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화개현球場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화개현球場도

화개현球場도
(花開縣舊莊圖)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寶物
種目 寶物 第1046號
( 1990年 9月 20日 指定)
數量 1幅
時代 朝鮮時代
管理 國立中央博物館
位置
住所 서울特別市 龍山區 西氷庫로 137
(용산동6街, 國立中央博物館 )
座標 北緯 37° 31′ 25″ 東經 126° 58′ 49″  /  北緯 37.52361° 東京 126.98028°  / 37.52361; 126.98028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화개현球場도 (花開縣舊莊圖)는 서울特別市 龍山區 國立中央博物館 에 있는 朝鮮時代의 山水畫이다. 1990年 9月 20日 大韓民國의 寶物 第1046號로 指定되었다.

槪要 [ 編輯 ]

朝鮮 前期의 文臣 정여창(1450∼1504) 先生의 智異山의 別莊을 그린 그림이다. 丁汝昌 先生은 成宗 14年(1483)에 科擧에 及第하여 여러 벼슬을 지냈다.

이 그림은 丁汝昌 先生이 한동안 性理學과 五經을 硏究하면서 머물렀던 別莊이 毁損되는 것이 아쉬워 鄭氏 門中에서 李澄(李澄)을 불러 그리도록 한 것이다. 가로 56cm, 세로 89cm의 크기로 名酒 바탕에 그렸는데, 畵面의 맨 위에는 “화개현球場도”란 題目이 篆書體로 적혀 있고, 中間에는 別莊의 周邊 山水를 엷게 彩色하여 그렸다. 그림 全體의 配置가 오른쪽에 치우쳐 있으면서 近頃, 重慶, 後頸이 잘 나타나 있고 山과 바위에는 黑白의 對照가 뚜렷하다. 그림 아래에는 丁汝昌과 兪好仁의 市와 製作背景을 적은 글, 그리고 曺植과 庭球의 글에서 拔萃한 글이 있다.

仁祖 21年(1643)에 그려진 이 그림은 一種의 記錄畵로 直接 보고 그린 것이 아니라 記錄을 參考하여 그린 것이다. 이 그림은 17世紀의 安堅畫風을 잘 보여주고 製作年代가 確實하여 安堅畫風硏究에 重要한 資料가 되며, 朝鮮時代 儒敎文化를 硏究하는데도 貴重한 資料가 되고 있다.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