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育心理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敎育心理學 (敎育心理學)이란 敎育 에 直接 關聯된 心理學 의 應用分野로서, 心理學의 原理나 方法을 敎育에 適用하고 應用하는 學問이다.

性格 [ 編輯 ]

敎育心理學에 있어 敎育學은 豫想不可能韓 敎室을 背景으로 하고 心理學은 統制된 實驗室을 背景으로 한다. 心理學은 人間行動에 關한 科學的 硏究를 하는 學問이며 人間의 精神生活의 法則을 探究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人間의 形成을 直接的인 目標로 삼고 있는 敎育에는 가장 密接하게 關聯되어 있다. 또한 敎育現象에는 敎育이라는 腸(場)과 敎育活動에 있어서 그 自體의 獨特한 問題와 硏究領域이 있기 때문에 敎育心理學을 더욱 嚴密히 말하면 "敎育이라는 腸(場)에서 提起되는 問題를 心理學的인 立場과 方法에 依하여 解決하고자 하는 學問"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點에서 敎育心理學은 어린이가 出生해서 成人이 될 때까지 敎育的인 發達이 進展됨에 따라 個人의 學習經驗을 技術(記述)하고 說明하여 주는 科學的 心理學이라고 할 수 있고, 또 敎育心理學은 敎育活動에 있어서의 어떻게(how), 언제(when)의 質問에 應答하는 것이 그 任務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敎育心理學을 성립시키는 條件은 敎育이 提起하는 問題와 現代心理學이 提示하고 있는 原理와 方法의 두 가지가 된다. 그러므로 敎育心理學을 硏究하고자 하는 사람은 現在 敎育의 特性과 그것이 心理學에서 解決을 求하고자 하는 問題를 알고, 한便으로는 現代心理學의 立場과 方法을 알 必要가 있다. 敎育心理學科 性格은 密接한 關係가 있다. 周邊環境에 따라서 性格이 달라지고, 性格에 따라 敎育에 따른 사람의 생각이 달라지게 된다.

發達 [ 編輯 ]

敎育心理學은 敎育을 效果的으로 이룩하기 위한 識見이나 技術을 提供하는 學問이라고 그 性格을 規定한다면, '段階式 敎育體系'를 提唱하였고, 그림과 言語를 結合한 最初의 敎科書인 < 世界都會 (世界圖繪)>에 依해서 어린이의 言語敎育 및 視聽覺敎育의 基礎를 提供한 코메니우스 (J. A. Comenuis), <에밀>의 著者 루소 (J. J.Rousseau), 페스탈로치 (J. H. Pestalozzi) 等을 이 分野의 先驅的인 人物로 提示할 수 있으나, 敎育의 方法에서 要求되는 여러 가지 槪念을 心理學的으로 取扱한 것은 헤르바르트 (J. F. Herbart)에 이르러서 最初의 試圖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心理科學的인 立場에서 敎育心理學의 原形을 이룩한 것은 亦是 現代心理學의 始祖인 분트 (W. Wundt)이다. 敎育心理學은 兒童心理學의 發達에 힘을 입은 바 적지 않다. 兒童의 精神發達을 記述하고, 거기에서 發見되는 發達原理를 追求하는 새로운 心理學의 分野인 兒童心理學은 美國의 홀(S. Hall)에 依해 最初로 試圖되었다. 그는 生物學的·人類學的인 領域을 包含하는 發生心理學的인 立場에서 <兒童의 道德的·宗敎的 敎育>(1883) 等을 發表하였다. 이와 같은 兒童心理學에 對한 關心과 學問的인 活動은 敎育心理學의 基礎를 이루게 되었다. 이의 一環으로 獨逸의 모이만 (E. Meumann)은 心理學科 敎育學의 結合을 試圖하는 硏究制度로서, ① 兒童의 精神的·身體的 發達, ② 兒童 個人의 精神能力의 發達, ③ 兒童의 開城, ④ 天賦의 個人差, ⑤ 兒童의 學校生活, ⑥ 各 敎科에 있어서의 學習活動, ⑦ 敎師의 活動·學習指導·學校制度·敎授方法 等으로 分類하여 提示를 하였으며, 이것은 敎育心理學의 學問的 骨格을 이루게 된 것이다. 敎育心理學의 또 하나의 先驅的 業績은 個人差에 關한 硏究이다. 이는 歐美帝國에서 19世紀 後半에서 20世紀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個人差에 關한 硏究의 先驅者는 골턴(F. Galton)으로 <遺傳的 天才>(1869) 및 <人間能力의 硏究>(1883) 等을 發表했고, 美國의 카델(G. M. Cattell)은 客觀的 方法에 依해서 人間의 能力을 測定하여 이것을 實際面에 適用하는 데 努力하였으며, 特히 1893年 以後 每年 칼럼非我 大學의 新入生들에게 實施한 테스트는 멘탈 테스트(mental test)의 始初가 되었다. 그러나 골턴과 카텔의 個人差 測定은 知能檢査로는 結實을 보지 못하고, 프랑스의 비네 (A. Binet)에 依하여 1905年에 파리 初等學校 어린이의 低能兒 鑑別이라는 當時의 敎育界의 要請에 副應해서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幼兒에 關한 硏究는 19世紀에서부터 20世紀初까지 發達하여 왔는데, 幼稚園 敎育의 基礎는 프뢰벨 (F. Fr bel)에 依해 確立되었고, 兒童心理學의 始祖라고 불리는 獨逸의 生理學者 프라이어(W. Preyer) 以後 兒童에 關한 많은 硏究가 이루어졌다. 以上에서 본 바와 같이 敎育心理學의 成立動機는 單純히 心理學科 敎育이 接觸하는 點에서 發生한 것이 아니다.

領域 및 內容 [ 編輯 ]

敎育心理學은 敎育現象의 社會的 제 機能에 關한 心理學으로서 그 領域은 比較的 廣範圍하다. 卽 敎育活動이 社會 안에서 不斷히 成長·發達하고 있는 被敎育者와 敎育者 사이의 作用이라고 본다면, 敎育心理學은 敎育의 場으로서의 社會의 變化現象의 問題(社會心理學), 敎育을 받는 被敎育者, 卽 兒童·學生들의 心理發達의 問題(發達心理學), 그리고 能率的이고 效果的인 指導를 위한 敎育技術의 問題(學習心理學) 等을 모두 包括할 수 있다. 스키너 (Skinner)는 ① 成長과 發達, ② 學習, ③ 性格과 適應, ④ 測定과 評價, ⑤ 敎授와 指導의 分野로 分類하였고, 게이치(Gates) 等은 ① 發達, ② 學習, ③ 測定과 評價, ④ 性格과 適應 等으로 分類하였으며, 크론바흐(Cronbach)는 모든 行動過程을 學習이라는 觀點에서 取扱했다.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問題들을 敎育心理學의 領域으로 取扱한다.

發達心理 [ 編輯 ]

敎育의 目的이 被敎育者의 바람직한 發達을 助長함에 있다면, 身體 및 精神的인 面에서 不斷히 成長하는 兒童 및 靑年의 發達過程과 그 速度, 諸般 行動樣式과 精神能力의 發達關係, 成熟과 學習의 機能, 行動의 變容과 衰退, 새로운 行動樣式의 出現 等에 對하여 敎育的 側面에서 包括的으로 硏究하는 分野이다.

學習心理 [ 編輯 ]

敎育活動 中에서 가장 中心이 되는 것은 學習이다. 敎育心理學에 있어서 學習의 硏究는 敎育目標에 비추어 學習이 어떻게 進陟되고 있는가에 關心을 가지며, 敎育과 生活의 場으로서의 學校에서 學生들이 어떻게 敎育目標에 接近하려는 活動을 하는가, 또 最善의 條件이 무엇인가를 硏究하는 것이다. 特히 學習의 原理, 類型 問題解決, 學習의 效果와 轉移(轉移) 等의 問題는 敎育心理學의 中心課題로 손다이크(Thorndike) 以後 많은 發展이 이루어졌다.

精神衛生과 指導 [ 編輯 ]

個人이 社會와의 相互關係에서 어떻게 調和되며 情緖的으로 安定感을 얻고 共同生活에 參與할 수 있게 되는가는 精神衛生的人 側面에서 重要하다. 더욱이 不適應兒(不適應兒)를 適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깊은 理解와 敎育心理學的 洞察이 要求되며, 이 밖에도 敎師와 學生關係에서의 學生의 精神衛生問題, 敎師의 精神健康·資質·人性(人性)·適格性의 問題는 重要한 課題가 되고 있다.

評價 [ 編輯 ]

評價라고 할 때 많이 混用되는 單語가 測定(measurement), 檢事(test), 事情(assessment), 評價(evaluation)이다. 그러나 이런 單語의 槪念은 混用될 수 없는 各其 다른 意味를 지니고 있다. 測定은 어떤 對象에 對한 特性을 數量化하는 것으로 直接測定과 間接測定으로 나눌 수 있다. 性格, 動機, 信念等과 같은 人間에게 潛在된 特性은 直接的인 測定이 어려워 間接測定을 한다. 事情은 意思決定에 必要한 資料를 蒐集하고 評價하는 過程이다.

評價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目的을 위해 使用될 수 있다.

  1. 다양한 方式으로 蒐集한 貞操를 통해 敎授,學習過程을 設計하고 修正할 수 있는 피드백을 받는다.
  2. 敎師는 學生의 發達 水準이나 能力 水準을 診斷하여 學生을 理解하고 그에 적합한 意思決定을 내릴 수 있다.
  3. 學生은 敎授,學習過程에서 自身들이 무엇을 얼마만큼 成就했는지 評價를 통해 確認하게 된다.
  4. 評價는 學生의 同期에 肯定的 또는 否定的 影響을 미칠 수 있다.
  5. 評價는 父母에게 學生을 理解할 수 있는 情報를 提供해 준다.

集團心理 [ 編輯 ]

集團의 心理的 傾向은 成員의 人格的 相互作用에서 나타나는 結果이며, 成員은 相互關係에서 集團生活의 方法을 學習하게 된다. 最近에는 集團의 形成과 變化過程에서 惹起되는 心理關係를 糾明하는 集團力動(group dynamics) 分野가 나타나 있고, 敎育心理學에서는 集團의 構成·凝結性·詐欺·安定性 等을 糾明하여 成員間의 牽引과 反撥의 關係를 밝힘으로써 이들을 바람직하게 指導하는 데 한 領域을 擔當하고 있다.

硏究方法 [ 編輯 ]

人間機能은 環境에 對해서 끊임없이 變化되므로 硏究領域은 매우 廣範圍하다. 人間을 다루는 敎育心理學의 科學性은 相對的인 科學으로서, 熟鍊된 硏究者에 依해서 正確을 期하고 客觀的으로 立證할 수 있는 方法을 擇해야 한다. 敎育心理學의 한 方法으로서 實驗的인 方法만 하더라도, 實驗室 內의 實驗과 實驗室 밖의 敎育現場의 實驗을 竝用하는 것이 條件 統制 및 造作上의 長點을 살릴 수 있다.

敎育心理學의 具體的인 方法으로 重要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觀察法 ― 自然的 觀察法, 實驗的 觀察法, 內觀法(內觀法).
  2. 調査法 ― 質問紙法, 診斷目錄法, 面接法.
  3. 檢事 測程法 ― 標準化 檢事, 投射法(投射法), 評定法.
  4. 臨床硏究法 ― 逸話記錄法, 自敍傳法, 作品分析法, 事例 硏究法.
  5. 敎育統計法.

敎育心理學 硏究의 새로운 接近法을 方法上의 基本側面에서 分類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規範的 接近 ― 特定集團의 平均과 平均的인 變化와 形態에 對하여 關心을 가지며, 橫斷的(cross-sectional) 硏究方法과 種蓄積(longitudinal) 硏究方法이 있다
  2. 說明的 接近 ― 發達過程에서 일어나는 여러 現象의 技術(記述)과 發達上의 變化를 가져오는 決定的인 原因을 發見하려는 데에 集中한다
  3. 自然的 接近 ― 實生活에서 일어나는 反復된 行動을 單純히 觀察하고 記述한다.
  4. 造作的 接近 ― 硏究目的에 따라 環境을 操作하거나 人間行動을 統制하는 것을 前提로 하는 方法이다.
  5. 同時的 接近 ― 現在의 環境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두 가지 以上의 現實間의 關係를 硏究한다.
  6. 歷史的 接近 ― 現在 일어나고 있는 어떤 行動的인 特徵을 過去의 經驗에서 찾는 데 重點을 둔다.
  7. 無理論的 接近 ― 人間의 心理的 特性을 但只 調査하고 記述하는 데 重點을 둔다.
  8. 理論的 接近 ― 提示된 理論을 中心으로 導出된 假說을 檢證하는 方法 等이 있다.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