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皇南大塚 북분 銀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皇南大塚 북분 銀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皇南大塚 북분 銀盞
(皇南大塚北墳 銀盞)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寶物
種目 寶物 第627號
( 1978年 12月 7日 指定)
數量 1個
時代 新羅
管理 國立中央博物館
住所 서울特別市 龍山區 西氷庫로 137
(용산동6街, 國立中央博物館 )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皇南大塚 북분 銀盞 (皇南大塚北墳 銀盞)은 서울特別市 龍山區 國立中央博物館 에 있는, 慶州市 皇南洞 미추왕릉 地球에 있는 三國時代 新羅 무덤인 皇南大塚 에서 發見된 金屬工藝品이다. 1978年 12月 7日 大韓民國의 寶物 第627號로 指定되었다.

槪要 [ 編輯 ]

皇南大塚 북분 銀盞(皇南大塚北墳 銀盞)은 경주시 황남동 美醜王陵 地球에 있는 三國時代 新羅 무덤인 皇南大塚에서 發見 되었다. 皇南大塚은 2個의 封墳이 남·北으로 瓢주박 模樣으로 붙어 있다.

이 銀製盞은 皇南大塚 北쪽 무덤에서 發見된 新羅 잔 模樣의 그릇으로 높이 3.5㎝, 아가리 지름 7㎝의 크기이다. 밑이 平平한 盞으로 表面의 裝飾 무늬가 매우 特異하다. 아가리에 좁은 띠를 두른 뒤, 蓮꽃을 겹으로 촘촘하게 돌려 무늬를 裝飾하고, 그 밑으로는 雙線으로 거북등 무늬를 連續시켰다. 거북등 안에는 各種 想像속의 動物 形象을 徒들 새김으로(打出) 새겼다.

바닥 안 쪽 中央에도 꽃무늬 안에 鳳凰을 配置하였다. 이러한 무늬의 表現 形式과 動物의 形象은 慶州 殖利銃에서 出土된 裝飾用 신발에서도 찾아 볼 수 있어 當時 外來 文化와의 交流를 示唆한다. 무늬 自體는 中國 漢나라 時代의 구리 거울과 聯關이 있으나, 그 起源에 關해서는 分明치 않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