討論 : 首都 이름順 수도 目錄

文書 內容이 다른 言語로는 支援되지 않습니다.
새 主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 文書는 다음 위키프로젝트 의 範圍 안에 있습니다.

이름없는 討論 [ 編輯 ]

마땅한 地名表記 選擇이 어려운 것이 많네요.

  • 니코시아 -> 레프코시아 : 니코시아는 옛 地名으로 英語圈에서는 꽤 알려졌지만 한글表記는 現 地名을 따라야 할 것 같습니다.
  • 부다페스트 : 部더페슈트가 더 現地 發音에 가까운 듯 하지만 워낙 잘 알려진 地名이라 그대로 두었습니다.
  • 티라너 : 알바니아語의 語尾 變化에 따라 티라나로 쓸 수도 있는데 님들의 생각은 어떤지..
  • 키예프 -> 키이우 : 우크라이나語 表記를 어떻게 해야 될지 確信이 서지 않네요. 하르키우, 르비우 等과 一貫性을 考慮해서 키이우라고 했지만 實際 發音은 키이브에 가까운 것 같기도 하고..
우크라이나語에서 語末의 'в'는 /v/와 /w/ 發音이 混用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卽 키이우와 키이브 다 發音上 맞는 表記입니다. 로마字 表記와 같이 /v/ 發音을 擇해서 키이브 로 쓰는 것이 最善의 表記라 생각합니다.
訂正합니다. 語末과 子音 앞에 오는 'в'는 /w/ 發音이 됩니다. 그러므로 키이우 로 쓰도록 합시다.
  • 릴롱궤 : 저는 普通 릴롱웨라고 불렀는데.. 하지만 全혀 아는 바가 없어 그대로 두었습니다.
  • 체코 : 너무 흔히 쓰고 있는 地名이지만 다시 생각해볼 必要가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체코슬로바키아의 준말로 쓰던 것을 두 共和國이 分離되니까 西쪽 部分을 그냥 그 준말인 체코로 부르고 있습니다. 現地에서는 公式名稱人 체스카 레푸블리카를 쓰고 있는데 이는 굳이 飜譯하자면 英語式으로 체크 共和國이라고 할수도 있겠네요. 체스코(英語로 체키아)라는 말이 있지만 많이 쓰이지는 않는 것 같아요. 마땅이 달리 부를 만한 名稱이 없네요...
체스코 가 最善의 表記라고 個人的으로 생각하지만 위키百科에서는 慣用되는 체코 를 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님들의 意見도 남겨주세요.


덧붙여 말하자면 地名表記는 現地 發音을 따르는 것을 原則으로 하되 이미 다른 發音으로 잘 알려진 地名은 慣例를 따르는 것으로 합니다. 中國, 日本, 獨逸, 멕시코, 美國, 英國, 알바니아 等의 國名은 말할 것도 없고요. 예: 아테네(x아시나), 부다페스트(x部더페슈트), 코펜하겐(x쾨벤夏雲), 방콕(x크룽텝), 제네바(x주네브), 헤이그(x덴下흐)

國語硏究院 表記와 差異나는 것 [ 編輯 ]

  • 리투아니아: 빌니우스 / 빌뉴스*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콸라룸푸르*
  • 몰도바 - 키시너우 / 키시네프*
  • 알바니아 - 티라너 / 티라나*
  • 우크라이나 - 키이우 / 키예프*
  • 키프로스 - 레프코시아 / 니코시아*

앞의 것이 本文의 表記, 別表 붙은 것이 國語硏究院의 外來語 表記法에 있는 겁니다. 確認 바랍니다. -- ChongDae 2005年 7月 20日 (水) 10:43 (UTC)

2004年 末 國語硏究院에서 東南亞 3個國語 表記法을 새로 發表함에 따라 以前에 콸라룸푸르라고 적던 것을 쿠알라룸푸르로 바꿔 적습니다. 이 文書 를 參考하시기 바랍니다.
몰도바 首都의 境遇 키시네프 라는 表記는 失手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밖에 생각할 수 없습니다. 러시아語의 Кишинёв라는 이름을 한글로 表記하면 키시뇨프 가 됩니다. 키시네프라는 表記는 러시아語를 Кишинев로 잘못 알았거나 아니면 로마字 表記 中의 하나인 Kishinev에서 適當히 類推한 것으로 보이는 웃지 못할 失手입니다. 또 몰도바가 儼然한 獨立國이고 公用語度 몰도바어(루마니아어)이니 몰도바어/루마니아어의 Chi?in?u/Кишинэу에서 온 키시너우 라는 表記를 擇했습니다. 고르라면 키시뇨프와 키시너우 中에서 골라야지 틀린 表記인 키시네프는 絶對 反對합니다.
키프로스의 首都의 境遇 現地名은 그리스어로 Lefkosia/Λευκωσ?α(레프코시아), 터키어로 Lefko?a(레프코샤)입니다. 國語硏究院은 그리스어에 對한 表記法 은 없고 그리스어 地名의 表記 用例 를 주는데, 原則이 있다면 現在 使用되는 指名보다 옛날式 表記를 그리스어 以外의 言語에서 淫奢한 것을 한글 表記의 바탕으로 하는 것 같습니다(용례집 地名 中 現在 그리스語 指名과 一致하는 것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그러니 옛 이름인 니코시아로 表記하는 것도 一貫性은 있겠지요. 하지만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저는 中立.
알바니아 首都의 境遇 티라너 보다 티라나 가 여러 모로 더 나을 듯 합니다. 티라나로 적는 것에 贊成입니다.
리투아니아 首都의 境遇 國際的으로도 리투아니아語 이름인 Vilnius라고 알려져 있고, 러시아語의 Vil'nyus/Вильнюс는 이를 러시아語 式으로 적은 것에 不過합니다. 元來 러시아語에서는 Vil'na/Вильна라고 불렀는데 20世紀에 리투아니아式 이름을 尊重하여 名稱을 바꾼 것입니다. 리투아니아語式 地名이 國際的으로 알려져서 하물며 러시아語에서도 리투아니아語式으로 부르고 있는데 우리도 그렇게 써야지요. 이미 實生活에서도 빌니우스라고 쓰는 사람이 거의 大部分이고 빌뉴스라는 表記를 固執하는 사람은 國語硏究院 表記用例집을 들어 地名을 矯正하는 이들 뿐입니다. 빌뉴스라는 表記는 이제 버릴 때도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크라이나 首都의 境遇 키이우/키예프 사이에 저는 中立이지만 저의 境遇 우크라이나語式 地名을 쓰는 다른 우크라이나 都市와의 一貫性을 생각하여 키이우로 적고 있습니다. 키이우는 우크라이나어式 表記, 키예프는 러시아語式 表記입니다. 이番만큼은 둘 다 옳은 表記이니 冠禮를 尊重하여 키예프로 적을까요?
위키百科 活動을 하면서 國語硏究院 用例集을 많이 參考하게 되니 알게 된 것은 그 自體에 誤謬가 생각보다 많고 어느 境遇는 該當 表記法이 決定되기 前에 任意로 決定한 表記를 數年째 그대로 싣는 境遇가 많다는 것입니다. 또 옛 蘇聯의 地名은 無條件 러시아語로 생각해서 適當히 表記하는 境遇가 많습니다. 이런 狀況을 볼 때 無條件 誤謬나 舊式 表記를 踏襲하는 것은 올바른 方向이 아니라고 봅니다. 틀린 表記는 아무리 國語硏究院이 發行하는 用例集에 실어도 맞는 表記가 되지 않습니다. Knud Rasmussen을 Kund Rasmussen으로 잘못 적어서 '쿤드 라스무센'이라고 적게 한 例도 있습니다. 國語硏究院의 表記는 尊重하되, 無缺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그 權威에 너무 기대지 않았으면 합니다. -- Iceager 2005年 7月 20日 (水) 11:43 (UTC)

標準이라는 것이 깨뜨리면 안되는 權威라서가 아니라 共同作業에 있어 가장 基本的인 合意이기 때문입니다. 標準과 어긋나는 表記가 있다면 그 表記를 한 理由를 적어둬야 나중에 온 사람의 混亂을 덜 수 있지 않을까요? 表記에 對한 問題가 單純히 英語/慣例 相議 發音과 差異라면 本文에, 國語硏究院의 表記法 問題라면 討論 페이지에 적어놓으면 되리라봅니다.

키이우 表記는 구글 檢索 結果 위키百科에서만 나타납니다. Kyiv를 잘못 옮긴 表記인 키이브는 좀 더 많이 나타나고요. 一旦 現地語 重視라는 現在 위키百科의 表記 原則을 살려 키이우로 整理하겠습니다. -- ChongDae 2005年 7月 21日 (木) 05:37 (UTC)

위키百科 한 군데서만 키이우라는 表記를 쓰는 것도 異常합니다. 제가 國語硏究院의 表記用例집의 存在를 아직 몰랐던 옛날에 表記를 定하면서 다른 우크라이나 指名과의 一貫性만을 생각하여 키이우라고 한 것인데, 無條件 一貫性과 현지어 重視 原則을 固執해서 다른 곳에서 全혀 쓰이지 않는 表記를 쓰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봅니다. 또 Kyiv는 러시아語와 우크라이나語가 함께 쓰이는 都市입니다. 러시아語로 적은 올바른 表記인 키예프를 쓰는 것이 나을 수 있겠다고 이제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參考로 北韓에서는 끼예브라고 쓰고, 現地 僑民/高麗人들은 키에브라는 表記도 使用하는데 다 러시아語式 名稱에서 나온 表記입니다(북한에서는 指名에 러시아語式 表記를 따르는 例가 많고 僑民/高麗人들은 거의 다 러시아語를 使用합니다). 如何튼 指名 表記에 對한 여러 問題들은 하루빨리 整理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Iceager 2005年 7月 21日 (木) 06:26 (UTC)

카테고리化 합시다 [ 編輯 ]

이걸 Category:世界의 首都 로 바꾸는 게 더 좋지 않을까요? -- Yonghokim 2005年 4月 5日 (火) 16:59 (U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