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悖君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悖君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悖君 (沛 [1] 郡)은 中國 傳한 에서 設置한 옛 이다. 秦나라 에서는 泗川郡 (四川郡, 泗川郡)이었다.

[ 編輯 ]

宋나라 땅으로, 齊나라 가 宋나라를 滅하고 取했으나 楚나라 에 넘어갔다가 秦나라 가 楚나라를 滅하고서 紀元前 224年에 設置했다. 《漢書》 地理誌 悖君 條에서는 秦나라의 死守群(泗水郡)李 敗軍의 前身이라 하는데, 秦나라의 封泥 遺物에서 泗川 태수 (四川太守), 泗川 人(四川尉印), 사천수勝(四川水丞)李 發掘돼 元 이름은 死守軍이 아닌 泗川郡으로 여겨진다. 泗川郡이란 地名은 《詐欺》 항우본기에 “秦나라의 司天監(泗川監) 坪(平)”, 《屬한서》 悖君 條에서도 確認된다. 泗川이란 이름은 이 君을 네 江 回收 ·騎手(沂水)·수수(?水)· 師授 가 지나는 데서 비롯한다. 치소는 上(相)縣으로 只今의 火이베이 市 에 있다. [2]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牌縣 沛縣 쉬저우視 페이 現 장가産限間 《質率》
상현 相縣 쑤저우市 링비 現 北西 秦나라 封泥 “上昇知人”(相丞之印)
扶養 傅陽 짜오좡시 南 60里 秦나라 封泥 “扶養承認”(傅陽丞印)
부리 符離 쑤저우市 隆車誤 區 푸리 陳 附近 秦나라 封泥 “부리”(符離)
河床 下相 쑤첸視 쑤靑 區 高聲村 內 城터 秦나라 封泥 “河上承認”(下相丞印)
取려 取慮 쑤저우市 링비 現 北 秦나라 封泥 “취려승인”(取慮丞印)
구윤 ?? 쑤첸視 南東 約 30里·쓰양 現 一部 秦나라 封泥 “舊윤승인”(??丞印)
質縣 ?縣 쑤저우市 隆車誤 區 秦나라 封泥 “質속匠人”(?粟將印)
風眩 豊縣 쉬저우視 펑 縣 秦나라 封泥 “風새”(豊璽)
홍현 虹縣 벙부시 禹虛 現 北西·쑤첸視 쓰훙 現 一部·화이안視 쉬이 現 一部 秦나라 封泥 “홍승지人”(虹丞之印)
坪아 平阿 벙부시 화이위안 縣 南西 60里 秦나라 封泥 “坪아금인”(平阿禁印)
서현 徐縣 쑤저우市 쓰 現 北西·쑤첸視 쓰훙 縣 北部 秦나라 封泥 “서승지人”(徐丞之印)
餘弦 呂縣 쉬저우視 퉁산 現 北 秦나라 封泥 “여승지人”(呂丞之印)
팽성 彭城 쉬저우視 퉁산 現 秦나라 封泥 “팽성知人”(彭城之印)
同縣 ?縣 쑤첸視 쓰훙 現·쉬저우視 쑤이닝 現·쑤저우市 쓰 現 一部 秦나라 封泥 “同乘知人”(?丞之印)
下채 下蔡 화이난視 펑타이 縣 傳貰 全國 哨戒 關塞人 “下채읍代父□”(下蔡邑大夫)·포산秒間 “下채인弼會”(下蔡人畢會)·“下채인경令”(下蔡人竟領) 等
山上 山桑 보저우視 멍청 現 傳貰 全國 初 고새 “山上行書代父□”(山桑行序大夫)
寄顯 ?縣 쑤저우市 隆車誤 區 南 46里 城터
恥丘 ?丘 화이베이시 南洞 傳貰 全國 位 倂記 9年再口令과 名文 “九年再救命”(九年??丘命) [3]
五鉉 ?縣 화이베이시 北東 中國歷史博物館 所藏 傳貰 全國 位 倂記 입三年오령과 名文 “입三年汚名”(?三年?命)
聖父 城父 보저우視 南洞
粥邑 竹邑 쑤저우市 北
소현 蕭縣 쑤저우市 샤오 現 南洞
유현 留縣 쑤저우市 北西
척縣 戚縣 지닝視 웨이山 現

傳한 [ 編輯 ]

《漢書》에 따르면 秦나라의 泗川郡을 高弟 가 改名해 設置했다 하나 이는 錯誤로 보이고, 實際로는 吳楚七國의 亂 以後 亂에 加擔한 楚나라의 內査 地域 南쪽을 갈라서 새로 設置했다. 風邑은 傳한 皇室의 故鄕으로 따로 調整의 管轄을 받았었다.

怨讐 6年(紀元前 117年), 광릉群 을 縮小해 광릉國으로 女王 에게 봉하고 나머지를 임회군 으로 만들면서 敗軍의 一部도 임회군으로 넘겼다. 광릉軍이 元來 화이허 江 東쪽의 軍이므로 임회군 中 화이허 西쪽의 6絃, 곧 구윤·桐·西·首陵·取려·河床이 元來 敗軍의 領域에 該當한다.

예주자사부 에 屬했다. 遠視 2年(2年)의 人口調査에 따르면 409,079號, 2,030,480名이 있었다. 大略 現在의 火이베이 市 , 쑤저우 市 , 보저우 市 , 상추 時 융청 時 샤이 現 , 벙部 時 의 詩割球 밖 地域, 쉬저우 市 페이 現 펑 縣 等地에 該當한다. 아래의 續絃 目錄은 漢書 地理誌를 따른 것으로, 元年·手話 年間(紀元前 8年)의 現況으로 여겨진다. 軍 치소는 상현에 있었다.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상현 相縣 화이베이시 쑤이시현 上山公園(相山公園)一代
용강현 龍亢縣 벙부시 화이위안현
죽현 竹縣 쑤저우市
곡양현 穀陽縣 벙부시 區前現
소현 蕭縣 쑤저우市 샤오縣 北西 옛 소숙(蕭叔)의 나라로 宋나라의 附庸國이다.
響絃 向縣 벙부시 화이위안현 北西 옛 香(向)나라로 强性이며 炎帝의 後孫이다.
質縣 ?縣 화이베이시 쑤이시현 南
廣斥侯國 廣戚侯國 쉬저우視 페이縣
하채현 下蔡縣 화이난視 펑타이縣 옛 駐來局(州來國)인데 楚나라에 亡했고, 吳나라가 이 곳을 가져가서 副次가 채 蘇後 를 이곳으로 옮겼다. 4歲 後인 채後 第 때에 楚나라에 亡했다.
風眩 ?縣 쉬저우視 펑현
다현 鄲縣 보저우視 궈양현
초현 ?縣 보저우視
寄顯 ?縣 쑤저우市 南洞 秋享(??鄕)이 있는데 高調 鏡浦 를 무찌른 곳이다. 徒尉가 다스린다.
홍현 ??縣 벙부시 禹허현
婕妤縣 輒與縣 ?
山상현 山桑縣 보저우視 멍청縣
工具侯國 公丘侯國 짜오좡시 텅藷芋視 옛 等(?)나라로 西周 義王 이 아들 착숙(錯叔)을 봉했으며 31歲를 傳해져 齊나라에 滅亡했다.
부리縣 符離縣 쑤저우市 北東
경구현 敬丘縣 상추視 융청視 北西
河口侯國 夏丘侯國 쑤저우市 쓰현
哮吼國 ?侯國 벙부시 區前現 桐 垓下(垓下)가 있는데 高調 項羽 를 깨트린 곳이다. 應召 에 따르면 梟首(?水)가 이곳에서 發源해서 南쪽 回收 로 흘러든다.
牌縣 沛縣 쉬저우視 페이縣 鐵棺(鐵官)이 있다.
망현 芒縣 상추視 융청視 北
件성후국 建成侯國 상추視 융청視 南洞
성보현 城父縣 보저우視 南洞 下匕首(夏肥水)가 東南으로 下채(下蔡)에 이르러 回收로 흘러드는데 두 軍(패· 임회 )을 지나 620里를 간다.
建坪侯國 建平侯國 상추視 位淸絃 南洞 政家 · 두年年 의 鳳國이다.
차현 ?縣

?縣 [4]

상추視 융청視 서 蕭何 의 鳳國이며, 溯河의 後孫이 弊國과 복국을 거듭하면서 이곳은 絃이 됐고 侯國은 남양군 贊侯國(?侯國)으로 옮겨갔다.
율侯國 栗侯國 상추視 샤이縣
扶養侯國 扶陽侯國 화이베이시 위현 · 位顯性 의 鳳國이다.
高侯國 高侯國 ?
고시후國 高柴侯國 ?
票養賢 漂陽縣 ? 양경王 의 아들 율양후 劉歆 의 말格에 牌(沛)가 적혀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율양후국이 地理誌대로 丹陽郡 이 아니라 敗軍에 屬했고 이 表양현이 율양후국을 잘못 적은 것으로 보기도 한다.
坪亞侯國 平阿侯國 벙부시 화이위안현 南西
動向侯國 東鄕侯國 ?
林道侯國 臨都侯國 ?
醫성후국 義成侯國 벙부시 화이위안현 北東
기향侯國 祈鄕侯國 상추視 샤이縣 北

[5] [6]

新나라 [ 編輯 ]

君의 이름을 五部(吾符)로 고치고 다음 玄의 이름을 고쳤다.

傳한
上(相) 오부정(吾符亭)
죽(竹) 禿丁(篤亭)
廣斥(廣戚) 力吹(力聚)
風(?) 午風(吾?)
다(鄲) 單性(單城)
初(?) 年性情(延成亭)
基(?) 旣成(?城)
洪(??) 공(貢)
婕妤(輒與) 화락(華樂)
부리(符離) 符合(符合)
하구(夏丘) 歸社(歸思)
孝(?) 育成(育成)
網(芒) 縛致(博治)
聖寶(城父) 私選(思善)
建坪(建平) 錢評(田平)
次(?) 贊치(贊治)
율(栗) 聖父(成富)
扶養(扶陽) 合致(合治)
坪아(平阿) 坪녕(平寧)
기향(祈鄕) 回曲(會穀)

後漢 [ 編輯 ]

21絃 200,495號 251,393名의 住民을 거느렸다. 建安 末期 軍의 一部地域이 樵軍 으로 分離되었다. 前한때 敗軍의 屬縣이었던 山상현(山桑縣)과 성부현(城父縣)李 여남군 으로 옮겨졌다. [7] [8]

賢明 漢字 備考
상현 相縣 建安말 초군으로 分離되었다.
소현 蕭縣 建安말 초군으로 分離되었다.
牌縣 沛縣 縣內에 社修正(泗水亭)이 있었다. 社修正에는 漢高祖 의 碑石이 있었다. 超軍이 分離되면서 敗軍의 치소가 이곳으로 옮겨졌다.
風眩 ?縣 西쪽에 대택(大澤)이 있었다. 寒苦鳥가 여기서 百社(白蛇)를 베었다. 또 現內에 噴油井(?楡亭)이 있었다.
贊縣 ?縣 杜預 에 따르면 現 東北쪽에 克定(棘亭)이 있었다고 한다. 左前에서 吳나라 楚나라 를 칠 때 지나간 極(棘)이 바로 그곳이다.
곡양현 谷陽縣
초현 ?縣 醴酒 自社의 치소가 있었다. 建安말 초군으로 分離되었다. 曹操 가 태어난 곳이다.
효현 ?縣 垓下 戰鬪 가 일어난 해夏臭(垓下聚)가 本縣에 있었다. 建安말 초군으로 分離되었다.
寄顯 ?縣 陳勝·오광의 난 이 일어난 대택香(大澤?)李 本縣에 있다. 建安말 초군으로 分離되었다.
質縣 ?縣 曹操와 하후돈이 酒痕, 眞온으로부터 받은 軍隊가 龍岡에서 背信하자 移懸과 建坪縣에서 軍士 1千을 다시 모았다. 曹操, 하후돈은 이렇게 모은 1千의 軍隊와 함께 下內軍 에 駐屯했다. 建安말 초군으로 分離되었다.
建坪縣 建平縣 曹操와 하후돈이 酒痕, 眞온으로부터 받은 軍隊가 龍岡에서 背信하자 移懸과 建坪縣에서 軍士 1千을 다시 모았다. 曹操, 하후돈은 이렇게 모은 1千의 軍隊와 함께 下內軍 에 駐屯했다.
임수현 臨?縣 光武帝 때 망현(芒縣)으로 改名되었다.
죽읍후국 竹邑候國 本來 죽현(竹縣)이었는데 粥邑으로 改名되었다. 建安말 초군으로 分離되었다.
공구현 公丘縣 杜預 에 따르면 本縣 東南쪽에 옛 등나라(?國)가 있었다.
부리縣 符離縣 建安말 초군으로 分離되었다.
響絃 向縣
胎具現 太丘縣
저추현 ?秋縣
용강현 龍亢縣 曹操 하후돈 과 함께 洋酒自社 眞온, 丹陽 태수 酒痕 에게서 받은 4千의 軍隊가 本縣에서 多數 謀反했다.
홍현 ??縣 建安말 초군으로 分離되었다.

위진 [ 編輯 ]

西進 代에는 9絃 5,096號의 住民을 거느렸다. 靈駕의 난 以後 석륵 의 侵攻으로 인해 軍은 後趙 에 編入되었고 그 地域 住民들이 淮南 地方에 定着했다. [9]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상현 相縣 화이베이시
牌縣 沛縣 쉬저우視 페이縣
風眩 ?縣 쉬저우視 펑현
軸邑縣 竺邑縣 쑤저우市 융차오구 부리진(符離鎭)
부리縣 符離縣 쑤저우市 융차오구 虎口香(蒿溝鄕)
저추현 ?秋縣 쑤저우市 堂山縣 某黨村(毛堂村) 西北
효현 ?縣 벙부시 九泉縣 호성진(濠城鎭)
홍현 虹縣 벙부시 禹허현 小우진(小?鎭)
소현 蕭縣 쉬저우視 샤오縣

油松, 北緯 [ 編輯 ]

前震 이 무너진 以後 東進 이 北伐을 行함에 따라 悖君이 秦나라의 領域으로 再編入되었다. 421年 ( 油松 無題 영초 2年) 치소가 소현(蕭縣)으로 옮겨졌다. 同一한 3個 縣을 統治했지만 油松은 5,209號 25,170名, 北魏는 4,419號 12,278名의 住民을 거느렸다. 또한 油松, 北緯代의 悖君 모두 西周 의 속軍이 되었다. [10] [11] 隋나라 郡縣制 가 廢止되고 주현제가 實施되면서 序奏에 統廢合되었다. [12]

賢明 漢字 現級(油松) 備考
소현 蕭縣 令(令) 小成(蕭城), 漢高祖의 祠堂(漢高祖廟), 火山(華山)이 있었고 縣內에 穀數(谷水)가 흘렀다.
牌縣 沛縣 本縣에 牌性(沛城), 餘毛叢(呂母?)이 있었다.
상현 相縣 縣內에 闕性(厥城), 상성(相城), 上山墓(相山廟), 나산(羅山)이 있었다.

同位 [ 編輯 ]

540年 ( 同位 효정제 흥화 2年) 只今의 허쩌視 一帶에서 新設되었고 曉蒼性(孝昌城)에 태수의 치소를 두었다. 이때 設置된 敗軍은 서연주 의 속軍으로 編制되었고 3絃 7,571號 20,314名을 거느렸다. [13]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고양현 考陽縣 상추視 民娶안현 西南 盲腸(孟庄) 一帶 526年 ( 北緯 驍名第 曉蒼 2年) 진류群 고성현(考城縣)이 只今의 이름으로 改名되었다. 《 魏書 》 紙型紙 서연주 敗軍朝에는 고현(考縣) 으로 記錄되어있다. 556年 ( 北齊 문선제 千步 7年) 廢止되었다.
奇氏縣 己氏縣 허쩌視 차오현 초천집村(楚天集村) 現 境內에 愼重性(新中城), 安養性(安陽城)이 있었다. 556年 廢止되었다.
신안현 新安縣 흥화 年間에 新設되었다.

郡守·태수 [ 編輯 ]

傳한 [ 編輯 ]

後漢 [ 編輯 ]

牌郡太守 [ 編輯 ]

敗喪 [ 編輯 ]

各州 [ 編輯 ]

  1. 說文解字 》에서는 ??를 悖君으로 풀이하는데, 沛가 ??를 假借한 것 같다.
  2. 后?? (2009年 1月 1日). 《秦代政?地理》. 北京市?城?先?胡同10?: 社?科?文?出版社. 78-79쪽. ISBN   9787509705704 .  
  3. 再(??)는 臺(戴)나라의 臺(戴) 字로 쓰인 것인데, 치(?)와는 고금자 關係가 된다.
  4. 許愼: 《說文解字》 卷7 邑部(邑部)
  5. 班固: 《漢書》 卷28 上 地理誌第8 上
  6. 周振? (2006年 6月). 《??地理志??》. 合肥市回??路1?: 安徽?育出版社. 163 ~ 171쪽. ISBN   7-5336-4757-2 .  
  7. 《後漢書》속韓紙 第 20 군국지 2 醴酒 敗局 [1]
  8. 《三國志》緯書 第 1卷 無祭器 [2]
  9. 《陳書》14卷 지 第4 地理誌 上 醴酒 敗局 [3]
  10. 《宋書》35卷 지 제25 主君地 1 西周 牌郡太守 [4]
  11. 《魏書》106卷 지 제6 紙型紙 中 西周 悖君 [5]
  12. 《水西》誌 第 26 地理誌 下 西周 팽성群 [6]
  13. 《魏書》106卷 지 제6 紙型紙 中 서연주 悖君 [7]
  14. 班固, 《漢書》 卷12 坪提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