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抛루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抛루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抛루스
파우라바 王國 마하라자
在位 紀元前 340年 警 - 紀元前 315年
前任 바마니
後任 말라야케투
身上情報
死亡日 紀元前 315年 警
國籍 파우라바 王國 [1] [2]
宗敎 브라만교

抛루스 ( 古代 그리스어 : Π?ρο? ) 또는 포로스 ( 라틴語 : Poros )(? - 紀元前 317年 )는 파우라바 王國 라자 이다. 또한 抛루스는 이 部族의 王의 稱號이며, 이른바 抛루스의 個人 이름은 분명하지 않다. 펀자브 東部를 支配했던 實力者였지만, 紀元前 326年 , 히다스페스 戰鬪 에서 알렉산더 3歲 (大王)에게 敗하게 된다.

生涯 [ 編輯 ]

알렉산더 大王 [ 編輯 ]

그리스系 年譜에 따르면 紀元前 327年 에 알렉산더 大王이 印度 西北部에 侵入했을 當時 이 地域에는 3名의 有力 人士가 있었다. 하나는 인더스강 上流의 탁실라 王國을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새로운 首長 타크실레스 (Taxiles , 힌디어 : Ambhi 眼鼻)이고, 다른 하나는 카슈미르 地方 을 支配하는 아비社레스 王, 그리고 마지막이 東部 펀자브의 抛루스 王이었다.

當時 抛루스의 領土는 인더스강 支流 中 하나인 히다스페스江( 젤룸강 )에서 亞케시네스江( 體나브강 )에 이르는 肥沃한 地域에 있었으며, 그리스의 記錄에 依하면 起兵 4千, 步兵 5萬, 戰車 300期, 戰鬪코끼리 200마리를 動員한 것으로 알려졌다. 抛루스 自身은 신장 2m가 넘는 巨軀로 勇猛을 견줄 者 없는 戰士였다고 한다.

抛루스는 오랫동안 탁실라 의 王과 싸우고 있었다. 따라서 탁실라의 새로운 首長 타크실레스가 재빨리 알렉산더에게 降伏한 것을 알게 되자 카슈미르 의 아비社레스와 連帶하여 마케도니아 軍과의 抗戰할 것을 決定하고, 西部 國境線인 히다스페스江( 젤룸강 )에서 알렉산더의 침공군을 沮止하기로 했다.

히다스페스江 戰鬪 [ 編輯 ]

紀元前 326年 , 여름이 始作될 무렵 알렉산더는 타크실레스 等의 引渡 同盟 諸侯들과 함께 히다스페스 江邊에 到達했다. 알렉산더는 江 건너에서 포로스가 이끄는 大軍이 마케도니아 君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軍隊를 江가에 陣을 치고 機會를 엿보고 있었다. 正面에서 渡河를 强行하는 것은 危險하기 때문에 알렉산더는 騎兵을 利用하여 每日 밤마다 陽動作戰을 展開하였고, 抛루스 軍은 이에 應하느라 疲困이 쌓였다. 暴風雨 치는 밤에 若干의 精銳 騎兵을 이끌고 上流로 迂廻하여 몰래 江을 건넜다.

抛루스는 곧 이를 알아차리고 아들 中 한 名을 보내 邀擊을 하게 했지만, 이 작은 部隊는 알렉산더의 兵力에 粉碎되었다. 抛루스는 全 部隊에 邀擊態勢를 取하게 했지만, 알렉산더가 건너 便에 두고 왔던 部隊에 背後를 공격당하자 敗北를 한다. 이 때 砲루스는 同盟者 아비社레스의 援軍을 期待했다는 說도 있지만, 아비社레스는 마케도니아 軍이 侵入하자 거의 全 期間을 통해 形勢를 展望하는 態度로 一貫했다.

抛루스는 兵士가 次例로 쓰러져도 끝까지 戰鬪코끼리 위에서 奮戰을 繼續했기 때문에, 그 勇氣에 感歎한 알렉산더는 降伏을 勸誘한다. 아리아노스에 따르면 알렉산더는 始作 타크실레스를 使者로 보냈지만, 抛루스가 相對해 주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番 使臣을 보냈고, 마지막에 抛루스의 오랜 親舊 메로에스라는 人物을 보내 說得에 成功했다고 한다. 또한 現代 印度의 硏究者 中에는 이 메로에스를 後의 찬드라굽타 마우리아 로 여기는 사람도 있지만 根據는 매우 稀薄하다.

알렉산더에게 어떤 處遇를 받아야 할지 質問을 받은 抛루스는 “王으로 待遇하라”고만 答했다. 알렉산더가 더 質問을 하자 “이 對答 속에 모두 包含되어 있다”고 말했다. 알렉산더는 그의 勇氣와 矜持를 높이 사서 敬意를 표하고 그에게 領地 모두를 認定한 後 親舊로 待遇했다고 한다.

히다스페스 以後 [ 編輯 ]

그後 抛루스는 알렉산더의 重要한 同盟者가 되어 히파시스 江 (現在 비아스 江 ) 疆埸을 平定하는데 協力하였고, 알렉산더가 撤收한 後에는 이 地域 全域을 받았다. 또한 알렉산더의 仲裁로 타크실레스와 强化를 締結했다.

얼마 後 알렉산더가 인더스 地方을 맡겼던 社트라프 人 필리포스가 叛亂으로 殺害當했기 때문에 알렉산더는 印度에 남긴 代理者인 에右多모스 타크실레스 에게 書翰을 보내 追後 正式 總督을 임명할 때까지 두 사람이 協力해서 이 地域을 統治하도록 命令했다. 그러나 紀元前 323年 에 알렉산더가 急死한 後 帝國의 支配權을 다툰 디아도코이 들은 主로 小아시아 와 二次 아시아에 눈을 돌려 그곳을 主戰場으로 삼았다. 멀리 있는 印度 地域은 放置되었기 때문에 에우다모스와 타크실레스의 支配가 旣定事實이 된 채 남아 있었다. 紀元前 316年 에는 總督으로 名目上 에우다모스와 타크실레스의 上位自認 페이톤 이 인더스 東海岸에서 撤收했기 때문에 그 以後 펀자브 의 情勢는 거의 알 수 없게 된다.

抛루스의 以後는 분명하지 않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의 《歷史叢書》에 依하면, 紀元前 317年 에右메네스 에게 加勢하기 위해 印度를 떠난 에우다모스가 抛루스를 殺害하고 그 領地와 君을 손에 넣었다고 傳한다. [3] 어쨌든 紀元前 305年 셀레우코스 1歲 마우리아 王朝 찬드라굽타 인더스강 流域에서 衝突했을 때에는 이미 抛루스 王國이 消滅하고 사라져 버린 것은 確實하다.

論難 [ 編輯 ]

찬드라굽타 의 擧兵을 主題로 하는 非샤카닷打 (Vi??khadatta)의 《 무드라 라크샤社 》(Mudr?r?k?asa)를 비롯해 中世에 만들어진 一部 演劇 속에 찬드라굽타의 重要한 同盟者로서 山岳王 ‘파르바타’( Parvata )라는 人物이 登場하며, 스루가이를 砲樓스로 設定했다는 說이 有力하다. 演劇 속에서 찬드라굽타가 王位를 얻은 後에 걸림돌이 되는 파르바타를 찬드라굽타의 宰相 카우틸랴 가 除去한다는 設定에는 大體로 一致한다.

또한 演劇에서 파르바타의 아들로 登場하는 마라야케투를 에右多모스 와 함께 디아도코이 戰爭 에 參與하여 에右메네스 麾下에서 紀元前 317年 加比에네 戰鬪 에서 戰死한 印度人 貴族 케테우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의 《歷史叢書》에 言及)로 여기는 說도 있다. 이 境遇 에우다모스가 殺害했다는 人物은 抛루스가 아니라 오히려 濁실레스 였을 可能性도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Ancient India: A History of its Culture and Civilisation , By Kosambi, Damodar Dharmanand, pp 81-83
  2. King Poros belonged to the tribe of the Pauravas, descended from the Puru tribe mentioned so often in the Rigveda. A History of India, By Hermann Kulke, Dietmar Rothermung, pp 57
  3.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 《歷史叢書》, XIX 14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抛루스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