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캔터베리도마뱀붙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캔터베리도마뱀붙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캔터베리도마뱀붙이
유체
流體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
江: 爬蟲類
목: 뱀目
亞目: 도마뱀붙이亞目
과: 돌도마뱀붙이과
속: 뉴질랜드도마뱀붙이속
種: 캔터베리도마뱀붙이
學名
Woodworthia brunnea
코프 ( :en:Cope ), 1869

학명이名
  • Pentadactylus brunneus
  • Aeluroscalabotes brunneus
  • Woodworthia brunneus
뱅크스 半島

캔터베리도마뱀붙이 ( Woodworthia brunnea )는 캔터베리 게코 (Canterbury gecko)라 불리며, 뉴질랜드 南섬 에서 發見된다. [1] 마오리語 名稱 와이駝荷 게코 (Waitaha gecko), 모코파파 (Moko-p?p?), 或은 브라운 게코 (Brown gecko)라고도 불린다. 持續的인 硏究를 통해 집도마뱀붙이속 을 여섯 으로 나누면서 以前의 Hoplodactylus maculatus Canterbury ”가 새로운 속 뉴질랜드도마뱀붙이속 으로 分離되기 前에는 집도마뱀붙이속에 分類되어 Hoplodactylus brunneus 라고 불렸다. [2]

特徵 [ 編輯 ]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大槪 褐色, 灰色, 올리브色 바탕에 옅은 가로, 세로 줄무늬, 斑點, 或은 大槪 끊어지지 않은 꼬리에 큰 검은무늬가 나있다. [3] 눈의 色깔은 綠色에서, 褐色, 軟노란色 사이로 다양하며 [4] 눈과 콧구멍 사이에 좁거나 넓은 蒼白한 줄무늬가 나있다. [3] 주둥이비늘 ( :en:rostral scale )은 콧구멍 에 닿아있거나 事實上 콧구멍을 건드린다. [4] 밑部分은 大槪 蒼白하고 한 가지 色을 띄지만, 몇몇 個體는 倍에 點박이 무늬가 나있다. [5] 立案은 粉紅色이고, 혀도 粉紅色이지만 끝部分은 灰色을 띈다. 海岸가의 沙丘 에서 捕獲한 標本 은 森林, 바위 棲息地에서 採集한 標本에 비해 작은 傾向이 있으며, 주둥이-肛門 길이 는 各各 53?68mm, 53?80mm에 達했다. [3] 꼬리의 길이는 주둥이에서 肛門까지의 길이와 같지만, 再生된 꼬리는 元來의 꼬리보다 짧아진다. [6] 캔터베리도마뱀붙이의 발가락에는 9-12 個의 薄膜 ( :en:Lamellae (zoology) )과 곧은 肢骨 이 나있으며, 발바닥은 大槪 옅은 灰色을 띈다. [6] 色깔과 무늬가 宏壯히 다양해서, 예전에는 이를 하나의 種으로 把握하여 分類 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6]

分布와 棲息地 [ 編輯 ]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 南섬 固有種 이다. [6] 뉴질랜드 保全部 ( :en:Department of Conservation (New Zealand) )는 캔터베리도마뱀붙이를 " 土着 (indigenous)"으로, 뉴질랜드 滅種危機 分類體系(New Zealand threat classification system)에는 "減少勢(declining)"로 登載하였다. [3]

이 도마뱀붙이類는 뉴질랜드 南섬 中에, 말버러 南部에서 캔터베리 中部와 뱅크스半島 에 이르는 領域에 棲息한다. 캔터베리 平原 의 內陸地帶, 南쪽으로 라카이아江 ( :en:Rakaia River ) 流域에 이르는 海岸가의 언덕에서도 發見된다. [6] 카이土레테串 ( :en:Kaitorete spit )에서는 沙丘地帶에서 發見되는 작은 個體들이 棲息한다. [4] 뱅크스半島와 포트힐즈 ( :en:Port Hills )에서는 흔히 發見되지만, 캔터베리 平原의 大部分의 區域에서는 棲息地 損失 , 土地用途變更 ( :en:Land-use change )으로 인해 사라졌다.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主로 나무가 우거진 低地帶를 좋아한다. 죽은 나무 따위의 느슨한 나무껍질이나 깊은 옹이구멍 안에 몸을 숨길 수 있기 때문이다. [7] 龜裂이 난 露頭, 바위덩어리, 絶壁, 그 近處에 우거진 덤불 或은 遊牧, 덤불, 바위, 抛후에後에 사이의 沙丘地帶, [7] 그리고 特히 버들링 沮止 ( :en:Birdling's Flat )/카이土레테串의 海岸線에서 發見된다. [8]

뱅크스 半島는 해마다 平均 969mm의 降雨量을 記錄하며, [9] 뉴질랜드에서는 地域마다 降雨量이 相當히 다르기 때문에 도마뱀붙이類가 西部 海岸보다 훨씬 濕潤한 東部 海岸가를 選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平均 氣溫은 여름에는 最高 23度 / 最低 4度, 겨울에는 最高 13度 / 最低 2度에 達한다. 캔터베리는 年間 2100-2300 時間 햇빛이 내리쬔다. [9]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棲息 場所에 相當히 依存하며, 居住 範圍가 宏壯히 좁다. [5]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다양한 棲息地 變化에 適應해있으며, 農耕地帶의 防風林 따위의 野生 地域에서 볼 수 있다. [8]

캔터베리의 平原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海岸, 低地帶, 低山帶 ( :en:Montane ecosystems ), 亞高山帶의 다양한 棲息地에서 살아가는 一般種 이다. [10] 大部分의 領域에서는 喬木限界 ( :en:tree line ) 밑에서만 發見된다. [4] 捕食者가 없는 섬에서는 바닷새의 굴에서 居住하며, 人間 居住地 近處의 比喩器物 殘骸와 建物 따위의 人工的인 環境에서 자주 보인다. [6] 이파리가 작은 코프로스마속 의 植物은 얽힌 가지 속으로 避하기 쉽기 때문에 뉴질랜드에 棲息하는 도마뱀들이 좋아한다. 抛후에後에 ( :en:Muehlenbeckia complexa ) 또한 좋아하는데, 그 안에서 無脊椎動物을 잡아먹기 쉽고, 과일도 도마뱀이 먹기 좋기 때문이다. [11]

生涯 [ 編輯 ]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主로 夜行性이나, 낮에는 避難處 入口에서 日光浴 ( en:Sunbaking )을 즐긴다고 알려져있다. [4] 흔히 커다란 規模의 社會的 集合 ( :en:Aggregation (ethology) )을 이루는데, 特히 捕食者 가 없어서 個體數가 많은 地域에서 그렇다. [6]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의 도마뱀붙이類 中에서 第一 오래 사는데, 野生 最高 生存 記錄은 53年이다. 遺體는 2月 末에서 3月에 태어나고, 암컷은 한배새끼 ( :en:Litter (animal) )를 두 마리까지 낳는다. [6]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胎生 하며, 卽 알이 태어나기 前에 難關에서 孵化한다는 뜻이다 - “ 氷河期 當時 뉴질랜드의 추운 氣候에 適應 하여 卵生하는 것으로 보인다 - 世界的으로 大部分의 다른 卵生하는 도마뱀들은 좀 더 추운 地域에 棲息한다.” [12] 해마다 한 番씩, 大槪 봄이나 여름에 짝짓기 한다. "도마뱀붙이類는 氣溫 에 宏壯히 影響을 크게 받으며, 추운 氣候 아래에서는 繁殖週期가 길어질 것이다.” [4] 氣候가 추워지면 암컷들은 2年, 或은 3年마다 새끼를 낳는다. 이 녀석들은 直接, 或은 얇은 덮개 너머에서 내리쬐는 햇빛을 活用해 體溫調節 을 하며, 뉴질랜드의 大部分의 도마뱀붙이類와 개구리들처럼 皮膚의 彩色 ( en:Coloration )을 調節하여 열에너지 吸收 梁을 調節할 수 있다. [4]

食性 [ 編輯 ]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雜食動物 이며 主로 나방, 파리 따위의 작은 無脊椎動物 , 特히 코프로스마속 ( en:Coprosma )의 과일, [7] 若干의 꽃꿀 을 먹는다. [13]

大部分의 뉴질랜드 土着 도마뱀 種은 雜食性이며, 다양한 種類의 節肢動物, 때로는 다른 도마뱀과 베리類, 或은 꽃꿀과 꽃가루를 먹는다. [4]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主로 昆蟲을 먹지만 베리類의 과일도 먹는다. [6] 캔터베리도마뱀붙이가 살아가는 바위로 뒤덮인 棲息地 近處의 開放된 地域에서는 파란色 과일이 자주 發見된다. [14]

피식 [ 編輯 ]

족제비(왼쪽 둘), 담비(오른쪽 둘)

野生의 캔터베리도마뱀붙이에는 붉은 진드기가 若干 寄生하는 모습이 記錄되어왔다. [15] 뉴질랜드의 모든 돔뱀붙이류는 捕食 과 棲息地 破壞라는 두 가지 주된 威脅에 直面해있다. 캔터베리도마뱀붙이의 主要 捕食者는 생쥐 , 시궁쥐 , 족제비 , 고슴도치 , 고양이 , 담비 , 페럿 , 돼지 , 주머니쥐 따위가 있다. [7] 夜行性 捕食者들은 夜行性인 뉴질랜드도마뱀붙이類 에게 큰 威脅이 되며, 主로 哺乳類 捕食者들이 夜行性이다. [12] 진드기들이 눈가, 귓구멍, 겨드랑이, 뒷다리, 肛門 따위의 매달리기 適當한 곳에 자주 달라붙는다. [4]

기타 [ 編輯 ]

2011年 크라이스트처치 地震 때문에 라파키 ( en:R?paki ) 위의 絶壁 에 位置한 캔터베리도마뱀붙이의 棲息地가 不安定해졌고, 사람들이 2015年에 녀석들을 리카르턴部視 ( :en:Riccarton Bush )로 옮겼다. 209마리의 도마뱀붙이類가 "구덩이 가장자리의 絶壁에서 로프 액세스 ( :en:Rope access )의 專門家들이 懸垂下降 하여 回收되었는데, 그 地域에 計劃된 큰 地質工學 敵 作業이 도마뱀붙이類의 棲息地를 破壞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16] 리카르턴부시의 森林 棲息地가 以前의 바위 絶壁 棲息地와는 宏壯히 다르다는 指摘이 있었지만, 둘레에 捕食者防止울타리 ( :en:predator-proof fence )가 세워져있어서 도마뱀붙이類가 生存하기 유리했기 때문에 選定되었다. 캔터베리도마뱀붙이는 1980年代까지 리카르턴부시에 살았었고, 그래서 이番에도 生存할 수 있을 거라 여겨졌다. 도마뱀붙이類에 一一이 라디오 送信機 ( :en:adio transmitters )를 달아서 카히카테亞 ( :en:Dacrycarpus dacrydioides ) 나무에 풀어줬지만, 大部分 "다른 덩굴로 뒤덮인 나무나 줄기로 移動했고, 한 마리는 풀어준 나무 近處의 濠洲洋배추나무 ( :en:Cordyline australis )에 자리를 잡았다." [16] 送信機를 통해 도마뱀붙이類가 移動한 距離를 效果的으로 觀察할 수 있었고, 이 녀석들이 나중에 짝짓기 機會를 잡기 위해 서로 가까이 살아가면 "成功的으로 자리잡았다"고 보았다. [16]

各州 [ 編輯 ]

  1. “Woodworthia brunnea” . 《The Reptile Database》 . 2017年 11月 11日에 確認함 .  
  2. Nielson, Stuart V.; Bauer, Aaron M.; Jackman, Todd R.; Hitchmough, Rod A.; Daugherty, Charles H. (April 2011). “New Zealand geckos (Diplodactylidae): Cryptic diversity in a post-Gondwanan lineage with trans-Tasman affiniti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59 (1): 1?22. doi : 10.1016/j.ympev.2010.12.007 .  
  3. Department of Conservation. “Atlas species information: Woodworthia cf. brunnea” .  
  4. Jewell, Tony (2008). 《A photographic guide to reptiles and amphibians of New Zealand》. Auckland: New Holland Publishers (NZ) Ltd.  
  5. The New Zealand Herpetological Society. “Woodworthia brunnea” .  
  6. Winkel, Dylan van; Baling, Marleen; Hitchmough, Rod (2018). 〈Waitaha gecko〉 . 《Reptiles and Amphibians of New Zealand: A Field Guide》. Auckland: Auckland University Press.  
  7. “Geckos” . 《www.doc.govt.nz》 (英語) . 2019年 5月 8日에 確認함 .  
  8. Winterbourn, M (2008). 《The Natural History of Canterbury》. Christchurch.  
  9. Macara, G (2016). “The Climate and Weather of Canterbury”. 《NIWA》.  
  10. Peterson, P.; Hayman, E. (2018). “Conserving indigenous fauna within production forestry landscapes.” (PDF) . Manaaki Whenua Landcare Research and Gisborne District Council.  
  11. “Getting to know your lizards.” . Te Waihora Co-Governance. 2014年 7月 15日. 2019年 5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12月 30日에 確認함 .  
  12. Wilson, Kerry-Jane (2014年 3月 1日) [2007-09-24]. “Lizards - Appearance and life cycle” . 《Te Ara -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 2019年 4月 22日에 確認함 .  
  13. “Woodworthia brunnea | NZHS” . 《www.reptiles.org.nz》 . 2019年 5月 8日에 確認함 .  
  14. Wotton, M.; Drake, R.; Powlesland, G.; Ladley, J. (2016). “The role of lizards as seed dispersers in New Zealand”.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New Zealand》 46 (1): 40?65. doi : 10.1080/03036758.2015.1108924 .  
  15. The New Zealand Herpetological Society. “Frequently asked questions” .  
  16. Te R?nanga o Ng?i Tahu. “Canterbury geckos adjust to new home” . 2019年 5月 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12月 30日에 確認함 .