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길가메시 敍事詩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길가메시 敍事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길가메쉬 敍事詩 에서 넘어옴)

길가메시 敍事詩 (Epic of Gilgamesh)는 古代 메소포타미아 의 敍事詩로 수메르 南部의 都市 國家 우루크 의 傳說的인 王 길가메시(Gilgame?)를 노래하였다. 19世紀 西南아시아 地方을 探査하던 考古學者 들이 수메르의 古代 都市들을 發掘하는 過程에서 發見되었다. 길가메시 敍事詩는 호메로스 의 敍事詩보다 1500年假量 앞선 것으로 評價된다. [ 出處 必要 ]

길가메시 敍事詩의 起源 [ 編輯 ]

"수메르 王 名簿"에 따르면 길가메시 ( 수메르語 이름은 빌가메시 Bil-ga-me?)는 紀元前 28世紀頃 우루크를 126年 동안 支配한 王이었다고 한다. 記錄을 보면 이때 이미 길가메시의 一生이 신비스럽게 꾸며진 것을 알 수 있다. 길가메시의 一生에 關한 傳說은 詩로 만들어져 口傳되었는데, 紀元前 21世紀頃 우르 王이었던 슐機 때, 特히 길가메시에 對한 많은 詩들이 지어진 듯하다. 그때까지 口傳되던 時 몇 篇이 이 무렵에 楔形文字 로 처음 記錄되었을 可能性도 있다. 紀元前 18世紀 記錄된 것으로 推定되는 길가메시(빌가메시)에 關한 詩 다섯 篇의 一部가 現在 傳해지는데 모두 슐機 王 時代에 記錄된 詩들의 寫本日 可能性이 있다.

紀元前 18世紀에 함무라비 王의 古代 바빌로니아 王國이 메소포타미아의 支配者로 登場하며, 아카드語를 使用하는 바빌로니아人들度 길가메시에 對한 傳說을 記錄하기 始作했다. 只今까지 알려진 主要 아카드語 版本 中 가장 오래된 것은 한 句節을 따서 "모든 다른 王들을 凌駕하는 王(Surpassing all other kings)"으로 불리는데 함무라비 王의 在位 期間에 記錄되었다.

紀元前 1300年과 1000年 사이 神레케운니니(Sin-leqe-unnini)라는 詩人이 그때까지 傳해지던 길가메시 傳說을 하나의 敍事詩로 編輯했다고 하는 아카드語 版本을 오늘날 標準版이라 한다. 이 版本은 첫 行을 따 "깊은 곳을 본 이(He who saw the deep)"라고 불린다. 그 後에 發見되는 여러 版本은 어느 程度의 差異는 있어도 모두 標準版을 基礎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 現存하는 가장 完全한 形態의 版本은 니네베 에 있는 아시리아 아슈르바니팔 (在位 紀元前 668年-627年)의 書庫에서 發見된 12個의 粘土板에 記錄된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完全히 傳하지 않아 學者들은 部分的으로 傳해지는 여러 版本으로 全體 모습을 復元하고 있다.

길가메시(길가메쉬)라는 이름의 어원 [ 編輯 ]

  • 길가메쉬가 히타이트語 의 Bilgames(뒷뿌리 -mes: 英雄)에서 왔다고 一部 言語學者들이 主張하지만 假說에 不過하다. [1]
  • 수메르人들은 길가메쉬를 빌가메쉬(Bilgamesh)로 부른 것으로 보인다. 學者들 사이에서 길가메쉬를 歷史的인 實存 人物로 보는 見解에 무게가 실렸다. 그에 따라서 길가메쉬 이름의 語源을 神의 權威를 지녔다는 意味로 解釋하기보다는 永生을 渴求했지만 結局에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人間 運命의 本質을 지녔다는 意味로 解釋하는 見解가 있다. 히브리어(BC1000年 무렵에 記錄)보다 더 오래된 記錄 言語인 수메르語(BC3500~3000年 무렵에 記錄) [2] 로 쓰인 빌가메쉬(Bilgamesh)는 意味上 '빌가(bil-ga)'와 '메쉬(me?)'로 構成되어 있다. '빌가'는 '늙은이, 祖上'이라는 뜻이고 '메쉬'는 '젊은이, 英雄'이라는 뜻으로 '빌가메쉬'는 이 둘이 서로 합쳐진 이름이다. [3]
  • '길가메쉬'를 '길加味쉬(Gilgamish)' 로 表現하기도 하는데, 이는 本來 '氣-빌-아가-美쉬(Gi-bil-aga-mi?)'라고 한다. '基빌'은 불의 神을 의미한다. 이 '氣-빌-아가-美쉬'가 追後에 '기빌가미쉬(Gil-bil-ga-mi?)'로 바뀌고 最終的으로는 'b'가 'u'로 바뀌게 되어서 '길加味쉬(Gil-ga-mi?)'가 되었다고 한다.

敍事詩의 內容 [ 編輯 ]

우루크 의 支配者 길가메쉬는 地上에서 가장 强力한 王으로 3分의 2는 新, 3分의 1은 人間인 超人(超人)이다. 그러나 百姓들이 그의 壓制에 不滿을 터뜨리자 天神(天神) 아누 (Anu)(수메르語로는 안)와 모신(母神) 아루루(Aruru)는 길가메쉬의 힘을 낮추기 위해 엔키두라는 힘센 野蠻人을 만든다. 길가메쉬와 엔키두가 싸우고 豫想外로 길가메쉬가 이기자 둘은 親舊가 된다. 둘은 杉나무 숲의 怪物 把守꾼 훔바바를 征伐하는 冒險을 떠나 그를 죽이고 우루크로 돌아온다. 길가메쉬가 女神 이슈타르 (Ishtar)(수메르語로는 이나나)의 誘惑을 뿌리치자 이슈타르는 아버지인 아누에게 길가메시를 懲罰하기 위해 하늘의 황소를 내릴 것을 要請한다. 길가메쉬와 엔키두는 하늘의 황소를 죽인다. 엔키두가 훔바바와 하늘의 황소를 죽인 데 憤怒한 神들이 엔키두를 죽인다. 親舊의 죽음으로 衝擊을 받은 길가메쉬는 永生의 祕密을 듣기 위해 죽지 않는 唯一한 人間인 우트나피시팀과 그의 아내를 찾아 나선다. 苦生 끝에 우트나피시팀을 만나 大洪水에 對해 傳해 듣고 永遠히 살 수 있는 機會를 두 番 얻지만 모두 失敗하고 우루크에 돌아온다.

"올라와서 그 山을 向하여 보아라[...]!

나는 나의 神聖한 잠을 빼앗겼다.

나의 親舊, 나는 오, 나는 얼마나 不便하고 얼마나... , 얼마나 妨害하는 꿈을 보았다!

나는 그 大草原地帶의 거친 황소를 붙잡았다.

그가 그 땅을 발로 차 올렸기 때문에 그 먼지는 하늘을 뿌옇게 했다.

나는 그 앞에서 물러났다.

그는 나의 옆구리를 强하게 덮칠 것이다.

그는 .... [...] ... 찢어버렸다.

그는 그는 飮食을 주었다... 그는 飮料를 주었고, 그는 나에게 그의 젖은 皮膚로부터 마시게

해주었다.

(그 꿈의 描寫는 마치고 엔키두로 推測되는 그밖에 누군가는 이제 그것을 說明한다.)

"그 神, 나의 親舊에게 우리는 갔고, (10)

이런 形態가 異常하다 해도 거친 황소가 아닐까.

바로 보이는 그 거친 황소는 燦爛한 샤마쉬 이고,

悲歎 속에서도 그는 그의 두 손을 잡을 것이다.

그의 젖은 皮膚로부터 그대에게 마시기 위해 주었던 그 사람,

그는 그대에게 名譽를 주려는 너의 神이다.

우리는 그러므로, 壘褐斑다, 그에게 合하여야 하고,

우리는 죽음을 통해 불명예스럽게 되지 않도록 해야할지도 모른다.

?  길가메쉬 敍事詩 拔萃

聖經과의 類似性 [ 編輯 ]

洪水說話 [ 編輯 ]

길가메시 敍事詩의 一部가 記錄되어 있는 粘土板. 大洪水와 方舟의 建造에 關한 內容이 들어있다. 紀元前 650年頃의 것으로 確認된 아시리아의 粘土板이 니네베에서 發見되어 現在 英國 런던의 英國博物館에 展示되어 있다. 수메르語로 記錄된 紀元前 3世紀 京義 길가메시 敍事詩의 元本 粘土板은 湮滅되었다. [4]

聖經에서 신은 肆惡해진 人間들을 벌하기 위해 洪水를 일으킨다. 길가메시 敍事詩에 包含된 우트나피시팀의 이야기에서 神은 그 數가 너무 많아지고 소란스러워진 人間들을 벌하려 한다. 이 두 이야기는 많은 類似性을 보인다.

  • 新(들)은 洪水를 일으켜 世上의 모든 男子들, 女子들, 아기들, 動物들을 멸망시키려 한다.
  • 新(들)은 正直한 人物 한 名을 選擇한다.
  • 新(들)은 그 人物에게 여러 層으로 된 나무 方舟를 만들도록 命한다.
  • 方舟는 피치로 틈이 봉해지고 많은 船室이 있었다.
  • 그 人物은 方舟를 만들고 다른 몇 名의 사람들과 各 種類의 動物들로 方舟를 채운다.
  • 巨大한 洪水가 汎濫한다.
  • 最初의 山들은 물에 잠긴다.
  • 그 人物은 週期的으로 새를 보내 近處에 陸地가 있는지 살핀다.
  • 처음 보낸 두 마리의 새는 方舟로 돌아 오고 세 番째 새는 陸地를 찾았는지 方舟로 돌아 오지 않는다.(성경에서 처음 보낸 까마귀는 돌아오지 않고(먹을 屍體가 물위에 널렸기 때문에) 中間에 날려보낸 비둘기만 돌아오고 마지막 비둘기는 陸地를 찾아서 돌아오지 않는다.)
  • 그 人物과 그의 家族은 方舟를 떠나 動物 한 마리를 殺生하는 意識을 치르고 그 動物을 犧牲羊으로 바친다.
  • 新(들)은 犧牲羊을 구울 때 나는 냄새를 맡는다.
  • 그 人物은 祝福을 받는다.
  • 新(들)은 洪水에 對해서 遺憾을 表示한다.

기타 [ 編輯 ]

大洪水와 關聯된 象徵이나 敍事 構造를 除外하고는, 大體로 이집트 神話가 보여주는 象徵이나 敍事 構造인, 人間 삶을 餘酲으로 보는 것, 死後 世界의 認定, 神的 人間의 有限한 生命과 復活, 動物魂의 描寫, 神的 存在와의 感應 - 그리스 神話도 그러하지만 - 等의 類似性은, 基督敎 聖經과의 比較를 도리어 無色하게 하므로, 여러 古代 宗敎들이 記錄한 '大洪水機'를 別途의 主題로 設定하고 比較하는 것이 보다 柳意味 할 것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우리말 飜譯 [ 編輯 ]

  • 김산해 지음·옮김, 길가메쉬 敍事詩, 휴머니스트, 2020年 6月 1日

各州 [ 編輯 ]

  1. 出處 必要
  2. 김산해 (2015年 10月 5日). 《最初의 神話 길가메쉬 敍事詩》 1板. (週)휴머니스트 出版그룹. 31, 458, 460쪽. ISBN   89-5862-024-2 .  
  3. 김산해 (2015年 10月 5日). 《最初의 神話 길가메쉬 敍事詩》 1板. (週)휴머니스트 出版그룹. 69쪽. ISBN   89-5862-024-2 .  
  4. 루츠 붕크 (2006). 《歷史와 裵 (클라시커 50)》. 안성찬 옮김. 해냄. 10쪽. ISBN   89-7337-742-6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