合軍을 完全한 混亂 狀態에 빠트리는 데 成功하였다. 그리고 打게베르벤의 空터에서 兵力을 再集結시킨 세이디츠는 騎兵隊를 이끌고 右翼을 奇襲하는 데 完璧히 成功했다.

이 結果 同盟軍 步兵隊는 擊破되었고 潰走하기 始作했다. 소牛비즈功過 對共은 負傷을 입었으나 各各 1個에서 2個 程度의 連帶를 保存하는 데 成功하였으나, 나머지 部隊는 隣近으로 흩어지고 말았다. 이 戰鬪는 한 時間 30分이 채 되지 않았으며 聯合軍 步兵隊의 殘餘部隊와의 戰鬪도 15分이 넘지 않았다. 7個의 프로이센 步兵大隊는 敵軍과 交戰하면서 人當 5에서 15發 程度의 彈丸밖에 消費하지 않았다.

影響 [ 編輯 ]

폰 자이드리츠와 프로이센 公 하인리히 (Prince Henry of Prussia)은 各各 騎兵隊와 步兵隊를 指揮하여 戰鬪에 臨하였고 負傷을 입었다. 프로이센군의 損失은 死傷者 550名이었고, 이는 聯合軍이 砲로 5,000名을 합쳐 10,000名 程度 되는 被害를 입은 것에 比較해 볼 때 아주 적은 數値였다. 프리드리히는 "나는 로스바흐에서 머스캣 銃을 어깨에 짊어진 나의 步兵들과 함께 戰鬪에서 勝利하였다."( won the battle of Rossbach with most of my infantry having their muskets shouldered.".)라고 말했다고 한다. 프리드리히 大王은 步兵들은 勿論 約 3,500名의 騎兵과 함께 作戰機動을 創案함과 同時에 유럽의 두 强大國이 聯合한 軍隊를 完璧히 擊滅시켰다.

各州 [ 編輯 ]

  1. George Ripley, Charles Anderson Dana, The American Cyclopaedia , New York, 1874, p. 250, "...the standard of France was white, sprinkled with golden fleur de lis...". * [1] Archived 2008年 1月 16日 - 웨이백 머신 The original Banner of France was strewn with fleurs-de-lis. * [2] Archived 2015年 4月 6日 - 웨이백 머신 :on the reverse of this plate it says: "Le pavillon royal etait veritablement le drapeau national au dix-huitieme siecle...Vue du chateau d'arriere d'un vaisseau de guerre de haut rang portant le pavillon royal (blanc, avec les armes de France)."
  2. 본 文書에서 聯合軍과 同盟軍은 프랑스-神聖로마 聯合軍을 指稱함
  3. 英語:General of Artillery; 現代 英語에서는 砲兵 司令官. 砲兵을 統括하며, 職責上 起兵 司令官의 위이다. 副司令官級 役割을 擔當한다.
  • The German Way of War: From the Thirty Years War to the Third Reich (Robert M. Citino: Lawrence, KS: University Press of Kansas , 2005)

본 文書에는 現在 퍼블릭 도메인 에 屬한 브리태니커 百科事典 第11板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內容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