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프團 라그羅르손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할프團 라그羅르손
Halfdan Ragnarsson
최소 200년 뒤인 피터스버러 연대기에서 "Halfdene"이라고 발견되는 할프단의 이름.[1]
最小 200年 뒤인 피터스버러 年代記 에서 "Halfdene"이라고 發見되는 할프段의 이름. [1]
요르비크의 王
在位 876年?877年
前任 리크시게
後任 舊드뢰드 1歲
더블린의 王
(論難)
在位 875年?877年
前任 에位스테인 올라프손
後任 바르드 이바르손
身上情報
出生日 8??年
死亡日 877年
死亡地 스트랭퍼드號
家門 門쇠 가
父親 라그羅르 로드브로크 或은 歷史的 根據를 바탕으로 한 傳說上 人物
母親 아슬라우그 或은 歷史的 根據를 바탕으로 한 傳說上 人物

할프團 라그羅르손 ( 古代 노르드어 : Halfdan Ragnarsson →라그羅르의 아들 할프團 , 古代 英語 : Halfdene , 아일랜드語 : Albann 알반 , ? ~ 877年)은 865年을 始作으로, 앵글로색슨 七王國 을 侵攻한 바이킹 異敎徒 大軍勢 의 指導者 中 한 名이다.

노르드어 社가 에서 言及된 라그羅르 로드브로크 의 여섯 아들 中 한 名인 할프段의 兄弟 或은 異腹兄弟에는 鐵甲의 뵤른 , 弱骨의 이바르 , 뱀눈의 時구르드 , 웁바 , 흐비트歲르크 가 있다. 할프段이 흐비트歲르크가 言及된 資料들에선 言及되지 않아, 一部 學者들은 이들이 같은 人物이라고 여기기도 한다. 이에 對한 可能性은 할프段이 바이킹들 사이에서 흔한 이름이었다는 事實에서 信憑性을 더하고 흐비트歲르크 "하얀 셔츠"는 形容語 이거나 할프단이란 같은 이름을 지닌 사람들과 할프段을 區分하는 別稱이었을 수도 있다. [2]

할프團은 노섬브리아 王國 의 招待 바이킹 王이자, 더블린 王國 의 王位 繼承權 主張者이기도 했다. 그는 한동안 兄弟인 뱀눈의 時구르드와 덴마크의 共同 支配者일 수도 있는데, 프랑크 史料에서 873年頃에 分明하게 時그프레드와 할프團 兄弟 를 支配者로 言及하였기 때문이다. 그는 877年 더블린 王位 主張을 위한 스트랭퍼드號 戰鬪 에서 敗北하고 죽었다.

生涯 [ 編輯 ]

할프團은 865年에 앵글로색슨界 이스트앵글리아 王國 을 侵略한 異敎徒 大軍勢의 指導者 中 한 名이었다. [3] [4] 노르드 社가 들에 따르면, 이 侵入은 할프短刀 屬해있던 라그羅르 로드브로크의 아들들이 노섬브리아의 앨라 에게 復讐를 하기 위하여 計劃한 것이라고 한다. 엘라는 865年에 라그羅르를 뱀굴에 집어던져 處刑했다고 傳해지는데, 이 處刑의 眞相에 對한 歷史性은 不分明하다. [5] [6] 大軍勢 侵入者들은 主로 데인인 들이라고 여겨지며, 그럼에도 10世紀 敎會인 아세르 는 이 侵入者들이 " 다뉴브江 出身"이라 飜譯되는 "de Danubia"에서 왔다고 하였다. 다뉴브江이 라틴語로 다키아 라고 알려진 地域에 있었다는 事實로 보았을 때 아세르는 덴마크 에 對한 라틴語인 Dania를 意圖했던 것으로 보인다. [7]

865年 가을에 異敎徒 大軍勢는 이스트앵글리아에 上陸하여, 그곳에서 겨울을 지내고 말들을 確保했다. [8] 다음 해에 大軍勢는 北쪽으로 移動하여 當時에 노섬브리아 王位를 두고 앨라와 노섬브리아의 오스버흐트 間의 內戰 狀態에 있던 노섬브리아 王國 을 侵入했다. [9] 866年 末에, 大軍勢는 富裕한 노섬브리아의 據點 요크 를 征服했다. [10] 다음 해에 앨라와 誤스버흐트는 요크를 奪還하기 위해 同盟을 맺었다. 이들의 聯合 攻擊은 격퇴당했고, 이 둘도 戰鬪 中에 死亡했다. [9] 뚜렷한 指導者가 없었던 노섬브리아의 抵抗은 무너져 내렸고 데인인들은 自身들의 이름으로 다스리고 稅金을 걷어줄 허수아비王人 에크버흐트 를 세웠다. [11]

867年 말에, 大軍勢는 南쪽으로 移動해 머시아 王國을 攻擊하여 노팅엄 을 占領했으며, 그곳에서 겨울을 보냈다. [10] 머시아의 王 부르舊레드 웨스트 색슨人 들의 王 애說레드 와 同盟을 맺으며 對應했고, 이들의 聯合軍은 노팅엄 攻擊에 나섰다. 앵글로색슨軍들은 都市를 奪還해내는 데는 失敗했지만, 데인인들이 요크로 撤收하기로 한 强化 條約이 맺어졌다. [12] 그곳에서 이들은 다음 攻擊을 위한 힘을 備蓄하며, 1年을 기다렸다. [9]

데인인들은 869年에 이스트앵글리아로 돌아왔으며, 이番에는 征服을 意圖로 했었다. 이들은 겨울을 쇨 意圖를 갖고 테트퍼드 를 攻擊했으나, 이들은 이스트앵글리아軍과 맞닥뜨리고 말았다. [13] 이스트앵글리아軍은 敗北했고 이들의 指揮官이었던 王 에드먼드 도 죽음을 맞이했다. [14] 中世 傳承에선 에드먼드를 基督敎 信仰을 抛棄하라는 데인인들의 要求를 拒絶하고, 變치 않는 信仰으로 因해 殺害當한 殉敎者로서 여겼다. [15] 이바르와 웁바는 데인인들의 指揮官이자 에드먼드를 殺害한 者들이라 여겨지며, 할프段이 어떤 役割을 맡았는지에 對해선 알려진 것은 없다. [16]

이스트앵글리아 征服 以後에 이바르는 分明히 異敎徒 大軍勢를 떠났으며, 870年 以後로 잉글랜드의 記錄에서 그의 이름이 사라졌다. 그럼에도, 그는 873年에 死亡한 더블린의 王 이바르 와 같은 人物이라 普通 여겨진다. [17] 이바르가 아일랜드에 있자, 할프段이 大軍勢의 核心 指揮官이 되었고, 870年에 그는 大軍勢를 웨식스 侵入으로 이끌었다. [12] 이바르가 大軍勢를 떠난 後 얼마 안 있어, 大規模의 바이킹 戰士들이 바그세크 가 이끄는 여름 大軍勢의 一環으로서 스칸디나비아에서 건너와, 할프段의 兵力의 規模를 補强해줬다. [18] 앵글로색슨 年代記 에 依하면, 데인인들은 871年 1月 8日에 일어난 애시다운 戰鬪 를 包含해서 웨스트 색슨人들과 아홉 次例 맞붙었다고 한다. [19] 그러나, 웨스트 색슨人들은 敗하지 않았고, 할프團은 새롭게 王位에 오른 웨식스 王 앨프레드 와 强化를 맺었다. [20]

大軍勢는 占領한 都市 런던 으로 물러났고 그곳에서 871/872年 겨울 동안 머물렀다. [21] 이 時期에 런던에서 발주된 鑄貨들은 할프段의 이름을 담고 있으며, 그를 大軍勢의 指導者로 認定하고 있다. [19] 872年 가을에 大軍勢는 노섬브리아의 허수아비王人 에크버흐트를 相對로 일어난 叛亂을 鎭壓하러 노섬브리아로 돌아갔다. [20] 하지만, 大軍勢의 北쪽으로 움직임에 對한 이 說明은 異議가 提起되었는데, 이 移動이 머시아와 戰爭 結果 때문이라는 새로운 意見이 提示되었다. [22] 大軍勢는 토크제이 에서 겨울을 보내고, 1年 뒤에 렙턴 地域에 있었다고 記錄되었다. 이들은 874年에 머시아를 征服했고, 머시아의 王 부르그레드는 廢位당하여 덴마크人들의 허수아비 王 케오울프 로 代替됐다. [23]

이 勝利 以後에 大軍勢는 둘로 쪼개져, 하나는 웨식스와 싸움을 繼續하려 南쪽으로 向한 구스룸 이 이끄는 것과 다른 하나는 픽트族 스트래스클라이드 王國 브리튼族 에 맞서 싸우러 北쪽으로 向한 할프段의 것이었다. [19] 얼스터 編年史 에 依하면, 더블린 王 에位스테인 올라프손 이 普通 할프단이라고 받아들여지는 人物인 "Albann"에게 "欺瞞的인" 方法으로 875年에 살해당했다고 한다. [24] [25] 할프段의 兄弟 이바르는 873年에 죽기 以前에 더블린을 다스렸었고 할프段의 遠征은 自身의 兄弟의 잃어버린 王國을 되찾기 위한 試圖로서 보인다. [19] 할프團은 아일랜드에 머물지 않았는데, 876年에 그와 그의 兵力들은 노섬브리아로 돌아와, 노섬브리아 北部 地域을 앵글人 들의 支配에 놔둔 채 옛 데이라 王國과 相當히 비슷한 크기의 地域에 定着했다. [19] 이따금 史料들은 할프段을 876年부터 다스린 요르비크의 王 이라는 職銜을 주었다. [26]

할프段의 더블린 統治는 安定되지 못했고, 그가 요크에 가 있는 동안에 王位에서 내쫓겼다. [3] 그는 877年에 더블린을 奪還하러 아일랜드로 돌아왔으나, "金髮의 異敎徒" (할프段이 屬해있던, 새롭게 到着한 바이킹들人 "黑髮의 異敎徒"와 反對되는, 아일랜드에 長期間 있었던 바이킹들을 의미한다고 一般的으로 여겨지는 論難의 用語) 軍隊와 마주치게 된다. [27] 兩 側의 兵力들은 스트랭퍼드號 戰鬪 에서 衝突하였고, 이 戰鬪에서 할프團은 戰死하고 만다. [28] 이 戰鬪에서 살아남은 할프團 兵力들은 스코틀랜드를 거쳐 노섬브리아로 돌아왔고, 이 過程에서 픽트族의 王 컨스턴타인 1歲 가 殺害當한 戰鬪를 벌였다. [29] 노섬브리아의 바이킹들은 舊드뢰드 가 王位에 오른 883年까지 王이 없이 지냈다. [30]

歷史性 [ 編輯 ]

할프段과 그의 兄弟들은 歷史上 實存 人物이라 여겨지지만, 그의 錘正常 아버지에 對한 意見은 나눠져 있다.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 이 1979年에 쓴 것에 依하면, "最近 몇 年 間 日程 學者들은 歷史的 事實을 根據로 하여 라그羅르의 이야기를 最小限만 받아들였다"라고 한다. [31] 다른 한便 캐서린 홀먼 (Katherine Holman)은 concludes that "라그羅르의 아들들이 實際 歷史 人物이라 하더라도, 라그나르라는 人物이 살았는지에 對한 證據는 없으며, 몇몇 다른 歷史的 人物들 및 純粹한 文學的 發明의 混合物으로서 보인다."라고 했다. [32]

族譜 [ 編輯 ]

 
 
 
 
 
 
 
 
 
 
 
 
 
 
 
 
 
 
高祖父 라드바르드
 
 
 
 
 
 
 
曾祖父 란드베르
 
 
 
 
 
 
 
 
 
 
 
高祖母 아우드
 
 
 
 
 
 
 
祖父 時구르드
 
 
 
 
 
 
 
 
 
 
 
 
 
 
高外祖父 舊드뢰드
 
 
 
 
 
 
 
曾祖母 잉길드
 
 
 
 
 
 
 
 
 
 
 
아버지 라그羅르
 
 
 
 
 
 
 
 
 
 
 
 
 
 
 
 
 
症外祖父 간달프
 
 
 
 
 
 
 
 
 
 
 
조某 알프힐드
 
 
 
 
 
 
 
 
 
 
 
 
 
 
高外祖父 알프
 
 
 
 
 
 
 
症外祖母 佳友틸드
 
 
 
 
 
 
 
 
 
 
 
高外祖母 귀리打
 
 
 
 
 
 
 
할프團
 
 
 
 
 
 
 
 
 
 
 
 
 
 
 
 
 
 
 
 
外高祖父 볼숭
 
 
 
 
 
 
 
外曾祖父 時그門드
 
 
 
 
 
 
 
 
 
 
 
外高祖母 흘료드
 
 
 
 
 
 
 
外祖父 時구르드
 
 
 
 
 
 
 
 
 
 
 
 
 
 
外曾祖母 孝르디스
 
 
 
 
 
 
 
 
 
 
 
어머니 아슬라우그
 
 
 
 
 
 
 
 
 
 
 
 
 
 
 
 
 
外症外祖父 部들리
 
 
 
 
 
 
 
 
 
 
 
外祖母 브륀힐드
 
 
 
 
 
 
 
 
 
 
 
 
 

各州 [ 編輯 ]

認容 [ 編輯 ]

  1. Laud MS Misc. 636, folio 31r
  2. “Ragnar Lodbrok och hans soner” . Heimskringla.no . 2016年 3月 25日에 確認함 .  
  3. Venning p. 132
  4. Holman 2012 p. 102
  5. Munch pp. 245?251
  6. Jones pp. 218?219
  7. Downham 2013 p. 13
  8. Kirby p. 173
  9. Forte pp. 69?70
  10. Downham 2007 p. 65
  11. Keynes p. 526
  12. Forte p. 72
  13. Downham 2007 p. 64
  14. Gransden p. 64
  15. Mostert pp. 165?166
  16. Swanton pp. 70?71 n. 2
  17. Woolf p. 95
  18. Hooper p. 22
  19. Costambeys
  20. Forte pp. 72?73
  21. Downham 2007 p. 68
  22. Downham 2007 p. 69
  23. Forte pp. 73?74
  24. Annals of Ulster, s.a. 875.
  25. South p. 87
  26. Malam p. 104
  27. Downham 2007 p. 14
  28. Annals of Ulster , s.a. 877.
  29. Ashley p. 464
  30. Lapdige et al. p. 526
  31. Davidson p. 277
  32. Holman 2003 p. 220

參考 文獻 [ 編輯 ]


리크시게
第3代 요르비크 國王
876年?877年

舊드뢰드 1歲

이바르
第3代 더블린 國王
(繼承權 主張했으나 實際 統治者 아님)
875年?877年

바르드 이바르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