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헬리캠 (helicam)은 helicopter camera 의 合成語로서, [1] 사람이 接近하기 어려운 곳을 撮影하기 위한 小型 無人 헬기로 本體에 카메라 를 裝着하고 있으며 리모콘 컨트롤러를 使用해 遠隔으로 無線 操縱할 수 있다. [1] 一般的으로, 헬리캠을 카메라가 달린 멀티콥터 (멀티로터)型 드론이라고 생각하는 境遇가 많으나 반드시 드론에만 該當되는 것은 아니며, 드론이 大衆化되기 以前에는 無線操縱 헬리콥터 (RC헬리콥터) 等에 카메라를 裝着해 왔다.

登場背景 [ 編輯 ]

旣存의 誘引航空을 利用한 撮影은 人員 및 安全問題와 飛行許可에 關聯된 各種 規制에 막혀 있었다. 이에 迅速한 機動性과 經濟性을 確保한 撮影方式에 對한 要求가 생겨났고 結局 리모트컨트롤 飛行體, 卽 無人操縱飛行體를 活用한 劃期的인 撮影方式이 登場하였다. 1980年代 中盤부터 世界의 外國系 會社에서 專門的으로 試圖되었고 1995年 以後 國內에도 映畫, 廣告, 報道 等 다양한 장르에서 專門性을 갖추고 實績을 쌓은 專門業體들이 登場하였다. [2]

分類 [ 編輯 ]

헬리캠 은 크게 두 가지 方式으로 分類할 수 있다. 氣體에 附着된 프로펠러 의 手로 分類하는 方式과 채널 手로 分類하는 方式이 있다. [3] 프로펠러 란 飛行機, 船舶 等에서 엔진의 回轉力을 推進力으로 바꾸는 裝置를 統稱하는 것이고, 채널 이란 하나의 通貨 信號나 其他의 情報가 電送되는 分離限 傳送路를 意味한다. [4] 쉽게 말하면 送信機와 헬기가 通信하는 라디오 周波數를 뜻하는데, 채널 手로 分類한다는 것은 라디오周波數의 個數에 依據하여 分類하겠다는 意味이다.

프로펠러 數에 따른 分類 [ 編輯 ]

프로펠러가 4個인 境遇를 쿼드콥터 라고 부른다. 6個인 境遇는 헥사콥터 , 8個인 境遇는 옥타콥터 라고 부른다. [3]

채널 數에 따른 分類 [ 編輯 ]

채널 數에 따라 2채널, 3채널, 4채널, 6채널로 分類된다. 2·3채널 機體는 위로 뜰 수만 있거나, 떠도 앞뒤로만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2·3채널 機體는 거의 없으며 大部分 4채널이고 間或 6채널이 있다. 4채널은 위로 뜨면서 앞뒤左右로 움직일 수 있고, 6채널은 여기에 背面 飛行까지 可能하다. 6채널 드론은 다양한 움직임이 可能한 代身 微細한 操縱에도 銳敏하기에 꽤 많은 練習時間과 熟鍊度를 要求한다. [3]

構造 및 機能 [ 編輯 ]

헬리캠 無線操縱飛行體 , 짐벌 시스템 , 撮影시스템 의 세 部分으로 構成되어 있다. [5]

無線操縱飛行體 [ 編輯 ]

無線操縱 이란 無線波를 使用하여 機械 裝置나 契機를 操縱하는 것을 일컫고 [6] 이에 따르면 無線操縱飛行體 란 無線으로 遠隔 操縱되는 飛行體를 일컫는다. 無線操縱飛行體 헬리캠 의 뼈대가 되는 基本骨格으로 이것의 아래쪽에 撮影을 위한 카메라를 裝着한다. [1] 無線操縱飛行體 는 여러 部品들로 構成되어 있다. 모터가 附着된 胴體, 胴體에 附着되어있으며 모터의 動力을 받아 回轉하는 프로펠러, 變速機, 飛行體의 飛行을 制御하고 使用者의 造作을 支援하는 컨트롤보드, 使用者의 造作을 飛行體에 傳達하는 操縱器로 이루어져 있다. [5]

짐벌 시스템 [ 編輯 ]

짐벌(Gimbal) 이란, 헬리콥터의 振動에 關係없이 鉛直 狀態를 維持할 수 있게 해주는 裝置로 [7] , 물이나 空氣 等 周圍 要素의 動搖나 기울어짐에도 關係없이 水平 狀態를 維持해주는 裝置를 의미한다. [1] 一般 無線操縱 裝備를 利用하면 胴體의 中心을 잡기 어렵거나 카메라 破損 憂慮가 있는데 헬리캠의 짐벌 시스템은 그러한 短點을 克服하게 해준다. [1] 헬리캠은 이를 爲해 內部에 3軸 자이로스코프와 3軸 加速度計, 氣壓計 等으로 이뤄진 센서 裝置인 IMU(Inertial Measurement Unit)를 갖추고 있다. [1] 이러한 짐벌 裝置는 無線操縱飛行體에 附着되어 흔들림 없는 撮影을 위해 使用되며 裝着解除 또한 可能하다. [5]

撮影 시스템 [ 編輯 ]

헬리캠은 本體, 卽 無線操縱飛行體 아래쪽에 카메라를 裝着하며 그를 통해 映像을 撮影하여 電送한다. [1] 圓滑한 航空撮影을 위해서는 使用者가 實時間으로 無線操縱飛行體에 裝着된 카메라에서 映像을 受信받아야 하는데, 이런 構造를 FPV시스템 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使用者는 實時間으로 受信되는 映像을 보며 願하는 位置에서 願하는 寫眞이나 動映像을 撮影할 수 있다. [8]

FPV 시스템을 構築하기 위해서는 '카메라','映像送信機','映像受信機','모니터 또는 眼鏡形 모니터','OSD'가 必要하다. [8]

카메라 [ 編輯 ]

撮影映像의 實時間 電送을 目的으로 하는 FPV專用카메라와 實時間 電送은 勿論 高畫質로 錄畫까지 可能한 GOPRO카메라가 있다. [8]

映像送信機 [ 編輯 ]

카메라의 映像을 地上으로 보내 주는 裝置이다. 氣體에 裝着하여 使用한다. 900 MHz, 2.4 GHz, 5.8GHz가 있다. 送信 파워에 따라 100 mW~600mW까지 多樣하다. [8]

映像受信機 [ 編輯 ]

地上에서 映像을 받아주는 裝置로, 送信機와 같은 周波數를 使用하여야 한다. 受信機에서 받은 映像은 AV出力單子를 통해 모니터로 連結된다. [8]

모니터 [ 編輯 ]

一般的으로 AV모니터를 使用한다. RGB 外部入力을 支援하는 TV나 네비게이션, PMP等을 使用할 수 있다. [8]

노트북을 모니터로 使用할 수도 있다. 單, RGB를 디지털 信號로 變更하여 USB를 통해 노트북으로 電送할 수 있는 裝備가 必要하다. 노트북을 通해 確認하면서 實時間으로 電送되는 畵面을 파일로 貯藏할 수 있는 利點이 있으나, 노트북 仕樣에 따라 0.5秒~1秒 程度 映像 受信 速度가 遲延될 수 있다. [8]

고글을 使用할 수도 있다. 이는 眼鏡形 디스플레이로, 實際로 航空機에 搭乘하고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8]

OSD [ 編輯 ]

飛行情報確認裝置로 [9] , 배터리 電壓(殘量)이나 飛行時間, 氣體의 기울기(자세), 防衛, 出發位置의 方向과 距離, 高度, 速度 等의 情報를 畵面에 標示해 준다. 氣體에 裝着되며, 카메라와 映像 送信機 사이에서 加速度 센서나 지自戒 센서, GPS 等을 통해 들어온 情報를 카메라의 映像에 섞어 映像送信機에 보내는 役割을 한다.

作動方法 [ 編輯 ]

헬리캠은 遠隔 無線 操縱方式으로 作動하는데, 普通 機體 操縱과 카메라 調整을 위해 2名이 造作한다. [1] 氣體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카메라도 팬과 틸트를 利用하면 360度 回轉하면서 撮影하거나 옆으로 기울여서 撮影하는 더치앵글 같은 것도 演出할 수 있다. 또 카메라 調整을 통하여 機體 움직임에 關係없이 願하는 事物을 繼續 撮影하는 것도 可能하다. [1]

長點과 短點 [ 編輯 ]

長點 [ 編輯 ]

誘引航空機가 渦流로 制約을 받는 低空撮影이나 다양한 曲藝飛行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스릴 넘치는 映像들은 헬리캠이 아니면 不可能하다. 또한 誘引航空機에 비해 飛行節次의 簡便性과 機動力에서 長點을 가진다. [2]

短點 [ 編輯 ]

바람의 影響을 많이 받고 搭載될 카메라의 무게에도 制約이 따르며 電波의 干涉도 甚하다. 特히 走行距離와 滯空時間이 짧고(5~7분) 높은 高度와 低溫의 날씨에는 배터리가 얼어버리는 等의 短點이 있다. [2]

活用分野 [ 編輯 ]

드라마, 映畫, 廣告, 報道, 地圖製作, 航空測量, 開發地, 船舶製作 出庫 撮影 等의 다양한 領域에서 活用되고 있다. [2]

各州 [ 編輯 ]

  1. 이석원 記者 (2013年 8月 13日). “꽃할배 映像 다 살린 '헬리캠'이 뭐야?” .  
  2. 金, 종길 (2011). 《"헬기撮影의 實際, 헬기撮影, 理論에서 現場實務 總網羅!"》. (週)여울미디어/月刊비디오플러스.  
  3. 유진우 記者; 兆支援 인턴記者 (2014年 5月 14日). “[드론 2014]⑤ 趣味 드론의 世界” .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49155&cid=406&categoryId=406 , 네이버 知識百科
  5. “HELSEL” . 2014年 7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6. http://www.aric.or.kr/info/dictionary/dictionary/content.asp?idx=1586 Archived 2016年 3月 4日 - 웨이백 머신 | 航空宇宙硏究情報센터(AIRC)航空宇宙用語辭典
  7. 장선웅·이성규·윤홍주 (2011年 6月). “無人 航空寫眞 撮影을 利用한 海岸漂着物 探知”. 《海洋環境安全學會 2011年 春季學術發表回》: 7-9.  
  8. “無線映像送受信시스템(FPV)” . 팰콘샵.  
  9. “엑스캅터, 航空撮影의 모든 것”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