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10가지 災殃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10가지 災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지막 災殃인 莊子의 죽음 場面을 記錄하고 있는 14世紀의 聖經 揷畵.

10가지 災殃 出埃及 事件과 關聯한 災殃이다. 出埃及記 에 記錄된 바에 依하면, 이집트를 떠나고자 하는 히브리 百姓들을 떠나지 못하게 파라오 가 妨害한 것에 對한 代價로 야훼 가 이집트에 내린 열 가지 災殃을 意味한다. 이스라엘의 歷史와 救贖史 의 觀點에서 큰 影響力을 가진 事件이다. 各各의 災殃은 파라오와 古代 이집트에서 崇拜했던 神에 對한 挑戰으로 解釋된다. [1] 또한 이스라엘의 神 같은건 모른다는 파라오의 發言에 對한 代價이자 가르침으로 解釋되기도 한다. [2] :117

10가지 災殃의 內容 [ 編輯 ]

첫 番째 災殃: 피 (출 7:14-25) [ 編輯 ]

講을 피로 變하게 한 첫 番째 災殃. 제임스 티소 그림.

여호와는 바로가 自身이 어떤 분이신지를 알도록 하기 위해서 災殃들을 내리기로 決定하였고, 그 첫째 災殃이 바로 애굽의 젖이며, 神으로 崇拜되는 나일 江이었던 것이다. 첫째 災殃은 애굽 사람들이 神으로 믿고 있는 것이 모두 헛된 것이며, 오직 여호와 하나님만이 唯一한 神이시며 全能한 創造主이심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런 첫째 災殃은 눈에 보이는 모든 물을 피로 바뀌게 함으로써 生命의 根源인 물이 죽음의 象徵인 피로 바뀌었음을 애굽 사람들이 보게 하려는 目的이 있다. 왜냐하면 애굽 사람들에게 ‘生命(물) ’을 ‘죽음(피) ’로 만드시는 분이 여호와이심을 보여줌으로써 여호와 하나님만이 生命을 左右하시는 唯一한 創造主이심을 보여주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 災殃은 無慮 一週日동안 애굽 사람들이 그토록 자랑하던 나일 江을 죽음과 苦痛의 場所로 바뀌게 했다. [3]

두 番째 災殃: 개구리 (출 8:1-15) [ 編輯 ]

나일 江에 살고 있던 개구리는 ‘門나 모지리카’( 學名 Moonna Mozirica ) 라는 學名을 가진 개구리이다. 애굽人들은 나일 江이 汎濫했다 減해지는 때에 보이는 개구리가 애굽 땅을 기름지게 한다고 여겨서 神聖視했다. 人間의 몸에 개구리의 머리를 가진 女神 헤케트 를 豐饒와 多産의 神이며, 나일 江에 장마를 가져다 주는 神으로 섬기고 있었다. 개구리들의 이른 浸透로 인해서 王은 汚染된 飮食을 먹게 되었고, 이것은 곧 健康에 害를 입게 되는 것으로 連結된다. 그리고 이것은 바로만이 아니라 그의 臣下들도 마찬가지고, 애굽 百姓들도 마찬가지다. 卽 애굽 사람들 全體가 汚染된 飮食으로 큰 被害를 입게 되었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런걸 보면 개구리들이 애굽 온 땅에 가득하게 된 것은 애굽의 ‘땅’李 汚染되는 結果를 가져오고, 結局에는 애굽 땅 自體가 사람이 살 수 없는 땅으로 荒廢하게 變한다는 ‘總體인 汚染’을 意味한다. [3]

세 番째 災殃: 이 (출 8:16-19) [ 編輯 ]

세 番째 災殃에서부터는 애굽 呪術師들이 그들의 敗北를 公式的으로 認定하며, 이 災殃이 하나님의 權能이라고 告白하며 바로를 說得한다. 세 番째 災殃은 아무런 警告가 없었던 災殃 中 하나이다. 이 災殃은 땅으로부터 始作된 災殃으로 땅의 神 ‘게브’와 聯關된다. 애굽人들은 밭을 갈 때마다 大地의 神 게브에게 感謝를 드렸는데, 이들에게 흙은 生命과 豐饒를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여호와 하나님는 애굽 사람들이 生命으로 여기는 흙을 통해 애굽人들에게 괴로움과 죽음을 내린다. 또한 애굽의 ‘땅’을 荒廢化 시키시고, 同時에 땅의 神 게브와의 靈的인 戰爭을 통해서 여호와 하나님 自身이 누구이신지를 애굽人들에게 알게 하였다. [3]

네 番째 災殃: 파리 (출 8:20-32) [ 編輯 ]

以前의 첫째 災殃부터 셋째 災殃까지는 이스라엘 百姓들도 包含되었는데 넷째 災殃부터는 여호와가 이스라엘人과 애굽人들 사이를 區分지으셨다. 이를 通해 여호와가 애굽땅을 管掌하고 계심을 보여준다. 네 番째 災殃과 關聯된 애굽의 神은 ‘케프리’이며, 풍뎅이의 모습을 하고 있고 하루 日程을 管理하는 神으로 崇拜되고 있다. 네 番째 災殃은 두 番째, 세 番째 災殃과 한 세트를 이루는데, 네 番째 災殃인 파리는 물과 땅에 聯關된 것이고 이 세 災殃은 여호와가 물과 땅과 空氣를 支配하는 분이심을 드러내심과 同時에 애굽의 물과 땅과 空氣가 破壞되고 있음을 象徵하기도 한다. [3]

다섯 番째 災殃: 家畜 돌림病 (출 9:1-7) [ 編輯 ]

다섯 番째 災殃도 애굽人과 이스라엘 百姓을 區分하신다. 애굽의 家畜들만 甚한 돌림病에 걸리게 된다. 또한 家畜의 죽음을 통해 只今까지는 創造된 것들을 통해서 애굽을 審判하였지만 이番 災殃은 創造된 것을 ‘죽이는 일’로 審判을 進行하여 ‘죽음 모티브’가 始作된다. 本文에 나오는 ‘여호와의 손’이라는 表現은 여호와의 能力을 말할 때 쓰이는 특별한 單語이다. 그리고 이것은 돌림病이 여호와의 能力으로 일어난 것임을 分明히 보여준다. 다섯 番째 災殃을 통해 審判한 애굽의 神들 하토르 , 아피스 等이 있다. [3]

여섯 番째 災殃: 惡性 腫氣 (출 9:8-12) [ 編輯 ]

여섯 番째 災殃인 惡性 腫氣의 災殃. 1411年에 製作된 聖經 揷畵.

여섯 番째 災殃은 세 番째 災殃처럼 아무런 警告 없이 애굽을 强打하여 어떤 警告에도 反應하지 않는 바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처음으로 사람의 生命을 威脅하는 災殃이다. 바로王 앞에 날려진 재는 甓돌을 굽던 풀무에서 끄집어낸 在日 것이며 이것은 여호와의 百姓이 當한 苦難의 證據로 볼 수 있다. 特別히 눈여겨 볼 것은 呪術師들度 바로와 그의 臣下들도 惡性 腫氣로 苦痛을 받아 여호와 앞에서 漸漸 애굽의 統治權을 잃어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여섯째 災殃을 통해 審判한 애굽의 신은 임호테프 이다. [3]

일곱 番째 災殃: 雨雹 (출 9:13-35) [ 編輯 ]

大氣와 空中에 關聯된 災殃. 雨雹 災殃은 人間 生命을 大規模로 威脅하는 첫番째 災殃으로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雨雹으로 인한 보리와 삼의 破損 - 이스라엘 百姓들에게 짚을 求해다 甓돌을 만들라고 했던 바로의 要求에 對한 報復, 大氣의 神 와 農業의 神 이시스 , 濕氣의 神 테프누트 를 겨냥한 것이다. 여호와의 ‘區別’로 因해서 이스라엘 百姓들이 살고 있던 고센 땅에는 全혀 被害가 없었다. 生命과 關聯된 災殃으로 ‘警告’를 통해서 避할 方法을 알려주였다. [3]

여덟 番째 災殃: 메뚜기 (출 10:1-20) [ 編輯 ]

農耕 地域에서 가장 두려워하는 災害 中에 하나이다. 왜냐하면 모든 穀食을 瞬息間에 破壞해버리는 災殃이었기 때문이다. 이 結果로 深刻한 飢饉을 招來했다. 땅의 神에 對한 靈的 戰爭으로 내려진 災殃이다. 메뚜기로부터 땅의 所産을 지켜주는 땅의 神에 對한 無能함과 이스라엘을 救援하시는 하나님에 對한 偉大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애굽의 神들이 얼마나 無力한가를 보았을 때, 애굽의 信仰은 散散이 무너지고 말았다. [3]

아홉 番째 災殃: 黑暗 (출 10:21-29) [ 編輯 ]

스페인에서 그려진 아홉 番째, 열 番째 災殃. 1490年代에 木版畫로 製作됨.

이 災殃은 여호와가 ‘世上에서 가장 해가 잘 드는 나라’ 위에 내린 것이다. ‘太陽의 집’ 을 의미하는 헬리오폴리스라 불리는 都市는 太陽崇拜의 中心地였다. 그렇기 때문에 黑暗 災殃은 애굽人들의 最高의 新人 太陽神 를 그들로부터 빼앗고 여호와만이 神 中의 信任을 證明하는 災殃이었다. 3日동안 災殃이 일어났다. [3]

열 番째 災殃: 莊子의 죽음 (출 12:29-30) [ 編輯 ]

古代 이스라엘에서는 莊子와 처음 난 짐승들을 특별하게 생각했다. 땅에서 처음 난 것과 家畜의 처음 난 것처럼 女人의 몸에서의 맏아들도 여호와가 준 첫 膳物로 여겨졌고, 이것에 對한 感謝의 뜻으로 여호와께 돌려지는 것이 當然하다고 여겨졌다. 그리고 이것은 이스라엘만이 아니라 애굽度 마찬가지였다. 이게 神聖視 되고 貴하게 여겨졌던 바로의 莊子와 애굽의 모든 莊子, 그리고 처음 난 것들을 죽이는 災殃이 바로 莊子의 죽음 災殃이었다. 이 災殃은 茶山의 新人 오시리스 와 生命의 新人 이시스 에 對한 災殃이다. 바로는 太陽神의 現身이며, 바로의 莊子는 靑年의 肉體를 입은 호루스 라고 볼 수 있었다. 그런 神의 現身에 한 열 番째 災殃은 바로의 王位 繼承者를 없애는 災殃이었다. 그런 莊子의 죽음을 통해 여호와의 完全한 勝利가 나타나게 되었고, 이 災殃 以後에 바로는 敗北를 認定하고 이스라엘 百姓들의 出埃及을 認定하게 된다. [3]

神學的 意義 [ 編輯 ]

여호와는 애굽에서의 靈的인 戰爭을 통해 自身이 누구이신지를 分明히 드러내심으로 애굽人들 뿐만이 아니라 여호와의 戰爭을 지켜보았던 이스라엘 百姓들에게까지 그들의 祖上들이 말하던 여호와가 누구이신지를 분명하게 드러내심으로써 ‘靈的 戰爭’의 目的을 分明히 하였다. "나를 여호와人 줄 알리라"는 분명한 目的 아래 벌어진 여호와와 애굽 神들의 戰爭 가운데, 여호와는 애굽의 모든 神들에 對해서 勝利를 나타내였지만 聖經에서 表面的으로 나타나는 災殃의 原因은 바로의 惋愕함 때문이었다. 왜냐하면 바로는 여호와가 누구인지를 모르기 때문에 이스라엘 百姓을 내보낼 수 없다고 했기 때문이다.(출5:2) 바로는 여호와의 存在를 認定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것은 애굽 百姓들과 함께 그 當時 이스라엘 百姓들이 가지고 있던 ‘不信仰’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여호와 하나님는 애굽의 神들과의 戰爭을 통한 勝利로 自身이 누구인지를 나타내신 것이다. 세 番째 災殃에서는 애굽의 呪術師들이 여호와의 權能을 告白했고, 일곱 番째 災殃인 雨雹을 통해 바로의 臣下들은 여호와의 災殃을 두려워해 종들과 家畜들을 집으로 들임으로써 하나님의 能力을 믿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여덟 番째 災殃인 메뚜기를 통해 바로는 여호와의 能力을 認定하게 되었고, 아홉 番째 災殃인 黑暗을 통해 모든 애굽 사람들과 이스라엘 百姓들이 여호와의 ‘權能’을 認定하게 되었다. 우리는 只今까지 出埃及記에서 나타난 10가지 災殃에 對해서 그 災殃이 어떤 ‘애굽 新’을 가리키는 것이며, 여호와의 完全한 勝利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出埃及記에서 나타나는 애굽의 10가지 災殃은 애굽을 向한 單純한 災殃이 아닌 “나를 여호와인줄 알리라”는 目的 아래에서 數 많은 애굽 神들을 대면하여 누가 참된 神이며, 참된 神이라 말하는 여호와 自身이 누구인지를 온 天下에 드러내신 ‘靈的 戰爭’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 많은 사람들이 여호와의 主權을 認定하게 되었다. [3]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Greifenhagen, F.V. (2000). 〈Plagues of Egypt〉. Freedman, David Noel; Myers, Allen C.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 Amsterdam University Press. 1062쪽. ISBN   9789053565032 .  
  2. Tigay, Jeffrey H. (2004). 〈Exodus〉. Berlin, Adele; Brettler, Marc Zvi. 《The Jewish Study Bible》 . Oxford University Press.  
  3. 나경열 (2015). “出埃及의 10가지 災殃을 통해 바라보는 여호와와 神들의 戰爭”. 총신대學校 神學大學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