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ERG 理論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ERG 理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ERG 理論 은 1972年 心理學者 C.Alderfer 가 人間의 欲求에 對해 매슬로의 欲求段階說 을 발전시켜 主張한 理論이다. 人間의 欲求를 重要度 順으로 階層化했다는 點에서는 매슬로의 欲求段階說 과 同一하게 定義하지만, 그 段階를 5個에서 3個로 줄여 提示하였다는 點과 直接 組織 現場에 들어가 硏究를 實行했다는 點에서 差異를 보인다.

ERG理論 原理 圖式化

原理 [ 編輯 ]

ERG 理論에서는 한 가지 以上의 欲求가 同時에 作用할 수 있다는 點과 人間의 行動은 欲求들의 複合的 性格을 追求하고 있다는 點이 特徵的으로 나타나고 있다. C.Alderfer ERG理論 의 基本原理는 欲求挫折, 欲求强盜, 欲求滿足 세가지로 說明 할 수 있다.

ERG 理論에서의 欲求는 存在欲求, 關係欲求, 成長欲求 의 세가지로 나뉜다.

存在欲求( E xistence needs) [ 編輯 ]

內容 基本的인 欲求로 飮食, 空氣, 물, 賃金 그리고 作業條件과 같은 것에 對한 欲求
例示 배고픔, 渴症, 安息處 等과 같은 生理的, 物質的 欲望으로서 俸給과 快適한 物理的 作業 條件과 같은 物質的 欲求가 이 範疇에 屬한다. 이 存在欲求는 매슬로우의 生理的 欲求와 物理的 側面의 安全欲求에 該當한다고 할 수 있다.

關係欲求( R elatedness needs) [ 編輯 ]

內容 意味있는 社會的, 個人的 人間關係 形成에 依해서 充足될 수 있는 欲求
例示 職場에서 他人과의 對人關係, 家族, 親舊 等과의 關係와 關聯되는 모든 欲求를 包括한다. 關係欲求는 매슬로 의 安全欲求와 社會 欲求, 그리고 尊敬欲求의 一部를 包含한다고 볼 수 있다.

成長欲求( G rowth needs) [ 編輯 ]

內容 個人의 生産的이고 創意的인 貢獻에 依해서 充足될 수 있는 欲求
例示 個人의 創造的 成長, 潛在力의 極大化 等과 關聯된 모든 欲求를 가리킨다. 이러한 欲求는 한 個人이 自己 能力을 極大化할 뿐만 아니라 能力開發을 必要로 하는 일에 從事함으로써 欲求充足이 可能한 것이다. 이 成長欲求는 매슬로 의 自我實現 欲求와 尊敬欲求에 該當한다고 할 수 있다.

作用 原理 [ 編輯 ]

作用 原理 適正 크기

ERG 理論에서는 위의 세가지 欲求가 다음과 같은 原理로 作用한다.

  1. 欲求挫折(Needs frustration)은 高次元 欲求인 成長欲求가 充足되지 않으면 低次元 欲求인 關係欲求를 더욱 願하게 된다는 것이다.
  2. 欲求强盜(Needs strength)는 低次元 欲求인 存在 欲求가 充足 될수록 高次元 欲求인 關係欲求에 對한 바람이 커진다는 것으로 매슬로의 理論 과 같은 視角을 가지고 있다.
  3. 欲求滿足(Needs satisfaction)은 各 水準의 欲求가 充足되지 않을수록 그 欲求에 對한 渴望은 더욱 커진다는 것이다.

特徵 [ 編輯 ]

매슬로의 欲求段階說 은 生理的 欲求, 安全의 欲求, 社會的 欲求(愛情과 所屬의 欲求), 尊敬의 欲求, 自我尊重과 自我實現의 欲求까지 5가지로 나뉜다. ERG 理論은 이를 3次元인 存在欲求(existence needs), 關係欲求(relatedness needs), 成長欲求(growth needs)로 縮約시켰다. 存在欲求는 매슬로 의 生理的 欲求와 安全의 欲求의 一部, 關係欲求는 安全 欲求의 一部, 社會的 欲求와 尊敬의 欲求, 成長欲求는 매슬로 의 尊敬 欲求의 一部(自我尊重)과 自我實現의 欲求로 各各 對應된다. 例를 들자면 年金制度, 保守, 厚生 福祉 制度, 勤務環境에 關한 欲求가 存在欲求에 該當하고 同僚 및 商社와의 疏通에 對한 欲求가 關係欲求에 該當하며, 能力 發展이나 職業에 對한 自矜心에 對한 欲求 等이 成長欲求에 該當한다.

ERG 理論에 따르면 上位에 있는 欲求를 充足시키지 못하면 보다 下位의 欲求가 더욱 增加하여 이를 충족시키려면 旣存의 몇 倍나 더 努力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卽, 欲求를 段階的인 계층적 槪念이 아닌 欲求의 具體性 程度에 따라 分類 한 것이기 때문에 欲求 間의 順序가 있는 것이라고 把握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個個人 마다 세 가지 欲求의 相對的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個人의 性格과 文化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한다.

다른 動機附與 理論들과의 差異點 [ 編輯 ]

주장자에 따른 欲求 正義의 差異 [1]

매슬로의 欲求段階說 과의 差異點 [ 編輯 ]

C.Alderfer 의 ERG 理論은 下位欲求의 充足이 上位欲求에 對한 欲望을 더 커지게 한다는 點에서 매슬로의 理論 과 基本的인 時刻을 같이한다. 다만, 매슬로의 理論 과의 主要한 差異點이 存在한다.

  1. 低次 欲求가 만족되면 高次 欲求로 進行된다는 매슬로의 欲求段階說 에 비해 C. Alderfer 의 ERG 理論은 挫折-退行 (frustration-regression) 要素를 追加하였다. 挫折-退行은 高次 欲求가 充足되지 않았을 때 오히려 低次 欲求의 重要性이 커지고 그에 따라 바라는 바도 커진다는 主張이다. 欲求充足行動은 滿足-進行 (satisfaction-progression)과 挫折-退行 (frustration-regression)으로 나뉜다. 卽 滿足-進行 行動이란 下位 水準의 欲求가 만족되면 上位 水準의 欲求가 剛하게 나타난다는 것으로, 매슬로의 理論 과 같은 脈絡으로 說明할 수 있다. 挫折-退行 行動이란 上位 水準의 欲求를 追求하다가 挫折되면 下位 水準의 欲求로 내려가는 것을 말한다. 例를 들어서 成長欲求次元에서 自己 能力에 맞는 보람 있는 일을 하려다가 挫折되면 同僚와의 關係를 더욱 緊密하게 維持하는 것과 같이 關係 欲求를 强化한다는 것이다. 挫折-退行의 假說은 欲求의 挫折이 가져오는 組織 管理的 意味를 具體的으로 浮刻시켜주었는데 關係欲求나 成長欲求가 挫折되었을 때 그 下位段階의 欲求를 더욱 渴望하게 된다는 主張은 關係欲求의 挫折이 存在欲求의 一部인 金錢的 補償을 더 많이 要求하게 한다는 點을 示唆하고 있다. 從業員들은 精神的, 心理的 成長을 願하고 있고, 組織이 그것을 適切하게 報償하지 못하는 境遇 組織은 이에 相應하는 費用을 치러야 한다는 것으로 經營者에게 從業員의 高次 欲求 充足의 必要性을 鼓吹하고 있다. [2]
  2. 欲求段階說 과 달리 ERG 理論은 人間行爲에 한 가지 以上의 欲求가 同時에 作用할 수 있다고 假定하였다.
  3. ERG 理論은 欲求段階說 에서 가장 많은 批判을 받았던 ‘低次元 欲求 充足이 高次元 欲求에 對한 必須的인 先行條件’이라는 것을 排除하고 오히려 高次元 欲求에 對한 缺乏이 低次元 欲求의 重要性을 더욱 强調하게 된다는 假定 下에 ERG 理論을 定立하였다.

衛生理論(2要因理論)과의 差異點 [ 編輯 ]

  • 허즈버그의 動機附與-衛生理論 은 職務不滿足을 결정짓는 衛生要因과 職務滿足을 결정짓는 動機要因으로 나누어 動機附與를 說明하는 理論이다. 成就, 認定, 職務 그 自體, 責任, 成長과 같은 要因들은 職務 不滿足에 미치는 影響보다 職務 滿足에 미치는 影響이 훨씬 크다. '成就'要因으로 例를 들면 일 하면서 成就感을 얻었을 때 느끼는 滿足이 成就感을 얻지 못 했거나 잃었을 境遇의 喪失感보다 훨씬 크다. 이와 같이 어떤 要因의 充足與否에 따라 오는 滿足感이 喪失感보다 크면 動機要因(Motivators)이라고 한다.
  • 會社 政策과 運營, 監督, 職務環境, 上級者와의 關係, 同年輩와의 關係, 下級者와의 關係, 地位, 安全과 같은 要因들은 充足되지 않았을 때의 喪失感이 充足되었을 때의 滿足感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會社 政策과 運營으로 例를 들면 會社의 政策이 遵守하고 공정할 때 느끼는 滿足感보다 政策이 未洽하고 不公正할 때 느끼는 不滿이 더 크다. 이와 같은 要因들을 衛生要因(Hygiene)이라고 한다.
  • 衛生理論 은 여러 가지 項目들을 調査해서 衛生要因과 動機要因이라는 두 가지 項目으로 分類한다. 卽 어떤 要因들이 滿足感 提供에 特化되어 있고 不滿 惹起에 特化되어 있는지 區分한다. 어떤 具體的인 要因들이 動機附與를 시키는지 不滿足을 惹起하는지 區分지어서 說明하는 衛生理論 과 欲求의 種類를 探究한 ERG 理論은 動機附與를 바라보는 觀點이 다르다. ERG 理論은 欲求의 種類를 細分化하여 低次元的인 段階, 高次元的인 段階의 滿足을 나눌 수 있지만 衛生理論 에서는 滿足과 不滿足이라는 두 가지 境遇 수만 있다. 따라서 ERG 理論에 따르면 職務滿足과 職務不滿足은 關聯되어 있다. 滿足과 不滿足은 相互的이며 서로 影響을 미친다. 어떠한 段階에서의 不滿足은 다른 段階의 滿足을 下落시킬 수 있고 滿足은 또 다른 滿足을 惹起시킬 수도 있는 것처럼 流動的으로 影響이 發生한다.
  • 衛生要因에서의 職務滿足과 職務不滿足은 서로 獨立的이며 別個의 槪念이다. 職務滿足을 惹起시키는 것은 따로 있고 職務不滿足을 惹起시키는 것도 따로 있다는 것이다. 職務滿足 狀態가 職務不滿足의 拂拭을 惹起하지 않으며 職務不滿足度 職務滿足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둘을 決定 짓는 要因들은 모두 相互關聯 없이 區分되어있기 때문이다. 例를 들어 成就感은 職務滿足을 상승시키지만 會社 政策과 運營이 未洽한 點에서 오는 不滿足은 따로 存在하고 成就感에 依해 減少하지 않는다. 따라서 衛生要因에 따르면 企業은 職務不滿足을 감소시키는 試圖와 職務滿足을 상승시키는 試圖는 서로 獨立的으로 運營해야 한다.

X-Y理論 과의 差異點 [ 編輯 ]

  • 같은 動機附與 理論의 範疇에 묶일 수는 있지만 ERG 理論과 McGregor의 X-Y理論 은 始作을 달리한다. ERG 理論은 個人의 欲求 把握이라는 側面에서 理論을 展開하지만 X-Y理論 은 從業員을 바라보는 企業의 時點 側面에서 理論을 展開한다. '個人의 欲求에는 어떤 種類가 있으며 어떻게 充足되는가?'와 '企業의 立場에서 從業員은 어떠한 存在인가?'라는 다른 물음으로 始作된 것이다.
  • X理論은 從業員이 게으르고 企業에 非協調的이라서 嚴格한 規律과 補償으로 다스려야 한다는 理論이다. 그에 反해 Y理論은 從業員은 能動的이고 自我實現의 機會로 補償을 받으면 企業에 協調的일 수 있다는 理論이다. 이렇게 McGregor의 X-Y理論 銀 두 가지 相反된 企業의 視角을 理論으로 提示한 것이지 欲求에 對한 根本的인 分析을 探究한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McGregor의 X-Y理論 매슬로의 欲求段階說 만큼 C.Alderfer 의 ERG 理論과 直接的으로 比較될 수는 없다.
  • 比較가 必要하다면 둘 中 한 가지 理論을 다른 理論에 適用시켜 보는 것으로 間接的인 比較가 可能하다. X理論은 企業이 主로 物質的 賞罰과 規律로 動機附與를 한다는 點에서 ERG 理論에서의 存在欲求만이 考慮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反面 Y理論은 從業員의 自我實現을 補償의 機會로 提供하고 일을 즐겁게 할 수 있는 環境을 提供한다는 點에서 關係欲求와 成長欲求度 考慮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RG 理論은 X理論의 觀點보다 Y理論의 觀點에서 더욱 그 意味가 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X理論에서는 單純하게 한 가지 欲求만을 考慮하지만 Y理論에서는 세 가지로 細分化된 ERG 理論의 모든 欲求들을 適用시키기 더 쉽기 때문이다.

事例 [ 編輯 ]

經營學的 事例 [ 編輯 ]

1. 'H'自動車 會社에서 動機附與가 職務滿足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實證硏究 [3]

  • 個人의 動機附與(存在欲求, 關係欲求, 成長欲求)와 職務滿足 間의 關係
  • 調節 變數로서 組織支援認識과 職務滿足 間의 關係

2. 職業選擇動機와 職務滿足 및 移職意圖 間의 關係에 關한 功ㆍ社 比較 硏究. [4]

  • 存在欲求, 關係欲求, 成長欲求 等의 3가지 次元의 職業選擇動機와 職務滿足 間의 關係
  • 公共組織 및 民間組織 勤勞者들의 職務滿足 向上에 있어 3가지 次元으로 構成된 職業選擇同期의 相對的 重要性 檢證을 통해 두 組織 間 差異點을 發見
  • 個人-職務 適合性이 組織社會化 要因으로서 重要한 調節 變數의 役割

3, ERG 要因이 組織有效性에 미치는 影響에 對한 調節效果 硏究 [5]

  • ERG 理論을 理論的 틀로 한 分析模型을 適用하여 自發과 비자發 勤勞者에 따른 組織有效性 分析
  • ERG 理論의 欲求 槪念들은 個人의 自我 正體性, 信念 等 價値觀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欲求充足이 勤勞者의 職務態度나 職務行動에 影響을 줄 可能性이 濃厚하다 家庭
  • 欲求 充足 槪念을 利用하여 勤勞者에게 政敵인(+) 變化를 促進시킬 수 있다는 點 示唆

社會學的 事例 [ 編輯 ]

1. 聖人의 生涯週期別 主觀的 幸福感과 影響要因에 關한 硏究 [6]

  • 靑年層, 中年層, 老年層의 欲求別 滿足度와 幸福感

2. 北韓의 90年代 食糧難을 以後로 北韓 住民들의 職務動機 變化 [7]

  • 가장 낮은 段階의 欲求인 生存에 對한 欲求 增加
  • 生存을 위한 欲求가 增加 함으로써 對人關係에 對한 欲求와 自己 成長에 對한 欲求 退行

3. 動機附與와 史記의 關係에 關한 時論的 硏究 : 人口統計學的 變數의 調節效果를 中心으로 [8]

  • 매슬로의 欲求段階에 따라 나눈 動機附與 要人을 獨立變數로, 公務員들의 士氣를 從屬變數로 調査
  • 要因分析을 實施한 結果, 3次元으로 나누어져 ERG 理論과 類似한 分析 結果 導出

評價 [ 編輯 ]

ERG 理論은 人間의 行爲를 說明함에 있어서 에이브러햄 매슬로 欲求段階說 보다 彈力的이며 欲求 構造에 있어 個人的인 差異가 많을 수 있다는 것을 認定하고 있으나, 關係欲求 의 充足이 成長欲求 의 增大를, 그리고 成長欲求 의 挫折이 關係欲求 의 增大를 가져온다는 主張에 對해서는 硏究에 따라 結果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기도 하다. [9]

ERG 理論에 對한 實證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 欲求의 分類가 세 가지로 되어 있다는 것은 實證硏究結果 立證 되었다.
  • 滿足-進行, 挫折-退行의 일곱 가지 作用原理의 成立 與否에 關해서는 混合된 結果들을 보여주고 있다.

두 番째의 成立 與否의 混合된 結果들은 ERG 理論이 作用하는 過程에 다른變數(調節 變因)가 作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ERG 理論은 實證的 硏究結果를 重視하고 그에 根據하여 理論構成을 試圖하였다는 點에서 매슬로 의 理論보다 進一步 했다고 보여지나 欲求 中心 理論이 갖은 限界를 벗어날 수는 없었다고 보인다. [10] 또한, 組織行爲論 硏究者들은 ERG 理論이 欲求 槪念에 根據를 둔 動機附與 理論으로는 가장 妥當性 있는 理論이라는 評價를 내리고 있으며, 매슬로 欲求段階說 은 勿論 허즈버그의 理論 [11] 보다 훨씬 效果的인 方案이라고 認定하고 있다. [12]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Wanous & Zwany, 1987: 김범국 外 1998
  • Herzberg's motivation-hygiene theory (A.K.A two-factor theory)
  • Mayes, 1978: 신유근, 1987

各州 [ 編輯 ]

  1. 朴, 軟性 (1988). 《現代組織行政論》. 박영사. p.349쪽.  
  2. 김범국 外, 『組織行爲論』, 제주대학교 出版部, (1998)
  3. 'H'自動車 會社에서 動機附與가 職務滿足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實證硏究(組織支援認識의 調節役割을 中心으로) 蔚山大學校, 오종환, 2011
  4. 職業選擇動機와 職務滿足 및 移職意圖 間의 關係에 關한 功?使 比較 硏究 個人-職務 適合性의 調節效果를 中心으로, 김선아,민경률,이서경,朴聖敏 韓國行政硏究 第22卷 第3號 2013
  5. 이, 每結; 이, 금희; 卷, 瞬息 (2015.03). “ERG 要因이 組織有效性에 미치는 影響에 對한 組졀效果 硏究”. 《人的資源管理硏究》 第22卷 (第1號): pp73~100.  
  6. 聖人의 生涯週期別 主觀的 幸福感과 影響要因에 關한 硏究, 2014 : 김미혜,문정화,성기옥
  7. 食糧難을 前後로 한 北韓 住民의 職務動機 變化 分析 2009 : 김용순, 양효원
  8. 動機附與와 史記의 關係에 關한 時論的 硏究 : 人口統計學的 變數의 調節效果를 中心으로, 2013 : 서원석,김형성,황성원
  9. Wanous & Zwany, 1987: 김범국 外 1998
  10. 백, 祈福 (2011年 2月 21日). 《組織行動론》 第5板. 창민사. pp149쪽. ISBN   978-89-90359-57-5 .  
  11. Herzberg's motivation-hygiene theory (A.K.A two-factor theory)
  12. Mayes, 1978: 신유근, 1987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