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正官庄 레드스파크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正官庄 레드스파크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大戰 KGC人蔘公社 에서 넘어옴)

大戰 正官庄 레드스파크스
全體 이름
設立年度 1988年 4月 1日 (36年 前) ( 1988-04-01 )
홈구장 忠武體育館
收容人員 6,000
球團主 방형봉
團長 강주원
監督 고희진
리그 V-리그
2023-24시즌 0
웹사이트 웹사이트
遠征

大戰 正官庄 레드스파크스 (Daejeon JUNG KWAN JANG Red Sparks)은 한국배구연맹 에 屬한 大韓民國 의 女子 프로 排球團으로, 1988年에 創團한 韓國專賣公社 排球段 (只今의 KT&G )이 母體다. 緣故地는 大田廣域市 이며, 大田 삼성화재 블루팡스 와 함께 忠武體育館 을 홈구장으로 使用하고 있다.

2010年 9月 29日, 理事會 議決을 통해 스포츠團 管轄 母企業이 KT&G 에서 系列社인 韓國人蔘公社 로 變更되었고, 2023年부터 韓國人蔘公社 管轄 스포츠團에 韓國人蔘公社 의 브랜드인 正官庄을 適用하기로 하면서 正官庄 레드스파크스로 改稱했다.

歷代 名稱 [ 編輯 ]

  • 韓國專賣公社 排球段 (1988年?1989年)
  • 한국담배인삼공사 排球段 (1989年?2002年)
  • KT&G 排球段 (2002年?2005年)
  • KT&G 아리엘즈 (2005年?2010年)
  • 韓國人蔘公社 프로排球團 (2010年?2011年)
  • KGC人蔘公社 프로排球團 (2011年?2023年)
  • 正官庄 레드스파크스 (2023年?現在)

來歷 [ 編輯 ]

프로化 이전인 담배人蔘公社 時節에는 湖南精油 및 SK케미칼, 한일합섬, 現代建設 等에 밀려 그다지 빛을 보지 못했고, KT&G 로 이름을 바꾸고 난 프로化 以後 頭角을 보이기 始作했다. KT&G는 프로 元年인 2005年 시즌 正規 리그에서 2位로 플레이오프에 進出하여, 3位 팀 현대건설을 꺾었고, 챔피언 決定戰에서도 道路公社 를 꺾으면서 팀 創團 以來 첫 優勝을 맛보았다. 그러나 김형실 監督의 後任으로 김의성 監督이 赴任한 이듬 해 2006~2007 시즌에는 主軸 選手들의 負傷으로 24番의 競技 中 3승만을 記錄하여 最下位로 떨어졌다.

2007年 에 김의성 監督이 契約 滿了로 물러나고 고려증권 選手 出身의 박삼용 監督이 赴任했으며, 2007~2008 시즌 을 앞두고 처음 施行된 FA 制度를 통해 道路工事로부터 國家代表팀 세터 김사니 를 迎入했고, 밀어넣기 等 消極的인 攻擊으로만 一貫하던 主戰 센터 김세영 이 무게感 있는 攻擊을 하기 始作하면서 得點砲를 稼動했다. 또, 2007~2008 시즌 最高의 外國人 選手로 評價받았던 페르난다 를 迎入하면서 開幕展에서 以前 시즌 챔피언 흥국생명 을 制壓하는 異變을 演出했고, 單숨에 正規 리그 2位를 記錄했다. 그러나 마무리를 해 줄 수 있는 選手가 페르난다 外에는 없다는 短點을 보이며 플레이오프 에서 GS칼텍스 에게 챔피언 決定戰 進出 티켓을 내주고 말았다.

2008年 施行된 2番째 FA에서는 主張을 맡았던 박경낭 이 현대건설로 移籍했고, 홍미선 이 隱退하는 等 主戰 選手 移動이 많아 2008~2009 시즌 前歷이 弱化될 것으로 豫想되었다. 그러나 박경낭 홍미선 을 代身하여 처음으로 主戰을 맡은 한은지 이연주 가 活躍하며 어느 程度 世代 交替에 成功하였다는 評을 받았다. 또, 세터 김사니 · 헝가리 出身 外國人 選手 마리안 ·센터 김세영 等 老鍊味를 갖춘 選手들이 제몫을 하면서, 시즌 後半 팀 通算 最多 連勝인 8連勝을 記錄하며 2年 連續으로 正規 리그 準優勝을 차지하고 플레이오프 에 進出하였다. 그러나 흥국생명과의 첫 판에서 2:3으로 大逆轉牌, 以後 2次戰마저 빼앗기며 2年 連續 챔프戰 門턱에서 쓴盞을 들었다.

하지만 抛棄하지 않았던 KT&G는 2010年 GS칼텍스 의 突風을 플레이오프에서 잠재웠고, 正規리그 1位 水原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와 決勝에서 맞붙어 4勝 2敗로 프로化 以後 2番째 優勝을 차지하여 박삼용 監督에게 監督 生活 以來 첫 優勝을 안겼다. [1]

2010年 優勝 後 KT&G 가 스포츠團 管轄 會社를 韓國人蔘公社 로 變更하기로 理事會에서 決定하여, 現在의 팀名으로 變更되었다. 2012年 에는 創團 以來 처음으로 正規 리그 1位를 차지했고, 2010年 에 이어 다시 만난 水原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를 3勝 2敗로 물리치고 創團 첫 統合 優勝을 차지했다. 그 때 安養 KGC人蔘公社 籠球 팀도 優勝하여 韓國人蔘公社 스포츠團에 겹慶事를 이루어 내었다.

그러나 統合 優勝 後 特級 傭兵 몬타뇨 아제르바이잔 리그로 進出했고, 시즌 後 박삼용 監督이 辭任하고 首席코치 이성희에게 監督職을 넘겼다. 거기에 김세영과 한유미 , 장소연 等 몇몇 베테랑 選手들이 잇따라 現役에서 隱退하는 바람에 前歷이 急激히 弱化되어, 2012年 코보컵 大會부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 주기 始作하였고, 2012-2013 正規 시즌에 連霸를 거듭하며 다시 最下位로 떨어졌다.

그러나 16-17 시즌 完全히 달라졌다. 서남원 監督을 迎入하여 포지션 變更을 完璧하게 成功하며 元來 사만다 미들本을 트라이아웃으로 迎入하려 했으나 妊娠을 理由로 固辭했고 그 代替字로 알레나 버그스마를 迎入했다. 그리고 나서 3月11日 企業銀行을 3:0으로 이겼으나 다음날 장충에서 GS가 현대건설을 3對1로 이긴덕에 劇的으로 살아났고 準決勝에서 企業銀行을 만난다. 18日 火星에서 세트스코어 3對1로 敗했다. 20日 大田에서 알레나가 혼자 55點을 넣으며 3:2로 逆轉勝을 했고 22日날 火星에서 3對1로 지며 決勝進出에는 失敗했다.

歷代 性的 [ 編輯 ]

實業時節 [ 編輯 ]

시즌 順位
第6回 大統領杯 ?
第7回 大統領杯 ?
第8回 大統領杯 ?
第9回 大統領杯 ?
第10回 大統領杯 ?
第11回 大統領杯 ?
1995 슈퍼리그 ?
1996 슈퍼리그 ?
1997 슈퍼리그 ?
1998 슈퍼리그 ?
1999 슈퍼리그 3位
2000 슈퍼리그 ?
2001 슈퍼리그 ?
2002 슈퍼리그 3位
2002 슈퍼리그 2位
2003 슈퍼리그 3位
2004 V-투어 3位

프로時節 [ 編輯 ]

시즌 正規리그 포스트시즌
競技數 勝率 勝點 順位
2005 16 11 5 ? 27 2位 플레이오프 勝利 (2?0, 現代建設 )
챔피언決定戰 勝利 (3?1, 한국도로공사 )
2005-06 28 16 12 ? 16 3位 플레이오프 敗北 (0?2, 한국도로공사 )
2006-07 24 3 21 0.125 ? 5位 ?
2007-08 28 17 11 0.607 ? 2位 플레이오프 敗北 (0?2, GS칼텍스 )
2008-09 28 17 11 0.607 ? 2位 플레이오프 敗北 (0?2, 흥국생명 )
2009-10 28 19 9 0.679 ? 2位 플레이오프 勝利 (3?0, GS칼텍스 )
챔피언決定戰 勝利 (4?2, 現代建設 )
2010-11 24 8 16 0.333 ? 4位 ?
2011-12 30 20 10 0.667 62 1位 챔피언決定戰 勝利 (3?2, 現代建設 )
2012-13 30 5 25 0.167 15 6位 ?
2013-14 30 14 16 0.467 48 3位 플레이오프 敗北 (0?2, GS칼텍스 )
2014-15 30 8 22 0.267 26 6位 ?
2015-16 30 7 23 0.233 22 6位 ?
2016-17 30 15 15 0.500 44 3位 플레이오프 敗北 (1?2, IBK기업은행 )
2017-18 30 12 18 0.400 35 5位 ?
2018-19 30 6 24 0.200 21 6位 ?
2019-20 26 13 13 0.500 36 4位 早期終了
2020-21 30 13 17 0.433 39 5位 ?
2021-22 32 15 17 0.469 46 3位 早期終了

優勝 經歷 [ 編輯 ]

홈구장 [ 編輯 ]

選手 [ 編輯 ]

現在名單 [ 編輯 ]

監督: 고희진

番號 이름 포지션 出生日 國籍
1 이소영 레프트 1994年 10月 17日 176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2 안藝林 세터 2001年 9月 21日 ( 2001-09-21 ) 182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3 염혜선 세터 1991年 2月 3日 ( 1991-02-03 ) 177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4 김세인 레프트 2003年 2月 6日 ( 2003-02-06 ) 172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5 노란 리베로 1994年 3月 17日 ( 1994-03-17 ) 167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6 박은진 센터 1999年 12月 15日 ( 1999-12-15 ) 187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7 이豫設 레프트 2000年 6月 8日 ( 2000-06-08 ) 177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8 메가왓티 센터 1999年 9月 20日 ( 1999-09-20 ) 185 cm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9 서유경 리베로 2002年 5月 2日 167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10 박혜민 레프트 2000年 11月 8日 181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11 곽선옥 레프트 2005年 1月 1日 ( 2005-01-01 ) 178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12 한송이 主張, 센터 1984年 9月 5日 ( 1984-09-05 ) 186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13 淨水池 리베로 2005年 1月 31日 ( 2005-01-31 ) 167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14 김채나 세터 1996年 5月 4日 ( 1996-05-04 ) 173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15 이선우 레프트 2002年 7月 12日 184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17 鄭鎬瑛 레프트 2001年 8月 23日 ( 2001-08-23 ) 190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18 이지수 센터 2003年 6月 18日 ( 2003-06-18 ) 183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19 강다연 센터 2005年 7月 18日 ( 2005-07-18 ) 181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20 최효서 리베로 2004年 5月 20日 ( 2004-05-20 ) 168 cm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77 忌惡바나 센터 1998年 6月 13日 ( 1998-06-13 ) 186 cm 미국의 기 美國

隱退 選手 [ 編輯 ]

코칭스태프 [ 編輯 ]

2023-24시즌 基準.

  • 監督: 고희진
  • 首席코치: 이숙자
  • 코치: 梨薑酒
  • 戰略코치: 김달호
  • 首席트레이너: 신진식
  • 트레이너: 박창배, 권범준
  • 매니저: 신동민
  • 通譯: 김현정

個人 施賞 [ 編輯 ]

슈퍼리그/V투어 個人賞 [ 編輯 ]

슈퍼리그 新人賞

V투어 新人賞

V-리그 個人賞 [ 編輯 ]

V-리그 正規리그 MVP

V-리그 챔프戰 MVP

V-리그 新人選手賞

V-리그 베스트7

V-리그 技倆發展相

得點賞

攻擊上

블로킹上

서브上

守備賞

KOVO컵 個人賞 [ 編輯 ]

KOVO컵 MVP

KOVO컵 MIP

歷代 監督 [ 編輯 ]

鳶島 監督 正規리그 全的
(승?牌)
勝率 플레이오프 全的
(승?牌)
플레이오프
勝率
플레이오프 進出 正規리그 優勝 챔피언決定戰 優勝
1988年?? 우태환 ? ? ? ? 0 0 0
1992年?2006 김형실 1 27-17 0.614 5-3 0.625 2 0 1
2006年?2007 김의성 3-21 0.125 ? ? 0 0 0
2007年?2012 박삼용 81-57 0.587 10?8 0.556 4 1 2
2012年?2016 이성희 34?86 0.283 0?2 0.000 1 0 0
2016年?2019 서남원 27?33 0.450 1?2 0.333 1 0 0
2019年?2022年 이영택 0 0
2022年?現在 고희진 ? ? ? ? 0 0 0
  • 1 全的 및 勝率은 2005年 V-리그 出帆 以後 記錄.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